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석조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기업인으로, BGF리테일 회장이다.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6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7년부터 보광훼미리마트 대표이사 회장을 거쳐 현재 BGF리테일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가 - 홍석현
홍석현은 중앙일보와 JTBC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경영인으로, 서울대와 스탠퍼드대에서 학위를 취득 후 세계은행 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중앙일보 사장으로서 한국 일간지 혁신을 주도하고 주미 한국대사를 지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중앙가 - 김신석
김신석은 일제강점기 기업인이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부산상업고등학교와 와세다 대학 졸업 후 조선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중추원 참의와 대화동맹 가담 등 친일 행적을 보여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목되었다. - 대한민국의 억만장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억만장자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박성재 (법조인)
박성재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경력을 거쳐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주요 기업 비리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홍석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홍석조 |
출생일 | 1953년 1월 8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기업인 |
소속 | BGF리테일 회장 |
배우자 | 양경희 |
부모 | 아버지 홍진기, 어머니 김윤남 |
자녀 | 장남 홍정국, 차남 홍정혁 |
본관 | 남양 |
경력 | |
검찰 |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
학력 | |
대학원 |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재산 | |
순자산 | 1조 1천억원 |
2. 학력
3. 생애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76년 제1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81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에 임용되었다.
1987년 11월 25일 재단법인 중산육영회 부설 아세아정책연구원(원장 민관식)이 마련한 사할린 잔류 한인 귀환 문제 현황과 법적 측면이라는 주제의 국제 세미나에서[2] "우리가 귀환에 관심을 두고 있는 사할린 잔류 한인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하는 점인데 국적문제를 무시하고 한국 방문과 가족 상봉을 원하는 모든 사람을 귀환대상자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고 사할린 거주 한인 1세들의 고령화로 시일이 갈수록 이들의 귀환 문제는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이며 사할린을 자국 영토로 편입한 소련과 외교관계를 맺지 않다"는 내용으로 <사할린 한인 귀환에 관련된 제 문제 및 대책>이라는 주제 발표하였다.[3]
1990년 4월 20일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있던 홍석조는 여직원 폭행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어 출국정지됐던 파리바은행 서울지점장 알랭 드상투에 대해 출국을 허용하였다. 이에 대해 고발인은 "검사가 '지점장이 도망가는 모습으로 사건이 해결되는 게 좋지 않느냐'고 말했다"면서 "검찰이 시민의 권리보호를 포기한 만큼 21일 공항에 나가 내가 직접 출국을 저지하겠다"고 했다.[4]
1997년 12월 16일 서울지방검찰청 형사6부 부장검사 재직 시, 일부 생필품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과 함께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경찰, 서울시 등과 함께 물가 사범에 대한 특별단속에 들어갔다"고 하면서 "도매업자가 폭리를 취하기 위해 매점매석하거나 판매를 기피하는 행위, 사업자끼리 가격을 담합하는 행위, 각종 사업자단체에서 소속 사업자에게 가격담합을 종용하는 행위 등을 단속한 뒤에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에 통보하고 고발조치할 방침이다"고 했다.[5]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이던 2006년 노회찬 의원이 공개한 '안기부 X파일'에서 실명이 공개되면서 검찰을 떠났다.[6] 이후 2007년 3월 보광훼미리마트 대표이사 회장에 취임했으며, 보유 주식은 1,679,442주(32%)로 최대 주주이다.[7]
4. 경력
연도 | 직책 |
---|---|
1981년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
1983년 |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 검사 |
1985년 | 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 |
1993년 | 대검찰청 기획과장 |
1995년 | 대검찰청 검찰2과장 |
1998년 |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장 |
1999년 | 부산지방검찰청 2차장검사 |
2003년 | 법무부 검찰국장, 법무부 검찰인사위원회 위원 |
2004년 2월 1일 ~ 2005년 4월 7일 | 제21대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2005년 4월 8일 ~ 2006년 1월 26일 | 제35대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
2007년 3월 | 보광훼미리마트 대표이사 회장 |
2011년 11월 ~ 2017년 11월 | 국립중앙박물관회 부회장 |
2012년 4월 | 한국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부회장 |
2012년 6월 | 모나코 명예영사 |
2016년 3월 ~ 2018년 12월 | 한국기원 이사 |
2016년 5월 | 홍진기법률연구재단 이사장 |
2017년 11월 ~ 2020년 11월 | 국립중앙박물관회 이사 |
2017년 11월 | BGF리테일 회장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상임부회장 |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아버지 | 홍진기 | 1917년 3월 17일 ~ 1986년 7월 13일 | 중앙일보 대표이사회장, 법무부 장관 역임 |
어머니 | 김윤남 | 1924년 6월 25일 ~ 2013년 6월 5일 | |
누님 | 홍라희 | 1945년 7월 15일 ~ | 前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
매형 | 이건희 | 1942년 1월 9일 ~ 2020년 10월 25일 | 삼성전자 회장 |
조카 | 이재용 | 1968년 6월 23일 ~ | |
조카 | 이부진 | ||
조카 | 이서현 | ||
형 | 홍석현 | 1949년 10월 20일 ~ | 중앙홀딩스 회장, 중앙일보 회장, 주미 대사,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역임 |
형수 | 신연균 | 신직수의 딸 | |
아내 | 양경희 | ||
아들 | 홍정국 | BGF리테일 대표이사[8] | |
며느리 | 구희나 | [8] | |
아들 | 홍정혁 | BGF에코바이오 대표이사 | |
남동생 | 홍석준 | 1954년 9월 17일 ~ | 보광창업투자 회장 |
남동생 | 홍석규 | 1956년 1월 15일 (음력 1955년 12월) ~ | 휘닉스소재 대표이사 |
여동생 | 홍라영 | 1960년 1월 10일 (음력 1959년 12월) ~ | 삼성미술관 리움 총괄부관장, 삼성문화재단 상무 |
매제 | 노철수 | 1956년 7월 27일 ~ | 애미커스 회장 |
사돈 | 구자용 | 1955년 3월 27일 ~ |
참조
[1]
문서
2024년 1월 국세청 기준.
[2]
뉴스
1987년 11월 21일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1-21
[3]
뉴스
1987년 11월 26일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1-26
[4]
뉴스
1990년 4월 21일자 한겨레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0-04-21
[5]
뉴스
1997년12월 17일 동아일보
동아일보
1997-12-17
[6]
뉴스
안기부 X파일' 명단과 김용철 명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7]
뉴스
홍석조 보광훼미리마트 회장 선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8]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9]
문서
2011년 8월 20일에 사망한 홍석준 기자하고는 별개의 인물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