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삼덩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삼덩굴은 '아시아 홉', '일본 홉' 또는 '야생 홉'으로 불리며, 학명은 Humulus japonicus이다. 덩굴식물로, 줄기와 잎에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얽히며, 잎은 손바닥 모양이다.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꽃이 피며, 수꽃과 암꽃이 따로 핀다. 아시아 온대 지역이 원산지이나, 북아메리카로 유입되어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중국 전통 의학에서 이뇨 및 해열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며,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맥주 양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과 - 홉
홉은 삼과의 덩굴식물로, 맥주 양조에 사용되는 암꽃의 구과에 쓴맛과 향, 풍미를 부여하고 보존성을 높여주는 루풀린을 함유하며,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 삼과 - 푸조나무
푸조나무는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반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톱니가 있는 잎과 황색 단풍, 흑자색 열매가 특징이며, 관상수, 섬유, 목재, 연마재로 이용되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한다. - 1846년 기재된 식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1846년 기재된 식물 - 닥나무
닥나무는 뽕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높이 2~5m까지 자라고, 한지의 원료로 재배되어 사람이 사는 곳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환삼덩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Humulus japonicus |
학명 명명자 | Siebold & Zucc. |
이명 | Humulus scandens (Lour.) Merr. |
속 | 환삼덩굴속 |
과 | 삼과 |
목 | 장미목 |
미분류_목 | 장미군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_문 | 속씨식물군 |
계 | 식물계 |
화명 | 카나무구라 |
영어 이름 | Japanese hop (재패니즈 홉) |
생태 정보 |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 생태교란 식물 |
유럽 연합 목록 | 규제 대상 침입 외래종 |
2. 명칭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영어)은 "아시아 홉"(Asian hop), "일본 홉"(Japanese hop) 또는 "'''야생 홉'''"(wild hop)[4]이라는 일반명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어(만다린)로는 ''lü cao'' (葎草|뤼차오중국어)라고 불리며, 일본어로는 kanamugura|가나무구라일본어라고 불린다.
3. 형태
5-9개의 엽으로 잘 발달된 잎의 뒷면은 털이 있지만 밀집되지는 않았다. 열매이삭은 드물게 2cm보다 길며, 포와 포엽은 1cm 미만이고, 현저한 가시털이 있다.
3. 1. 줄기 및 잎
잎은 손바닥 모양이며, 줄기에는 억센 털이 있다. 환삼덩굴은 다른 식물을 휘감아서 말라죽게 함으로써 서식지를 넓혀가는데, 환삼덩굴을 제거하지 않으면 기존 고유 식물들이 살 곳이 좁아지게 된다. 환삼덩굴의 줄기는 인간의 피부에 해로워서 닿으면 가렵고 따갑다. 잎벌레와 네발나비의 먹이식물이기도 하다.
암수딴그루 덩굴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신장이 왕성하여 한 면에 넓게 퍼진다. 줄기에서 잎자루에 걸쳐 아래를 향한 작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다른 물체에 얽힌다.
잎은 긴 잎자루로 마주나며, 잎몸은 길이 5 - 12센티미터 정도의 5 - 7갈래로 깊게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많고, 잎의 표면은 거친 털이 있어 거칠다.
3. 2. 꽃
개화기는 늦여름부터 가을(8월~10월)이며, 수나무는 분지한 꽃대를 뻗어 원추화서에 드문드문 달리고, 가는 연녹색의 수꽃을 많이 붙인다.[1] 수꽃의 꽃덮이는 보통 4개 있으며, 수술은 큰 약이 붙는다.[1] 암꽃은 암나무의 잎겨드랑이에서 꽃대를 뻗어 아래로 짧은 이삭 모양의 꽃차례를 늘어뜨리고, 꽃차례에 뭉쳐 있는 듯한 포에 싸인 자갈색 꽃을 피운다.[1] 암꽃에 붙는 포는 끝이 뾰족하고 짙은 자색 무늬가 있다.[1] 암꽃은 수분 후에 성숙하여 열매가 되면 적자색을 띤다. 꽃차례에서 수꽃차례는 곧게 서고 15–25cm이며, 꽃의 꽃밥에는 분비샘이 없다. 암꽃차례는 이삭 모양이고 원뿔형이며 난형이다. 포엽은 난상 원형이고 7–10mm이며 털이 많고 가장자리는 빽빽한 털이 있다. 열매이삭은 처져 있고 녹색이며 원뿔 모양이고 난형에서 장타원형, (1–)1.5–3(–4) cm이다. 포엽에는 노란색 분비샘이 없다.
3. 3. 열매
열매이삭은 처져 있고, 녹색이며, 원뿔 모양이고, 난형에서 장타원형이며, 크기는 (1–)1.5–3(–4) cm이다. 포엽에는 노란색 분비샘이 없다. 암꽃은 수분 후 성숙하여 열매가 되면 적자색을 띤다.
4. 분포 및 생태
환삼덩굴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한다. 북아메리카에서의 분포 범위를 보면 미국 남부 지역에서 캐나다 북부 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환경에서 번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떤 지역에서든 빠르게 자라 덮을 수 있는데, 1acre에서 수천 개의 환삼덩굴이 자랄 수 있으며, 지역 식생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다. 덩굴은 여름 동안 빠르게 자라 길을 따라 모든 것을 타고 올라가 수 피트 깊이의 빽빽한 매트를 형성하여 아래에 있는 식물에 빛을 차단한다.
4. 1. 분포
환삼덩굴은 아시아의 온대 지역(중국, 일본, 한국, 타이완, 러시아 극동)과 베트남, 라오스의 열대 환경이 원산지이다. 19세기 말 북아메리카로 수입된 이후 침입종이 되었다.북아메리카에서 매우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캐나다 동부와 미국 동부 절반에서 발견되며,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미국에서 환삼덩굴의 분포 범위는 네브래스카/노스다코타에서 메인까지이며, 미네소타에서 조지아까지이다.
