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그린시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그린시티는 현대 에어로시티의 단축형 모델로, 2002년 7월에 글로벌 900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뉴 글로벌 900, 뉴 글로벌 900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10년 3월 그린시티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2018년 7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2024년 1월 저상버스 출고 의무화 정책에 따라 단종되었다. 시내버스 모델인 LM-C와 시외직행/자가용 모델인 LM-A로 라인업이 구성되었으며, 자일대우 NEW BS090과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버스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미디버스 - 자일대우 BS
자일대우 BS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생산한 후부 엔진-후륜 구동 방식의 도시형 버스로, 다양한 모델과 엔진 종류로 출시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었으나 저상버스 의무제로 단종되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2002년 도입된 자동차 - 렉서스 GX
렉서스 GX는 렉서스 브랜드의 중형 SUV로, 2002년 1세대가 출시되어 2023년 3세대까지 3.4리터 V6 트윈 터보 엔진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춘 모델을 선보였다. - 2002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투아렉
폭스바겐 투아렉은 2002년 폭스바겐에서 출시되어 포르쉐 카이엔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다카르 랠리 3연패 등의 모터스포츠 성과를 가진다.
현대 그린시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현대 그린시티 | |
![]() | |
일반 정보 |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차종 | 후륜구동 차량 |
플랫폼 | 현대 버스 차대 |
차체 형태 | 버스 |
엔진 | 디젤 OM906 (2002-2007) 현대 G 엔진 (2008-2024) CNG C6AB |
변속기 | 5단 수동변속기 |
관련 차종 | 현대 에어로시티 베링 글로벌 900 베링 에어로시티 일렉시티 타운 |
디자이너 | 현대자동차 디자인 센터 |
2. 역사
시기 | 모델명 | 주요 변경 사항 |
---|---|---|
2002년 7월 ~ 2010년 6월 | 글로벌 900 | * 2002년 7월: 글로벌 900 출시 (초기 무공해 디젤 엔진 탑재)[1] |
2010년 3월 ~ 2024년 1월 | 그린시티 | * 2010년 3월: 그린시티 출시 (글로벌 900 페이스리프트 모델)[3] |
2010년 3월에 출시된 그린시티는 이전 모델인 글로벌 900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었다.[3] 2024년 1월, 저상버스 의무 도입 정책으로 인해 고상 모델은 단종되었다.[1]
2. 1. 글로벌 900 (2002년 7월 ~ 2010년 6월)
2002년 7월부터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의 단축형 모델인 글로벌 900이 시판되었다. 디젤 모델은 초기 다임러-벤츠의 OM906LA 엔진을 탑재했다가 2008년부터 D6GA (G)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CNG 모델은 처음부터 C6AB 엔진을 탑재했다.2. 1. 1. 글로벌 900 (2002년 7월 ~ 2004년 12월)
2002년 7월부터 '''글로벌 900'''(Global 900)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되었다. 초기에는 무공해 디젤 엔진만 탑재되었으나, 2003년 5월에 CNG 모델이 추가되었다.[1] 디젤 모델은 초기형에 독일 다임러-벤츠가 설계한 OM906LA 엔진을 탑재하였고,[1] CNG 차량은 초기부터 C6AB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1]2. 1. 2. 뉴 글로벌 900 (2004년 11월 ~ 2008년 2월)
2004년에 기존 현대 글로벌 900에서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차종으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단축형이다. 2005년부터 관광형과 자가용이 시판되었으며, 2006년 중반 이후 제작된 버스는 입석형 팔걸이 형태가 달라지고 운전석 보호 격벽 옵션이 추가되었다.
2004년, 엔진 옵션이 업데이트되었다. 디젤 버전은 260마력을 내는 새로운 현대 DB9A 엔진을, CNG 버전은 여전히 240마력을 내는 C6AB 엔진을 탑재했다.
2. 1. 3. 뉴 글로벌 900 페이스리프트 (2008년 1월 ~ 2010년 3월)
2008년 1월부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의 단축형 모델이 생산되었으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와 함께 앞면 디자인이 변경되어 "메뚜기"라는 별명으로 불렸다.[2] 이와 함께 파워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로 변경되었다. 입석 손잡이는 선택 사양이었다. 시내 입석형 중에서는 출입문 쪽 첫 번째 유리창이 통유리로 된 사양도 있었다.2008년의 변경 사항으로 파워 안테나가 루프 안테나로 교체되었다. 디젤 엔진은 250~255마력의 D6GA 엔진과 260마력의 D6GB 엔진이 제공되었으며, CNG 엔진은 240마력의 C6AB 엔진을 유지하였다.
