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강남순환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강남순환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강남구까지 연결하는 도시고속화도로이다. 1994년부터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여 2016년 7월 3일에 부분 개통되었으며, 2020년 12월 20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소하 분기점,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등을 포함한 4개의 나들목과 2개의 요금소를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물로는 관악터널, 봉천터널, 서초터널 등 4개의 터널과 여러 지하차도, 교량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봉담과천로
    봉담과천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과 과천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2014년 고시되었으며 왕복 4~8차로로 구성되어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인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남부순환로
    남부순환로는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강남구 수서 나들목까지 약 40km에 이르는 간선도로로, 1978년 지정 후 1984년 노선이 변경되었고, 과거 통행료 징수 구간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해제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강남순환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노선 번호 (안내용)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노선 번호 (관리용)서울특별시도 제07호선
총 연장13.82km
방향동서
개통일2016년 7월 3일
기점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구글 지도 검색어서울 강남순환로
경로
주요 경유지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주요 교차 도로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종점 (서쪽)서울특별시 금천구
종점 (동쪽)서울특별시 서초구
노선 정보
도로 종류서울특별시도

2. 연혁


  • 1994년 7월 ~ 1997년 5월: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5]
  • 1997년 12월 ~ 2002년 3월: 기본 및 실시설계[5]
  • 1999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도 도로안내용 노선번호를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으로 부여[8]
  • 2002년 5월 30일: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07년 4월 3일: 1단계 구간 중 4공구 구간 착공
  • 2007년 11월 20일: 1단계 구간 중 민자 구간인 5,6,7공구 구간 착공
  • 2009년 4월 1일: 1단계 구간 중 8공구 구간 착공
  • 2012년 7월: 서울특별시에서 재정악화를 이유로 완공 년도를 2016년으로 변경.[7]
  • 2013년 2월 7일: 서해안고속도로 연결허가 승인
  • 2013년 8월 1일: 시흥 UP램프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13년 8월 16일: 과천시 구간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16년 6월 9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을 서울특별시도 제07호선 '''강남순환로'''로 지정[9]
  • 2016년 6월 23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0]
  • 2016년 7월 3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 개통[11]
  • 2016년 8월 25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강남순환로'''를 고시[12]
  • 2020년 12월 20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 강남구 개포동 19.7km 구간 개통
  • 2016년 6월 30일: 수서 분기점 - 선암영업소(13.8km) 개통 (민간 투자 구간 12.4km + 공공 구간 1.4km)
  • 미정: 선암영업소 - 수서 나들목(5.1km)

3. 구성

시설물의 명칭 및 연장 등은 확정된 것이 아니므로 변경될 수 있다.


  • 출입시설: 4개소 (소하 나들목,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 교량: 12개소/총 3,741m
  • 터널: 4개소/총 10,383m (관악터널, 봉천터널, 서초터널)
  • 지하차도: 6개소 (매헌지하차도, 염곡동서지하차도, 구룡지하차도, 대모지하차도, 일원지하차도, 대청지하차도)
  • 요금소(영업소): 2개소 (금천 요금소, 선암 요금소)

3. 1. 주요 시설물

시흥대로 횡단 조감도

  • 출입시설: 4개소 (소하 나들목,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 교량: 12개소/총 3,741m
  • 터널: 4개소/총 10,383m
  • * 관악터널: 4,834m[13]
  • * 봉천터널: 3,221m
  • * 서초터널: 2,590m
  • 지하차도: 6개소
  • * 매헌지하차도: 900m
  • * 염곡동서지하차도: 640m
  • * 구룡지하차도: 770m
  • * 대모지하차도: 1,160m (예정)
  • * 일원지하차도[14]: 580m
  • * 대청지하차도: 470m (예정)
  • 요금소(영업소): 2개소(금천 요금소, 선암 요금소)


'''IC''' : 나들목
'''JC''' : 분기점
'''TG''' : 요금소
'''TN''' : 터널

유형명칭 [2]한글 명칭연결 노선위치비고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
IC
JC
소하 IC
소하 JC
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
평택파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안양천로, 금하로)
서울특별시금천구
BR호암대교호암대교
IC금천 램프금천 램프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소하 방면만
TG금천 요금소금천 요금소본선 요금소
TN관악터널관악터널rowspan=2|L= 4,834m
관악구
IC관악 IC관악 나들목신림로
TN봉천터널봉천터널신림-봉천 터널 (공사 중)L= 3,221m
IC사당 IC사당 나들목과천대로rowspan=2|
서초구
TN서초터널서초터널L= 2,620m
TG선암 요금소선암 요금소본선 요금소
IC선암 IC선암 나들목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과 직결


3. 2. 주요 터널

강남순환로의 대부분 구간은 터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터널로는 관악터널(4,834m), 봉천터널(3,221m), 서초터널(2,620m)이 있다.[16][17] 이 중 관악터널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터널 중 가장 길다.[18]

