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명하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1630년에 태어나 1644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암행어사로 활동하며 부정을 적발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조좌랑, 동부승지, 한성부우윤, 대사간, 우부승지 등을 역임했다. 이후 청나라에 사은부사로 다녀오고, 예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청나라 사신에게 강경하게 대응하여 왕의 신임을 얻었다.
홍명하는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1630년 생원이 되었고, 1644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649년에는 암행어사로 활동하며 부정한 관리를 적발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후 대사간, 우부승지 등을 역임하고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이조참판, 병조참판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1663년 우의정에 올랐다. 이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청나라 사신을 엄정한 말로 돌려보내 왕의 신임을 얻었다.[1]
2. 생애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1630년, 생원이 되었고 164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지냈다. 164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한 뒤 규장각대교, 지평, 정언, 교리, 부수찬, 헌납 등을 역임했다. 1649년에는 이조좌랑으로서 암행어사가 되어 부정한 관리를 적발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1]
1650년, 이조정랑과 호조좌랑을 거쳤으며 1652년에는 동부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한성부우윤에 올랐다.[1]
2. 2. 주요 관직 역임
1650년, 이조정랑과 호조좌랑을 거쳐 1652년, 동부승지가 되고 이듬해 한성부우윤이 되었다.[1] 이어 대사간, 우부승지로 사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1] 그 뒤 이조참판, 예조참판, 병조참판, 우승지, 좌승지, 부제학, 도승지, 대사헌, 형조판서, 약방제조를 지냈다.[1]
2. 3. 영의정 시절
1663년, 우의정에 올랐고, 이듬해 사은 겸 진주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1] 이듬해 청나라 사신이 찾아와 왕을 책망하자 엄정한 말로 돌려보내 왕의 신임을 얻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증조부 홍춘경(洪春卿) 조부 홍성민(洪聖民) 아버지 홍서익(洪瑞翼) 외조부 심종민(沈宗敏, 1554 ~ ?) 외조모 능성 구씨 구변(具忭)의 딸 어머니 심경순(沈敬順, 1571 ~ ?)[1] 누나 홍명녀(洪命女, 1590 ~ ?) 누나 홍여순(洪女順, 1592 ~ ?) 형 홍명구(洪命耉, 1596 ~ 1637) 누나 홍숙녀(洪淑女, 1598 ~ ?) 누나 홍순녀(洪順女, 1600 ~ ?) 남매 청주 한씨 한여두(韓如斗)의 처 장인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 1588 ~ 1644) 장모 정숙옹주(貞淑翁主, 1587 ~ 1627) 정부인 신경강(申敬康, 1606 ~ 1649) 장녀 홍상정(洪尙貞, 1632 ~ ?) 장남 홍석보(洪碩普, 1636 ~ ?) 차남 홍원보(洪遠普, 1641 ~ ?) 계부인 남원 윤씨 윤경(尹㯳)의 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