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환삼덩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삼덩굴속은 홉(Humulus)을 포함하는 속으로, 굴대에 속하며 덩굴손 대신 튼튼한 줄기와 뻣뻣한 털로 기어 올라간다. 이 속의 식물은 초봄에 새싹이 돋고 가을에 뿌리줄기로 되돌아가는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이며,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홉 꽃을 생산하는 암컷 식물은 영양 번식으로 번식한다. 홉은 쓴맛을 내는 산, 특히 알파산과 베타산을 함유하여 맥주의 쓴맛, 풍미, 향을 부여하며,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환삼덩굴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맥주 양조용 홉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과 -
    홉은 삼과의 덩굴식물로,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암꽃의 구과에 쓴맛과 향, 풍미를 부여하고 보존성을 높여주는 루풀린을 함유하며,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 삼과 - 푸조나무
    푸조나무는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반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톱니가 있는 잎과 황색 단풍, 흑자색 열매가 특징이며, 관상수, 섬유, 목재, 연마재로 이용되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환삼덩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적인 호프 식물 (Humulus lupulus)
일반적인 호프 식물 (Humulus lupulus)
학술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장미목
삼과
환삼덩굴속 (Humulus)
명명자L.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본문 참조.
동의어Lupulus Mill.
Waldensia Lavy

2. 식물학적 특징

환삼덩굴속은 미국에서는 홉 "덩굴"로 자주 불리지만, 기술적으로는 굴대이다. 덩굴은 덩굴손, 흡반 등을 사용하여 스스로를 부착하지만, 굴대는 튼튼한 줄기와 뻣뻣한 털을 이용하여 기어 올라간다. 영국 문헌에서는 "덩굴"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포도속 ''Vitis''에 사용된다. 환삼덩굴속(''Humulus'')은 초봄에 새싹을 내고 가을에 추위에 강한 뿌리줄기로 되돌아가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이다. 홉 싹은 매우 빠르게 자라며, 성장 정점에서는 일주일에 20cm에서 50cm까지 자랄 수 있다. 홉 굴대는 닿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시계 방향으로 감싸며 기어 올라가는데, Humulus japonicus는 예외이다. 개별 굴대는 일반적으로 2m에서 15m까지 자란다. 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7cm에서 12cm이고, 심장 모양의 부채 모양 잎몸은 12cm에서 25cm의 길이와 폭을 갖는다. 잎 가장자리는 거칠게 톱니 모양이다. 홉 굴대가 기어오를 재료가 고갈되면, 수평 싹이 주요 줄기의 잎 사이에서 돋아나 서로 얽힌 줄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홉 식물의 수꽃과 암꽃은 자웅이주이며, 별도의 식물에서 발달한다.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홉 꽃을 생산하는 암컷 식물은 종종 영양 번식으로 번식하며 수컷 식물이 없는 상태에서 자란다. 이는 수분 및 생존 가능한 씨앗의 발달을 방지하며, 씨앗에서 지방산이 유입되어 맥주 양조에 바람직하지 않은 맛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때때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2. 1. 홉의 쓴맛 성분

홉을 양조 과정에 첨가하여 나타나는 특징적인 쓴맛은 주로 프레닐화된 아실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인 쓴맛을 내는 산의 존재 때문이다.[1] 쓴맛을 내는 산은 알파산(주요 화합물은 휴물론)과 베타산(주요 화합물은 루풀론)으로 나뉜다.[1] 알파산은 양조 과정에서 이성화되어 이소알파산을 형성하며, 이 자체도 쓴맛을 낸다.[1] 이러한 홉 산은 비닐로거스산으로, 링 및 치환기 카르보닐 그룹과 결합된 산성 링 에놀을 포함한다.[1] ''Humulus'' 속의 식물은 테르페노페놀 대사 산물을 생성한다.[1] 홉은 또한 크산토휴몰, 프레닐화된 칼콘 및 기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1]

3. 분류

2020년 10월 기준으로 다음 종들이 인정되었다.[9]


  • Humulus americanus
  • Humulus cordifolius
  • Humulus lupulus
  • Humulus neomexicanus
  • Humulus pubescens
  • Humulus scandens (동의어: 환삼덩굴)
  • Humulus yunnanensis


맥주 양조용 홉(특정 품종)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며, 자세한 내용은 홉 품종 목록 문서를 참조한다.