2010년 3월에는 기존 현대 뉴 글로벌 900을 개선한 현대 그린시티가 출시되었다.
2. 2. 그린시티 (2010년 3월 ~ 2024년 1월)
현대 그린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2010년 3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생산한 중형버스이다. 현대 글로벌 900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유로 4 기준을 충족하는 G240 CNG 엔진과 타라매트 바닥재가 적용되었다.[3]2017년부터 전문과 중문에 초음파 센서가 적용되었으며, 운전석 콜부저등과 오디오 USB 포트가 추가되었다. 좌석에는 노약자석(노란색)과 임산부석(분홍색) 표시가 추가되었으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달리 기본 의자는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지 않았다. 2018년 10월부터는 계기판 조명이 연두색에서 백색으로 변경되었다. 현대 블루시티는 이 차량의 G240 CNG 엔진을 공용한다.
2023년 1월 19일부터 저상 버스 의무 공급으로 인해 2024년 1월부터 현대자동차의 모든 도시형 하이플로어 버스가 단종될 것이 확인되었으며, 해당 연도 1월 3일에 하이플로어 홈페이지에서 제품 정보가 완전히 삭제되었다.[1]
2. 2. 1. 그린시티 (2010년 3월 ~ 2018년 6월)
2010년 3월 현대 글로벌 900 페이스리프트에서 업그레이드된 차량이다. 기존 차량에서 CNG 엔진이 유로 4 기준 G240 CNG 엔진으로 변경되었고, 폰트가 'Hyundal Global 900'에서 'Hyundal Green city'로 교체되었으며, 바닥재가 타라매트로 변경되었다.2010년 11월에 선보인 2011년형은 입석 손잡이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2010년에는 유로 5 기준을 통과한 G260 디젤 엔진 그린시티가 출시되었으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와 함께 휠이 8홀 8핀휠에서 10홀 10핀으로 교체되었다.
2013년식부터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폰트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백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사각형 바탕/백색 로고로 변경되었다. 2013년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은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백색으로 변경되었으며,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다른 서체로 변경[3]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크기도 약간 작아졌다. 여기에 후방 차폭 등이 추가되었으며, 같은 해 9월부터 입석형 버스 사양에도 강제 환풍기 설치가 가능하도록 옵션이 추가되었다.
2015년에는 유로 6 기준을 통과한 메가트럭 유로 6과 동일한 G280 디젤 엔진, 요소수 촉매제 탱크, 사사커램프, 후방 차폭등, 셉 쿨러 등이 추가되었다. 2016년부터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과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고, 머플러가 돌출형에서 히든 타입으로 바뀌었다.
2017년부터 전문과 중문에 초음파 센서가 적용되었으며, 운전석에도 콜부저등이 추가되었고, 오디오에 USB 포트가 추가되었다. 1열부터 4열까지 노란색은 노약자석, 분홍색은 임신부석으로 시트에 표시하였으며, 뉴슈퍼에어로시티와 달리 기본 의자가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지는 않았다. 같은 해 10월부터 선보인 2018년식부터 연두색 계열의 계기판 조명은 백색으로 변경되었다. 현대 블루시티는 이 차량의 G240 CNG 엔진을 공용한다.
2. 2. 2. 그린시티 1차 페이스리프트 (2018년 6월 ~ 2024년 1월)
2018년 6월에 현대 그린시티 1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전면부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계기판 조명이 연두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2] 2020년에는 블루투스 오디오가 추가되었고, 손잡이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비상문이 추가되었다.2023년 1월 저상버스 의무 도입 정책으로 인해,[1] 2024년 1월에 고상 모델은 단종되었다.
3. 라인업
현대 그린시티의 세부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시내버스 (LM-C)
- * LM-EC: 도시형버스
- * LM-FC: 시내좌석형버스
- 시외직행/자가용 (LM-A)
- * LM-GA: 시외직행
- * LM-AA: 자가용
4. 경쟁 차종
자일대우 NEW BS090
5. 기타
참조
[1]
뉴스
현대차, 내연기관 시내버스 안 만든다
https://v.daum.net/v[...]
ET News
2024-01-02
[2]
문서
풀 체인지급 대변화를 이룬 페이스 리프트 모델인 기아 뉴 그랜버드 역시 기아판 메뚜기다.
[3]
문서
인천에서는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으로 출고하는 경우가 있다.
[4]
문서
좌측 지시등 켤 때는 좌측면만, 우측 지시등은 우측면의 마커 램프만 점멸되며 비상등은 양방향으로 동시에 점멸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