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레인저스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레인저스 FC는 1958년 스코틀랜드 출신 이안 페트리에 의해 창단된 홍콩의 축구 클럽이다. 레인저스 FC를 모델로 삼아 창단되었으며, 아시아 축구 클럽 중 최초로 현대적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1970년대에는 스코틀랜드 출신 선수들을 영입하며 홍콩 축구에 새로운 역사를 썼으며, 1980년대에는 조지 베스트를 비롯한 외국인 선수들이 활약했다. 2000년대 이후 스폰서 변경과 팀명 변경을 거쳤으며, 2023-24 시즌에는 홍콩 컵에서 우승했다. 1995-96 시즌 아시안 컵 위너스컵에 참가했으며, 2023-24 시즌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프리미어리그 구단 - 사우스 차이나 AA
사우스 차이나 AA는 1904년 홍콩에서 창단된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을 중심으로 홍콩 축구 역사상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AFC 챔피언스 리그 등 국제 대회에도 참가했으나, 2017년 1부 리그에서 자진 강등되어 아마추어 선수단으로 운영되고 있다. - 홍콩 프리미어리그 구단 - 이스턴 SC
이스턴 SC는 1925년 홍콩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홍콩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5-16 시즌에는 여성 감독의 지휘 아래 홍콩 프리미어리그에서 우승하고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홍콩 레인저스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명칭 | 레인저스 |
![]() | |
풀 네임 | 홍콩 레인저스 축구 클럽 |
창단 | 1958년 (레인저스 축구팀) |
구장 | 칭이 스포츠 그라운드 |
수용 인원 | 1,500명 |
회장 | 피터 모크 |
감독 | 웡 친훙 |
리그 | 홍콩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6위 |
웹사이트 |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hkrangers2425h pattern_b1: _hkrangers2425h pattern_ra1: _hkrangers2425h pattern_sh1: _kelme white pattern_so1: _kelme white leftarm1: 63c1f3 body1: 072dac rightarm1: 63c1f3 shorts1: 1c1e65 socks1: 1c1e65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whiteborder pattern_b2: _hkrangers2425a pattern_ra2: _whiteborder pattern_sh2: _kelme black pattern_so2: _kelme black leftarm2: f6bf61 body2: f6bf61 rightarm2: f6bf61 shorts2: f6bf61 socks2: ffffff |
2. 역사
유랑 축구 클럽은 1958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출신의 이안 페트리에 의해 창단되었다. 그는 레인저스 FC를 본떠 클럽명을 지었으며, 유랑 축구 클럽은 아시아 최초로 현대적인 축구 클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클럽 설립 초기에는 경영난으로 인해 강팀과 경쟁하기 어려워, 페트리는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여 육성하는 전략을 택했고, 곽가명과 같은 유망주를 발굴했다.
1970년, 데릭 커리, 월터 제라드, 재키 트레이너 등 3명의 스코틀랜드 프로 선수들이 영입되면서 홍콩 축구에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들은 홍콩 리그 최초의 유럽 출신 선수들이었다. 이안 테일러, 조 브레넌, 지미 리델 등도 유랑 축구 클럽에서 활약했다. 1980년대에는 조지 베스트를 비롯해 스티븐 패터슨, 지미 본, 토미 놀란 등 더 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팀을 거쳐갔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스폰서에 따라 클럽명이 변경되었고, 2007-2008 시즌에는 성적 부진으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6] 이후 팀 분열과 여러 차례의 팀명 변경을 거쳐, 2011-12 시즌 2부 리그 우승으로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다.[7]
