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초리 (체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초리는 잎이 없는 잔가지를 묶어 만든 체벌 도구로, 학교 체벌과 사법 체벌에 사용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개인용 지팡이 사용이 증가하며 점차 감소했다. 회초리는 엉덩이에 가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20세기에는 소년범죄에 대한 경미한 처벌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사법 처벌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일부 BDSM 플레이에서 사용되거나 핀란드 사우나에서 마사지 도구로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훈육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체벌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으로 사용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벌 - 오형 (형벌)
    오형은 고대 중국의 다섯 가지 형벌로, 사형을 제외한 형벌은 신체에 영구적인 상처를 남겨 사회적 낙인을 찍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묵, 의, 월, 궁, 대벽 등이 대표적이다.
  • 체벌 - 매질 (체벌)
    매질(체벌)은 신체적 고통을 주는 징계의 한 형태로, 과거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많은 국가에서 불법화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는 합법적으로 시행되며, 특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에서는 태형이 집행되고 과거 조선에서는 조선인에게 태형이 시행되었다.
  • 타격무기 - 톤파
    톤파는 오키나와 무술에서 유래된 막대기 형태의 무기로, 막기와 치기에 사용되며, 경찰봉으로도 활용되었으나 신축식 경찰봉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 타격무기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회초리 (체벌)
개요
체벌 중인 모습
체벌 중인 모습
용도체벌
재료나뭇가지

2. 역사

회초리는 전 세계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체벌 도구이다. 사전적 정의는 체벌할 때에 쓰는 가는 나뭇 가지를 뜻한다. 예로부터 상급자가 하급자를 훈육할 때 쓰였다.[19]

미국 여성 교도소에서의 회초리 (1890년경)


학교에서의 매질을 묘사한 조지 크루크생크(George Cruikshank)의 1839년 풍자화


에드먼드 보너(Edmund Bonner)가 폭스의 순교자 열전(Foxe's Book of Martyrs)(1563)에서 이단자를 처벌하는 모습


루이스 캐럴의 초기 시 '두 형제'(''The Two Brothers'', 1853년)에서, 한 사람은 "아, 나는 트위포드 학교(Twyford School)로 돌아가 회초리를 두려워하며 수업을 듣고 싶어!"라고 한탄하는데, 이는 그의 가학적인 형이 그를 물고기 미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회초리는 사법 처벌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어린이 처벌 수단으로서도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SM (성적 행위)로서의 가지 매질 사용, 1780년경 목판화


핀란드식 사우나에서 사용하는 잎이 달린 자작나무 가지 "바스타"

2. 1. 서양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회초리는 학교 체벌과 사법 체벌의 가장 흔한 형태였으며, 그 이후에는 개인용 지팡이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특정 감옥에서는 아홉 가닥 채찍보다 회초리가 더 두려운 존재였다고 한다. 회초리는 항상 맨 엉덩이에 가해졌고, 소년들에게는 모욕적인 행위로 여겨졌다.[6] 20세기에는 판사들이 강도 폭력죄의 경우에도 채찍 대신 회초리를 명령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프랑스 혁명 시기, 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테로인 드 메리쿠르(Theroigne de Mericourt)는 공개적인 회초리 형을 받은 후 정신 이상 증세를 보여 정신 병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1793년 5월 31일, 자코뱅(자코뱅 여성들이 그녀를 붙잡아 옷을 벗기고 튈르리 정원에서 맨 엉덩이를 회초리로 때렸다.[6]

20세기 영국의 사법 회초리는 성인 남성보다는 소년범에게 더 자주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14세 이하, 스코틀랜드에서는 16세 이하의 소년들에게 적용되었으며, 회초리는 훨씬 가볍고 작았다. 치안 판사의 법정 심리 직후 경찰관이 법원 건물 안이나 가장 가까운 경찰서에서 은밀하게 회초리를 집행했다.

