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소노 후지히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소노 후지히코는 1979년 만화가로 데뷔하여, 초기에는 미소녀 묘사에 능한 코미디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청년 만화 잡지로 활동 영역을 넓혀 스토리텔러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며,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연재했다. 대표작으로는 《갤러리 페이크》, 《타로》, 《전파의 성》 등이 있으며, 1991년 OVA 《저지》, 2005년 TV 애니메이션 《갤러리 페이크》 등 작품의 영상화도 이루어졌다. 2021년에는 데뷔 당시를 회고하는 자전적 만화 《1978년의 만화벌레》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튜디오 누에 관련자 - 카와모리 쇼지
    카와모리 쇼지는 1960년생의 일본 애니메이션, 메카닉 디자이너, 프로듀서, 감독으로, 변형 가능한 메카닉 디자인과 가상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작품에 도입하여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마크로스》 시리즈, 《창성의 아쿠에리온》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 스튜디오 누에 관련자 - 타카치호 하루카
    타카치호 하루카는 SF, 판타지, 무협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쓰는 일본 소설가로, 《크러셔 죠 시리즈》와 《더티페어 시리즈》를 비롯한 독특한 세계관과 개성 강한 캐릭터의 여러 시리즈 작품과 단행본을 출간하여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동문 - 이시하라 유지로
    이시하라 유지로는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일본의 배우, 가수, 영화 제작자로, 닛카츠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엘비스 프레슬리'로 불렸고, 이시하라 프로모션을 설립하여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활약했고 요트 레이스에도 적극 참여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동문 - 센주 아키라
    센주 아키라는 일본의 작곡가이자 편곡가로,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제작하며, 일본 아카데미상과 드라마 아카데미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 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호소노 후지히코
기본 정보
이름호소노 후지히코
로마자 표기Hosono Fujihiko
출생일1959년 12월 2일
출생지오타, 도쿄, 일본
국적일본
직업만화가
활동 기간1979년 -
대표작
대표작우당탕탕 닥터지
GU-GU 감모
갤러리 페이크
수상
수상제41회 쇼가쿠칸 만화상 청년 일반 부문 (갤러리 페이크, 타로)
기타
관련 단체스튜디오 누에

2. 경력

호소노 후지히코는 대학 시절부터 스튜디오 누에에서 활동했다.[4] 1979년 『만화 소년』에 게재된 「크래셔 조」로 데뷔하여, 1980년대 전반에는 쇼가쿠칸 계열에서 미소녀 코미디 작품을 발표했다.[5] 1980년대 후반부터는 청년 만화 잡지로 집필 영역을 옮겨 데즈카 오사무이시노모리 쇼타로와 같은 스토리텔러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4]

1991년 『저지』가 OVA화되었고, 2005년갤러리 페이크』가 텔레비 도쿄 계열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1991년 라그랑주 포인트, 1997년 그랜드 레드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2012년 만화 겐키 발동 계획에 출연, 2017년부터 자랑스러운 사루토비 G를 연재했다.[9]

2. 1. 초기 활동 (1979년 ~ 1980년대 초반)

대학 시절부터 스튜디오 누에에서 활동했다.[4] 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만화 소년』에 게재된 「크래셔 조」(고치호 하루카 원작 작품의 만화화)로 데뷔했다.[5] 단발이었지만 호평이었기에 계속되었다.

1980년에 『연애의 프리즈너』[6]주간 소년 선데이에 처음 게재되었다.[7] 1980년대 전반에는 쇼가쿠칸 계열의 신인 만화가로서 『자랑스러운 사루토비』, 『깜짝 놀랄 닥터』, 『구구 건모』 등 미소녀 묘사에 능한 코미디 작품을 발표했다. 『자랑스러운 사루토비』와 『구구 건모』는 후지텔레비 계열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어 일요일 골든타임에 전국 방송되었다.[8]

2. 2. 활동 영역 확장 (1980년대 후반 ~ 현재)

1980년대 후반부터 청년 만화 잡지로 집필 영역을 옮겨, 『사랑스러운 배트맨』, 타로, 갤러리 페이크, 더블 페이스, 전파의 성 등의 히트작을 발표했다.[4] 작풍이 크게 변화하여, 데즈카 오사무이시노모리 쇼타로와 같은 스토리텔러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만화가로서 다루는 장르는 폭넓고, 동시 연재도 진행하여 작품 수와 업무량이 매우 많다.