이 구간은 민간투자방식으로 건설되어 유료 도로로 운영되며, 연장 12.4km, 왕복 6~8차로로 건설되었다. 총 7736억이 투입되어 2007년 11월 20일에 착공해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완공되었으며 두산건설에서 시공했다. 이 구간에는 본선 교량 2개소(650m)도 포함되어 있다.[16][17]

낙성대-사당 구간은 신림봉천터널에 대비해 8차로로 건설했다.[19] 신림-봉천터널은 남부순환로 난곡사거리와 강남순환로 낙성대 분기점을 연결하는 터널이다. 재정사업으로 건설 중이며 2013년 공정률은 11%를 기록하였다.[20]

유형명칭 [2]한글 명칭위치비고
TN관악터널관악터널서울특별시 금천구L= 4,834m
TN봉천터널봉천터널서울특별시 관악구L= 3,221m
TN서초터널서초터널서울특별시 서초구L= 2,620m


4. 노선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강남구 수서동까지 이어지는 강남순환로는 총 연장 34.8km, 폭 4~8차로의 고속화도로로 계획되었다.[5]

1단계 구간인 금천구 독산동 ~ 강남구 수서동 구간(23.2km)은 2007년 착공하여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6] 서울특별시의 재정 악화로 인해 2016년으로 연기되었다.[7] 2016년 7월 3일, 민자 구간을 포함한 13.82km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인 영등포구 양평동 ~ 금천구 독산동 구간(11.6km)은 2011년 착공하여 2016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으로 변경되어 서부간선지하도로라는 이름으로 2016년 3월 1일 착공, 2021년 9월 1일 개통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도 강남을 순환하는 도로의 일부이지만, 강남순환로로 도로명을 부여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강남순환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를 지난다.

'''IC'''는 나들목(Interchange), '''JC'''는 분기점(Junction), '''TG'''는 요금소(Tollgate), '''TN'''은 터널(Tunnel)을 의미한다.

(): 고속도로 구간

유형명칭 [2]한글 명칭연결 노선위치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
IC
JC
소하 IC
소하 JC
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
평택파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안양천로, 금하로)
서울특별시금천구
BR호암대교호암대교
IC금천 램프금천 램프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소하 방면만
TG금천 요금소금천 요금소본선 요금소
TN관악터널관악터널L= 4,834m
IC관악 나들목관악 나들목신림로관악구
TN봉천터널봉천터널신림-봉천터널 (공사 중)L= 3,221m
IC사당 나들목사당 나들목과천대로서초구
TN서초터널서초터널L= 2,620m
TG선암 TG선암 요금소서울특별시 서초구본선 요금소
IC선암 나들목선암 나들목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과 직결


4. 1. 전체 노선

JC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서울특별시금천구BR호암대교IC금천 램프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선암 방면 진출 불가
소하 방면 진입 불가TG금천 요금소민자 구간[2], 본선요금소TN관악터널rowspan=2|민자 구간[2], 연장 4,834m관악구IC관악 나들목신림로민자 구간[2]TN봉천터널신림봉천터널 (공사중)민자 구간[2], 연장 3,221mIC사당 나들목과천대로민자 구간[2]서초구TN서초터널민자 구간[2], 연장 2,620mTG선암 요금소민자 구간[2], 본선요금소IC선암 나들목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매헌지하차도재정구간, 연장 900m염곡동서지하차도재정구간, 연장 640m구룡지하차도강남구재정구간, 연장 770m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와 직결


4. 2. 구간별 특징

평택파주고속도로소하 나들목에서 직결되는 형태로 시작하여, 시흥대로를 횡단하는 호암대교를 통해 금천 요금소로 이어진다. 이후 대부분 구간은 터널이며,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간은 민간투자방식으로 건설되어 유료로 운영되며, 두산건설이 시공하였다. 주요 시설물로는 관악터널, 봉천터널, 서초터널 등의 터널과 교량, 그리고 여러 지하차도가 있다.[16][17]

남부순환로 난곡사거리와 강남순환로 낙성대 분기점을 연결하는 신림-봉천터널은 현재 재정사업으로 건설 중이다.[20]

4. 2. 1. 소하 분기점 ~ 금천 요금소 구간

평택파주고속도로소하 나들목에서 바로 연결되며, 시흥대로를 가로지르는 820m 길이의 호암대교를 통해 금천 요금소로 이어진다. 이 공사와 함께 소하 나들목 구간인 시흥대교 방면 진출로에서 안양천로로 이어지는 진입도로 구간에 760m 길이의 지하차도 건설도 함께 진행되었다.[15]

유형명칭 [2]한글 명칭연결 노선위치비고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
IC
JC
소하IC
소하JC
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
평택파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안양천로, 금하로)
서울특별시금천구
BR호암대교호암대교
IC금천 램프금천 램프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소하 방면만
TG금천 요금소금천 요금소본선 요금소


