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동역은 1956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 역사를 신축했다. 1990년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1994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13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으로,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부전, 동대구, 영주, 동해 방면으로 운행한다. 주변에는 특별한 시설이나 지형지물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건축물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봉화군의 건축물 - 분천역
분천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과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관광 중심지로 부상하여 스위스 역과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운행되는 2면 3선의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교통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봉화군의 교통 - 분천역
분천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과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관광 중심지로 부상하여 스위스 역과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운행되는 2면 3선의 지상역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분천역
분천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과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관광 중심지로 부상하여 스위스 역과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운행되는 2면 3선의 지상역이다.
현동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현동역 |
한자 표기 | 縣洞驛 |
로마자 표기 | Hyeondong Station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열람이길 55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관리역 | 춘양역 |
역 등급 | 3급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2선 (섬식) |
개업일 | 1956년 1월 1일 |
역 코드 | 107 |
단말기 코드 | 53910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영동선 |
영업 거리 | 영주역 기점 52.7 km |
이전 역 | 임기역 |
이전 역 간 거리 | 4.9 km |
다음 역 | 분천역 |
다음 역 간 거리 | 6.6 km |
기타 정보 |
2. 역사
- 1956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2]
- 1956년 12월 30일: 역사를 새로 지었다.
- 1990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3]
- 1994년 1월 1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4]
- 2013년 11월 7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3. 역 구조
현동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역사 쪽과 선로 쪽 모두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3. 1. 승강장
현동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으로, 역사 쪽과 선로 쪽 모두에서 승강장으로 접근할 수 있다.
4. 주변
원본 소스에 주변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인접한 역
무궁화호
영동선
무궁화호
영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