1991년에는 『저지』가 OVA화되었고, 2005년에는 갤러리 페이크가 텔레비 도쿄 계열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또한 1991년에는 코나미의 게임 소프트 라그랑주 포인트, 1997년에는 반프레스토의 그랜드 레드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2012년 3월 14일, 만화가 인터뷰 인터넷 배포 프로그램 만화 겐키 발동 계획 제12회부터 제15회에 출연하여, 만화 제작의 비화를 이야기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기 대표작인 자랑스러운 사루토비의 33년 만의 속편 자랑스러운 사루토비 G를 연재했다.[9]

3. 작품 목록

호소노 후지히코는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

제목비고
크러셔 조데뷔작
사스가의 사루토비
우당탕탕 닥터지
마마
타로
사랑해요 배트맨
갤러리 페이크
용서하세요
더 슬리퍼
바이오 헌터
더블 페이스
전파의 성
데빌맨 외전 -인간 전기-
더티 페어TV 시리즈 및 OVA 유니폼 디자인
도키도키 닥터
구구 간모
저지
남성 변형 여성 마유미짱
스티그마타의 콰서21화 엔딩 일러스트
방송의 성


3. 1. 만화

호소노 후지히코는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 대표작으로는 사스가의 사루토비, 우당탕탕 닥터지, 갤러리 페이크, 바이오 헌터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주로 소년 만화 잡지에 연재되었으며, 액션, 코미디, SF 등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다. 갤러리 페이크는 미술품 관련 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오랫동안 인기를 얻었다. 크러셔 조와 더티 페어는 애니메이션 유니폼 디자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단편 작품으로는 데뷔작인 크래셔 조를 포함하여, THE 우주 패트롤, 아케치 군 리포트 등이 있다.

3. 1. 1. 연재


  • 야요이 마이러브 - 『주간 소년 선데이』 (1980년 24호 - 28호)
  • 사스가의 사루토비 - 『소년 선데이 증간』 (1980년 - 1984년)
  • 돗키리 닥터 - 『주간 소년 선데이』 (1981년 - 1982년)
  • 구구 간모 - 『주간 소년 선데이』 (1982년 - 1985년)
  • 꽃의 SANSHIRO(산시로) - 『소년 선데이 증간』 (1985년, 미완)
  • 도쿄 탐정단 - 『소년 빅 코믹』 (1985년 - 1987년) → 『영 선데이』 (1987년 창간호 - 8호)
  • 파란 하늘 플로피 - 『주간 소년 선데이』 (1985년 - 1986년)
  • 애드립 시네 클럽 - 『빅 코믹 스피리츠』 (1986년, 불규칙 연재)
  • I'm 남 - 『주간 소년 선데이』 (1987년 1호 - 31호)
  • 엄마 - 『영 선데이』 (1987년 - 1992년)
  • 저지 - 『액션 브라더』 (1987년 - 1989년) → 『코믹 액션 캐릭터』 (1990년 - 1991년)
  • 유니버시티 보이즈 - 『빅 코믹 스피리츠』 (1988년, 불규칙 연재)
  • 블로우 업! - 『빅 코믹 스페리올』 (1988년 21호 - 1989년 19호)
  • 바이오 헌터 - 『월간 코믹 버거』 (1989년 - 1990년)
  • 리자베이션 플리즈 - 『빅 코믹 스피리츠』 (1989년 - 1991년)
  • 고멘 아소바세 - 『월간 코믹 버거』 (1991년 - 1993년)
  • 사랑하는 배트맨 - 『빅 코믹 스페리올』 (1991년 - 1996년)
  • 타마고 돈 - 『소학 삼년생』 (1991년)
  • 초보주 핫케쿤 - 『소학 삼년생』 (1992년)
  • 열권! 무사시 - 『월간 소년 캡틴』 (1992년 - 1993년)
  • 타로 - 『주간 영 선데이』 (1992년 12호 - 1999년 41호)
  • 갤러리 페이크[15] - 『빅 코믹 스피리츠』 (1994년 - 2005년, 2012년, 2016년), 『빅 코믹 증간호』 (2017년 - '''연재중''')
  • 행복의 언덕 뉴타운 - 『빅 코믹』 (1996년 - 1998년)
  • S.O.S - 『만화 액션』 (1999년 - 2000년)
  • 맥주와 메가폰 - 『빅 코믹』 (1999년 - 2000년)
  • 타케르히메 - 『울트라 점프』 (2000년, 불규칙 연재)
  • 캣 워커 - 『주간 만화 고락』 (2001년 - 2002년, 불규칙 연재)
  • 프라이즈 헌터 GON - 『주간 영 선데이』 (2001년 52호 -)
  • 더 슬리퍼 - 『월간 선데이 제넥스』 (2000년 - 2002년)
  • 더블 페이스 - 『빅 코믹』 (2003년 - 2011년)
  • 야미의 난파 - 『이브닝』→『모아이』 (2003년 8호 - 2006년 1호, 2012년 8호 - 2014년 2월 25일 배포분)
  • 전파의 성 - 『빅 코믹 스피리츠』 (2006년 1호 - 2014년 2, 3 합병호)
  • 암살자 이치요 - 원작 담당, 만화: 시나노가와 히데오, 『월간 히어로즈』 (2013년 1월호 - 2015년 2월호, 불규칙 연재)
  • 히메타쿠 - 『만화 액션』 (2014년 15호 - 2016년 3월 1일호, 전 2권)
  • 상인도 - 『빅 코믹 스피리츠』 (2014년 30호 - 2015년 32호)
  • 이치마츠 탐정기 - 『빅 코믹』 (2014년 21호 - 2016년 23호)
  • 버디독 - 『빅 코믹』 (2017년 4호 - 2020년 21호)
  • 사스가의 사루토비 G - 『월간 히어로즈』 (2017년 7월호 - 2019년 10월호) ※『사스가의 사루토비』 속편
  • 1978년의 만화 벌레 - 『빅 코믹 오리지널 증간호』 (2021년 5월호 - 2022년 11월호)
  • 사랑과 폭력 - 『픽코마』→『코믹 데이즈』[16] (2021년 4월 - 2022년 9월[17]) ※제1부 완
  • 데빌맨 외전 -인간전기- - 원작: 나가이 고, 만화 담당, 『월간 영 매거진』 (2023년 2호[18] - 7호[19]) ※『데빌맨』 50주년 기념 연재
  • 버블 사무라이 - 『빅 코믹』 (2023년 8호[20] -)
  • 석큐버스의 아내들 - 『빅 코믹 오리지널』 (2024년 17호[21] -) ※시리즈 연재

