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화동성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화동성당은 1927년 4월 29일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베드로 신부가 초대 주임으로 임명되면서 설립된 천주교 성당이다. 1920년대 합창단 창단, 유치원 설립 등 다양한 활동을 시작으로, 1960년 신축 성당 완공, 1998년 제4지구장 본당 승격 등 발전을 거듭했다. 현재까지 여러 차례 주임 신부가 교체되었으며, 다양한 행사와 기념 사업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약현성당
약현성당은 서울 중구에 있는 한국 최초의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 1887년 설립된 강당을 모태로 1892년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건립되었으며, 로마네스크와 고딕 양식이 절충된 십자형 건물로서 신유박해 순교자 이승훈의 집터 인근에 위치하고, 화재 후 복원되어 개방된 성소로 기능한다. - 서울특별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한강성당
한강성당은 1970년 삼각지성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대한 성공회 소속 성당으로,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위치하며 여러 주임 신부를 거쳐 현재는 허석훈 신부가 주임 신부로 재임하고 있고, 평일과 주일에 다양한 시간대의 미사를 제공한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출판사
가톨릭출판사는 1880년 조선 천주교 신자들을 위한 서적 출판을 목적으로 일본 나가사키에 설립된 성서 활판소를 전신으로, 한반도 최초의 근대식 인쇄소 중 하나이며, 도서 출판과 인쇄를 통해 복음 전파, 가톨릭 및 민족 문화 창달, 월간지 발행, 전집 출판, 아동 문학상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천주교 서울대교구 - 약현성당
약현성당은 서울 중구에 있는 한국 최초의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 1887년 설립된 강당을 모태로 1892년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건립되었으며, 로마네스크와 고딕 양식이 절충된 십자형 건물로서 신유박해 순교자 이승훈의 집터 인근에 위치하고, 화재 후 복원되어 개방된 성소로 기능한다. - 1927년 설립 - 영산선학대학교
영산선학대학교는 1927년 영산학원을 전신으로 하는 사립대학교로, 원불교 승려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나 재개교를 거쳐 1997년 영산선학대학교로 개교하여 현재 원불교학부 단일 학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라남도 무안군에 위치한다. - 1927년 설립 -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공산당의 지휘를 받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조직으로, 국공내전과 중일전쟁을 거쳐 성장하여 현대화를 통해 5개 군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앙군사위원회의 강력한 정치적 통제하에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혜화동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성당 이름 | 혜화동성당 |
영어 명칭 | Hyehwa Catholic Church |
종파 | 로마 가톨릭교회 |
관구 | 서울관구 |
교구 | 천주교 서울대교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88 |
설립일 | 1927년 4월 29일 |
웹 사이트 | 혜화동성당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서울 혜화동성당 |
유형 | 등록문화재 |
번호 | 230 |
지정 | 2006년 3월 2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88 (혜화동) |
소유 |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 |
면적 | 건축면적 969.72m2 연면적 2,206.78m2 |
수량 | 1동 지하1층, 지상4층 |
문화재청 | 79,02300000,11 |
2. 연혁
2. 1. 설립 초기 (1927-1945)
1927년 4월 29일,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지사원(Chizallet, 베드로) 신부가 초대 주임으로 임명되면서 백동(혜화동) 본당이 설립되었다. 1929년 서기창(프란치스코) 신부가 제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고, 같은 해 5월 백동 가톨릭 합창단이 창단되었다. 같은 해 혜화동 청년 친우회가 발족하고 백동성당 강복식과 낙성식이 거행되었다.1929년부터 1933년까지 '안나회', '여자 성가대', '혜화동 소년회' 등이 설립되었다. 1936년 오기선(요셉) 신부가 제3대 주임으로 부임하였고, 1937년 혜화유치원이 설립인가를 받았다. 1939년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성재덕(Singer, 베드로) 신부가 제4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42년 제기동 본당, 1945년 미아리 본당이 혜화동성당에서 분할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5-1960)
1945년 미아리 성당이 혜화동성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두번째 자본당) 1948년 메리놀외방전교회의 기후근(Craig, 후고) 신부가 제5대 주임으로, 도(Duffy, 파트리치오) 신부가 제6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50년 정원진(루가) 신부가 제7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1952년 4월 25일, 혜화동성당은 설립 25주년 은경축을 맞이하였다. 1955년 돈암동 성당이 분리되어 설립되었다.(세번째 자본당) 1959년 장금구(크리소스토모) 신부가 제8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60년 6월 25일, 새 성당 건물이 완공되어 축성식을 가졌다.
