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마 (바이에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마는 바이에른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비였다. 그녀는 벨프 가문 출신으로, 827년 동프랑크 왕국의 왕 루트비히 2세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헤마는 남편의 통치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지만, 아들 카를로만을 편애하여 다른 아들들의 반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874년 뇌졸중으로 고통받다 876년에 사망하여 레겐스부르크의 성 에메람 수도원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03년 출생 - 두목 (당나라)
    두목은 당나라 중·후기 시인으로, 803년에 태어나 852년에 중서사인을 지냈으며, 문집 《번천집》에 신라 장보고와 정연의 이야기를 다룬 「장보고정년전」을 실었다.
  • 동프랑크인의 왕비 - 리트빈데
    리트빈데는 820년 또는 825년경에 태어난 바이에른 출신 귀족 여성으로 카를만의 후궁이었으며, 아르눌프와 헤드비가 등을 낳고 896년에 사망했다.
  • 동프랑크인의 왕비 - 쿠네군디스 (슈바벤)
    쿠네군디스는 슈바벤의 팔라틴 백작의 딸로, 바이에른 변경백, 동프랑크 왕국의 왕비였으며, 아르눌프, 헤르만 등을 낳았고, 915년 로르슈 수도원에 매장될 것을 결정했다.
헤마 (바이에른)
기본 정보
성 에메람 수도원의 무덤 형상
성 에메람 수도원의 무덤 형상
이름엠마 폰 알트도르프
칭호동프랑크 왕비
배우자루트비히 2세
가문벨프 가문
아버지벨프 1세
어머니하일비히 폰 작센
출생808년경
사망876년 1월 31일
사망 장소레겐스부르크
매장 장소성 에메람 수도원 또는 오버뮌스터 수도원
결혼과 자녀
결혼827년
자녀힐데가르트
카를만
이름가르트
루트비히 3세
카를 3세
베르타
기젤라
왕비로서의 삶
재임 기간843년 - 876년
영향력남편 루트비히의 통치에 큰 영향을 미침.

2. 생애

헤마는 803년경 벨프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알토르프의 백작 벨프 1세이며, 어머니는 작센 공국 백작 이삼바르트의 딸 바이에른의 헤드비히이다.[2] 언니 바이에른의 유디트819년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와 결혼하면서 벨프 가문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졌다.[2]

827년, 헤마는 언니 유디트의 영향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루트비히 2세(독일왕)와 결혼했다. 루트비히 2세는 당시 아버지 아래서 바이에른의 국왕이었으며, 결혼식은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렸을 가능성이 높다.[2] 833년, 헤마는 남편으로부터 레겐스부르크의 오버뮌스터 수도원을 받았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남편 루트비히 2세가 동프랑크 왕국의 국왕이 되면서 헤마는 최초의 동프랑크 왕비가 되었다.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헤마는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랭스의 힝크마르 대주교는 그녀의 자만심을 비판했으며,[5] 장남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을 편애하여 다른 아들들의 반발을 샀다는 기록도 있다. 반면, 그녀의 덕과 아름다움을 칭찬하는 기록도 존재한다.[4]

874년 말, 헤마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마비와 언어 장애를 겪었다.[6] 남편 루트비히 2세는 875년에 마지막으로 그녀를 방문했으며,[7] 헤마는 남편보다 몇 달 앞선 876년 1월 31일에 사망했다.[2] 매장 장소는 레겐스부르크의 성 에머람 수도원 또는 오버뮌스터 수도원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다. 성 에메람 수도원에 있는 그녀의 묘비는 13세기 독일 조각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

2. 1. 젊은 시절

헤마는 803년경 벨프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르톨프와 바이에른의 백작이자 레겐스부르크의 영주였던 구엘프 1세이며, 어머니는 작센 공국 백작 이삼바르트의 딸 바이에른의 헤드비히이다.[2] 헤마의 언니 바이에른의 유디트819년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와 결혼하여 프랑크 왕비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후가 되었는데, 이 결혼은 벨프 가문의 정치적 성장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

827년, 헤마는 루트비히 2세(독일왕)와 결혼했다. 루트비히 2세는 경건왕 루트비히와 그의 첫 부인 이르멘가르트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 아들이었다. 이 결혼에는 언니인 황후 유디트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결혼식은 당시 루트비히 2세가 아버지 경건왕 루트비히 아래서 바이에른의 국왕으로 있던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렸을 가능성이 높다.[2]

2. 2. 왕비 시절

827년, 헤마는 루트비히 2세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언니인 신성 로마 제국 황후 바이에른의 유디트의 영향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결혼식은 당시 루트비히 2세가 아버지 경건왕 루이 아래 바이에른 왕으로 있던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 833년, 헤마는 남편으로부터 레겐스부르크의 오버뮌스터 수도원을 받았다.

