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계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계서원은 퇴계 이황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1573년 여강서원으로 건립된 서원이다. 학봉 김성일과 서애 유성룡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으며, 1676년 '호계'라는 사액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강당만 다시 지어졌고, 안동댐 건설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강당은 맞배지붕집으로, 평면은 一자집 형태이며, 지붕의 양쪽 끝이 ㄷ자형으로 특이한 구조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서원 - 매림서원
곽수강과 오선기를 배향하고 고령 매림재소장판목을 보관하는 매림서원은 서원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중요한 서원이다. - 경상북도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안향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자계서원
자계서원은 조선 시대 문신 김일손을 기리기 위해 1518년에 창건되었으며, 사액을 받아 국가의 지원을 받았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제사만 지내고 있다.
호계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호계서원 정보 | |
이름 | 호계서원 (虎溪書院) |
유형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35 |
지정일 | 1973년 8월 31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84-3번지, 84-4 |
2. 역사
조선 선조 6년(1573) 월곡면 도곡동에 여강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졌다. 처음에는 퇴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다가 광해군 12년(1620) 학봉 김성일, 서애 유성룡의 위패를 함께 모셨다. 숙종 2년(1676) 임금으로부터 ‘호계’라는 이름과 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7년 뒤 강당만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73년 안동댐 건설로 이곳으로 옮겨 다시 지었다.
현재 퇴계는 도산서원, 학봉은 임천서원, 서애는 병산서원에 각각 위패가 모셔져 있다.
2. 1. 건립과 사액
1573년(선조 6년), 퇴계 이황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여강서원으로 건립되었다. 1620년(광해군 12년), 학봉 김성일과 서애 유성룡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1676년(숙종 2년), '호계'라는 사액을 받고 토지와 노비 등을 하사받았다.2. 2. 훼철과 복원
숙종 2년(1676) 임금으로부터 ‘호계’라는 이름과 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7년 뒤 강당만 새로 지어 복원되었다. 1973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전, 복원되었다.3. 건축
조선 선조 6년(1573)에 월곡면 도곡동에 여강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졌다. 처음에는 퇴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다가 광해군 12년(1620)에 학봉 김성일, 서애 유성룡의 위패를 함께 모시게 되었다. 숙종 2년(1676)에 임금으로부터 ‘호계’라는 이름과 토지, 노비 등을 하사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없어졌다가 7년 뒤에 강당만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퇴계는 도산서원, 학봉은 임천서원, 서애는 병산서원에 각각 위패가 모셔져 있다.
3. 1. 구조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건물이다. 평면상으로는 一자형이나, 지붕 양쪽 끝이 정면을 향하는 ㄷ자형의 특이한 형태이다. 가운데는 마루이고 양쪽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해마다 한 번씩 당회가 열린다.3. 2. 이전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3년 원래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4. 기능
조선 선조 6년(1573)에 처음에는 퇴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기능을 하였다. 광해군 12년(1620)에는 학봉 김성일, 서애 유성룡 두 사람의 위패를 함께 모셨다.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향촌 사회에서 유교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였다. 해마다 1번씩 당회가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5. 현재
현재 퇴계 이황은 도산서원, 학봉 김성일은 임천서원, 서애 유성룡은 병산서원에 각각 위패가 모셔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