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순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남순환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강남구까지 연결하는 도시고속화도로이다. 1994년부터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여 2016년 7월 3일에 부분 개통되었으며, 2020년 12월 20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소하 분기점,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등을 포함한 4개의 나들목과 2개의 요금소를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물로는 관악터널, 봉천터널, 서초터널 등 4개의 터널과 여러 지하차도, 교량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봉담과천로
봉담과천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과 과천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2014년 고시되었으며 왕복 4~8차로로 구성되어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인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남부순환로
남부순환로는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강남구 수서 나들목까지 약 40km에 이르는 간선도로로, 1978년 지정 후 1984년 노선이 변경되었고, 과거 통행료 징수 구간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해제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강남순환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번호 (안내용) |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
노선 번호 (관리용) | 서울특별시도 제07호선 |
총 연장 | 13.82km |
방향 | 동서 |
개통일 | 2016년 7월 3일 |
기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
구글 지도 검색어 | 서울 강남순환로 |
경로 |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종점 (서쪽) | 서울특별시 금천구 |
종점 (동쪽) | 서울특별시 서초구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
2. 연혁
- 1994년 7월 ~ 1997년 5월: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5]
- 1997년 12월 ~ 2002년 3월: 기본 및 실시설계[5]
- 1999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도 도로안내용 노선번호를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으로 부여[8]
- 2002년 5월 30일: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07년 4월 3일: 1단계 구간 중 4공구 구간 착공
- 2007년 11월 20일: 1단계 구간 중 민자 구간인 5,6,7공구 구간 착공
- 2009년 4월 1일: 1단계 구간 중 8공구 구간 착공
- 2012년 7월: 서울특별시에서 재정악화를 이유로 완공 년도를 2016년으로 변경.[7]
- 2013년 2월 7일: 서해안고속도로 연결허가 승인
- 2013년 8월 1일: 시흥 UP램프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13년 8월 16일: 과천시 구간 도시계획시설(도로)로 결정
- 2016년 6월 9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을 서울특별시도 제07호선 '''강남순환로'''로 지정[9]
- 2016년 6월 23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0]
- 2016년 7월 3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과천시 주암동 13.82km 구간 개통[11]
- 2016년 8월 25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강남순환로'''를 고시[12]
- 2020년 12월 20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 강남구 개포동 19.7km 구간 개통
- 2016년 6월 30일: 수서 분기점 - 선암영업소(13.8km) 개통 (민간 투자 구간 12.4km + 공공 구간 1.4km)
- 미정: 선암영업소 - 수서 나들목(5.1km)
3. 구성
시설물의 명칭 및 연장 등은 확정된 것이 아니므로 변경될 수 있다.
- 출입시설: 4개소 (소하 나들목,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 교량: 12개소/총 3,741m
- 터널: 4개소/총 10,383m (관악터널, 봉천터널, 서초터널)
- 지하차도: 6개소 (매헌지하차도, 염곡동서지하차도, 구룡지하차도, 대모지하차도, 일원지하차도, 대청지하차도)
- 요금소(영업소): 2개소 (금천 요금소, 선암 요금소)
3. 1. 주요 시설물

- 출입시설: 4개소 (소하 나들목, 관악 나들목, 사당 나들목, 선암 나들목)
- 교량: 12개소/총 3,741m
- 터널: 4개소/총 10,383m
- * 관악터널: 4,834m[13]
- * 봉천터널: 3,221m
- * 서초터널: 2,590m
- 지하차도: 6개소
- * 매헌지하차도: 900m
- * 염곡동서지하차도: 640m
- * 구룡지하차도: 770m
- * 대모지하차도: 1,160m (예정)
- * 일원지하차도[14]: 580m
- * 대청지하차도: 470m (예정)
- 요금소(영업소): 2개소(금천 요금소, 선암 요금소)
'''IC''' : 나들목
'''JC''' : 분기점
'''TG''' : 요금소
'''TN''' : 터널
