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소왕은 신라의 제30대 왕으로, 신문왕의 아들이며 신목왕후를 어머니로 두었다. 692년에 당나라 측천무후로부터 신라왕으로 책봉되었으며, 즉위 초 좌·우이방부를 좌·우의방부로 개칭하는 등 국내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695년 서시전과 남시전을 설치하고, 698년 일본 사신을 접견했으며, 700년에는 이찬 경영의 모반을 진압했다. 대외적으로는 당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조공을 재개했다. 702년 1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시호는 효소왕으로 정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02년 사망 - 의상 (신라)
의상은 신라의 승려이자 화엄종의 시조로, 당나라 유학 후 화엄 사상을 배워 귀국하여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교학을 강술하며 해동 화엄종을 개창, 세계의 연결성과 공감을 강조하는 무애사상으로 신라 불교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02년 사망 - 진자앙
진자앙은 현실 반영 시를 옹호하며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남긴 당나라 초기의 시인으로, 24세에 진사에 급제하고 측천무후의 조언자로서 정치 활동을 했으며, 독특한 방식으로 문학적 재능을 알리고 당나라 시 발전에 기여했다. - 신라의 태자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태자 - 동륜태자
동륜태자는 신라 진흥왕의 맏아들로 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고 그의 아들 진평왕이 왕위에 올랐으며, 미실과의 관계에 대한 설과 불교 진흥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효소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왕호 | |
한글 | 효소왕 |
한자 | 孝昭王 |
로마자 표기 | Hyoso Wang |
개인 정보 | |
휘 | 김이홍 (金理洪) 또는 김이공 (金理恭) |
출생 | 687년 음력 2월 |
사망 | 702년 음력 7월 27일 (15세) |
부왕 | 신문왕 |
모후 | 신목왕후 |
왕위 | |
즉위 | 692년 |
퇴위 | 702년 |
이전 국왕 | 신문왕 |
다음 국왕 | 성덕왕 |
정치 | |
국가 | 통일신라 |
재위 기간 | 692년 - 702년 |
기타 | |
능묘 | 미상 |
2. 생애
692년(재위 원년) 즉위하여 702년 10대(16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11년간 재위하였다. 측천무후에게 책봉되었으며, 김인문 사망, 시장 정비, 일본 사신 접견, 당나라 조공, 경영의 모반 진압 등의 사건이 있었다. 효소왕 사후 망덕사 동쪽에 매장되었고, 측천무후는 애도의 뜻으로 2일간 정무를 보지 않았다.[8]
2. 1. 즉위 초
692년(재위 원년), 로부터 <신라왕 보국대장군 행좌표도위대장군 계림주도독>에 책봉되었으며, 휘를 피하기 위해 좌·우이방부(理方府, 입법을 관할)를 좌·우의방부(議方府)로 개칭했다.[8] 694년(재위 3년)에 김인문이 당에서 66세의 나이로 죽었다. 695년(재위 4년)에 서시전(西市典)과 남시전(南市典)을 설치해 각각 서시(西市)와 남시(南市)를 관할케 했다. 698년 3월에는 일본으로부터 온 사자를 숭례전에서 접견했다.[6] 699년 2월에 당에 조공했다.[5] 700년(재위 9년) 5월, 이찬 경영(慶永)의 모반을 진압했으며, 중시 김순원이 이에 연루되어 파직당했다.2. 2. 대외 관계
692년(재위 원년), 당나라 측천무후에게서 <신라왕 보국대장군 행좌표도위대장군 계림주도독>으로 책봉되었다.[8] 698년(재위 7년) 3월에는 일본에서 온 사자를 숭례전에서 접견했고,[6] 699년(재위 8년) 2월에는 당나라에 조공했다.[5] 효소왕이 죽자, 측천무후는 효소왕을 위해 2일간 정무를 보지 않았다.[8]2. 3. 국내 통치
692년(재위 원년), 당 측천무후에게서 <신라왕 보국대장군 행좌표도위대장군 계림주도독>으로 책봉되었으며, 휘를 피하기 위해 입법을 관할하던 좌·우이방부(理方府)를 좌·우의방부(議方府)로 고쳤다.[8] 695년(재위 4년)에는 왕도 금성(金城, 현재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서시전(西市典)과 남시전(南市典)을 설치하여 각각 서시(西市)와 남시(南市)를 관리하게 했다. 이전까지 있던 동시[7]에 더하여 서시·남시를 새로 만들고, 시장을 관리하는 관청을 증설한 것이다.694년(재위 3년), 문무왕의 동생인 대각간 김인문이 당에서 66세로 사망했다. 700년(재위 9년) 5월에는 이찬 경영(慶永)의 모반을 진압했으며, 이 사건에 연루된 중시 김순원이 파직되었다.
