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TPSEP)은 2005년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가 체결한 무역 협정이다. 2002년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협상이 시작되었으며, 2006년에 발효되었다. TPSEP는 가입 조항을 포함했지만, 추가 가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TPSEP 회원국들은 8개국을 추가하여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협상에 참여했다. TPSEP와 TPP는 APEC의 아시아 태평양 자유 무역 지대(FTAAP)의 기반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발효된 조약 - 에너지 공동체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 구축을 목표로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를 동남유럽 및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하며, 유럽 연합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고 2005년 아테네에서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사회적 차원 부족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 2006년 발효된 조약 -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은 2005년 4개국 협상으로 시작하여 12개국으로 확대되었으나 미국의 탈퇴로 무산되었고, 이후 미국을 제외한 11개국이 일부 조항을 제외한 포괄적 및 진보적 환태평양 파트너십 협정(CPTPP)을 체결하여 발효, 관세 철폐, 투자, 지적 재산권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며 비판도 존재한다. - 2005년 체결된 조약 - 에너지 공동체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 구축을 목표로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를 동남유럽 및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하며, 유럽 연합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고 2005년 아테네에서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사회적 차원 부족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 2005년 체결된 조약 -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은 2005년 4개국 협상으로 시작하여 12개국으로 확대되었으나 미국의 탈퇴로 무산되었고, 이후 미국을 제외한 11개국이 일부 조항을 제외한 포괄적 및 진보적 환태평양 파트너십 협정(CPTPP)을 체결하여 발효, 관세 철폐, 투자, 지적 재산권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며 비판도 존재한다.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 |
---|---|
협정 개요 | |
명칭 |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
원 명칭 |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
종류 | 무역 협정 |
서명일 | 2005년 7월 18일 |
서명 장소 | 웰링턴, 뉴질랜드 |
발효일 | 2006년 5월 28일 |
발효 조건 | 2개국 비준 |
기탁처 | 뉴질랜드 정부 |
사용 언어 | 영어, 스페인어 (해석에 이견이 있을 경우 영어 우선) |
참여국 | |
회원국 | 브루나이 칠레 싱가포르 뉴질랜드 |
![]() |
2. 이전 협정
2001년까지 뉴질랜드와 싱가포르는 뉴질랜드-싱가포르 간 경제적 협력 심화 협정(NZSCEP)을 체결했다.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은 NZSCEP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8]
2001년 뉴질랜드와 싱가포르는 뉴질랜드와 싱가포르 간 긴밀한 경제 동반자 관계에 관한 협정(NZSCEP)을 체결했다. 이를 바탕으로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이 추진되었다.
2002년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 고촉통 싱가포르 총리, 리카르도 라고스 칠레 대통령은 태평양 3자 경제동반자협정(P3-CEP) 협상을 시작했다.[25] 브루나이는 2005년 4월 5차 회담을 앞두고 협상에 참여하여,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TPSEP, Pacific-4)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5] 2005년 6월 3일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 4개국은 이 협정을 체결했고, 뉴질랜드와 싱가포르는 2006년 5월 28일, 브루나이는 2006년 7월 12일, 칠레는 2006년 11월 8일에 발효되었다.[26]
3. 협상
2002년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 고촉통 싱가포르 총리, 리카르도 라고스 칠레 대통령은 태평양 3자 경제동반자협정(P3-CEP) 협상을 시작했다.[8] 뉴질랜드 외교통상부는 이 협상의 목적을 "무역 규칙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준을 설정하고 APEC 지역 내 무역 자유화를 촉진하며, 무역을 원활하게 하는 포괄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무역 협정을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8]
2005년 4월, 5차 회담 직전에 브루나이가 정식 협상에 참여하면서 협정 이름이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TPSEP, 또는 Pacific-4)으로 변경되었다.[9] 2005년 6월 3일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가 TPSEP 협상을 체결했고,[1] 뉴질랜드와 싱가포르는 2006년 5월 28일, 브루나이는 2006년 7월 12일, 칠레는 2006년 11월 8일에 협정이 발효되었다.[10]
4. 회원국
이후 4개국은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협상에 참여했으며, 2015년에 8개국이 추가로 참여하여 합의에 도달했다. TPSEP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의 계획은 아니지만, APEC의 아시아 태평양 자유 무역 지대(FTAAP)를 위한 길잡이로 여겨진다.