3. 1. 홉 품종

맥주 양조용 홉(특정 품종)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며, 홉 품종 목록 문서를 참조한다.

4. 용도

환삼덩굴속은 미국 문헌에서 홉 "덩굴"로 자주 언급되지만, 기술적으로는 굴대이다. 덩굴은 덩굴손, 흡반 등을 사용하여 스스로를 부착하지만, 굴대는 튼튼한 줄기와 뻣뻣한 털로 기어 올라간다. 영국 문헌에서 "덩굴"은 주로 포도속 ''Vitis''에 사용된다. ''Humulus''는 초봄에 새싹을 내고 가을에 뿌리줄기로 돌아가는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이다. 홉 싹은 매우 빠르게 자라며, 성장 정점에서는 일주일에 20cm에서 50cm 자랄 수 있다. 홉 굴대는 닿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시계 방향으로 감싸며 기어 올라가며(''Humulus japonicus'' 제외), 일반적으로 2m에서 15m 사이로 자란다.

홉 식물의 수꽃과 암꽃은 자웅이주이며, 별도의 식물에서 발달한다.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홉 꽃을 생산하는 암컷 식물은 종종 영양 번식으로 번식하며 수컷 식물이 없는 상태에서 자란다. 이는 수분 및 생존 가능한 씨앗의 발달을 방지하며, 씨앗에서 지방산이 유입되어 맥주 양조에 바람직하지 않은 맛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때때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홉을 양조 과정에 첨가하여 부여되는 특징적인 쓴맛은 주로 쓴맛을 내는 산, 즉 프레닐화된 아실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의 존재 때문이다. 쓴맛을 내는 산은 알파산(주요 화합물은 휴물론)과 베타산(루풀론이 주요 화합물)으로 나뉜다. 알파산은 양조 과정에서 이성화되어 이소알파산을 형성하며, 이 자체도 쓴맛을 낸다. 이러한 홉 산은 비닐로거스산으로, 링 및 치환기 카르보닐 그룹과 결합된 산성 링 에놀을 포함한다. ''Humulus'' 속의 식물은 테르페노페놀 대사 산물을 생성한다. 홉은 또한 크산토휴몰, 프레닐화된 칼콘 및 기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맥주는 맥아즙과 함께 끓여 양조하며, 때로는 발효 후에 첨가되기도 하는데, 이는 완제품에 쓴맛, 풍미, 향을 부여한다.[10]

4. 1. 약용

약학에서 "lupulus"는 홉을 지칭한다. 암컷 ''H. lupulus'' 식물의 건조된 수꽃차례(일반적으로 홉 콘이라고 함)는 홉 달임물, 홉 팅크 및 홉 추출물을 준비하는 데 사용된다.[11] 홉이 함유한 일부 화합물은 잠재적인 건강 특성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다.[8]

5. 환삼덩굴과 관련된 문제점 (한국)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2] 웹사이트 Interactive Agricultural Ecological Atlas of Russia and Neighboring Countries. Economic Plants and their Diseases, Pests and Weeds. Humulus lupulus. http://www.agroatlas[...] 2012-03-10
[3] 서적 Chemistry and analysis of hop and beer bitter acids Elsevier
[4] 논문 A Kinetic Study on the Isomerization of Hop α-Acids 2008-08
[5] 논문 Absolute Configuration of Beer′s Bitter Compounds 2013-01-28
[6] 논문 Fundamentals of beer and hop chemistry 2000-02
[7] 서적 Recent Advances in Phytochemistry
[8] 논문 Xanthohumol and related prenylflavonoids from hops and beer: to your good health! 2004-05
[9] 웹사이트 Humulus L. https://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10] 논문 Humulus lupulus - a story that begs to be told. A review: Humulus lupulus - a story that begs to be told 2014-09
[11] 간행물 Hop Colli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