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양면 (여수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양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 속하는 면이다. 청동기 시대 고인돌이 발견되었고, 마한, 백제,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시대에는 여수현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전라좌수영이 설치되고 백야곶목장이 운영되었으며, 1897년 화양면으로 출현했다. 1910년 면사무소가 개설되었으며, 1949년 여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98년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통합으로 현재의 여수시 화양면이 되었다. 행정 구역은 10개의 법정리와 3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은 국도, 지방도를 통해 연결되며, 백야대교와 화양대교가 위치한다. 간도, 대락도 등 여러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나진초등학교, 화양중학교, 화양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시전동
    시전동은 여수시에 위치하며 과거 여천시에 속했던 지역으로, 여천역과 여수공항과 가깝고 교육, 공공, 문화, 상업 시설 및 주거 단지와 선소유적지, 오충사, 신기공원, 장도 등의 문화재와 휴식 공간을 갖추고 있다.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쌍봉동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부에 위치한 쌍봉동은 여수시청, 주요 기관, 교통 시설이 위치한 여수시의 중심지이며, 과거 쌍봉면에서 유래하여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화양면 (여수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리적 위치여수시 화양면
종류면 (myeon)
언어한국어
행정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전라남도
시/군/구여수시
하위 행정 구역10개 법정리, 31개 행정리
면적
전체 면적70.1 km²
인구 통계 (2010년 12월 31일 기준)
총 인구8108명
기타 정보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우편 번호정보 없음
지역 번호정보 없음
행정 구역 정보
행정 구역 단위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관할 구역 수10개
행정리 수31개
추가 정보
면사무소 주소여수시 화양면 나진길 16-10
홈페이지화양면사무소

2. 역사

화양면 지역은 청동기 시대고인돌 유적이 300여 기나 분포하고 있어, 선사 시대부터 강력한 세력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마한 시대에는 56개 소국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삽평군, 승평군 등의 관할 아래 행정 구역이 변화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1396년 돌산포만호진 설치를 시작으로, 1479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영(전라좌수영) 설치, 1490년 돌산포만호진성 축조 등 남해안 방어의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했다. 말을 기르던 목장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1897년 이전까지 조라포면에 속했다가, 이 시기 여수군 화양면으로 처음 행정 구역 명칭이 등장하였다. 1910년 면사무소가 개설되었고, 1949년 8월 13일 여수시와 분리되어 여천군 화양면이 되었다. 이후 1998년 4월 1일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의 통합으로 현재의 여수시 화양면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화양면 지역에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약 300여 기에 달하는 고인돌 유적이 남아 있어 당시 강력한 집단 세력의 존재를 짐작하게 한다. 마한 시대에는 마한을 구성했던 56개 부족국가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백제 시대에는 현재의 순천 지역인 삽평군에 속한 돌산현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무진주(현재의 광주) 관할 아래 승평군 소속의 돌산현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승평군 여수현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 지역은 군사적 요충지로 부상했다.

  • 1396년 (태조 5년): 순천부에 돌산포만호진이 설치되었다.
  • 조선 시대 (연대 미상): 말을 기르던 백야곶목장이 설치되었고, 이후 곡화목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423년 (세종 5년): 진례만호진이 내례포(현재의 여수 신항 및 종포 일대)로 이전되었다.
  • 1479년 (성종 10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영(전라좌수영)이 설치되면서 내례포의 진영은 현재의 진남관 자리로 옮겨졌다. 이는 남해안 방어 체계 강화의 중요한 단계였다.
  • 1485년 (성종 16년): 전라좌수영성이 축조되었다.
  • 1490년 (성종 21년): 현재의 화양면 용주리 지역에 돌산포만호진성이 축조되어, 화양면 지역의 직접적인 군사 방어 거점이 마련되었다.
  • 1523년 (중종 18년): 돌산포만호진이 돌산도로 이전하면서 방답첨사진으로 승격되었고, 이와 함께 거제도의 방답만호진은 폐지되었다.
  • 1692년: 신라 효소왕 원년에 용문사가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원 자료의 기록으로, 1692년은 숙종 18년이며 효소왕 재위 기간과 차이가 있다.)
  • 1895년 (고종 32년): 갑오개혁의 영향으로 전라좌수영, 돌산방답진, 고돌산진 등이 폐지되었다.