4. 1. 회원국 목록
당사국 | 서명[3] | 발효[3] | 인구 |
---|---|---|---|
브루나이 | 417,200명 (2015년 추정 175위)[11] | ||
칠레 | 18,006,407명 (2015년 추정 62위)[12] | ||
뉴질랜드 | 자료 없음 (2017년 추정 123위)[13] | ||
싱가포르 | 5,607,300명 (2016년 추정 113위) [14] |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TPSEP)에는 가입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회원국은 "다른 경제의 이 협정 가입을 장려하겠다는 약속"을 확인했지만, 그러한 가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9][15]
5. 의의 및 영향
2002년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 고촉통 싱가포르 총리, 리카르도 라고스 칠레 대통령이 태평양 3자 경제동반자협정(P3-CEP) 협상을 시작했다.[25] 브루나이는 2005년 4월 5차 회담 전에 협상에 참여하여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력 체제(TPSEP, Pacific-4)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5] 2005년 6월 3일,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가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TPSEP 또는 P4) 협상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뉴질랜드와 싱가포르는 2006년 5월 28일, 브루나이는 2006년 7월 12일, 칠레는 2006년 11월 8일에 발효되었다.[26]
TPSEP 협정은 가입 조항을 포함하고, 회원국들이 다른 국가의 가입을 장려하도록 했으나, 실제 가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27][28] 그러나 4개국은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협상에 참여했고, 2015년에는 8개국이 추가로 참여하여 합의에 도달했다.
TPSEP(TPP, TPSEP가 확장되어 출범)는 APEC 이니셔티브는 아니지만, TPP는 APEC 이니셔티브인 아시아 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의 선구자로 여겨지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Brunei Darussalam, Chile, New Zealand and Singapore conclude negotiations on a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Joint Press Statement from Brunei Darussalam, Chile, New Zealand and Singapore Ministers
2005-06-03
[2]
간행물
Second free trade agreement to be signed by NZ this year
http://www.beehive.g[...]
New Zealand Government
2005-07-18
[3]
웹사이트
Treaties for which NZ is Depositary: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TPSEP or P4)
http://www.mfat.govt[...]
2012-12-15
[4]
뉴스
FTA signed: NZ, Chile, Singapore and Brunei to end tariffs
http://www.nbr.co.nz[...]
2005-07-19
[5]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Understanding the P4 – The original P4 agreement
http://www.mfat.govt[...]
2012-12-15
[6]
웹사이트
SICE: Trade Policy Developments: Trans 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sice.oas.[...]
2021-08-19
[7]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NZ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Trade
2012-01-28
[8]
간행물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national interest analysis
http://www.mfat.govt[...]
2005-07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rans-Pacific SEP Agreement P4
http://www.mfat.govt[...]
[10]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Understanding the P4 – The original P4 agreement
http://www.mfat.govt[...]
2012-12-15
[11]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https://www.depd.gov[...]
depd.gov.bn
2015-07-01
[12]
웹사이트
CIFRAS DE ENVEJECIMIENTO Y MIGRACIÓN MUESTRAN UN CHILE DISTINTO AL DE HACE UNA DECENIO
http://www.ine.cl/ca[...]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2014-09-04
[13]
웹사이트
Population clock
http://www.stats.gov[...]
Statistics New Zealand
2016-04-14
[14]
웹사이트
Population & Land Area (Mid-Year Estimates)
http://www.singstat.[...]
Statistics Singapore
2014-06
[15]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2015-10-05
[16]
간행물
Brunei Darussalam, Chile, New Zealand and Singapore conclude negotiations on a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Joint Press Statement from Brunei Darussalam, Chile, New Zealand and Singapore Ministers
2005-06-03
[17]
뉴스
Brunei, Chile, New Zealand and Singapore reach trans-Pacific FTA
http://www.mb.com.ph[...]
2005-06-03
[18]
간행물
Second free trade agreement to be signed by NZ this year
http://www.beehive.g[...]
New Zealand Government
2005-07-18
[19]
웹사이트
Treaties for which NZ is Depositary: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TPSEP or P4)
http://www.mfat.govt[...]
[20]
뉴스
FTA signed: NZ, Chile, Singapore and Brunei to end tariffs
http://www.nbr.co.nz[...]
2005-07-19
[21]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Understanding the P4 – The original P4 agreement
http://www.mfat.govt[...]
[22]
웹사이트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s://www.mfat.gov[...]
NZ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Trade
[23]
웹인용
SICE: Trade Policy Developments: Trans 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sice.oas.[...]
2021-08-19
[24]
웹인용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NZ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Trade
2012-01-28
[25]
웹인용
History of the Trans-Pacific SEP Agreement P4
http://www.mfat.govt[...]
2021-11-16
[26]
웹인용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Understanding the P4 – The original P4 agreement
http://www.mfat.govt[...]
2012-12-15
[27]
웹인용
History of the Trans-Pacific SEP Agreement P4
http://www.mfat.govt[...]
[28]
웹인용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mfat.govt[...]
2015-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