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칸 뢰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칸 뢰데는 11세기 후반 스웨덴의 왕으로, 그의 생애와 통치 기간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13세기 초 베스테르예틀란드 법전에 따르면, 그는 베스테르예틀란드의 레베네에서 태어났으며, 스텐킬 가문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호칸의 정확한 통치 기간과 영역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으며, 1066년 또는 1070년경부터 1079년까지 재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아담 폰 브레멘의 기록에서 "어린 올라프의 어머니"와 결혼한 것으로 언급되며, 이는 정치적 목적의 결혼일 수 있다. 호칸의 통치 시기는 스웨덴의 기독교화와 중앙집권화에 중요한 시기였으며, 호브고르덴에서 발견된 룬 비문이 그의 명령으로 새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텡킬가 - 필리프 (스웨덴)
필리프는 할스텐 국왕의 아들이자 잉에 1세의 사촌으로, 잉에 2세와 공동 군주로서 1110년경부터 1118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하며 평화로운 통치를 했다고 전해진다. - 스텡킬가 - 잉에 1세 (스웨덴)
스텡킬 왕조 출신인 잉에 1세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이교 의식 집행을 거부하다 추방되었으나 블로트 스벤을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고, 노르웨이와의 분쟁을 해결한 후 사망하여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필리프 1세 (프랑스)
1052년 샹파뉴에퐁텐에서 태어나 7세에 프랑스 왕위에 오른 필리프 1세는 봉신들의 반란, 불륜과 재혼으로 인한 교회와의 갈등, 왕실 영토 확장 노력 등 권력 다툼과 스캔들로 점철된 통치 기간을 보냈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서임권 투쟁으로 교황과 대립하고 아들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 스웨덴 국왕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스웨덴 국왕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호칸 뢰데 | |
---|---|
기본 정보 | |
군주호 | 스웨덴 국왕 |
이름 | 호콘 적왕 |
로마자 표기 | Håkan Röde |
다른 이름 | 호칸 로데 |
출생 | 11세기 |
출생지 | , 베스테르예틀란드, 레베네 |
사망 | 1079년경 |
사망지 | , 베스테르예틀란드, 레베네 |
매장지 | , 베스테르예틀란드, 레베네 |
통치 | |
즉위 | 1070년 |
퇴위 | 1079년 |
가문 | |
왕가 | 스텐킬 왕조 |
기타 | |
아버지 | 불명 |
어머니 | 불명 |
2. 생애
호칸 뢰데의 재위 기간 동안의 구체적인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스웨덴의 역사가인 아돌프 쉬크(Adolf Schück)는 호칸 뢰데가 블로트 스벤과는 다른 인물이며, '뢰데'(Röde, 붉은색)는 호칸(Håkan)이라는 이름의 국왕에게 붙은 별칭이라고 보았다.
'붉은색'이라는 별칭은 13세기 초반에 쓰여진 베스테르예틀란드의 법전인 《베스티에탈라겐》(Västgötalagen)에 처음 등장한다.[17] 《베스티에탈라겐》을 비롯한 문헌에 따르면 그는 베스테르예틀란드의 레베네(Levene)에서 태어나 그곳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레베네 영지는 스텐킬 왕가와도 관련이 있는 곳으로, 이는 호칸 역시 같은 가문 출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의 이름은 아담 폰 브레멘이 쓴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이나 아이슬란드의 사가인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 등 여러 중세 문헌에서도 언급된다.