조선 말기인 1897년 이전까지 화양면 지역은 조라포면 상(上)도에 속해 있었으며, 이 무렵 '화양면'이라는 행정구역 명칭이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897년 이전에는 조라포(召羅浦)면 상(上)도에 속해 있었으나, 1897년 전라남도 여수군 화양면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1910년에는 면사무소가 개설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9년 8월 15일, 여수군이 여수시여천군으로 분리되면서 전라남도 여천군 화양면이 되었다. 이후 1998년 4월 1일,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화양면은 10개의 법정리와 3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1. 법정리 및 행정리

화양면은 10개의 법정리와 3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행정리비고
나진리나진, 소장면사무소 소재지
서촌리서촌, 석교, 봉오
안포리세포, 원포, 안포
옥적리마상, 옥적, 대옥, 상전
용주리용주, 고내, 호두, 화련
이목리이목, 서연, 구미, 벌가
이천리오천, 이천, 감도
장수리장수, 수문, 장척, 장등
창무리창무, 백초
화동리화동, 청양


  • 나진리: 행정 구역상 나진과 소장 2개 지역으로 나뉜다. 화양면사무소가 위치해 있다.[3]
  • 서촌리: 세 개의 행정 구역, 즉 서촌, 석교, 봉오를 가지고 있다.[4]
  • 안포리: 세 개의 행정 구역인 세포, 원포, 안포로 구성되어 있다. 백야대교국도 77호선의 백야로에 있으며, 화정면 백야리의 백야도와 지방도 863호선으로 연결된다.[5]
  • 옥적리: 4개의 행정 구역, 마상, 옥적, 대옥, 상전으로 구성되어 있다.[6]
  • 용주리: 용주, 고내, 호두, 화련의 4개 행정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7]
  • 이목리: 이목, 서연, 구미, 벌가의 4개 행정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8]
  • 이천리: 3개의 행정 구역, 즉 오천, 이천, 감도로 구성되어 있다.[9]
  • 장수리: 장수, 수문, 장척, 장등의 4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수만은 이 리(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국도 77호선의 화양대교가 화양면 조발리의 조발도와 연결될 예정이다.[10]
  • 창무리: 창무와 백초 두 개의 행정 구역을 가지고 있다.[11]
  • 화동리: 화동과 청양 두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12]

4. 교통

화양면에는 철도,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는 없다.[13] 주요 도로로는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22호선, 지방도 제863호선이 있다.[13]

주요 교량은 다음과 같다.

5. 섬

화양면에 속한 섬은 모두 무인도이다.[15][14]

이름위치면적(m2)비고
간도화양면 이천리 산1695,554사유지
대락도화양면 이목리 산55520,430사유지
삼도화양면 안포리 산8564,959사유지
삼도끝섬화양면 안포리 산854, 산854-1,5-2, 5-39,878국유지, 사유지
삼도첫섬화양면 안포리 산8533,372사유지
소락도화양면 이목리 산5568,727사유지
소운두도화양면 이천리 산194 외 9필지107,147사유지
애기삼섬화양면 안포리 산855397사유지
오도화양면 이천리 산1832,777사유지
오란도화양면 안포리 산8572,182공유지
자래섬화양면 이천리 산20216,760사유지


6. 교육


  • 나진초등학교 (나진리)
  • * 용창분교 (폐교) - 용문사길 24 (용주리)
  • 안일초등학교 (안포리)
  • 옥천초등학교 (폐교) - 옥천로 516-2 (옥적리)
  • * 오대분교 (폐교) - 옥천로 998 (이천리)
  • 이목초등학교 (폐교) - 화서로 474 (이목리)
  • 화양초등학교 (화동리)
  • 화양중학교
  • * 화양남분교
  • 화양고등학교

참조

[1]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10
[2]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3]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4]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5]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6]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7]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8]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9]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10]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11]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12]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24
[13] 웹사이트 "{title}" https://web.archive.[...] 2016-11-10
[14] 간행물 http://www.mof.go.kr[...]
[15] 웹사이트 해양수산부 연안포털 - 무인도서 관리 http://www.coast.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