3. 1. 2. 단편


  • さすがの猿飛|사스가의 사루토비일본어
  • 우당탕탕 닥터지
  • 마마
  • 타로
  • 사랑해요 배트맨
  • 갤러리 페이크
  • 용서하세요
  • 더 슬리퍼
  • 바이오 헌터
  • 더블 페이스 (더블 페이스)
  • 전파의 성
  • 데빌맨 외전 -인간 전기-
  • 크래셔 조 - 『만가 소년』(1979년 4, 5, 9월호, 2편 게재) ※데뷔작.
  • THE 우주 패트롤 - 『SF 매거진』(1979년 10월호)
  • 아케치 군 리포트 - 『소년 빅 코믹』(1983년)
  • 갈비! 위기일발! - 『소년 매거진』(1988년 43호) ※『갈비! 위기일발!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에 수록
  • 로보Q - 『코로코로 코믹』(1990년 5월호)
  • 사랑스러운 배트맨 RETURNS - 『빅 코믹스 스페리올』(1998년) ※『사랑스러운 배트맨』속편,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2』에 수록
  • 갤러리 페이크 ANNEX - 『빅 코믹 스피리츠 증간호 ManPuku』(1998년) ※『갤러리 페이크』외전,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에 수록
  • 장수 탐정 이시가메 - 『빅 코믹』(2001년, 불규칙 발표)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에 수록
  • 갤러리 CATS(2016년)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2』에 신작 수록
  • 갤러리 페이크 특별편 국보 G맨의 우울 - 『빅 코믹 증간호』(2018년 10월호) ※『갤러리 페이크』외전,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3』에 수록
  • 타투 있음 - 『빅 코믹 증간호』(2016년 12월 17일호)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2』에 수록
  • 망키츠 BLUES - 『영킹 BULL』(2019년 9월호[22], 2020년 9월호[23])
  • 망키츠 BLUES〜분노의 데스 룸〜 - 『영킹 BULL』(2022년 9월호[24])
  • 망키츠 BLUES〜RUN&JUMP〜 - 『영킹 BULL』(2023년 2월호[25])
  • 백×묵 - 『빅 코믹』(2020년 24호 - 2021년 1호)
  • 미드나이트★드라이버 - 『빅 코믹』(2023년 1호[26], 2023년 2호[27]) - 전후편
  • 석큐버스의 아내 - 『빅 코믹 오리지널』(2023년 24호[28])