햇빛, 수분, 영양분이 풍부한 토양이 충분하면 잘 자라며, 하천 둑과 범람원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그늘진 곳과 건조한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온화한 기후에서는 겨울을 날 수 있다.
중국 대륙, 타이완 및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의 범위에 분포한다. 들판, 길가, 황무지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자생한다. 또한 질소를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여 축산, 농업, 가정 배수 등의 영향으로 부영양화된 토양 등에서 더 번식하여 우점종이 되는 경향이 강하다.[5]
미국에서는 원예용으로 재배된 것이 야생화되어 외래 잡초가 되었다.[6]
4. 2. 생태
잎은 손바닥 모양이며, 줄기는 억센 털이 있다. 환삼덩굴은 들이나 길가에서 자라며, 다른 식물을 휘감아서 말라죽게 함으로써 서식지를 넓혀간다. 따라서 환삼덩굴을 잡초제거작업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기존 고유식물들이 살 곳이 좁아지게 된다. 환삼덩굴의 줄기는 인간의 피부에 해로워서 환삼덩굴이 피부에 닿으면 가렵고 따갑다. 잎벌레와 네발나비의 먹이식물이다. 어미나비가 환삼덩굴의 잎에 알을 낳으면, 부화한 애벌레는 잎을 먹으면서 자라다가 네발나비과 나비들의 습성에 따라 거꾸로 매달려 번데기가 된다.씨앗은 이른 봄에 발아하지만, 조건이 좋으면 계속해서 출현할 수 있다. 씨앗은 사람, 동물, 기계, 홍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 환삼덩굴은 햇빛, 수분, 영양분이 풍부한 토양이 충분하면 잘 자라며, 하천 둑과 범람원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그늘진 곳과 건조한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온화한 기후에서는 겨울을 날 수 있다.
환삼덩굴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 북미에서의 분포 범위는 미국 남부 지역에서 캐나다 북부 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환경에서 번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어떤 지역에서든 빠르게 자라 덮을 수 있다. 1acre에서 수천 개의 환삼덩굴이 자랄 수 있으며, 지역 식생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다. 덩굴은 여름 동안 빠르게 자라 길을 따라 모든 것을 타고 올라가 수 피트 깊이의 빽빽한 매트를 형성하여 아래에 있는 식물에 빛을 차단한다.
중국 대륙, 타이완 및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의 범위에 분포한다. 들판, 길가, 황무지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자생한다. 또한 질소를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여 축산, 농업, 가정 배수 등의 영향으로 부영양화된 토양 등에서 더 번식하여 우점종이 되는 경향이 강하다.[5] 미국에서는 원예용으로 재배된 것이 야생화되어 외래 잡초가 되었다.[6]
5. 알레르기
6. 이용
환삼덩굴은 19세기에 관상용 및 아시아 강장제의 원료로 미국에 도입되었다. 맥주 생산에 사용되는 양조용 홉(''Humulus lupulus'')과는 달리, 맥주 맛을 내는 데 사용되는 쓴맛 산과 에센셜 오일이 부족하고 루풀린 샘이 없거나 거의 생성되지 않아 양조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6. 1. 전통 의학
중국 전통 의학에서 "lü cao"로 알려진 환삼덩굴은 드물게 사용되며, 이뇨 및 열을 식히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줄기와 잎, 꽃은 약초로 사용되며, 쓴맛이 있어 건위, 이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름에 줄기와 잎을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건위, 이뇨, 방광염에 하루 5 - 10g의 율초를 400ml의 물로 약한 불에서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건위에는 꽃 이삭 하루 5 - 8g을 400ml의 물로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6. 2. 민간 요법
19세기에 관상용 및 아시아 강장제의 원료로 미국에 도입되었다. 중국 전통 의학에서 "lü cao"로 알려진 이 허브는 드물게 사용되며, 이뇨 및 열을 식히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맥주 생산에 사용되는 양조용 홉의 품종인 일반적인 홉 ''Humulus lupulus''와 관련이 있지만, 환삼덩굴은 맥주 맛을 내는 데 사용되는 쓴맛 산과 에센셜 오일이 부족하며, 루풀린 샘이 없거나 (또는 수지 샘이 거의 생성되지 않음)이므로 양조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줄기와 잎, 꽃은 약초로 사용되며, 쓴맛이 있어 건위, 이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름에 줄기와 잎을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건위, 이뇨, 방광염에 1일 5g - 10g의 율초를 물 400ml로 약한 불에서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이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건위에는 꽃 이삭 1일 5g - 8g을 물 400ml로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7. 유사종
- 홉
- 당화초
8. 기타
만엽집에 등장하는 "야에무구라(八重葎)"는 현대와는 달리 꼭두서니과의 갈퀴덩굴이 아닌 본 종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네발나비의 식초이다.
9.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umulus scandens'' (Lour.) Merr."
https://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2]
웹사이트
Union list
https://ec.europa.eu[...]
2021-06
[3]
웹사이트
European Regulation on IAS
https://eur-lex.euro[...]
2021-06
[4]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1-04
[5]
논문
土壌の富栄養化が農村地域の河川周辺雑草群落の動態に及ぼす影響
https://cir.nii.ac.j[...]
1997-08-30
[6]
웹사이트
Invasive.org
http://www.invasive.[...]
[7]
논문
アレルギー性疾患の研究(第6報) : クワモドキ及びカナムグラについて
https://cir.nii.ac.j[...]
1965-04-30
[8]
간행물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