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웨이 켄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웨이 켄들은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등반가, 사진작가였다. 그는 1926년 보스턴에서 태어나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 리처드 E. 테일러와 함께 쿼크 모형을 뒷받침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했다. 1990년, 이들과 함께 양성자 및 중성자 표적에 의한 전자의 심비탄성 산란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우려하는 과학자 연합의 창립 멤버였으며, 등반가로서 요세미티 계곡, 안데스 산맥, 히말라야 산맥 등에서 활동했다. 1999년 플로리다주에서 다이빙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산악인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 미국의 산악인 - 앤설 애덤스
앤설 애덤스는 미국의 풍경 사진 작가이자 환경 보호 운동가로서, 요세미티 국립공원의 웅장한 풍경을 담은 흑백 사진과 사진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그리고 자연 보존에 대한 헌신적인 활동으로 사진 예술 발전과 환경 보호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애머스트 대학교 동문 - 캘빈 쿨리지
미국의 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는 공화당 소속으로 매사추세츠 주지사를 거쳐 부통령을 지내다 하딩 대통령 사망 후 대통령직을 승계, 작은 정부와 자유방임주의를 옹호하며 경제 호황기를 이끌어 "침묵의 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애머스트 대학교 동문 - 켄 하워드
켄 하워드는 미국의 배우이자 미국 배우 조합의 전 전국 회장이었으며,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2016년 사망했다. - 실험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실험물리학자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헨리 웨이 켄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헨리 웨이 켄들 |
원어 이름 | Henry Way Kendall |
출생일 | 1926년 12월 9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사망일 | 1999년 2월 15일 |
사망지 | 미국 플로리다주 와쿨라 스프링스 주립공원 |
국적 | 미국 |
학력 | |
출신 학교 | 애머스트 대학교 (학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
박사 지도교수 | 마틴 도이치 |
경력 | |
직업 | 입자 물리학자 |
소속 기관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
수상 | |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90년) |
노벨상 수상 이유 | 양성자와 속박된 중성자 표적에 의한 전자의 심층 비탄성 산란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 |
기타 | |
웹사이트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웹사이트 (보관된 페이지) |
![]() |
2. 생애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디어필드 아카데미와 애머스트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생애 대부분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로 재직했다.
1990년,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 리처드 E. 테일러와 함께 입자물리학에서 쿼크 모형 발전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 양성자 및 속박된 중성자 표적에 의한 전자의 깊은 비탄성 산란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켄들은 유능한 물리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등산가이자 사진가이기도 했다. 또한, 우려하는 과학자 연합(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UCS)의 설립 멤버 중 한 명으로, UCS의 발전을 위해 헌신했으며 에너지 문제와 핵 확산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1999년 플로리다주의 와클라 스프링스 주립공원에서 수중 동굴을 탐사하며 사진 촬영을 하던 중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켄들은 산업가인 이블린 웨이와 헨리 P. 켄들 사이에서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매사추세츠주 샤론에서 자랐고 디어필드 아카데미를 다녔다.[3] 1945년 미국 상선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45년에서 1946년 겨울 동안 북대서양에서 수송선에 복무했다.1946년에는 앰허스트 칼리지에 입학하여 수학을 전공했으며 1950년에 졸업했다. 앰허스트 재학 중 두 번의 여름 동안 수중 다이빙과 해난 구조 회사를 운영했으며, 얕은 수심 다이빙과 수중 사진에 관한 두 권의 책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포지트로늄에 대한 실험 연구를 포함한 대학원 연구를 수행하여 1955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에서 2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 2. 스탠퍼드 대학교에서의 연구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5년 동안, 켄들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로버트 호프스태터의 연구 그룹 소속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곳에서 그는 제롬 프리드먼, 리처드 테일러와 함께 스탠퍼드 대학교의 약 91.44m 길이 선형 입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양성자와 중성자의 구조를 연구했다. 또한 스탠퍼드 재직 시절 볼프강 K. H. 파노프스키와도 긴밀하게 협력했다.2. 3. MIT 교수 및 노벨상 수상
켄들은 1961년 MIT 물리학과 교수로 합류하여 1999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켄들은 프리드먼, 테일러를 포함한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 (SLAC) 연구원들과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 실험들은 고에너지 전자 빔을 양성자와 중수소 및 더 무거운 원자핵에 산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기존의 낮은 에너지 실험에서는 전자가 낮은 각도로만 산란되어 핵자에 내부 구조가 없다는 생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었다. 그러나 SLAC-MIT 실험은 고에너지 전자가 상당한 에너지 손실과 함께 훨씬 더 높은 각도로 산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깊은 비탄성 산란 연구 결과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점과 같은 입자, 즉 이전에 이론적으로 제안되었던 위 쿼크와 아래 쿼크 쿼크로 구성되어 있다는 최초의 실험적 증거를 제공했다.[5] 또한 이 실험들은 글루온의 존재에 대한 첫 번째 증거도 제시했다.이러한 선구적인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켄들은 1990년 프리드먼, 테일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수상 사유는 입자물리학에서 쿼크 모형 발전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 양성자 및 속박된 중성자 표적에 의한 전자의 깊은 비탄성 산란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에 대한 공로였다.