영국에서는 1948년에 소년범 및 성인범에 대한 사법 처벌로서의 회초리가 폐지되었으나, 교도소 기강 위반의 경우에는 1962년까지 유지되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1940년대까지 회초리와 아홉 가닥 채찍 처벌이 계속 사용되었다.[7]

맨 섬에서는 1976년까지 청소년 범죄자에게 회초리를 사용했다.[8][9] 건지 섬과 저지 섬(Channel Islands)에서는 1960년대 중반까지 청소년 남자아이에게 회초리가 사용되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는 1953년 형벌법에 따라 회초리질을 가할 수 있으며, 2000년에 법적 성인 연령이 18세로 상향되었다.

2. 2. 한국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회초리가 훈육의 도구로 쓰였다. 회초리가 닿는 곳은 손바닥,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 등의 부위이다.[19]

3. 도구

회초리는 잎을 제거한 잔가지를 여러 개 묶어 만든다. 회초리가 닿는 곳은 손바닥,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 등의 부위이다.[19]

1899년 12월 4일자, 영국 버밍엄 스파크힐에 위치한 웨스트 미들랜즈 경찰 박물관에 전시된, 두 아이의 회초리 형 집행 명령


1860년대에 영국 해군은 소년 선원에게 채찍을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사법적 신체 처벌에 회초리를 사용하게 되었다.[3] '사법적 회초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법원에서 명령하는 회초리 형에 사용되는 가혹한 유형을 지칭한다. 1951년의 각서는 모든 영국의 남성 교도소에서 런던 남부의 반즈워스 교도소에 있는 국가 비축분에서만 회초리(및 채찍)를 사용하도록 명령했다.[4]

한편, "'이튼 칼리지 회초리'"와 같은 용어는 작은 자작나무 잔가지로 만든 학교 회초리에 사용된다.

3. 1. 재료

회초리는 이름과 달리, 단일 막대기가 아니며 꼭 자작나무 잔가지로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버드나무처럼 강하고 매끄러운 다른 여러 나무나 관목의 가지로도 만들 수 있다.[1] 특히 '개암나무 회초리'는 매우 고통스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맨 섬에서는 네다섯 개의 개암나무 가지를 묶어 사용했는데, 맨 섬은 유럽에서 사법적 처벌로 회초리 형을 사용한 마지막 지역이었다.[2]

3. 2. 형태

회초리는 잎이 없는 잔가지들을 묶어 체벌을 가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름과는 달리, 회초리는 단일 막대기가 아니며 반드시 자작나무 잔가지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고, 버드나무와 같이 강하고 매끄러운 다른 다양한 나무나 관목의 가지로도 만들 수 있다.[1] 특히 '개암나무 회초리'는 매우 고통스러운데, 1960년대와 1970년대 맨 섬에서 네다섯 개의 개암나무 가지 묶음을 사용했다.[2]

회초리의 고통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기, 즉 길이, 무게 및 가지의 수이다. 일부 교도소에서는 여러 종류의 회초리를 사용했으며, 종종 이름을 붙였다. 예를 들어, 다트무어 교도소에서 16세 이상의 남성 범죄자를 처벌하는 데 사용된 장치는 무게가 약 453.59g 정도이고, 길이가 약 1.22m였다.

3. 3. 사용법

전통적으로 회초리는 사용하기 전에 짙은 소금물에 담갔다. 이는 회초리의 무게와 유연성, 강인함을 더한다고 여겨졌다. 소금물은 살균 작용이 있어 형벌 후 상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19]

4. 체벌 방식

처벌받는 사람의 연령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세가 사용되었다. 회초리가 닿는 곳은 손바닥,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 등의 부위이다.[19]

나뭇가지 채찍을 휘두르는 교사를 그린 1849년 독일 풍자화

4. 1. 일반적인 방식

처벌받는 사람이 어린아이인 경우에만 처벌하는 사람이 무릎 위에 아이를 엎드리게 할 수 있었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의자 같은 물건에 엎드리게 된다. 사법적 처벌의 경우, 너무 많이 움직이거나 도주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면 수형자를 묶어두기도 했다.[19]