3. 2. 단편집


  • 크러셔 조
  • 과연 사루토비
  • 우당탕탕 닥터지
  • 마마
  • 타로
  • 사랑해요 배트맨
  • 갤러리 페이크
  • 용서하세요
  • 더 슬리퍼
  • 바이오 헌터
  • 더블 페이스
  • 전파의 성
  • 더티 페어 (TV 시리즈 및 러브리 엔젤스의 사랑을 담아 OVA 에피소드의 유니폼 디자인)
  • 도키도키 닥터
  • 구구 간모
  • 저지
  • 남성 변형 여성 마유미짱 (男変形女マユミちゃん)
  • 스티그마타의 콰서 (21화 엔딩 일러스트)
  • 방송의 성
  • 데빌맨 외전 -인간 전기-
  •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細野不二彦短編集), 소학관(小学館), 2014년 7월 30일[29]
  •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 2』(細野不二彦短編集2), 소학관(小学館), 2016년 11월 30일[30]
  • 『호소노 후지히코 단편집 3』(細野不二彦短編集3), 소학관(小学館), 2018년 9월 28일[31]
  • 『호소노 후지히코 초기 단편집 A면』(細野不二彦初期短編集 A面), 소학관(小学館), 2021년 5월 28일[32]
  • 『호소노 후지히코 초기 단편집 B면』(細野不二彦初期短編集 B面), 소학관(小学館), 2021년 5월 28일[33]

4. 기타


  • 크러셔 조(1983년, 쇼치쿠후지 계열, 극장판 애니메이션) - 특수 디자인(나이트워커)
  • 더티 페어(1985년, 일본TV 계열) - 유니폼 디자인
  • 라그랑주 포인트 (패미컴 1991년, 코나미) - 캐릭터 디자인
  • 그랜드 레드 (세가 새턴 1997년, 반프레스토) - 캐릭터 디자인

5. 작풍 및 평가

대학 시절부터 스튜디오 누에에서 활동했다.[4] 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만화 소년』에 게재된 「크래셔 조」로 데뷔했다.[5] 1980년에는 『연애의 프리즈너』[6]로 「주간 소년 선데이」에 처음으로 작품이 실렸다.[7] 1980년대 전반에는 미소녀 묘사에 능숙한 코미디 작품을 발표했다. 『자랑스러운 사루토비』와 『구구 건모』는 후지텔레비 계열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어 일요일 골든타임에 전국 방송되었다.[8]

1980년대 후반부터는 청년만화 잡지로 집필의 장을 옮겨, 『사랑스러운 배트맨』, 『타로』, 『갤러리 페이크』, 『더블 페이스』, 『전파의 성』 등의 히트작을 발표했다. 작풍이 크게 변화하여, 데즈카 오사무이시노모리 쇼타로와 같은 스토리텔러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1991년에는 『저지』가 OVA화되었고, 2005년에는 『갤러리 페이크』가 텔레비 도쿄 계열에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시절에는 가와모리 쇼지(메카닉 디자이너, 애니메이션 감독), 미키모토 하루히코(만화가·캐릭터 디자이너), 오노기 히로시(각본가) 등과 함께 그림을 그렸다. 호소노는 천재적인 그림 실력을 가진 노력가로, 무엇이든 그렸다고 한다.[10] 당시 화풍은 이시카와 켄에 가까웠지만, 프로가 되기 전에 그림체를 바꾸라는 말을 듣고 철저하게 바꾸었다고 한다.[10] 따라서 프로 데뷔부터 1990년대 전반까지는 단정한 묘사선으로 미소녀 묘사에 능숙한 작가로 평가받았지만, 청년 만화 잡지의 스토리텔러로 자리 잡은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다시 거칠고 역동적인 묘사선을 활용한 긴장감 있는 화풍으로 변화하고 있다.