류랑 축구 클럽은 수십 년간 유소년 육성에 힘써왔으며, U-15, U-17, U-19, U-21 등 모든 연령대에서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1. 창단과 초기 (1958~1970)
클럽은 1958년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이자 글래스고 출신인 이안 페트리에 의해 창단되었다. 그는 클럽 이름을 레인저스에서 따왔다. 현대적인 축구 클럽 운영 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아시아 축구 클럽이었다. 초창기에는 재정적으로 더 큰 클럽들과 경쟁할 수 없었기에 페트리는 젊은 선수들에게 의존했고, 팀은 젊은 선수들의 요람으로 알려졌다. 곽가명은 1960년대 페트리가 발굴한 가장 유명한 선수였다. 1970년, 클럽은 데릭 커리, 이안 테일러, 조 브레넌, 지미 리델 등 세 명의 스코틀랜드 프로 선수들을 홍콩으로 데려왔다. 그들은 홍콩 리그에서 뛰는 최초의 유럽 프로 선수였으며, 홍콩 축구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1]2. 2. 스코틀랜드 선수 영입과 전성기 (1970년대)
1970년, 클럽은 데릭 커리, 월터 제라드, 재키 트레이너라는 3명의 스코틀랜드 프로 축구 선수를 영입했다.[1] 이들은 홍콩 리그에서 활약한 최초의 유럽 출신 선수들이었으며, 홍콩 축구에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1] 이안 테일러, 조 브레넌, 지미 리델 등도 유랑 축구 클럽에서 활약한 유명 선수들이다.[1]2. 3. 외국인 선수 시대 (1980년대)
조지 베스트를 비롯한 스티븐 패터슨, 지미 본, 토미 놀란 등 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1980년대에 유랑 축구 클럽에서 활약했다.[1]2. 4. 스폰서 변화와 팀명 변경 (2000년대~현재)
2001년 10월 12일부터 2006년 여름까지 클럽은 스폰서인 Buler(澎馬, 핑마)의 이름을 따서 '''Buler Rangers''' (핑마 류랑)로 불렸다. 2007년 9월 15일, 브로바(Bulova, 寶路華|바오루화중국어)의 후원을 받아 팀 이름을 '''Bulova Rangers''' (바오루화 류랑)으로 변경했다.[1] 그러나 2007-2008 시즌에는 사우스 차이나에 1-9로 대패하는 등 성적이 하락했고, 결국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6]2007-2008 시즌 후, 쓰하이 그룹(四海集団)이 류랑의 1부 잔류를 요청했으나 홍콩 축구 협회에 거부당했다. 쓰하이 그룹은 류랑의 선수와 스태프를 영입해 쓰하이 체육회(四海体育会)를 설립했고, 기존 팀도 존속하면서 팀이 두 개로 분열되었다.[6]
2008년 9월, 쓰하이 류랑(四海流浪)이 탄생하면서 기존 팀은 안화(安華)로 개명했다. 이후 2010년에는 표준표침(標準錶針), 2011년에는 진펑 커지(金峰科技)로 팀명을 변경하며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2011-12 시즌 홍콩 세컨드 디비전 리그에서 우승하여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7] 또한, 스탠다드 류랑(標準流浪)이 요코하마 FC의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류랑의 명칭을 포기했기 때문에, 류랑의 명칭을 되찾았다.[7]
2011년, 팀은 '''Kam Fung'''(金峰, 진펑)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Biu Chun Watch Hands의 후원을 받아 '''Biu Chun Rangers'''로 이름을 변경했다 (2016–17 시즌에는 후원사 문제로 '''Lee Man Rangers'''로 변경).[1]
2000년대 초, Rangers의 유소년 선수 투자는 찬와이호, 만페이탁, 람카와이, 로콴이 등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를 배출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 투자가 줄어들면서 클럽의 예산과 경기력이 저하되었다.[1]
2. 5. 최근 동향 (2018년~현재)
2017-18 홍콩 프리미어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레인저스는 6년간의 1부 리그 생활을 마치고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2] 이후 전 홍콩 국가대표 선수인 웡친훙이 감독으로 부임하였다.2018-19 홍콩 1부 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지만, Dreams FC가 자진 강등을 선택하면서 2019년 7월 15일에 레인저스는 홍콩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하게 되었다.[3]
2019-20 시즌, 레인저스는 2020년 홍콩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프리미어 리그 시즌에서 기권한 4개 팀 중 하나였다.