843년 베르덩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이 분할되고 남편 루트비히 2세가 동프랑크 왕국의 국왕이 되면서, 헤마는 최초의 동프랑크 왕비가 되었다. 남편 루트비히 2세는 다른 형제들과 함께 그의 계모이자 헤마의 언니인 바이에른의 유디트와 정치적으로 갈등했지만, 왕비 헤마와의 관계는 원만했던 것으로 보인다.

헤마는 남편 루트비히 2세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다.

이름비고
카를로만 3세아들
루트비히 3세 청년아들
뚱보왕 카를아들
이르멘가르트딸, 이탈리아의 루트비히 2세의 황후
기셀라딸, 슈바벤의 그라파 베르크톨드와 결혼, 후일 콘라두스 1세의 왕비가 되는 슈바벤의 쿠니군데의 외할머니
베르타
힐데가르트
엠므



동시대 자료에서 헤마는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남편의 통치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랭스의 힝크마르 대주교는 ''베르티니 연대기''에서 그녀가 이탈리아 사람들의 불쾌감을 산 자만심을 가졌다고 비판했다.[5] 또한 헤마가 장남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을 과도하게 편애하여 다른 아들들의 영지를 줄이도록 남편에게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삼남 카를 3세를 중심으로 형제들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기록도 있다. 이 반란은 결국 화해로 마무리되었다. 반면, 다른 문헌에서는 그녀의 덕과 아름다움, 모범적인 결혼 생활을 칭찬하기도 한다.[4]

한 전설에 따르면, 베네벤토의 군주 아델히스가 루트비히 2세를 축출하려 하자 헤마가 남편으로 변장하여 그를 찾아갔고, 이에 놀란 아델히스가 코르시카로 도망쳤다고 한다. 이 일로 이탈리아 귀족들은 오랫동안 불쾌감을 느꼈다고 전해진다.

874년 말, 헤마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마비 증세와 함께 말을 못하게 되었다.[6] 남편 루트비히 2세는 875년에 마지막으로 그녀를 방문했다.[7] 헤마는 남편보다 몇 달 앞선 876년 1월 31일에 사망했다. 그녀가 매장된 장소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레겐스부르크의 성 에머람 수도원 또는 오버뮌스터 수도원 중 하나로 추정된다. 동시대 기록은 성 에메람 수도원을 언급하지만, 오버뮌스터 수도원과의 깊은 관계 때문에 그곳에 묻혔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 에메람 수도원에 있는 그녀의 묘비는 13세기 독일 조각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

2. 3. 최후

헤마는 874년 무렵부터 뇌졸중을 앓기 시작하여 마비 증상을 보이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6] 남편 게르만왕 루트비히 2세는 875년에 그녀를 마지막으로 방문했으며[7], 헤마는 남편보다 몇 달 앞선 876년 1월 31일에 사망하였다.[2]

헤마가 매장된 장소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려 정확히 특정하기 어렵다. 레겐스부르크의 성 에메람 수도원과 오버뮌스터 수도원 두 곳 모두 매장지로 거론된다. 헤마는 생전에 남편으로부터 오버뮌스터 수도원을 받아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기에 그곳에 묻혔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동시대 기록은 성 에메람 수도원에 매장되었다고 전한다.

성 에메람 수도원에는 실제로 헤마의 묘가 있으며, 후일 남편 게르만왕 루트비히 2세와 아들 루트비히 3세 청년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3세기경 이곳에 세워진 헤마의 묘비는 중세 독일 조각의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 레겐스부르크의 오버뮌스터 수도원에도 헤마의 묘지로 추정되는 장소가 남아 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구엘프 1세(Guwelf I), 바이에른과 아르톨프의 공작, 레겐스부르크의 영주
  • '''어머니''': 헤드비가(Hedwiga, 780년 ~ 826년)
  • * '''언니''': 바이에른의 유디트(Judit of Bayern, ? ~ 850년)
  • * '''형부'''이자 '''시아버지''': 루트비히 1세 경건왕(Louis the Pious, 774년 ~ 840년)
  • ** '''조카'''이자 '''시동생''': 카를 2세 대머리왕(Charles the Bald, 823년 ~ 877년)
  • ** '''조카'''이자 '''시누이''': 프랑크의 기셀라(Gisela of Franks)
  • ** '''조카사위''' 겸 '''시누이 남편''': 프리울리의 에버하르트(Everhard of Friuli)

'''외종손''' 겸 '''시조카''': 베렌가리오 1세(Berengario I, 840년 ~ 924년)