역법의 변경도 시도하여, 695년에는 자월(子月, 음력 11월)을 정월로 하기로 했으며, 700년에는 인월(寅月, 하 왕조 시대에 정월로 삼았던 음력 정월)을 정월로 하려 했다는 기록이 효소왕기에 전해지고 있지만, 당시 당나라의 역법(린더력)과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2. 4. 죽음
당의 則天武后|측천무후중국어는 효소왕이 죽자 그를 위해 2일간 정무를 보지 않았다.[8] 효소왕은 재위 11년 702년 8월 24일(7월 27일)에 10대(1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시호는 효소왕으로 정하고, 망덕사(현 경주시 배반동)의 동쪽에 매장되었다. 그 왕릉은 현재의 경주시 조양동의 사적 184호에 비정되고 있다.3. 전해오는 이야기
신문왕 때(682년) 어느 날, 동해바다에서 감은사 앞으로 섬이 떠내려오면서 두 개로 갈라졌다 합쳐졌다 했다. 왕이 그 섬에 올라 용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용은 신문왕에게 흑옥대를 바치고 섬의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면 국가의 안녕을 보존할 수 있다고 했다. 왕은 그 말을 따라 만파식적(萬波息笛) 피리를 만들었다.[8][9]
당시 문무왕릉에서 동북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소용돌이치는 소가 있었고, 여기 큰 바위섬이 있다가 지금은 가라앉았다고 한다. 감포 앞바다에는 원래 섬이 12개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많은 섬들이 보이지 않고 대왕암이라는 바위만 남아 있다.[8][9]
신문왕 일행은 기림사 뒤 함월산으로 해서 월성으로 돌아갔다. 이때 왕의 수레는 기림사 서편 시냇가에서 잠시 쉬어갔다. 대궐에 있던 태자 이공(후일의 효소왕)이 옥대와 만파식적 보물을 가지고 돌아오는 신문왕을 맞으러 서라벌에서 말을 달려 이곳으로 왔다. 그리고 용의 비늘로 된 옥대의 띠판을 하나 끌러 물에 담갔더니, 띠판에 새겨진 용이 살아나 물보라를 일으키며 하늘로 올라갔다.[8][9]
이후 백성들은 이 이야기를 아름답게 새기고 기림폭포 아래 용연을 아꼈다. 통일신라의 전후 세대들은 전쟁을 예술의 경지로 변화시켜 칼 대신 만파식적이라는 피리의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태자 이공이 등장하기 이른 때였지만, 월성에서 태자 같은 누군가 기쁘게 마중 나왔을 것은 분명하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는 오래된 옥피리가 보존돼 있다.[8][9]
4. 가계
참조
[1]
뉴스
https://www.kyongbuk[...]
2020-12-19
[2]
문서
Samguk sagi, Annals of Silla, book 8, King Hyoso, year 9
[3]
뉴스
https://www.kyongbuk[...]
2020-12-19
[4]
문서
7세에 즉위한 24대 진흥왕에는 즉위 직후 왕모가 섭정을 지낸것으로 전해지나 효소왕에 대한 섭정 기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또한 즉위 당시 나이, 사망 당시 나이도 전해지지 않는다.
[5]
문서
당과 신라와의 관계 개선은 공통의 적이 된 발해의 성립(698년)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6]
문서
일본서기에 같은 해의 견신라사 기사는 없으나 7세기 말에는 빈번하게 사신의 왕래가 있었다.
[7]
문서
신라에서의 시장 설치, 시전 배치는 22대 지증마립간의 598년 동시, 동시전에 시작한다.
[8]
간행물
국어국문학자료사전(만파식적설화, 1998년, 한국사전연구사 편집)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