2022-23 시즌에는 홍콩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차지하여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4]
2023-24 시즌, 레인저스는 홍콩 컵에서 사상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29년 만의 첫 우승이었다.
3. 팀명 변천사
기간 | 팀명 | 스폰서 |
---|---|---|
1958–1995 | 홍콩 레인저스 FC (香港流浪) | (없음) |
1995–1997 | UHLSPORT 레인저스 FC (UHLSPORT流浪) | UHLSPORT |
1997–1999 | 홍콩 레인저스 FC (香港流浪) | (없음) |
1999 | 홍콩 레인저스 FC (奇利寶流浪) | (불명) |
1999–2001 | 홍콩 레인저스 FC (香港流浪) | (없음) |
2001–2006 | 뷜러 레인저스 FC (澎馬流浪) | 뷜러 (Buler) |
2006–2007 | 홍콩 레인저스 FC (香港流浪) | (없음) |
2007–2008 | 불로바 레인저스 FC (寶路華流浪) | 불로바 (Bulova) |
2008–2009 | 홍콩 레인저스 FC (香港流浪) | (없음) |
2009–2010 | 옹굿 FC (安華) | (불명) |
2010–2011 | 비우춘 FC (標準錶針) | (불명) |
2011–2012 | 캄 퐁 FC (金鋒科技) | (불명) |
2012–2016 | 비우춘 레인저스 FC (標準流浪) | (불명) |
2016–2017 | 리만 레인저스 FC (理文流浪) | (불명) |
2017– | 비우춘 레인저스 FC (標準流浪) | (불명) |
4. 선수단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하며,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질 수 있다. 현재 선수 명단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임대 선수와 과거 주요 선수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제공된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기준)
2024년 11월 25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로 시우 키 | 홍콩 |
4 | DF | 렁 와이 펑 | 홍콩 |
5 | DF | 하야시 료타 | 일본 |
7 | FW | 라우 치 록 | 홍콩 |
9 | FW | 웡 토 람 | 홍콩 |
11 | MF | 바라크 브라운슈타인 | 이스라엘 |
12 | MF | 리 칭 | 홍콩 |
14 | FW | 마 용 상 | 홍콩 |
17 | DF | 롱 츠 힌 | 홍콩 |
18 | MF | 김도현 | 대한민국 |
19 | DF | 야우 호 밍 | 홍콩 |
20 | MF | 세바스티안 니코트 | 미국 |
21 | MF | 청 칭 완 | 홍콩 |
22 | MF | 찬 야우 초 | 홍콩 |
23 | DF | 린도 마코토 | 일본 |
25 | MF | 렁 호이 춘 | 홍콩 |
26 | MF | 아키토 오카모토 | 일본 |
30 | GK | 올렉시 슐랴코틴 | 우크라이나 |
32 | MF | 리 윙 호 | 홍콩 |
33 | DF | 페르난두 로페스 | 브라질 |
37 | FW | 창 쿵 옌 | 홍콩 |
56 | MF | 라우 옌 홍 | 홍콩 |
58 | DF | 밀로스 웡 | 홍콩 |
59 | FW | 차우 이 힌 | 홍콩 |
77 | FW | 루이지뉴 | 브라질 |
93 | DF | 다니엘 옌 | 홍콩 |
99 | GK | 찬 쿤 슨 | 홍콩 |
비고:LP 이 선수들은 홍콩 국내 축구 대회에서 자국 선수로 간주된다.FP 이 선수들은 외국인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
4. 2. 임대 선수
4. 3. 역대 주요 선수
국적 | 선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비고 |
---|---|---|---|---|
판즈이 | 2003–04, 2005–06 | |||
rowspan="8" | | 개리 배니스터 | 1993–94 | ||
바비 번스 | 1995–96 | |||
가스 시저 | 1997–01 | |||
