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페가수스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페가수스 FC는 2008년 창단된 홍콩의 축구 클럽으로, 여러 차례 구단명 변경을 거쳤다. 2008년 TSW 페가수스로 시작하여, 선 페가수스, 홍콩 페가수스를 거쳐 다시 TSW 페가수스로 이름을 변경했다. 2021-22 시즌 홍콩 3부 리그로 자진 강등되었으며, 2023-24 시즌에는 라비아 오리온 FC로, 2024-25 시즌에는 링 유이 오리온 FC로 구단명을 변경할 예정이다. 홍콩 1부 리그에서 준우승 3회, 홍콩 시니어 쉴드, FA컵, 사플링컵 우승 경력이 있으며, 위안롱과 톈수이와이를 기반으로 지역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쳐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페가수스 FC - 웡곡대구장
웡곡대구장은 홍콩 몽콕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73년 웡곡대구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윈롱구 - 변경금구
변경금구는 1951년 홍콩 총독의 명령으로 설립되어 불법 이민과 무기 밀수를 막기 위해 야간 통행금지령이 시행되었으며, 경계 조정, 울타리 강화 등의 변화를 거쳐 1994년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되었고, 현재는 록마차우, 타쿠렝, 사타우콕 등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홍콩 경찰의 허가를 받아 출입할 수 있는 지역이다. - 홍콩 3부 리그 구단 - 더블 플라워 FA
더블 플라워 FA는 1981년 창단되어 1984-85 시즌 홍콩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빠르게 성장했으나, 1990년대 전성기 이후 재정난으로 2004년 해산된 축구 클럽이다.
홍콩 페가수스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링 유이 오리온 |
원어 명칭 | (홍콩 페가수스 축구회) |
별칭 | 나는 말들 |
창단 | 2008년 |
경기장 | 위안 롱 스타디움 |
소유주 | 스티븐 로 |
회장 | 해당 정보 없음 |
감독 | 얀치칸 |
리그 | 홍콩 제3 디비전 리그 |
시즌 | 2023–24 |
시즌 순위 | 3부 리그, 15개 팀 중 13위 |
웹사이트 | pegasusfc.com.hk |
![]() |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blackborder pattern_b1: _pegasus2122h pattern_ra1: _blackborder pattern_sh1: 해당 정보 없음 pattern_so1: 해당 정보 없음 leftarm1: fff54e body1: fff54e rightarm1: fff54e shorts1: 000000 socks1: fff54e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pegasus2122a pattern_b2: _pegasus2122a pattern_ra2: _pegasus2122a pattern_sh2: 해당 정보 없음 pattern_so2: 해당 정보 없음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7e8592 socks2: ffffff |
2. 역사
'''TSW 페가수스'''는 2008년 6월에 창단되었으며, 약 HKD1,000만 달러의 예산으로 2008-09 홍콩 1부 리그에서 첫 시즌을 치렀다.[1] 2008년 12월 21일, 페가수스는 2008-09 홍콩 시니어 실드 결승전에서 선 헤이를 꺾고 첫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2012년 7월, 새로운 스폰서의 등장으로 구단은 '''선 페가수스'''로 이름을 변경했다.[2] 2014-15 시즌 이후, 선 인터내셔널 리소스 리미티드가 후원을 철회했다. 캐니 렁이 인수하면서 구단은 '''홍콩 페가수스'''로 이름을 변경했다. 2020년 10월, 구단은 다시 '''TSW 페가수스'''로 이름을 변경하고 위안롱 스타디움으로 돌아왔다.[3]
