맨위로가기

헤르모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모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발드르가 죽었을 때 오딘의 명을 받아 헬에게 발드르의 환생을 간청하기 위해 여정을 떠난다. 그는 헬로 가는 길에서 모드구드의 안내를 받고 발드르를 만나 헬에게 소생 조건을 제시받는다. 헤르모드는 《산문 에다》, 《고 에다》, 스칼드 시, 《베오울프》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며, 특히 발드르의 부활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령의 남신 - 아그니
    아그니는 힌두교에서 불의 신으로, 천상의 빛과 지상의 불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하며, 힌두교 의례와 불교, 자이나교, 고대 인도 의학에서도 중요한 존재로 나타난다.
  • 전령의 남신 - 헤르메스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의 전령이자 상업, 여행, 경계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저승사자로서 죽은 영혼을 인도하고 악기를 창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로마 신화의 메르쿠리우스에 해당한다.
  • 아스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 아스 - 발드르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이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헤르모드
기본 정보
18세기 아이슬란드어 필사본 'NKS 1867 4to'의 삽화. 헤르모드가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헬헤임으로 가서 헬 여왕과 발드르를 만나는 장면
18세기 아이슬란드어 필사본 'NKS 1867 4to'의 삽화. 헤르모드가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헬헤임으로 가서 헬 여왕과 발드르를 만나는 장면
고대 노르드어Hermóðr
영어Hermod
의미전쟁의 정신
관련 문화노르드 신화
역할
신화 속 역할
가족 관계
아버지오딘
기타 정보
탑승슬레이프니르

2. 신화 속 등장

헤르모드는 스노리 에다의 귈피의 속임수 제49장에 등장한다.[6]

로키의 계략으로 형제 발드르가 죽자, 오딘은 8개의 다리를 가진 신마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명부의 여왕 헬에게 향할 자를 찾았다. 이에 헤르모드가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헬로 떠났다.

귈 강에 걸린 걀라르브루 다리에서 거인 여성 모드구드에게 길 안내를 받아 헬의 울타리를 넘어 관으로 들어간 헤르모드는 넓은 방에서 발드르와 재회했다. 헤르모드는 헬에게 발드르의 환생을 간청했고, 헬은 "전 세계의 모든 자가 발드르를 위해 운다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했다.

아스가르드로 돌아오기 전, 헤르모드는 발드르에게서 아버지 오딘에게 줄 드라우프니르를, 발드르의 아내 난나에게서는 프리그와 풀라에게 줄 선물을 받았다. 모두가 발드르를 위해 울었지만, 로키가 변신한 여거인 세크만은 울지 않아 발드르의 부활은 무산되었다.

2. 1. 《산문 에다》

헤르모드는 산문 에다의 책 길피의 속임수 49절에 뚜렷하게 등장한다.[2] 신들이 발드르의 죽음에 슬픔에 휩싸여 있을 때, 프리그는 헬로 가는 길을 달려 헬에게 발드르의 귀환을 대가로 몸값을 제시할 사람을 찾았다. 헤르모드는 이에 동의하고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헬로 떠났다.[6]

헤르모드는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9일 밤 동안 깊고 어두운 계곡을 지나 굘 다리에 도착했다. 다리는 모드구드르가 지키고 있었는데, 그녀는 헤르모드에게 발드르가 이미 다리를 건넜고 헤르모드는 아래쪽으로 북쪽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헬의 문에 도착한 헤르모드는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문을 뛰어넘었다. 헤르모드는 헬의 홀에서 발드르를 만나 그를 풀어달라고 간청했다. 헬은 모든 것이 그를 위해 울면 발드르를 풀어줄 것이라고 발표했다.

발드르는 헤르모드에게 드라우프니르를 오딘에게 가져가라고 주었고, 난나는 프리그와 풀라에게 선물을 주었다. 헤르모드는 메시지를 가지고 돌아왔다.

대부분의 필사본에서 헤르모드는 오딘의 "아들"이라고 불리지만, 코덱스 레기우스 버전에서는 ''스베인 오딘스'' '오딘의 소년'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하인'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헤르모드는 나중에 발드르의 형제라고 불리며 오딘의 아들들 목록에도 등장한다.

로키의 계략으로 발드르가 죽었을 때, 헤르모드는 오딘의 명에 따라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명부의 여왕 헬에게 향했다. 걀라르브루에서 모드구드에게 길을 안내받아 헬의 관으로 들어가 발드르와 재회했다. 헤르모드는 헬에게 발드르의 환생을 간청했고, 헬은 "전 세계의 모든 자가 발드르를 위해 운다면"이라는 조건을 제시했다.

아스가르드로 돌아오기 전, 헤르모드는 발드르로부터 드라우프니르를, 난나로부터는 프리그와 풀라에게 줄 선물을 받았다.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발드르를 위해 울었지만, 로키가 변신한 세크만이 울지 않아 발드르의 부활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2. 2. 《고 에다》

헤르모드(Hermóðr)라는 이름은 고 에다 시 〈힌들루요드〉(2연)에서 인간 영웅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1]

지고하신 아버지의 은총을 찾고자 하네,


그의 추종자들에게 금을 기꺼이 주시네;


헤르모드에게는 투구와 쇠사슬 갑옷을 주셨고,


시구르드에게는 칼을 선물로 주셨네.

2. 3. 스칼드 시가

스칼드 시 ''하코나르말''(제14연)에서 헤르모드와 브라기가 발할라에서 선량왕 호콘을 맞이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 시에서 헤르모드와 브라기 중 어느 쪽이 신을 의미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2. 4. 《베오울프》

고대 영어 시 《베오울프》에서 헤르모드는 망명한 덴마크의 왕이며, 고대 영어 족보에서 헤르모드는 스케아파의 후손 중 한 명으로 등장하며, 일반적으로 스킬드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3. 역할 및 상징

헤르모드는 『스노리 에다』 제1부 『귈피의 속임수』 제49장에 등장한다.[6]

로키의 계략으로 형제인 발드르가 죽었을 때, 오딘의 명에 따라 8개의 다리를 가진 신마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명부의 여왕 에게로 향했다. 귈 강에 걸린 다리 걀라르브루를 지키고 있던 거인 여성 모드구드에게 길을 안내받아, 헬의 울타리를 넘어 관으로 들어가 넓은 방에서 형 발드르와 재회했다.

헤르모드는 형과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아침, 헬을 만나 형의 환생을 간청했다. 헬은 "전 세계의 모든 자가 발드르를 위해 운다면"이라고 소생의 조건을 제시했다.

아스가르드로 돌아오기 전에 헤르모드는 발드르로부터 아버지 오딘에게 줄 선물로 발드르와 함께 불태워진 드라우프니르를 받았다. 또한, 발드르의 아내 난나로부터는 발드르의 어머니 프리그와 여신 풀라에게 줄 선물을 받았다.

헤르모드로부터 보고를 받은 프리그의 부탁으로,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그를 위해 울었다. 그러나 로키가 변신한 여거인 세크(소크)만이 울지 않았기 때문에, 발드르의 부활은 결국 이루어지지 못했다.

참조

[1] 서적 Orchard
[2] 서적 Byock
[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 서적 Orchard
[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