이후 켄들은 1991년에 줄리어스 A. 스트래튼 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4]
2. 4. 등반 및 사진 활동
켄들은 뛰어난 물리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매우 숙련된 등반가이자 사진 작가이기도 했다. 앰허스트 칼리지 재학 시절에는 두 번의 여름 동안 수중 다이빙과 해난 구조 회사를 운영했으며, 얕은 수심 다이빙과 수중 사진에 관한 책 두 권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그는 요세미티 계곡에서 광범위하게 암벽 등반을 했으며, 이후 안데스 산맥, 히말라야 산맥, 남극 등지로 원정을 떠나 자신의 경험을 대형 카메라로 기록했다. 이러한 활동을 인정받아 1982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2012년 4월 7일, 미국 고산 클럽은 콜로라도주 골든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켄들을 등반 우수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7]
켄들은 1999년 플로리다주의 와클라 스프링스 주립공원에서 수중 동굴을 탐험하며 사진 촬영을 하던 중 사망했다.
3. 사회 활동
켄들은 1969년 우려하는 과학자 연합(UCS)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3] 그는 1974년부터 1999년 사망할 때까지 UCS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며 단체의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8] 그의 공공 정책 관심사에는 핵전쟁 방지, 전략 방위 구상 및 B2 폭격기 반대, 원자력 안전 확보,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과학자로서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또한 미국의 저명한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제이슨 국방 자문단(JASON Defense Advisory Group)의 멤버로도 활동했다.[9]
4. 사망
1999년 2월 15일,[3][10] 켄들은 플로리다주 에드워드 볼 와쿨라 스프링스 주립 공원의 동굴에서 와쿨라 2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다이빙을 하던 중 사망했다.[3][10] 그는 Cis-Lunar MK-5P 혼합 기체 리브리더를 사용하기 전에 두 번의 다이빙 전 체크리스트를 건너뛰었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에서 지정한 다이빙 버디 없이 혼자 샘물 분지에 들어갔다.[10][11] 켄들은 리브리더의 산소 공급 장치를 켜는 것을 잊어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고, 결국 익사했다.[10][11] 이후 부검을 통해 그가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은 데에는 생리적인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0]
5. 수상 및 영예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82년
- [https://bertrandrussellsociety.org/brs-award/ 버트란드 러셀 협회상], 1982년
- 노벨 물리학상, 1990년 (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 리처드 E. 테일러와 공동 수상 )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상, 1993년[12]
- 미국 알피니스트 클럽 등산 명예의 전당, 2012년
참조
[2]
웹사이트
Nobel prize citation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1-01-08
[3]
웹사이트
MIT Nobelist Henry Kendall dies at 72 while scuba diving in Florida lake
http://web.mit.edu/n[...]
MIT News Office
2011-01-08
[4]
웹사이트
Collection: Henry W. Kendall papers {{!}} MIT ArchivesSpace
https://archivesspac[...]
2020-08-25
[5]
뉴스
Four U.S.-Based Scientists Share Nobel Prizes
https://www.latimes.[...]
2011-01-08
[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K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4
[7]
뉴스
Beautiful minds: Blum, Reichardt, Kendall, Molenaar in Mountaineering Hall of Fame
http://www.rockandic[...]
2012-04-11
[8]
뉴스
Henry Kendall; Nobel Prize-Winning Nuclear Scientist
https://www.latimes.[...]
2011-01-08
[9]
뉴스
The Story of Jason – The Elite Group Of Academic Scientists Who, As Technical Consultants To The Pentagon, Have Developed The Latest Weapon Against Peoples' Liberation Struggles: "Automated Warfare".
http://ist-socrates.[...]
2011-01-08
[10]
간행물
The Wakulla 2 Project: Cutting Edge Diving Technology for Science and Exploration.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11]
뉴스
Safety Lapse Suspected in Scientist's Diving Death
https://www.latimes.[...]
2011-01-08
[12]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3]
웹인용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1-01-08
[14]
웹인용
Nobel prize citation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1-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