피터 코스텔로 | ||||
피터 거스리 | 1994–97 | |||
케빈 헌트 | 1997–98 | |||
피터 맥도넬 | 1982–83 | |||
트레버 쿠아우 | 1993–96 | |||
초 치 궨 | 1970 | |||
rowspan="2" | | 도미닉 요파 | 1997–98, 1999–00 | ||
코넬리우스 우데부루저 | 2001–02, 2003–04 | |||
조지 베스트 | 1982 | |||
rowspan="6" | | 찬 유 룬 | 1998–04 | ||
곽가명 | 1968–80 | |||
루 콴이 | 1999–07 | |||
문피터 | 2001–06 | |||
누누 카바레이루 | ||||
탄 자오 웨이 | 1994–96, 2001–03 | |||
린 샹이 | 1970-72 | |||
rowspan="12" | | 짐 베그비 | 1973–74 | ||
지미 본 | 1981–83 | |||
조 브레넌 | 1973–74 | |||
데이비드 크레이그 | 2000 | |||
데릭 커리 | 1970–72 | |||
짐 포레스트 | 1973–?? | |||
데릭 하그리브스 | 1977–?? | |||
윌리 헨더슨 | 1974–77 | |||
마이크 혼 | 1976–77 | |||
지미 리델 | 1973–76 | |||
토미 놀란 | 1981–84 | |||
스티븐 패터슨 | 1982 | |||
스티브 레인즈 | 1993–?? | |||
빌리 셈플 | 1977–83 | |||
이안 테일러 | 1973–74 | |||
존 왓슨 | 1981–83 | |||
존 영 | 1983 | 연간 최우수 선수: 1982–83 | ||
김판곤 | 2002–04 | 선수 시절 뛰어난 기량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으며, 감독 부임 후에는 혁신적인 전술과 훈련 방식을 도입하여 팀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 ||
rowspan="3" | | 카타노 히로리 | 2015–16 | ||
하야시 료타 | 2021– | |||
우에가타 요스케 | 2024- |
5.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국적 |
---|---|---|
사무총장 | 리 후이리 | 홍콩 |
감독 | 웡 친 훙 | 홍콩 |
코치 | 람 카 와이 | 홍콩 |
코치 | 로 콴 이 | 홍콩 |
코치 | 페르난두 로페스 | 브라질 |
골키퍼 코치 | 청 와이 훙 | 홍콩 |
물리치료사 | 케빈 렁 | 캐나다 |
기술 및 행정 이사 | 펑 윙 싱 | 홍콩 |
5. 1.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김판곤 | 2003 ~ 2004 |
웡진훙 | 2018 ~ 2023 |
웡진훙 | 2024 ~ |
김판곤 감독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팀을 이끌며, 뛰어난 지도력과 선수 육성 능력을 발휘하여 팀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6.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홍콩 1부 리그 | 1 | 1970–71 |
홍콩 2부 리그 | 2 | 1964–65, 2011–12 |
홍콩 3부 A 디비전 | 1 | 1991–92 |
홍콩 시니어 챌린지 실드 | 4 | 1965–66, 1970–71, 1974–75, 1994–95 |
홍콩 FA컵 | 2 | 1976–77, 1994–95 |
홍콩 컵 | 1 | 2023–24 |
홍콩 부왕컵 | 2 | 1973–74, 1974–75 |
7. 국제 대회 성적
- '''아시안 컵 위너스컵''': 1회 출전
::1995/96: 2라운드 탈락
8. 시즌별 기록
시즌 | 티어 | 디비전 | 팀 수 | 순위 | 홈 구장 | 경기당 평균 관중 | FA컵 | 시니어 쉴드 | 리그컵 | 사플링 컵 |
---|---|---|---|---|---|---|---|---|---|---|
2000-01 | 1 | 1부 리그 | 8 | 6 | 8강 | 조별 리그 | 미개최 | |||
2001-02 | 1 | 1부 리그 | 7 | 4 | 4강 | 준우승 | 미개최 | |||
2002-03 | 1 | 1부 리그 | 8 | 3 | 준우승 | 4강 | 미개최 | |||
