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진은 동진 말기의 인물로, 환온의 손자이자 환희의 아들이다. 404년 환현이 유유에게 패망한 후, 환현 정권의 잔당을 이끌고 동진에 대항했다. 강릉을 점거하고 안제를 억류했으며, 폭정을 일삼았다. 유의 등의 공격으로 강릉을 잃고 도주했으나, 다시 강릉을 점령하고 형주자사를 참칭했다. 그러나 유의와 당흥에게 패하여 전사했고, 강릉은 동진에 반환되었다. 환진은 과단하고 거친 성격이었으며, 품행이 좋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초 (동진) 사람 - 환현 (동진)
환현은 동진 말기에 권력을 잡고 환초를 건국했으나 유유의 반란으로 몰락한 환온의 아들이다. - 환초 (동진) 사람 - 동진 공제
동진 공제는 동진의 11대 황제이자 유유의 괴뢰 황제였으며, 환현의 난과 유유의 권력 장악으로 정치적 입지를 잃고 유유에게 선양을 강요당해 동진이 멸망한 후 암살되었다. - 405년 사망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05년 사망 - 모용덕
모용덕은 전연의 모용황의 아들로, 후연을 거쳐 남연을 건국하고 연왕을 자칭했으며, 400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건평으로 개원했다. - 패군 환씨 - 환현 (동진)
환현은 동진 말기에 권력을 잡고 환초를 건국했으나 유유의 반란으로 몰락한 환온의 아들이다. - 패군 환씨 - 환온
환온은 동진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군사적 능력으로 공을 세우고 북벌을 추진했으나, 권력욕을 드러내 찬탈을 시도했으며, 사후 아들에 의해 황제로 추존되었다.
환진 | |
---|---|
기본 정보 | |
칭호 | 황제 |
대수 | 제3대 |
재위 기간 | 405년 |
도읍 | 강릉 |
휘 | 환진 |
생년 | 미상 |
몰년 | 405년 |
부친 | 환석건 |
2. 생애
400년 3월, 환현이 형주자사로 임명될 무렵, 환진은 양무장군(揚武將軍)·회남태수를 거쳐 강하내사로 재직했으나, 성품 문제로 면직되었다. 숙부 환현이 황제로 즉위했을 때에도 등용되지 않았다.
404년 유유가 환현을 공격하여 환현이 처형되자, 환진은 감리현 북쪽에 은신했다. 이후 왕치휘(王致徽)가 환흠(桓歆)이 건강(建康)을 차지했다는 거짓 정보를 전하자, 세력을 모아 강릉을 습격했다. 강릉 입성 후, 환초를 배반하고 동진에 합류한 왕강산(王康產)과 왕등지(王騰之)를 죽였다. 진안제를 곁에 두고 장군 및 자사로 봉했으며, 환현에게 무도황제(武悼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환진은 강릉을 점거했지만, 형주 일대에는 환씨 잔당이 남아있었다. 그는 주색과 주살을 일삼는 폭정을 행했다. 같은 해 유의(劉毅)가 왕치휘를 공격하고, 하무기(何無忌) 등이 마두(馬頭)에서 환겸군을 격파하자, 영계(靈溪)에서 동진군을 격파하고 심양(尋陽)을 얻었다.
405년 노종지(魯宗之)가 양양(襄陽)을 공격하자, 옹주자사 환울(桓蔚)을 보내 막게 했으나 패배했다. 유의 등이 근거지로 접근하자, 진안제를 납치하여 형주, 강주와 교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했다. 노종지가 환진의 부하 온해(溫楷)를 격파하고 강릉 근처에 입성하자, 환겸 등을 남겨두고 군사를 모아 싸웠으나 패하고 강릉은 함락되었다. 환진은 운천(濦川)으로 도주했다.
같은 해 3월, 운성(雲城)에서 강릉을 공격하여 형주자사 사마휴지(司馬休)를 몰아내고 형주자사를 참칭했다. 유회숙(劉懷肅)이 후베이성 강릉서(江陵西)에서 환진과 맞붙었으나,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환진은 용맹하게 싸웠다. 결국 유의와 당흥(唐興)이 참전, 환진은 술에 취한 상태에서 당흥의 화살에 맞아 전사했다. 이후 강릉은 다시 동진에 귀속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환현 정권
400년 3월, 환현이 형주자사로 임명될 무렵, 환진은 양무장군(揚武將軍)·회남태수로 있었다. 이후 강하내사로 전임되었으나, 성품이 좋지 못하다는 이유로 면직되었다. 숙부 환현이 황제로 즉위했을 때에도 다른 환씨 자제들은 등용되었지만, 환진은 등용되지 않았다.[3]환현은 환진을 중용하지 않았는데, 훗날 환진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불만을 표출했다.
이는 환진이 환현 정권에서 소외된 것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고 생각했음을 보여준다.