13년간 1부 리그에서 활동한 후, 페가수스는 2021-22 HKPL 시즌 불참을 확정하고 홍콩 3부 리그로 자진 강등하기로 결정했다.[4] 2023-24 시즌에는 구단이 '''라비아 오리온 FC'''(아오리안/奧利安중국어)로 이름을 변경했다. 2024-25 시즌에는 구단이 '''링 유이 오리온 FC'''(링루이아오리안/凌銳奧利安중국어)로 변경될 예정이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2008-2012)
2008년 6월, '''TSW 페가수스'''가 창단되었으며, 약 1,000만 HKD의 예산으로 2008-09 홍콩 1부 리그에서 첫 시즌을 치렀다.[1] 창단 첫 시즌인 2008년 12월 21일, 2008-09 홍콩 시니어 실드 결승전에서 선 헤이를 꺾고 첫 트로피를 획득했다.[1] 페가수스는 위안룽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톈수이와이 지역을 기반으로 팬층을 확보했다.2. 2. 명칭 변경과 연고지 이전 (2012-2021)
2012년 7월, 새로운 스폰서가 등장하면서 구단은 '''선 페가수스'''(중국어: 太陽飛馬)로 명칭을 변경했다.[2] 2014-15 시즌 이후, 선 인터내셔널 리소스 리미티드가 후원을 철회했고, 캐니 렁이 인수하면서 구단은 '''홍콩 페가수스'''(중국어: 香港飛馬)로 명칭을 변경했다. 2020년 10월, 구단은 다시 '''TSW 페가수스'''(중국어: 天水圍飛馬)로 명칭을 변경하고 위안룽 스타디움으로 돌아왔다.[3]2. 3. 강등과 재정비 (2021-현재)
13년간 1부 리그에서 활동한 후, 페가수스는 2021-22 홍콩 프리미어리그 시즌 불참을 확정하고 홍콩 3부 리그로 자진 강등하기로 결정했다.[4] 2023-24 시즌에는 구단이 '''라비아 오리온 FC'''(아오리안/奧利安중국어)로 이름을 변경했다. 2024-25 시즌에는 구단이 '''링 유이 오리온 FC'''(링루이아오리안/凌銳奧利安중국어)로 변경될 예정이다.3. 클럽 문화
3. 1. 지역 사회 공헌
홍콩 페가수스 FC는 창단 초기부터 톈수이와이와 위안룽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전개했다. 2008년 8월 3일에는 틴수이와이 스포츠 경기장에서 U-15 및 U-19 팀 선수 모집을 위한 대규모 행사를 개최하고, 지역 주민을 위한 팀 보조원 채용도 진행했다.[7] 같은 날 사우스 차이나와의 친선 경기에서 구 내 주민들을 무료로 초청하여 관람 기회를 제공했다.[8]팀 사무실, 숙소, 훈련 시설을 모두 위안랑구 내에 두어 지역 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했다. 유소년 팀 선수 및 직원 또한 위안랑 구 내에서 모집했다.[7]
구단은 젊은 층 팬 확보를 위해 2008년부터 학교 순회 사업("스쿨 투어")을 진행하여 학생들에게 축구의 즐거움을 알리고 있다.
3. 2. 서포터즈
페가수스는 페가수스의 원래 연고지인 위안룽과 톈수이와이를 기반으로 한 팬층을 가지고 있다. 구단은 "페가수스 베이스"라는 공식 팬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구단의 슬로건은 "페가수스, 우리의 팀"이다.3. 3. 신계 더비
타이포 FC와의 경기는 '신계 더비'로 불리며, 두 팀 모두 신계를 연고지로 하고 있다. 타이포는 타이포구를, 홍콩 페가수스는 위안롱구를 연고로 하는 2000년대에 창단된 지역 연고 클럽이다.4. 경기장
홍콩 축구 협회는 2008년 10월 5일 사우스 차이나와의 경기에 TSW 페가수스의 홈 구장으로 위안룽 스타디움 사용을 승인했다.[5] 렁훙탁 홍콩 축구 협회 회장은 TSW 페가수스의 홈 경기가 2008–09 시즌에 위안룽 스타디움에서 총 3번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6]
2013-14 시즌을 위해 TSW 페가수스는 홈 구장을 위안룽 스타디움에서 몽콕 스타디움으로 옮겼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홍콩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2017–18 홍콩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차지하여, 2018–19 홍콩 프리미어 리그를 위해 몽콕 스타디움을 사용할 권리를 행사했다.