2003-04 | 1 | 1부 리그 | 10 | 4 | 1라운드 | 4강 | 미개최 | |||
2004-05 | 1 | 1부 리그 | 9 | 4 | 8강 | 8강 | 4강 | 미개최 | ||
2005-06 | 1 | 1부 리그 | 8 | 3 | 8강 | 8강 | 조별 리그 | 미개최 | ||
2006-07 | 1 | 1부 리그 | 10 | 4 | 4강 | 1라운드 | 조별 리그 | 미개최 | ||
2007-08 | 1 | 1부 리그 | 10 | 10 | 8강 | 8강 | 조별 리그 | 미개최 | ||
2008-09 | 2 | 2부 리그 | 10 | 6 | 불참 | 불참 | 불참 | 미개최 | ||
2009-10 | 2 | 2부 리그 | 9 | 4 | 불참 | 불참 | 미개최 | 미개최 | ||
2010-11 | 2 | 2부 리그 | 12 | 7 | 불참 | 불참 | 불참 | 미개최 | ||
2011-12 | 2 | 2부 리그 | 12 | 1 | 불참 | 불참 | 불참 | 미개최 | ||
2012-13 | 1 | 1부 리그 | 10 | 6 | 샴수이포 스포츠 그라운드 | 868 | 8강 | 1라운드 | 미개최 | 미개최 |
2013-14 | 1 | 1부 리그 | 12 | 5 | 샴수이포 스포츠 그라운드 | 472 | 4강 | 8강 | 미개최 | 미개최 |
2014-15 | 1 | 프리미어 리그 | 9 | 7 | 가우룽베이 공원 | 485 | 8강 | 8강 | 토너먼트 | 미개최 |
2015-16 | 1 | 프리미어 리그 | 9 | 8 | 가우룽베이 공원 | 477 | 4강 | 8강 | 4강 | 4강 |
2016-17 | 1 | 프리미어 리그 | 11 | 7 | 칭이 스포츠 그라운드 | 519 | 8강 | 1라운드 | 8강 | 폐지 |
2017-18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10 | 샴수이포 스포츠 그라운드 | 485 | 8강 | 8강 | 조별 리그 | 폐지 |
2018-19 | 2 | 1부 리그 | 14 | 3 | 불참 | 불참 | 불참 | 폐지 | ||
2019-20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기권 | 툰문 탕 시우 킨 스포츠 그라운드 | 375 | 1라운드 | 8강 | 조별 리그 | 폐지 |
2020-21 | 1 | 프리미어 리그 | 8 | 6 | 해머 힐 로드 스포츠 그라운드 | 613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조별 리그 | 폐지 | |
2021-22 | 1 | 프리미어 리그 | 8 | 취소됨 | 샴수이포 스포츠 그라운드 | 1,076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폐지 | |
2022-23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3 | 해머 힐 로드 스포츠 그라운드 | 466 | 준우승 | 4강 | 4강 | 폐지 |
2023-24 | 1 | 프리미어 리그 | 11 | 6 | 칭이 스포츠 그라운드 몽콕 스타디움 | 498 | 8강 | 4강 | 우승 | 폐지 |
2024-25 | 1 | 프리미어 리그 | 9 | 칭이 스포츠 그라운드 | 4강 | 폐지 |
참조
[1]
웹사이트
亞洲首支職業隊 本地波「兵工廠」造星無數
https://www.hk01.com[...]
2018-04-22
[2]
웹사이트
流浪主場不敵富力 提早兩輪篤定包尾 降班或獲挽留仍是未知數
https://news.mingpao[...]
2018-04-22
[3]
웹사이트
足總通過夢想退賽申請 港甲季軍標準流浪獲邀升班
https://www.hk01.com[...]
2019-07-15
[4]
웹사이트
BC Rangers aiming to repair bruised pride in AFC Champions League debut
https://www.scmp.com[...]
2023-08-15
[5]
웹사이트
球會資料 - 香港流浪足球會有限公司
http://www.hkfa.com/[...]
hkfa.com
2013-02-14
[6]
문서
Wikipedia中文版の同記事より
[7]
문서
標準時計もスポンサーについたので、2011-2012年度と2012-2013年度では名前は同じなのに、チームが違うというややこしいことにな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