2. 2. 환현 패망 이후의 행적
404년 유유가 군사를 일으켜 환현을 공격하고, 환현이 처형당하자 환진은 감리현 북쪽에 은신했다. 이후 환현의 옛 부하였던 왕치휘(王致徽)가 보낸 사람이 환흠(桓歆)이 건강(建康)을 차지했다는 거짓 정보를 전하자, 환진은 세력을 모아 강릉을 습격했다.[3]강릉에 입성한 환진은 환초를 배반하고 동진에 합류했던 왕강산(王康產)과 왕등지(王騰之)를 죽였다.[3] 진안제가 있는 남군부(南郡府)에 도착한 환진은 환겸의 아들 환승(桓昇)이 처형당했다는 사실에 분노하여 진안제를 죽이려 했으나, 환겸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환진은 자신의 심복들을 진안제 곁에 두고[4] 장군 및 자사로 봉했으며, 환현에게 애도를 표하고 시호를 무도황제(武悼皇帝)라 하였다.
환진은 강릉을 점거했지만, 형주 일대에는 여전히 환씨 잔당이 남아있었다. 환진은 환겸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公(桓玄)當日不任用我,導此這個下場。假若公還在,我當前鋒,天下就大定了。現在只佔有江陵,哪裏是歸處呀?|공(환현)이 그날 저를 임용하지 않아 이런 일이 발생했습니다. 만약 공(환겸)이 있다면, 내가 군림한다면, 천하의 일을 제대로 결정할 것입니다. 일단 지금은 강릉을 점유하고 있다만, 어디가 귀환할 곳입니까?중국어
이후 환진은 주색과 주살을 일삼는 폭정을 행했다. 같은 해 유의(劉毅)가 왕치휘를 공격하고, 하무기(何無忌) 등이 마두(馬頭)에서 환겸군을 격파하자, 환진은 영계(靈溪)에서 동진군을 격파하고 심양(尋陽)을 얻었다.
405년 노종지(魯宗之)가 군사를 일으켜 양양(襄陽)을 공격하자, 환진은 옹주자사 환울(桓蔚)을 보내 막게 했다. 그러나 환울이 패하고 유의 등이 근거지로 접근해오자, 환진은 진안제를 납치하여 형주, 강주와 교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유의는 거부했다. 이틀 뒤, 노종지가 환진의 부하 온해(溫楷)를 격파하고 강릉 환진의 관저에서 십여 리 떨어진 성에 입성했다. 환진은 환겸 등을 남겨두고 군사를 모아 노종지와 싸웠으나 패했고, 강릉은 유의에게 함락되어 방화되었다. 환진은 세력이 궤멸된 것을 깨닫고 운천(濦川)으로 도주했다.
같은 해 3월, 환진은 운성(雲城)에서 강릉을 공격하여 형주자사 사마휴지(司馬休)를 몰아내고 강릉을 함락, 형주자사를 참칭했다. 동진군 유회숙(劉懷肅)이 군사를 이끌고 지금의 후베이성 강릉서(江陵西)에서 환진과 맞붙었다. 환진의 세력은 매우 적었으나 사력을 다해 싸웠고, 환진의 용맹함으로 인해 아무도 그를 막지 못했다.[5] 결국 유의와 당흥(唐興)이 유회숙을 도와 참전했으며, 환진은 술에 취한 상태에서 당흥이 쏜 화살에 맞아 전사했다. 이후 강릉은 다시 동진에 귀속되었다.
2. 3. 최후
405년 3월, 환진은 운성(雲城)에서 나와 강릉을 공격하여 형주자사 사마휴지를 격파하고 양양으로 패주하게 하였다. 환진은 형주자사를 참칭하였다.[5] 유의가 파견한 건위장군 유회숙은 운두에서 군사를 이끌고 환진과 사교(지금의 후베이성 강릉서(江陵西))에서 싸웠다. 환진의 세력은 매우 적었으나 사력을 다했고, 환진의 실력으로 인해 아무도 그를 막지 못했다.[5] 결국 유의는 광무장군 당흥(唐興)을 지원군으로 보냈다. 환진은 술에 취한 상황에서 당흥이 쏜 화살에 맞아 전사했고, 이후 강릉은 다시 동진에 함락되었다.[5]3. 성격 및 평가
환진은 과단성 있고 거친 성격으로, 품행이 좋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다.[1] 숙부인 환현(桓玄)이 황제로 즉위했을 때에도 등용되지 못했는데, 이는 환현이 환진의 난폭함을 꺼렸기 때문이었다.[1] 환현이 패망한 후, 환진은 "나를 선봉으로 썼다면 천하를 평정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한탄했다.[1]
환진은 주색과 주살을 일삼는 등 포악하고 잔인한 면모를 보였다.[1] 강릉을 점령한 후에는 백성들에게 폭정을 행했으며, 멋대로 사람을 죽이는 일도 잦았다. 환진이 회남에 있을 때, 밤에 침대에서 자는데 이상한 소리가 들려 불을 비추어 보니 엄청난 양의 핏물이 고여 있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2]
404년 유유(劉裕)가 군사를 일으켜 환현을 공격, 환현은 패하여 처형당했다. 이때 환진은 강릉을 점거하고 동진(東晉)에 맞섰으나, 결국 패배하고 도주하였다. 이후 다시 강릉을 탈환하기도 했지만, 405년 유회숙(劉懷肅)과의 전투에서 술에 취한 채로 당흥(唐興)이 쏜 화살에 맞아 전사했다.[5]
4. 가계
참조
[1]
서적
晋書
[2]
서적
太平広記
[3]
서적
資治通鑑
"원흥 3년"
[4]
서적
資治通鑑
[5]
서적
建康實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