2020년 10월, 페가수스는 위안룽 스타디움으로 돌아왔으나, 현재는 고정된 홈 구장이 없다.
5. 역대 성적
'''홍콩 1부 리그'''
- 준우승 (1): 2009–10
- 준우승 (1): 2011–12
- 준우승 (1): 2013–14
'''홍콩 시니어 챌린지 쉴드'''
- 우승 (1): 2008–09
- 준우승 (1): 2013-14
'''홍콩 FA컵'''
- 우승 (1): 2009–10
- 우승 (1): 2015–16
- 준우승 (1): 2008–09
- 준우승 (1): 2011–12
- 준우승 (1): 2012-13
'''홍콩 리그컵'''
- 준우승 (1): 2008–09
- 준우승 (1): 2010–11
- 준우승 (1): 2011–12
'''홍콩 사플링 컵'''
- 우승 (1): 2015-16
- 준우승 (1): 2016-17
시즌 | 티어 | 리그 | 팀 수 | 순위 | 홈 경기장 | 경기당 평균 관중 | FA컵 | 시니어 실드 | 리그컵 | Sapling Cup |
---|---|---|---|---|---|---|---|---|---|---|
2008–09 | 1 | 1부 리그 | 13 | 7 | align=center style="background:gray;"| | align=center| | 준우승 | 우승 | 준우승 | 개최 안 함 |
2009–10 | 1 | 1부 리그 | 11 | 2 | 위안롱 스타디움 | 1,027 | 우승 | 준결승 | 개최 안 함 | |
2010–11 | 1 | 1부 리그 | 10 | 3 | 위안롱 스타디움 | 705 | 준결승 | 8강 | 준우승 | |
2011–12 | 1 | 1부 리그 | 10 | 2 | 위안롱 스타디움 | 1,252 | 준우승 | 준결승 | 준우승 | |
2012–13 | 1 | 1부 리그 | 10 | 5 | 위안롱 스타디움 | 722 | 준우승 | 8강 | 개최 안 함 | |
2013–14 | 1 | 1부 리그 | 12 | 2 | 몽콕 스타디움 | 1,589 | 1라운드 | 준우승 | ||
2014–15 | 1 | 프리미어 리그 | 9 | 3 | 몽콕 스타디움 | 1,617 | 1라운드 | 8강 | 준결승 | |
2015–16 | 1 | 프리미어 리그 | 9 | 5 | 홍콩 스타디움 | 981 | 우승 | 8강 | 조별 리그 | 우승 |
2016–17 | 1 | 프리미어 리그 | 11 | 8 | 홍콩 스타디움 | 724 | 8강 | 8강 | 폐지 | 준우승 |
2017–18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3 | 홍콩 스타디움 | 830 | 준결승 | 8강 | 준결승 | |
2018–19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6 | 몽콕 스타디움 | 966 | 8강 | 1라운드 | 준결승 | |
2019–20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기권 | 홍콩 스타디움 | 551 | 준결승 | 8강 | 조별 리그 | |
2020–21 | 1 | 프리미어 리그 | 8 | 4 | 위안롱 스타디움 | 1,410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됨 | 조별 리그 |
5. 1. 리그
홍콩 페가수스 FC는 홍콩 1부 리그에서 2009-10 시즌, 2011-12 시즌, 2013-14 시즌에 준우승을 차지했다.시즌 | 티어 | 리그 | 팀 수 | 순위 | 홈 경기장 | 경기당 평균 관중 | FA컵 | 시니어 실드 | 리그컵 | Sapling Cup |
---|---|---|---|---|---|---|---|---|---|---|
2008–09 | 1 | 1부 리그 | 13 | 7 | align=center style="background:gray;"| | align=center| | 준우승 | 우승 | 준우승 | 개최 안 함 |
2009–10 | 1 | 1부 리그 | 11 | 2 | 위안롱 스타디움 | 1,027 | 우승 | 준결승 | 개최 안 함 | |
2010–11 | 1 | 1부 리그 | 10 | 3 | 위안롱 스타디움 | 705 | 준결승 | 8강 | 준우승 | |
2011–12 | 1 | 1부 리그 | 10 | 2 | 위안롱 스타디움 | 1,252 | 준우승 | 준결승 | 준우승 | |
2012–13 | 1 | 1부 리그 | 10 | 5 | 위안롱 스타디움 | 722 | 준우승 | 8강 | 개최 안 함 | |
2013–14 | 1 | 1부 리그 | 12 | 2 | 몽콕 스타디움 | 1,589 | 1라운드 | 준우승 | ||
