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낙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홍낙안(洪樂安, 175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인백(仁伯), 호는 노암(魯庵)이며 본관은 풍산(豊山)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752년(영조 28)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홍복호(洪復浩)이며, 어머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로 박상진(朴象眞)의 딸입니다.
  • 1790년(정조 14) 증광시에 급제하여 가주서(假注書)로 관직에 진출했습니다.
  • 1791년(정조 15) 전라도 진산(珍山)에서 발생한 진산사건(珍山事件)을 계기로 천주교 박해에 앞장섰습니다. 진산사건은 윤지충(尹持忠)이 어머니의 상에 천주교식 제례를 치르고 신주를 불태운 사건입니다.
  • 홍낙안은 진산군수 신사원(申史源)에게 편지를 보내 사건을 신속히 처리하지 않은 것을 질책하고, 좌의정 채제공(蔡濟恭)에게도 편지를 보내 조정에서 이 문제를 다룰 것을 요구했습니다.
  • 이 편지로 인해 조정은 진산사건과 서학(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고, 홍낙안은 권일신(權日身)과 이승훈(李承薰)을 천주교의 두목으로 지목하며 천주교도들을 체포하는 데 앞장섰습니다.
  • 이후 사간원 대사간, 병조 참의 등을 역임했습니다.
  • 천주교에 대한 척사(斥邪) 활동에 앞장선 대표적인 공서파(攻西派) 인물입니다. 공서파는 천주교를 반대하는 세력이었습니다.
  • 아들 원모(元謀)도 1801년 신유박해 때 많은 천주교인을 고발하여 처형당하게 했습니다.

개명:

  • 원래 이름은 홍낙안(洪樂安)이었으나, 후에 홍희운(洪羲運)으로 개명했습니다.

정약용과의 관계:

  • 정약용은 자신의 저서에서 홍낙안을 '악인'으로 묘사하며, 그가 자신을 포함한 채제공, 이가환 등을 공격하여 죽이려 했다고 비판했습니다.


홍낙안
기본 정보
홍낙안의 초상
홍낙안의 초상
본관풍산(豊山)
중보(仲輔)
지암(止庵)
시호문정(文貞)
생애
출생1724년 1월 13일 (음력 1723년 12월 19일)
사망1792년 1월 12일 (음력 1791년 12월 19일)
가족
아버지홍현보(洪炫輔)
어머니남양 홍씨(南陽 洪氏)
배우자청송 심씨(靑松 沈氏)
아들홍수영(洪秀榮)
손자홍기섭(洪起燮)
증손자홍재철(洪在喆)
외증손자김좌근
관력
주요 관직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판중추부사
예조판서
이조판서
병조판서
봉호풍릉부원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