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영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영운수는 1979년 평안운수 광명영업소에서 분리되어 3개 노선과 14대의 버스로 시작한 운수업체이다. 현재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시내일반버스 등 18개 노선과 263대의 버스를 운영하며, 경기도 광명시, 시흥시, 서울 구로구, 금천구, 안양시 등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2022년에는 마을버스 업체인 진양교통을 계열사로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명시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1997년 대전 둔산동에 동양백화점 둔산점 타임월드로 개점하여,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백화점이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롯데리아
롯데리아는 1972년 신격호가 일본에서 설립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매장망을 구축하고 새우버거와 김치버거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2023년 젠쇼홀딩스에 매각되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화영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화영운수 주식회사 |
원어 | Hwa-young Transportation Corp.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79년 12월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경기도 광명시 도덕로 13 (광명동) |
산업 | 운수업, 유류 도소매업, 노인요양복지시설 운영업 |
서비스 | 시내버스, 주유소, 화영시니어케어센터 |
자본금 | 1,143,680,000원 (2020.12) |
매출액 | 43,882,767,480원 (2020) |
영업이익 | -5,020,794,294원 (2020) |
순이익 | -3,816,261,186원 (2020) |
자산총액 | 39,304,425,577원 (2020.12) |
주주 | 김용운: 25.82% 안산 경원여객: 14.34% 김기석: 8.72% 기타: 51.12% |
종업원 | 648명 (2020.12) |
웹사이트 | 화영운수 홈페이지 |
인물 | |
회장 | 김기석 |
대표이사 | 김용운 |
2. 역사
1979년 12월에 평안운수 광명영업소를 분리, 3개 노선과 14대의 버스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따복버스 77A번, 77B번을 제외한 전 노선이 광명시를 벗어나서 운행하고 있다.
화영운수는 2022년 1월 기준으로 총 18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263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 노선 종류는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시내일반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영운수는 광명시, 서울 구로구, 금천구, 안양시 등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본사와 영업소의 위치는 경기도 광명시 도덕로 13과 시흥시 사미길 7이다. 광명시 도덕로 13 차고지는 과거 광명운수와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2012년 2월 현재 옥길동에 별도 주차장을 증설해 차고지로 사용하고 있다. 2015년 3월 1일부터 3001번 노선이 단축되고 3002번을 신설하였다. 2017년 9월 1일부터 기존 시내버스 7번을 따복버스 77A번, 77B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2022년 계열사로 마을버스 업체인 진양교통을 설립하였다.
3. 현황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등록 대수 노선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대수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화영운수 18 - 3 - 15 263 - 28 - 241
4. 운행 노선
4. 1. 도시형버스
화영운수는 광명시, 서울 구로구, 금천구, 안양시 등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4. 2. 맞춤형버스
화영운수는 옥길동과 광명역, 광명동굴을 연결하는 맞춤형 노선인 77번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4. 3. 일반좌석버스
화영운수는 광명역과 서울 목동을 연결하는 일반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0번 버스는 광명역, 이케아 광명점, 철산역, 목동7단지 종로학원 등을 경유하며 2023년 12월 26일에 신설되었다.
4. 4. 직행좌석버스
4. 5. 광역급행버스 (국토교통부)
화영운수는 2022년 5월 16일부터 석수동과 사당역을 연결하는 광역급행버스 M5556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 노선은 석수역을 경유하며, 강남순환로를 이용하여 운행한다.
5. 이전 운행 노선
- 구 1번: 광명6동 - 개봉역 (1980년-1990년경까지 운행. 경기화학 - 시화APT단지를 경유했으며 공동운행 했으나 공동폐선되었다. 거모동차고지로 대체)
- 구 1-1번: 중앙하이츠 - 개봉역 (1990년경 운행. "중앙하이츠행-개봉역행-하안동행" 판을 돌리는 방식으로 운행했으나 폐선)
- 구 1-1번: 중앙하이츠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하안동 - 소하동 - 일직동 (2000년경까지 운행)
- 구 22번: 중앙하이츠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소하동 - 일직동 - (KTX광명역8번출구 - 광명역B주차장 - 개봉역 2004년경까지 편성 운행)
- 구 2번: 중앙하이츠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역 (2000년경까지 운행)
- 구 3번: 중앙하이츠 - 광명사거리 - 오류동역 - 경기화학 - 과림동 - 한인고교 - 군부대앞 - 금이사거리 - 도창동 - 도창초교 - 도창사거리 - 매화동
- 7번: 화영운수 차고지 - 광명역 (2017년 9월 1일 따복버스 77A번, 77B번으로 대체)
- 7-1번: 가학광산 - 광명역 (2015년 4월 3일 17번 노선 변경으로 동년 3~4월경 폐선)
- 구 77번: 광명7동 - 가리봉역 (옥길동차고지 - 광명역 - 광명동굴 따복버스 77번으로 대체)
- 100번: 중앙하이츠아파트 - 개봉역 (2008년 10월 1일 22번에서 분리, 2018년 8월 1일 폐선)
- 3000번: 광명7동차고지 - 철산역 - 광명역 (2021년 10월 1일 개통, 그린시티 차량이 운행하며 광명시를 벗어나지 않음, 2023년 1월 폐선)
6. 보유 차량
화영운수는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황해자동차/범한자동차, BYD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저상버스, 전기버스 등 친환경 차량 도입을 통해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화영운수에서 보유중인 차종은 다음과 같다.
7. 영업소 현황
화영운수는 경기도 광명시 도덕로 13 (광명동)에 본사 차고지를 두고 있으며, 경기도 광명시 성채로 100 (소하동)에 소하영업소를, 경기도 시흥시 사미길 7 (거모동)에 시흥영업소를, 경기도 시흥시 은계로 102 (은행동)에 은계차고지를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2]
문서
법인 등기부에 등록된 본점 및 지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