2. 3. 성당 신축 및 발전 (1960-현재)
1960년 6월 25일, 새 성당의 완공 축성식이 거행되었다. 1962년에는 류수철(도미니코) 신부가 제9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65년에는 수녀원이 준공되어 축성식을 가졌다. 1968년, 이계중(요한) 신부가 제10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1973년, 박귀훈(요한) 신부가 제11대 주임으로 부임하면서 사목위원회가 구성되었다. 1975년에는 성북동 본당이 혜화동성당에서 분할되었다. 같은 해, 박희봉(이시도로) 신부가 제1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고, '순교 복자 79위 시복 50주년 기념 사제관'이 준공되어 축성식을 가졌다.
1977년, 혜화동성당은 '백동반세기'(혜화동 50년사)를 발간하고, 103위 순교 복자 성화 제막 및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이 성화는 김수환 추기경이 집전하고 문학진이 제작한 것이다. 또한, 본당 창설 50주년 금경축 기념행사도 함께 진행되었다.
1980년, 이기명(프란치스코 사베리오) 신부가 제13대 주임으로 부임하면서 평신도 사도직 협의회가 구성되었다. 1981년에는 은총의 모후 꾸리아가 설립되었고, 신축 수녀원 완공 축성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해,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 기념 전국 신앙대회가 열렸다. 1983년에는 교육관 완공 축성식이 있었다.
1984년, 한국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기념 신앙 대회 및 103위 한국 성인 시성식이 거행되었다. 1985년에는 이상훈(리노) 신부가 제14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87년, 본당 창설 6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고, 파이프 오르간 축성과 '백동 60년사' 발간이 이루어졌다.
1989년, 혜화동성당은 세계 제44차 성체대회에 참석하였고, 지하성당을 완공하였다. 1991년에는 박순재(라파엘) 신부가 제15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95년에는 염수의(요셉) 신부가 제16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1996년, 김대건 신부 순교 150주년 기념 신앙대회가 열렸고, 성 미술 도록인 '우리와 함께 머무소서'가 출판되었다. 1997년에는 분도의 집 완공 축성식, '백동 70년사' 발간, 본당 70주년 기념행사가 진행되었다.
1998년, 혜화동성당은 제4지구장 본당으로 승격되었고, 나원균(바오로) 신부가 제17대 주임 겸 제4지구 초대 지구장으로 부임하여 2000년을 맞이하는 새 날 새 삶 운동을 전개하였다. 2003년에는 김철호(바오로) 신부가 제18대 주임 겸 제4지구 지구장으로 부임하였다.
2008년, 최동진(베르나르도) 신부가 제19대 주임 겸 제4지구장으로 부임하였다. 2013년에는 이재룡(시몬) 신부가 제20대 주임 겸 제4지구장으로 부임하였다. 2016년에는 홍기범(바오로) 신부가 제21대 주임 겸 제4지구장으로 부임하였다. 2021년, 고준석(토마스데아퀴노) 신부가 제2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3. 건축
혜화동성당은 1960년 이희태가 설계한 강당형 성당 건물로, 직사각형 화강암 석재로 외벽을 마감하고 입구 앞에 넓은 홀을 설치했다.
3. 1. 개요
1927년 4월 29일 설립되었으며 초대 주임신부로 시잘레 베드로 신부가 부임하였다. 당시 백동(현 혜화동)에 있던 베네딕도회의 수도원이 함경도로 이전하자 이 건물을 매입하여 본당으로 사용하였다.1960년 설립 당시 본당이 있던 자리에 이희태(李喜泰)가 설계해 새로 건립한 강당형 성당 건물이다.
