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주원은 조선 시대의 인물로, 정명공주와 혼인하여 영안위에 봉해졌다. 그는 이괄의 난 당시 인목대비와 인열왕후를 호종한 공로로 품계가 올랐으며, 청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오기도 했다. 효종 즉위 후 고부청시청승습정사에 임명되었고, 1672년에 사망하여 문의의 시호를 받았다. 그의 가족으로는 선조와 인목왕후가 있으며, 아들 홍만용과 홍만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산 홍씨 - 홍명희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 정치인으로, 장편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 참여, 언론 및 교육계 활동 후 해방 후 남북협상 참여, 월북하여 북한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풍산 홍씨 - 홍진
홍진은 대한제국 시기 법관, 변호사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내무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광복 후 비상국민회의 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의 부마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조선의 부마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672년 사망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1672년 사망 - 이와키 노부타카
이와키 노부타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사타케 가문에서 쿠보타 번의 중신으로 활약하다 카메다 번주가 되었고 번정의 기초를 다진 후 은거했다.
홍주원 | |
---|---|
인물 정보 | |
이름 | 홍주원 |
한자 표기 | 洪柱元 |
로마자 표기 | Hong Ju-won |
작위 | 영안위 (永安尉) |
본관 | 풍산 홍씨 (豊山 洪氏) |
시대 | 조선 |
생애 | |
출생 | 1606년 |
사망 | 1672년 11월 3일 |
자 | 건중 (建中) |
시호 | 문의 (文懿) |
호 | 무하당 (無何堂) |
가계 | |
아버지 | 홍영 |
어머니 | 연안 이씨 (貞敬夫人 延安 李氏) |
배우자 | 정명공주 |
자녀 | 7남 1녀 |
기타 정보 | |
종교 | 성리학 |
2. 생애
홍주원은 어려서 외조부 이정귀와 김류에게 글을 배웠고, 관례를 치르기 전 향시에 합격했다.[17] 1623년 정명공주와 혼인하여 숭덕대부 영안위의 관직을 제수받았다.[18] 1624년 이괄의 난 때는 인목대비와 인열왕후를 호종한 공로로 품계가 승진했다.[17]
1629년 인조는 인목대비를 위로하기 위해 홍주원의 아버지 홍영을 예조참판에 제수했고,[21] 1631년에는 인목대비의 건강이 좋지 않아 홍주원의 품계를 높였다.[17] 1647년부터 1648년까지 청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왔다.
1649년 효종 즉위 후 고부청시청승습정사에 임명되었고,[22] 1672년 사망하여 문의(文懿)라는 시호를 받았다.[17]
2. 1. 초기 생애 및 혼인
어려서 외조부 이정귀와 김류에게 글을 배웠으며 관례를 치르기 전 향시에 합격하였다.[17] 1623년 9월 26일 간택을 받아 정명공주와 혼인하였고,[16] 그 다음날 숭덕대부(崇德大夫) 영안위(永安尉)의 관직을 제수받았다.[18] 혼인 몇 달 후 인목대비가 어승마를 홍주원에게 하사하자 사간원의 간쟁을 받았다.[19]홍주원은 정명공주와 혼인하기 전에 약혼녀가 있었지만, 정명공주와의 혼인을 위해 강제로 파혼해야 했다. 당시 신분이 높을수록 혼인 연령이 빨랐기 때문에, 공주와 동갑인 양반 가문의 남자들은 대부분 이미 혼인하였거나 약혼한 상태였다. 그러나 홍주원은 알 수 없는 이유로 혼인을 미루고 있었고, 결국 정명공주의 남편으로 간택되었다.