2. 1. 출생 및 가계
호칸 뢰데의 출생 및 가계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13세기 초반에 쓰여진 《베스티에탈라겐》(Västgötalagen)에 따르면, 그는 베스테르예틀란드 비스테 백(Viste Hundred)의 레베네(Levene)에서 태어났으며, 죽은 후 그곳에 묻혔다고 한다.[11] 이 레베네 영지는 스텐킬 왕과도 관련이 있는 곳으로, 이는 호칸이 스텐킬과 같은 가문(친족 집단) 출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1] 13세기의 또 다른 스웨덴 왕 목록에는 스텐킬 - 할스텐 - 뇌스쿵 - 블로트-스베인 - 호칸 뢰데(Haquinus rufus|하퀴누스 루푸스la) - 잉게 1세 순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12]2. 2. 통치 기간 및 영역
호칸 뢰데의 정확한 통치 기간과 영역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어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스텐킬의 뒤를 이어 스웨덴 군주 목록에 포함되는 인물로 여겨진다.[2][17] 그의 통치 시기는 대략 1066년 또는 1070년경부터 1079년경까지로 추정된다.통치 영역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호칸은 아마도 1066년 또는 1070년경부터 스웨덴의 일부 지역, 특히 예탈란드를 (스텐킬 또는 그의 아들 할스텐의 후계자로서) 다스렸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1075년경부터는 우플란드 지역까지 통치 영역을 넓혀(아눈드 고르스케의 후계자로서) 스웨덴 전역의 군주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19] 스웨덴의 백과사전인 ''Nationalencyklopedin''의 역대 군주 목록에서는 아눈드 고르스케를 생략하고 호칸을 할스텐의 직접적인 후계자로 기술하고 있으며,[5][20] 호칸이 1080년대에 잉에 1세와 공동으로 통치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1][16]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1080년경 보낸 서한은 당시 스웨덴의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 서한은 잉에와 함께 'A' 또는 'H'라는 이니셜로 지칭된 다른 통치자에게 보내졌는데, 이들은 베스테르예틀란드의 왕으로 불렸다. 학자들은 이 'A' 또는 'H'가 각각 아눈드 고르스케 또는 호칸 뢰데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한다. 교황은 이들에게 십일조를 징수하고, 성직자들을 로마로 보내 교육받도록 지시했다.[6][21]
아담 폰 브레멘이 1070년대에서 1080년대 초에 걸쳐 저술한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의 주석에 따르면, 호칸은 스텐킬의 아들 할스텐이 폐위되고, 아눈드 고르스케 역시 왕위 계승을 거부당한 후에 왕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2][8][17][23] 아담은 또한 호칸이 즉위하면서 "어린 올라프의 어머니와 결혼해야 했다"고 기록했다. 여기서 언급된 '올라프'가 누구인지는 불분명하지만, 노르웨이의 왕 올라프 키레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의 어머니 Tora Torbergsdatter|토라 토르베르스다터르non는 노르웨이 잉글링 왕조의 방계 후손이었다. 만약 이 결혼이 실제로 이루어졌다면, 이는 호칸이 자신의 통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행보였을 수 있다.[9] 그러나 역사가 스투레 볼린(Sture Bolin)은 이 구절이 실제로는 토라 토르베르스다터르가 덴마크 왕 스벤 아스트리센과 결혼한 것을 잘못 기술한 것이며, 호칸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10][24]
13세기에 쓰인 아이슬란드의 사가들도 호칸 뢰데를 언급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1225년경) 중 〈마그누스 바레풋 사가〉에서는 호칸이 스텐킬(1066년 사망) 이후에 왕위에 올랐다고 기록하고 있다.[17]
> 스웨덴 왕 스텐킬은 두 하랄드 왕이 쓰러질 무렵 사망했고, 그를 이어 스비티오드(스웨덴)의 왕이 된 이는 호칸이라 불렸다. 그 후 스텐킬의 아들 잉게가 왕이 되었다. [...][13][26]
마찬가지로 13세기의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서도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 스텐킬에게는 잉게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호칸 이후 스웨덴의 왕이 되었다.[14][2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바이킹 시대가 끝날 무렵(약 1050년경) 스웨덴은 여러 지방의 느슨한 연합체 상태였다. 오래된 왕족은 1060년에 단절되었고, 마지막 왕의 사위였던 스텐킬이 1066년에 사망하자 내전이 발발했다. 이후 1080년경에는 스텐킬의 아들들인 잉에와 할스텐이 통치했다.[7][22] 만약 1066년부터 1080년까지의 기간을 "내전"으로 본다면, 이 시기의 통치자들은 완전한 의미의 "왕"이라기보다는 강력한 "군벌"에 가까웠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단순히 순차적인 권력 이양에 따른 왕위 계승으로 설명하는 것은 후대의 역사 수정주의적 관점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2. 3. 왕위 계승 관련 논란
스웨덴의 역사가 아돌프 쉬크(Adolf Schück)는 호칸 뢰데가 블로트 스벤과는 다른 별개의 국왕이며, '뢰데'(Röde, 붉은색)는 호칸(Håkan) 국왕의 별칭이라고 주장한다.호칸 뢰데의 왕위 계승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어 명확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칸은 일반적으로 스텐킬의 계승자로서 스웨덴 왕조 계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2][17] 그는 대략 1066년 또는 1070년경부터 스웨덴 일부 지역을 (스텐킬 또는 할스텐의 계승자로서) 통치했으며, 1075년경부터는 우플란드 지역도 (아눈드 고르스케의 계승자로서) 다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4][19] 스웨덴의 백과사전인 ''Nationalencyklopedin''의 역대 왕 목록에서는 아눈드 고르스케를 생략하고 호칸을 할스텐의 계승자로 제시하고 있다.[5][20] 또한 ''Nationalencyklopedin''은 호칸이 1080년대에 잉에 1세와 공동으로 통치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1][16]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보낸 서한은 이러한 공동 통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 중 하나이다. 이 서한은 잉에 1세와 함께 호칸 또는 할스텐에게 보내졌는데, 두 사람을 베스테르예틀란드의 왕으로 칭하며 십일조 징수와 사제 교육을 위한 로마 파견을 명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6][21]