어떤 자세를 취하든, 성기 뒤쪽을 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예: 처벌받는 사람의 다리를 모아두는 방식으로).[5]

4. 2. 특수 장치

일부 교도소와 소년원에서는 '자작나무 당나귀' 또는 '자작나무 조랑말'이라고 하는 나무 장치를 사용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자작나무 형벌 테이블'을 사용했는데, 범죄자의 팔을 넣을 수 있는 두 개의 구멍이 있었고 발은 제자리에 묶였으며 허리 바로 위에 끈이 채워졌다.[5]

4. 3. 학교 체벌

학교에서 흔히 사용되던 체벌 방식은 ''''말 태우기'''''(horsing)였다. 이 방식은 벌을 받는 학생이 다른 학생(예: 급우)의 등 위에 올려지는 형태였다. 또는 두 명 이상의 급우들의 어깨에 팔을 잡혀 올려지는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튼 칼리지 같은 학교에서는 벌을 받는 학생이 특별한 나무 블록 위에 무릎을 꿇는 방식을 사용했다.[5]

5. 현대적 사용

현대에는 회초리가 사법적 처벌이나 어린이 체벌 수단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 1. 비체벌적 용도

스칸디나비아, 발트 3국, 러시아, 핀란드에는 사우나나 반야에서 젖은 자작나무 가지로 자신의 몸을 때리는 전통이 있다. 이는 마사지 형태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모공을 열어주는 역할을 한다. 가지는 신중하게 선택되며 잎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 전에 뜨거운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하는 경우가 많다. 가지로 맞는 것은 기분 좋은 얼얼한 느낌을 유발하며 실제 통증은 거의 없다.[1]

6. 한국 사회와 회초리

한국 사회에서 회초리는 오랫동안 훈육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회초리는 주로 손바닥,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 등에 사용되었다.[19] 20세기 후반부터 체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학교와 가정에서의 회초리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2010년대 이후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으로 학교에서의 체벌은 금지되었다.

6. 1. 회초리와 관련된 논쟁

(빈칸)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Birching - The Facts https://www.corpun.c[...] 1972-03-17
[3] 웹사이트 Kissing the Gunner's Daughter", Part II – The Ryder Reforms https://www.corpun.c[...]
[4] 웹사이트 Prison Commission Memorandum, 20 July 1951 https://www.corpun.c[...]
[5] 웹사이트 The Birching Table http://www.westhighl[...] 2015-09-06
[6] 서적 Madness and Revolution: The Lives and Legends of Theroigne de Mericourt Verso
[7] 서적 The IRA in the twilight years 1923-1948 Argenta Publications
[8] 웹사이트 Birching in the Isle of Man 1945 to 1976 https://www.corpun.c[...]
[9] 문서 Tyrer v. the United Kingdom
[10] 웹사이트 Whisking https://bath.academy[...] 2024-12-14
[11] 웹사이트 Sauna whisk https://www.saunaman[...] 2024-12-14
[12] 서적 Flogging: The Law and Practice in England Howard League for Penal Reform
[13] 뉴스 Birching - The Facts http://www.corpun.co[...] 2012-01-03
[14] 웹사이트 Kissing the Gunner's Daughter", Part II: The 1860s Ryder Reforms http://www.corpun.co[...] World Corporal Punishment Research 2012-01-03
[15] 웹사이트 1951: Memorandum to prisons re: Birches and Cats-o'-nine tails (PRO HO 323/13) http://www.corpun.co[...] 2012-01-03
[16] 서적 Madness and Revolution: The Lives and Legends of Theroigne de Mericourt' Verso
[17] 웹사이트 Birching in the Isle of Man 1945 to 1976 http://www.corpun.co[...] World Corporal Punishment Research 2012-01-03
[18] 웹사이트 Case of Tyrer v. the United Kingdom http://cmiskp.echr.c[...]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2012-01-03
[19] 뉴스 "[칼럼]교편(敎鞭)과 초달(楚撻)" http://www.kmrnews.c[...] 군산미래신문 2021-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