- (■): 고속도로 구간
유형 | 명칭 [2] | 한글 명칭 | 연결 노선 | 위치 | 비고 | |
---|---|---|---|---|---|---|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 | ||||||
IC JC | 소하 IC 소하 JC | 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 | 평택파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안양천로, 금하로) | 서울특별시 | 금천구 | |
BR | 호암대교 | 호암대교 | ||||
IC | 금천 램프 | 금천 램프 | 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 | 소하 방면만 | ||
TG | 금천 요금소 | 금천 요금소 | 본선 요금소 | |||
TN | 관악터널 | 관악터널 | rowspan=2| | L= 4,834m | ||
관악구 | ||||||
IC | 관악 IC | 관악 나들목 | 신림로 | |||
TN | 봉천터널 | 봉천터널 | 신림-봉천 터널 (공사 중) | L= 3,221m | ||
IC | 사당 IC | 사당 나들목 | 과천대로 | rowspan=2| | ||
서초구 | ||||||
TN | 서초터널 | 서초터널 | L= 2,620m | |||
TG | 선암 요금소 | 선암 요금소 | 본선 요금소 | |||
IC | 선암 IC | 선암 나들목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과 직결 |
3. 2. 주요 터널
강남순환로의 대부분 구간은 터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터널로는 관악터널(4,834m), 봉천터널(3,221m), 서초터널(2,620m)이 있다.[16][17] 이 중 관악터널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터널 중 가장 길다.[18]이 구간은 민간투자방식으로 건설되어 유료 도로로 운영되며, 연장 12.4km, 왕복 6~8차로로 건설되었다. 총 7736억원이 투입되어 2007년 11월 20일에 착공해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완공되었으며 두산건설에서 시공했다. 이 구간에는 본선 교량 2개소(650m)도 포함되어 있다.[16][17]
낙성대-사당 구간은 신림봉천터널에 대비해 8차로로 건설했다.[19] 신림-봉천터널은 남부순환로 난곡사거리와 강남순환로 낙성대 분기점을 연결하는 터널이다. 재정사업으로 건설 중이며 2013년 공정률은 11%를 기록하였다.[20]
유형 | 명칭 [2] | 한글 명칭 | 위치 | 비고 | |
---|---|---|---|---|---|
TN | 관악터널 | 관악터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L= 4,834m | |
TN | 봉천터널 | 봉천터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L= 3,221m | |
TN | 서초터널 | 서초터널 | 서울특별시 서초구 | L= 2,620m |
4. 노선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강남구 수서동까지 이어지는 강남순환로는 총 연장 34.8km, 폭 4~8차로의 고속화도로로 계획되었다.[5]
1단계 구간인 금천구 독산동 ~ 강남구 수서동 구간(23.2km)은 2007년 착공하여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6] 서울특별시의 재정 악화로 인해 2016년으로 연기되었다.[7] 2016년 7월 3일, 민자 구간을 포함한 13.82km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인 영등포구 양평동 ~ 금천구 독산동 구간(11.6km)은 2011년 착공하여 2016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으로 변경되어 서부간선지하도로라는 이름으로 2016년 3월 1일 착공, 2021년 9월 1일 개통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도 강남을 순환하는 도로의 일부이지만, 강남순환로로 도로명을 부여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강남순환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를 지난다.
'''IC'''는 나들목(Interchange), '''JC'''는 분기점(Junction), '''TG'''는 요금소(Tollgate), '''TN'''은 터널(Tunnel)을 의미한다.
(■): 고속도로 구간
유형 | 명칭 [2] | 한글 명칭 | 연결 노선 | 위치 | |
---|---|---|---|---|---|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 | |||||
IC JC | 소하 IC 소하 JC | 소하 나들목 소하 분기점 | 평택파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안양천로, 금하로) | 서울특별시 | 금천구 |
BR | 호암대교 | 호암대교 | |||
IC | 금천 램프 | 금천 램프 | 국도 제1호선 (시흥대로) | 소하 방면만 | |
TG | 금천 요금소 | 금천 요금소 | 본선 요금소 | ||
TN | 관악터널 | 관악터널 | L= 4,834m | ||
IC | 관악 나들목 | 관악 나들목 | 신림로 | 관악구 | |
TN | 봉천터널 | 봉천터널 | 신림-봉천터널 (공사 중) | L= 3,221m | |
IC | 사당 나들목 | 사당 나들목 | 과천대로 | 서초구 | |
TN | 서초터널 | 서초터널 | L= 2,620m | ||
TG | 선암 TG | 선암 요금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본선 요금소 | |
IC | 선암 나들목 | 선암 나들목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과 직결 |
4. 1. 전체 노선
JC소하 분기점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소하 방면 진입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