  • '''남편''': 루트비히 2세 독일왕(Louis the German, 802/803년 ~ 876년)
  • '''시조부''': 샤를마뉴(Charlemagne, 740년 ~ 814년)

  • '''자녀''' : 루트비히 2세와의 사이에서 3명의 아들과 4명(혹은 5명)의 딸을 두었다. 아들들은 왕이 되었고, 딸 중 최소 3명은 수녀원장이 되었다.
  • * '''딸''': 힐데가르트(Hildegard, 827/828년 ~ 856/859년) - 마인의 뮌스터슈바르츠아흐 수녀원장, 취리히의 플라우뮌스터 수녀원장
  • * '''아들''': 카를만(Carloman, 828/830년경 ~ 880년) - 동프랑크의 왕 (바이에른 왕)
  • ** '''며느리''': 로타링기아의 이르멘가르트(Ermangard) - 로타르 1세의 딸이자 이탈리아의 루트비히 2세의 누이.
  • ** '''첩며느리''': 리트빈데(Litvinde, ? ~ 895년)

'''서손자''': 아르눌프(Arnulf von Carentia, 850년 ~ 899년) - 동프랑크의 왕, 신성 로마 황제
* '''서손부''': 서프랑크의 오다(Oda) - 외드의 딸
* '''서손부''': 네우스트리아의 오다(Oda)
** '''증손자''': 루트비히 4세 유아왕(Louis IV the Child, 893년 ~ 911년) - 동프랑크의 왕
** '''증손녀''': 헤드비가(Hedwiga)
* '''서손부 (이름 불명)'''
** '''증손자''': 츠벤티볼트(Zwentibold, 870년 ~ 900년) - 로타링기아의 왕
** '''증손자''': 이탈리아의 라톨트(Ratold, 889년 ~ 929년) - 이탈리아의 왕
** '''증손녀''': 글리스무트(Glismiut) - 콘라두스 1세의 어머니
*** '''증손녀사위''': 튀링겐의 콘라트(Conrad von Turringia)

  • * '''딸''': 이르멘가르트(Irmgard/Ilmgard, c. 830/833년 ~ 866년) - 바이에른의 플라우엔킴제 수녀원장 (일부 기록에는 남편 루트비히 2세의 사위인 이탈리아의 루트비히 2세와 결혼한 이르멘가르트도 언급되나, 동일인물 여부는 불확실하다.)
  • ** '''사위''' (다른 딸 이르멘가르트의 남편일 가능성): 이탈리아의 루트비히 2세(Louis II, 822년 ~ 875년)

'''외손녀''': 이탈리아의 이르멘가르트(Ermengard of Italy)
* '''외손녀사위''': 보소 5세(Boso V, ? ~ 887년)
** '''외외증손''': 맹인왕 루트비히 3세(Louis III the Blind, 880년 ~ 929년)

  • * '''아들''': 루트비히 3세 청년(Louis the Younger, 830/835년 ~ 882년) - 동프랑크의 왕 (작센 왕)
  • ** '''며느리''': 작센의 리우트가르트(Liutgard of Saxony, 845년 ~ 885년)
  • ** '''첩며느리 (이름 불명)'''

'''서손자''': 위그(Hugh, 850년 ~ 880년)

  • * '''아들''': 카를 3세 뚱보왕(Karl III the Fat, 838/839년경 ~ 888년) - 동프랑크의 왕 (알레마니아 왕), 후 프랑크 왕, 신성 로마 황제
  • ** '''며느리''': 슈바벤의 리첼다(Richardis of Swabia)
  • ** '''첩며느리 (이름 불명)'''

'''서손자''': 베른하르트(Bernhard, 860년 ~ 895년)

  • * '''딸''': 베르타(Bertha, ? ~ 877년) - 마인의 뮌스터슈바르츠아흐 수녀원장, 취리히의 플라우뮌스터 수녀원장
  • * '''딸''': 기셀라(Gisela, 840년? ~ 891년?)
  • ** '''사위''': 베르크톨드 1세(Berthold I of Swabia) - 슈바벤의 궁정백 (콘라트 1세의 왕비 쿠니군데의 할아버지)
  • * '''딸''': 엠마(Emma) 또는 엠므(Emme) (일부 기록에만 등장)

4. 기타

그녀의 친정 조카인 구엘프 2세와 콘라트는 각각 독일 벨프 왕가와 부르고뉴의 벨프 왕가의 분가인 콘라디안 가의 시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Königin Hemma und Obermünster in Regensburg
[2] 서적 Representations of Power in Medieval Germany 800-1500 Brepols
[3] 문서
[4] 문서
[5] 간행물 Annalen von St. Bertin
[6] 간행물 The Annals of Fulda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