2. 2. 이괄의 난과 정치 활동
어려서 외조부 이정귀와 김류에게 글을 배웠으며 관례를 치르기 전 향시에 합격하였다.[17] 1623년 9월 26일 간택을 받아 정명공주와 혼인하였고,[16] 그 다음날 숭덕대부(崇德大夫) 영안위(永安尉)의 관직을 제수 받았다.[18] 혼인 몇 달 후 인목대비가 어승마를 홍주원에게 하사하자 사간원의 간쟁을 받았다.[19]1624년(인조 1년),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우의정 신흠, 서평부원군 한준겸 등과 함께 인목대비와 인열왕후를 호종하였고,[20] 그 공로로 품계가 승진하였다.[17]
1629년(인조 6년), 인조가 인목대비를 위로하기 위해 홍주원의 부친인 홍영의 벼슬을 예조참판에 제수하였고[21] 1631년 인목대비의 건강이 좋지 않자 인조는 대비의 마음을 기쁘게 하기 위해 홍주원의 품계를 높였다.[17] 1647년 10월 4일에서 1648년 2월 27일까지 청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오기도 하였다.
1649년(인조 26년), 효종이 즉위한 후 고부청시청승습정사(告訃請諡請承襲正使)에 임명되었다.[22]
2. 3. 사망
1672년 11월 3일(음력 9월 14일)에 사망하였으며, 문의(文懿) 시호를 받았다.[17]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홍영 | 1584년 | 1645년 | 예조참판 |
어머니 | 연안 이씨 부인 | 1583년 | 1656년 | 정경부인 |
장인 | 이연 | 1552년 11월 26일 | 1608년 3월 16일 | 조선 제14대 국왕 |
장모 | 김씨 | 1584년 12월 15일 | 1633년 8월 13일 | 연안 김씨 |
부인 | 정명공주 | 1603년 6월 27일 | 1685년 9월 8일 | 선조의 딸 |
장남 | 홍태망 | 1625년 | ? | 조졸 |
차남 | 홍만용 | 1631년 | 1692년 | 예조판서, 정간공 |
삼남 | 홍만형 | 1633년 | 1670년 | 이조좌랑 |
사남 | 홍만희 | 1635년 | 1670년 | |
오남 | 홍태량 | 1637년 | ? | 조졸 |
육남 | 홍태육 | 1639년 | ? | 조졸 |
칠남 | 홍만회 | 1643년 | 1709년 | |
장녀 | 홍태임 | 1641년 | ? | 창녕인 조전주에게 출가 |
4. 기타
참조
[1]
서적
문곡집 권19, 영안위 홍공 묘지명; 이민서, 서하집 권16, 영안위 홍공 시장
[2]
웹사이트
홍주원 (洪柱元)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06-28
[3]
서적
문곡집 권19, 영안위 홍공 묘지명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28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28
[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28
[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28
[8]
웹사이트
"[조선 인조]사은사 홍주원이 북경에서 돌아오다. 청인이 자문을 보내면서 역서도 보내다"
https://www.culturec[...]
2021-06-28
[9]
서적
Koreana - Autumn 2015 (English)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Korean Foundation
2015
[10]
서적
Conscience in Action: The Autobiography of Kim Dae-jung chapter 1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18
[11]
서적
The Memoirs of Lady Hyegyo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td.
2013
[12]
서적
김수항, 『문곡집』 권19, 영안위 홍공 묘지명; 이민서, 『서하집』 권16, 영안위 홍공 시장
[13]
역사기록
현종개수실록, 현종 13년(1672) 9월 14일(병술) 기사
[14]
서적
김수항, 《문곡집》 권19, 영안위 홍공 묘지명; 이민서, 《서하집》 권16, 영안위 홍공 시장
[15]
역사기록
《현종개수실록》 권26, 현종 13년(1672년) 9월 14일(병술)
[16]
역사기록
《인조실록》 권3, 인조 1년(1623년) 9월 26일(계축) 1번째기사
[17]
서적
김수항, 《문곡집》 권19, 영안위 홍공 묘지명
[18]
역사기록
《인조실록》 권3, 인조 1년(1623년) 9월 27일(갑인) 3번째기사
[19]
역사기록
《인조실록》 권3, 인조 1년(1623년) 12월 7일(임진) 3번째기사
[20]
역사기록
《인조실록》 권4, 인조 2년(1624년) 2월 8일(임진) 1번째기사
[21]
역사기록
《인조실록》 권21, 인조 7년(1629년) 10월 30일(신사) 4번째기사
[22]
역사기록
《효종실록》 권1, 효종 즉위년(1649년) 5월 14일(임신) 2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