시마모토 카즈히코의 자전적 만화 『아오이 호노오』에서는 주인공 호노오가 "멋진 그림체로 개그를 한다"는 작풍을 떠올리고 기뻐하지만, 『주간 소년 선데이』에 처음 등장한 호소노 후지히코의 『연애의 프리즈너』를 읽고 충격을 받는 에피소드가 그려진다.[12] 오카다 토시오는 "호소노 후지히코의 등장 이후 신인 만화가의 조건으로 '귀여운 여자아이를 그릴 수 있는가?'는 거의 절대적인 조건이 되었다."고 해설하고 있다.[13]

6. 어시스턴트


  • 고다 유조[34]
  • 나카츠 켄야[35]
  • 아사히 린타로[36]
  • 카와쿠보 카오리[37]
  • 잇시키 토키히코[38]

참조

[1] 웹사이트 小学館漫画賞:歴代受賞者 http://comics.shogak[...] Shogakukan 2007-08-19
[2] 서적 漫画家人名事典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3] 문서 慶應大卒業についてのみ「まんがカレッジ」に記載 1986
[4] 웹사이트 細野不二彦先生インタビュー/2008年7月号 http://www.manga-g.c[...] 日本漫画学院 2008-09-21
[5] 서적 現代漫画博物館 : 1945-2005 小学館 2006
[6] 문서 チャレンジ新人賞 サンデーまんがカレッジ 1982
[7] 웹사이트 細野不二彦インタビュー http://www.bigcomics[...] 小学館 2008-09-21
[8] 문서 どっきりドクター テレビアニメ化 1998
[9] 뉴스 細野不二彦『さすがの猿飛』33年ぶり完全新作で復活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18-02-04
[10] 서적 おぼえていますか 映画「超時空要塞マクロス」より 徳間書店 アニメージュ文庫 1985
[11] 문서 地獄の黙示録 プレイメイト
[12] 문서 ドラマ版第2話 矢野先輩
[13] 웹사이트 だまされるな!アオイホノオ11のひみつ 第五話「嗚呼、東京」のひみつ https://www.tv-tokyo[...] ドラマ24 アオイホノオ
[14] 웹사이트 『1978年のまんが虫』 https://bigcomicbros[...] 2021
[15] 웹사이트 ギャラリーフェイク : 作品情報 https://anime.eiga.c[...] アニメハック 2020-10-14
[16] 웹사이트 1960年代の学生運動に参加した青年描く「恋とゲバルト」コミックDAYSで移籍連載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09-26
[17] 웹사이트 『恋とゲバルト(5)』(細野 不二彦)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3-04-10
[18] 웹사이트 永井豪「デビルマン」誕生50周年記念、細野不二彦が新たに描くデビルマンの物語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1-23
[19] 간행물 デビルマン外伝 -人間戦記- 最終話 岩 講談社 2023-06-20
[20] 웹사이트 バブル期の日本、輝きの裏で跋扈する悪を退治!細野不二彦の新連載がBCで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4-10
[21] 웹사이트 細野不二彦がデリヘル店で働く人妻たちを描く、シリーズ新連載がBCオリジナルで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8-20
[22] 뉴스 ヤンキンBULL創刊1周年!記念ゲストに細野不二彦、付録は「ドンケツ」漢グラビア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19-08-05
[23] 뉴스 北海道のゲストハウスを舞台に、問題抱えた男女の出会い描く田川とまたの読切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0-08-04
[24] 뉴스 細野不二彦が“マンキツ”を舞台に描くヒューマンドラマ第3弾、YKブル4周年号に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19-08-04
[25] 뉴스 作家の死後に本を出す奇特な出版社が舞台、ハートフル新連載「死後出版」開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3-01-04
[26] 웹사이트 ビッグコミック第1号 https://bigcomicbros[...] 小学館 2022-12-23
[27] 웹사이트 ビッグコミック第2号 https://bigcomicbros[...] 小学館 2023-01-10
[28] 웹사이트 ビッグコミック第24号 https://bigcomicbros[...] 小学館 2023-12-05
[29] 웹사이트 細野不二彦短編集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1-05-28
[30] 웹사이트 細野不二彦短編集 2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1-05-28
[31] 웹사이트 細野不二彦短編集 3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1-05-28
[32] 웹사이트 細野不二彦初期短編集 A面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1-05-28
[33] 웹사이트 細野不二彦初期短編集 B面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1-05-28
[34] 서적 3×3EYES Another World 講談社 1999
[35] 서적 桃色サバス 少年画報社文庫 2002-06-01
[36] 웹사이트 旭凛太郎 日本漫画学院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2004-11-03
[37] 웹사이트 かわくぼ香織 日本漫画学院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2004-12-16
[38] 블로그 一色登希彦公式サイト コラム#37 http://blog.livedoor[...] 201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