직사각형의 화강암 석재로 외벽을 마감했으며 입구 앞에 넓은 홀을 설치했다. 성당 정면 현관 위에는 화강석 부조인 《최후의 심판도》가 있다. 1961년 김세중 서울대학교 교수가 조각한 것으로 성경 구절과 함께 예수를 중심으로 4명의 복음서 저자 상징이 좌우에 자리 잡고 있다. 또 제대 앞 오른쪽 벽면에는 《103위 순교 성인화》(285cm×330cm)가 걸려 있다. 1977년 문학진이 103위 성인 각각의 표정을 특색 있게 그린 것이다.
붉은 벽돌로 쌓은 종탑의 대비를 통한 균형미, 비대칭의 구성 등은 당시 고딕양식의 가톨릭 성당 건축의 정형화된 틀을 깬 양식으로 이후 근대적 성당 건축의 모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종교사적·건축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58-2번지에 있다.
3. 2. 주요 특징
1927년 4월 29일 설립되었으며 초대 주임신부로 시잘레 베드로 신부가 부임하였다. 당시 백동(현 혜화동)에 있던 베네딕도회의 수도원이 함경도로 이전하자 이 건물을 매입하여 본당으로 사용하였다.1960년 이희태(李喜泰)가 설계해 새로 건립한 강당형 성당 건물로, 설립 당시 본당이 있던 자리에 지어졌다.
직사각형의 화강암 석재로 외벽을 마감했으며 입구 앞에 넓은 홀을 설치했다. 성당 정면 현관 위에는 화강석 부조인 《최후의 심판도》가 있다. 1961년 김세중 서울대학교 교수가 조각한 것으로 성경 구절과 함께 예수를 중심으로 4명의 복음서 저자 상징이 좌우에 자리 잡고 있다. 제대 앞 오른쪽 벽면에는 문학진이 1977년에 그린 《103위 순교 성인화》(285cm×330cm)가 걸려 있는데, 103위 성인 각각의 표정을 특색 있게 표현하였다.
붉은 벽돌로 쌓은 종탑의 대비를 통한 균형미, 비대칭의 구성 등은 당시 고딕양식의 가톨릭 성당 건축의 정형화된 틀을 깬 양식으로 이후 근대적 성당 건축의 모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종교사적·건축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58-2번지에 있다.
3. 3. 건축사적 의의
혜화동성당은 1960년 이희태가 설계한 강당형 성당 건물로, 직사각형 화강암 외벽과 넓은 입구 홀이 특징이다. 정면 현관 위에는 김세중 서울대학교 교수가 조각한 화강석 부조 《최후의 심판도》가 있고, 제대 앞 오른쪽 벽면에는 문학진이 그린 《103위 순교 성인화》가 걸려 있다.붉은 벽돌 종탑과 건물의 균형미, 비대칭 구성은 당시 고딕 양식 가톨릭 성당 건축의 정형화된 틀을 깬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이후 근대적 성당 건축의 모형이 되었으며, 종교사적·건축사적 가치를 지닌다.
4. 미사 시간
Missala 시간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요일 | 시간 |
---|---|---|
미사 | 평일 | 월(06:00), 화~목(06:00, 10:00, 19:00), 금(06:00, 19:00), 토(06:00) |
주일 | 토(19:00-특전, 중고등부), 일(06:00, 09:00, 11:00-교중미사, 16:00-어린이, 18:00-청년, 21:00) |
4. 1. 평일 미사
요일 | 미사시간 |
---|---|
월요일 | 06:00 |
화~목요일 | 06:00, 10:00, 19:00 |
금요일 | 06:00, 19:00 |
토요일 | 06:00 |
4. 2. 주일 미사
요일 | 미사시간 |
---|---|
토요일 | 19:00 (특전, 중고등부) |
주일 | 06:00, 09:00, 11:00 (교중미사), 16:00 (어린이), 18:00 (청년), 21:00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탈시설 보장하라”…성당 종탑 농성 전장연 활동가 2명 구속영장 신청
'혜화동성당 종탑 농성' 전장연 활동가들 내일 구속심사
14일 고공농성 마치자마자…경찰, 장애인단체 활동가 3명 연행
“장애인의 집은 왜 시설이어야 하나”…올해도 응답 없는 외침
장애인 탈시설 활동가들, ‘성금요일’에 혜화동성당 종탑서 무기한 고공농성 돌입
전장연, 혜화동성당서 고공농성…‘탈시설 거부’ 천주교에 항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