한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바이킹 시대 말기(약 1050년경) 스웨덴은 느슨한 지방 연합체 상태였다. 이전 왕조(융링가)는 1060년에 단절되었고, 마지막 왕의 사위였던 스텐킬이 1066년에 사망하면서 내란이 발발했다. 이후 1080년경에 스텐킬의 아들들인 잉에와 할스텐이 통치했다고 설명한다.[7][22] 만약 1066년부터 1080년까지의 기간을 내란 시기로 본다면, 당시 통치자들은 명확한 '왕'이라기보다는 '군벌'에 가까운 모호한 지위에 있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단순한 권력 이양 형태의 왕위 계승으로 설명하는 것은 후대의 역사 수정주의적 관점이 반영된 것일 수 있으며, 당시의 복잡한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2. 4. 결혼
아담 폰 브레멘이 1070년대부터 1080년대 초에 걸쳐 저술한 《함부르크 주교들의 사적》의 주석에 따르면, 스테킬의 아들 할스텐이 폐위되고 아눈드 고르스케도 거부된 후 호칸이 왕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2][8] 즉위할 때 그는 "어린 올라프의 어머니와 결혼해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아담의 기록에서 이 '어린 올라프'가 누구를 의미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노르웨이 왕 올라프 키레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만약 그렇다면, 그의 어머니는 토라 토르베르스다터르이며, 그녀는 노르웨이 잉글링 왕조의 방계 후손이었다. 이것이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 결혼은 호칸이 자신의 통치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정치적으로 계획했을 가능성이 있다.[9]
그러나 역사가 스투레 볼린은 이 구절이 실제로는 토라 토르베르스다터르가 덴마크 왕 스벤 2세와 결혼한 것을 설명하며, 호칸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10] 하지만 아담 폰 브레멘은 스벤 2세의 궁정에 토라라는 여성이 있었다고 언급하면서도, 그녀를 스벤 2세의 아내가 아닌 첩으로 묘사하고 있다.
3. 유산
호칸 뢰데는 아마도 스웨덴 웁랜드 지방 멜라렌 호수의 아델쇠 섬에 위치한 호브고르덴에서 발견된 룬 문자 비문을 새기도록 명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룬 비석은 룬다타 카탈로그 번호 U 11로 알려져 있다.[15][28] 이 비문은 호칸 뢰데의 존재와 그의 왕권을 시사하는 중요한 고고학적 증거 중 하나로 여겨진다.
참조
[1]
간행물
Håkan Röde
Nationalencyklopedin
[2]
간행물
Håkan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1910
[3]
서적
Saga och sed
Kungl. Gustav Adolf Akademien
1957
[4]
서적
Sveriges hundra konungar
Biblioteksböcker
1956
[5]
간행물
Sverige
Nationalencyklopedin
[6]
간행물
Inge
Nationalencyklopedin
[7]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1984
[8]
서적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9]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Andra delen. Äldre medeltiden
P.A. Norstedt & Söners Förlag
1926
[10]
논문
Kring Mäster Adams text
1932
[11]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Andra delen. Äldre medeltiden
P.A. Norstedt & Söners Förlag
1926
[12]
서적
Om Nordens äldsta historieskrivning: Studier över dess metodik och källvärde
1931
[13]
웹사이트
Saga Magnús konungs berfœtts
http://www.heimskrin[...]
[14]
웹사이트
Hervarar saga ok Heiðreks
http://wayback.vefsa[...]
[15]
웹사이트
U 11, Hovgården, Adelsö
http://www.canit.se/[...]
1996-02-27
[16]
간행물
Håkan Röde
Nationalencyklopedin
[17]
서적
Nordisk familjebok
http://runeberg.org/[...]
1910
[18]
서적
Saga och sed
Kungl. Gustav Adolf Akademien
1957
[19]
서적
Sveriges hundra konungar
Biblioteksböcker
1956
[20]
간행물
Sverige
Nationalencyklopedin
[21]
간행물
Inge
Nationalencyklopedin
[22]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1984
[23]
서적
History of the Archbishops of Hamburg-Breme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24]
논문
Kring Mäster Adams text
[25]
서적
Om Nordens äldsta historieskrivning: Studier över dess metodik och källvärde
1931
[26]
웹사이트
Saga Magnús konungs berfœtts
http://heimskringla.[...]
2023-02-04
[27]
웹사이트
Hervarar saga ok Heiðreks
http://heimskringla.[...]
2023-02-04
[28]
웹사이트
U 11, Hovgården, Adelsö
http://u-fr.blogspot[...]
2023-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