2014–15 | 1 | 프리미어 리그 | 9 | 3 | 몽콕 스타디움 | 1,617 | 1라운드 | 8강 | 준결승 | |
2015–16 | 1 | 프리미어 리그 | 9 | 5 | 홍콩 스타디움 | 981 | 우승 | 8강 | 조별 리그 | 우승 |
2016–17 | 1 | 프리미어 리그 | 11 | 8 | 홍콩 스타디움 | 724 | 8강 | 8강 | 폐지 | 준우승 |
2017–18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3 | 홍콩 스타디움 | 830 | 준결승 | 8강 | 준결승 | |
2018–19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6 | 몽콕 스타디움 | 966 | 8강 | 1라운드 | 준결승 | |
2019–20 | 1 | 프리미어 리그 | 10 | 기권 | 홍콩 스타디움 | 551 | 준결승 | 8강 | 조별 리그 | |
2020–21 | 1 | 프리미어 리그 | 8 | 4 | 위안롱 스타디움 | 1,410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됨 | 조별 리그 |
5. 2. 컵 대회
홍콩 페가수스 FC는 홍콩 시니어 챌린지 쉴드에서 2008-09 시즌 우승, 2013-14 시즌 준우승을 기록했다. 홍콩 FA컵에서는 2009-10 시즌과 2015-16 시즌에 우승했고, 2008-09, 2011-12, 2012-13 시즌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홍콩 리그컵에서는 2008-09, 2010-11, 2011-12 시즌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홍콩 사플링 컵에서는 2015-16 시즌에 우승했고, 2016-17 시즌에는 준우승을 하였다.6. 선수
6. 1. 역대 주요 선수
오카노 마사유키는 2009년에, 나카무라 유토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홍콩 페가수스 FC에서 선수로 활동했다. 고드프레드 카리칼리와 다카다 히사노리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사사키 슈는 2018년부터 해당 클럽의 선수로 활동했다.7. 역대 감독
호세 히카르두 람보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감독을 역임했다. 데얀 안토니치는 2009년에 감독을 맡았다. 찬 히우 밍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찬 호 인은 2012년과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두 차례 감독을 역임했다. 찬 치 홍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그리고 2015년에 감독을 맡았다. 리 치 킨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케빈 본드는 2016년에 두 차례 감독을 맡았다. 스티브 갈렌은 2016년에 감독을 역임했다. 양 칭 쾅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페드로 가르시아는 2018년에 감독을 맡았다. 만 페이 탁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곽 카 로크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감독을 역임했다.
참조
[1]
뉴스
Tai Kung Pao news
http://www.takungpao[...]
[2]
웹사이트
Facebook
http://www.facebook.[...]
2016-09-15
[3]
웹사이트
港超聯 天水圍飛馬重出江湖
https://hk.on.cc/hk/[...]
2020-10-20
[4]
웹사이트
Pegasus to withdraw from Premier League
https://www.offside.[...]
2021-08-03
[5]
뉴스
Tai Kung Pao news
http://www.takungpao[...]
[6]
뉴스
Tai Kung Pao news
http://www.takungpao[...]
[7]
웹사이트
on.cc news
https://web.archive.[...]
2008-07-24
[8]
웹사이트
on.cc news
https://web.archive.[...]
2008-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