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펭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제펭귄속(''Aptenodytes'')은 펭귄과에 속하는 속으로, 현존하는 왕펭귄(Aptenodytes patagonicus)과 황제펭귄(Aptenodytes forsteri) 두 종과 멸종된 리젠펭귄(''Aptenodytes ridgeni'')을 포함한다. 이 속은 다른 모든 펭귄 종의 기저부에 위치하며, 약 4천만 년 전에 다른 펭귄 종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왕펭귄은 아남극 섬과 남극해의 온대 섬에서 번식하며, 황제펭귄은 남극 대륙에서 번식한다.
황제펭귄속(''Aptenodytes'')에는 현존하는 두 종 (왕펭귄, 황제펭귄)과 멸종된 한 종 (리젠펭귄)이 속한다.[3][7]
2. 분류
2. 1. 현존하는 종
황제펭귄속(''Aptenodytes'')에는 현존하는 두 종이 있다.[7]
종 | 학명 | 이미지 | 분포 지역 | 크기 및 특징 |
---|---|---|---|---|
왕펭귄 | Aptenodytes patagonicus | -- | 남극해 45°~55°S 사이의 아남극 섬, 티에라델푸에고, 포클랜드 제도 등에서 번식. | 키 90cm, 몸무게 11kg~16kg. 등은 강철 푸른 회색, 머리는 검은색, 배는 흰색, 가슴 윗부분은 주황색, 귀는 밝은 주황색. 검은색 부리는 길고 가늘며, 아래턱에 분홍색 또는 주황색 턱판. |
황제펭귄 | Aptenodytes forsteri | -- | 66°~77°S 남극권 분포. 해안 근처 유빙에서 번식, 해안에서 최대 18km 이동.[8] | 키 122cm, 몸무게 22kg~37kg. 머리, 턱, 목, 등, 물갈퀴 등 부분, 꼬리는 짙은 검은색. 날개와 배 아랫부분은 흰색, 가슴 윗부분은 옅은 노란색, 귀는 밝은 노란색. 위턱은 검은색, 아래턱은 분홍색, 주황색, 라일락색. 수컷과 암컷은 크기와 색상이 비슷. |
분자 시계 데이터에 따르면, ''Aptenodytes'' 속은 다른 모든 현존 펭귄의 기저부에 위치한다. 즉, 이 속은 약 4천만 년 전 다른 모든 종으로 이어진 가지에서 분리되었다.[4]
2. 1. 1. 왕펭귄 (''Aptenodytes patagonicus'')
왕펭귄(영어: King Penguin)은 남극해와 아남극 섬, 티에라델푸에고, 포클랜드 제도 등에서 번식한다. 키는 약 90cm, 몸무게는 11kg~16kg이다. 등은 강철 푸른 회색, 머리는 검은색, 배는 흰색이며 가슴 윗부분은 주황색, 귀 부분은 밝은 주황색을 띤다. 검은색 부리는 길고 가늘며, 아래턱에는 눈에 띄는 분홍색 또는 주황색 턱판이 있다.두 아종으로 나뉜다.[7]
- ''Aptenodytes patagonicus patagonicus''
- ''Aptenodytes patagonicus halli''
2. 1. 2. 황제펭귄 (''Aptenodytes forsteri'')
황제펭귄(학명: ''Aptenodytes forsteri'')은 66°~77°S 남극권에 분포한다.[8] 주로 해안 근처의 안정된 유빙에서 번식하며, 해안에서 최대 18km까지 이동한다.[8]키는 122cm, 몸무게는 22~37kg이다.[8] 성체의 머리, 턱, 목, 등, 물갈퀴 등 부분, 꼬리는 짙은 검은색이다. 날개와 배 아랫부분은 흰색, 가슴 윗부분은 옅은 노란색, 귀 부분은 밝은 노란색이다. 위턱은 검은색이고 아래턱은 분홍색, 주황색, 라일락색일 수 있다. 수컷과 암컷은 크기와 색상이 비슷하다.[8]
2. 2. 멸종된 종
황제펭귄속에는 현존하는 2종 외에 플리오세 시대의 화석 뼈로 알려진 리젠펭귄( ''Aptenodytes ridgeni'')이 있다.[3]2. 2. 1. 리젠펭귄 (''Aptenodytes ridgeni'')
리젠펭귄(''Aptenodytes ridgeni'')은 멸종된 종으로, 초기 또는 후기 플리오세 시대의 화석 뼈로 알려져 있다.[3]3. 진화
황제펭귄속(Aptenodytes)은 분자 시계 및 형태학적 데이터를 결합한 결과[3], 다른 모든 현존하는 펭귄의 기저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 속은 다른 모든 종으로 이어진 가지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이다. DNA 증거는 이러한 분리가 약 4천만 년 전에 발생했음을 시사한다.[4] 이는 펭귄의 행동을 기준으로 분류하려는 시도에 의해 예견되었으며, 이 또한 이 속의 기저적인 특성을 예측했다.[5]
참조
[1]
서적
Checklist of the Birds of New Zealand, Norfolk and Macquarie Islands, and the Ross Dependency, Antarctica
Te PaPa Press
[2]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King penguin
https://www.britishm[...]
2008-08-05
[3]
논문
The phylogeny of the living and fossil Sphenisciformes (penguins)
[4]
논문
Multiple gene evidence for expansion of extant penguins out of Antarctica due to global cooling
[5]
논문
Visual and vocal signals in penguins, their evolution and adaptive characters
[6]
웹사이트
Penguins: Reproduction
https://seaworld.org[...]
SeaWorld Parks & Entertainment, Inc.
2020-12-29
[7]
웹사이트
Zoological Nomenclature Resource: Ciconiiformes (Version 9.004)
http://www.zoonomen.[...]
www.zoonomen.net
2008-07-05
[8]
웹사이트
Aptenodytes forsteri
http://animaldiversi[...]
[9]
서적
The Great Penguin Rescu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0]
서적
オウサマペンギン属
大学書林
[11]
서적
エンペラーペンギン Emperor Penguin」「キングペンギン King Penguin
河出書房新社
[12]
서적
キングペンギン」「エンペラーペンギン
平凡社
[13]
서적
ペンギン目、アビ目、カイツブリ目、ペリカン目の分類表
朝日新聞社
[14]
서적
新しい、美しいペンギン図鑑
エクスナレッ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