4. 2. 2. 금천 요금소 ~ 선암 요금소 구간

이 구간은 대부분 터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이 설치되었다. 민간투자방식으로 건설되어 유료 도로로 운영되며, 연장 12.4km, 왕복 6~8차로로 건설되었다. 총 7736억이 투입되어 2007년 11월 20일에 착공해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완공되었으며 두산건설에서 시공했다.[16][17]

이 구간에는 관악터널(4,834m), 봉천터널(3,221m), 서초터널(2,620m) 3개소, 본선 교량 2개소(650m)가 있다.[16][17] 이 중 관악터널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터널 중 가장 길다.[18] 낙성대- 사당 구간은 신림봉천터널에 대비해 8차로로 건설했다.[19]

'''IC''' : 나들목
'''JC''' : 분기점
'''TG''' : 요금소
'''TN''' : 터널

유형명칭 [2]한글 명칭연결 노선위치비고
TG금천 요금소금천 요금소서울특별시 금천구본선 요금소
TN관악터널관악터널rowspan=2|L= 4,834m
IC관악 IC관악 나들목신림로서울특별시 관악구
TN봉천터널봉천터널신림-봉천 터널 (공사 중)L= 3,221m
IC사당 IC사당 나들목과천대로서울특별시 서초구
TN서초터널서초터널L= 2,620m
TG선암 TG선암 요금소본선 요금소


4. 2. 3. 선암 요금소 ~ 수서 나들목 구간


유형명칭[2]한글 명칭연결 노선위치비고
TG선암 TG선암 요금소서울특별시 서초구본선 요금소
IC선암 IC선암 나들목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과 직결

5. 통행료

2020년 4월 1일 기준으로, 7월 3일 개통할 때부터 통행료가 징수된다.[22] 금천영업소와 선암영업소를 통과할 때만 요금을 지불한다.

구분금천 요금소선암 요금소전 구간
경차850KRW850KRW1700KRW
소형차1700KRW1700KRW3400KRW
중형차2900KRW2900KRW5800KRW


6. 주의 사항

강남순환로는 개통과 동시에 전체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어 보행자, 자전거, 손수레, 우마차 등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의 경우 긴급자동차로 지정된 이륜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나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초소형 전기자동차, 농기계 등은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또 내부순환로, 올림픽대로, 북부간선도로와 마찬가지로 10톤 이상 화물자동차와 가스나 유류, 유독물, 농약 등의 위험물질 운반차량, 건설기계 차량과 폭발물 운반차량도 통행이 제한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016-1381호 http://www2.seoul.go[...] 2016-06-30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뉴스 서울 강남순환로 개통…"금천∼강남 30분 단축"(종합) http://www.yonhapnew[...]
[4] 뉴스 강남순환고속도로 착공 http://www.ytn.co.kr[...] YTN 2007-07-26
[5] 웨이백 강남순환고속도로 25일 착공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07-24
[6] 깨진 링크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남부구간 25일 착공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07-07-24
[7] 웨이백 서울시, 강남순환고속도 완공 2년 연기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2-07-18
[8]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999-658호 http://event.seoul.g[...] 1999-08-16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6-159호 http://event.seoul.g[...] 2016-06-09
[10]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016-1330호 http://event.seoul.g[...] 2016-06-23
[11]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016-1381호 http://event.seoul.g[...] 2016-06-30
[12] 간행물 행정자치부고시 제2016-34호 http://gwanbo.mois.g[...] 2016-08-25
[13] 문서 서울특별시에서 길이가 가장 긴 터널이다.
[14] 문서 기존 왕복 6차로에서 4차로로 축소될 예정이다.
[15] 깨진 링크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4공구) 건설공사(금천구 독산동 ~ 광명시 소하동 ~ 금천구 시흥동)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2010-02-12
[16] 웹사이트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사업현황 http://www.kangnambe[...] 강남순환도로(주)
[17] 깨진 링크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민자구간 건설(금천구 시흥동 ~ 서초구 우면동)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2010-02-12
[18] 뉴스 강남 내부순환로 내년말 착공…서울시 조기건설 추진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0-10-05
[19] 깨진 링크 http://news.mk.co.kr[...]
[20] 웹사이트 https://opengov.seou[...]
[21] 깨진 링크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건설공사(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건설공사(8공구))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2010-02-12
[22] 문서 유료도로 통행료의 수납에 관한 변경 공고(서울특별시공고 제2020-810호)에 의거 2020년 4월 1일부터 통행요금이 인상됨
[23] 문서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24]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25] 문서 안내용은 도로이정표에 표기되는 번호이며, 도로법에 의한 노선과는 별도로 지정된 것이다.
[26] 문서 하이패스 이용 불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