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화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화태자는 고려 광종과 대목왕후의 차남이다. 고려 경종의 친동생이며, 고려 성종의 정비 문덕왕후의 친남매이다. 정확한 생몰년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며, 《고려사》에는 이름과 후손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고 전해진다. 시호는 효화태자이며, 일부 사학자들은 효화태자의 요절이 형인 경종이 광종의 공포 정치로부터 살아남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광종의 자녀 - 문덕왕후
    고려 광종과 대목왕후의 딸인 문덕왕후는 홍덕원군 왕규와 혼인 후 사별하고 성종과 재혼하여 고려 최초로 재혼한 왕후가 되었으며, 사후 효공순성영용숙절원헌선위문덕왕후로 추존되었다.
  • 고려 광종의 자녀 - 경종 (고려)
    경종은 고려의 제5대 왕으로, 광종의 아들이며 재위 초반에는 민심 수습에 힘썼으나 말년에는 향락에 빠졌고, 전시과 제도를 마련하여 토지제도의 기틀을 다졌으며, 헌애왕후와의 사이에서 목종을 얻었다.
  • 고려의 태자 - 왕제 (고려)
    왕제는 고려 혜종의 아들이며, 생모는 후궁 궁인 애이주이고 명혜부인이 누나로 있으나 구체적인 생애 기록은 미비하다.
  • 고려의 태자 - 효은태자
    효은태자는 고려 태조의 아들로 동양원부인 유씨 소생이며 동양군 또는 동양대군으로도 불렸으나, 성품이 사납다는 이유로 고려 광종에 의해 처형되었고, 그의 아들들은 강조 집권 후 작위를 받았다.
  • 10세기 사망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10세기 사망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효화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효화태자
원래 이름孝和太子
본명미상
작위고려 광종의 왕자
출생일미상
사망일미상
배우자미상
자녀미상
부친고려 광종
모친대목왕후 황보씨

2. 생애

광종과 대목왕후의 차남으로, 경종의 친동생이자 성종의 정비 문덕왕후와 남매지간이다. 경종이 955년(광종 6년)에 태어났으므로 그 이후에 태어난 것은 확실하나, 정확한 생몰년은 알 수 없다[5]. 《고려사》에는 "사적에 그 이름이 실전되었으며, 후손도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시호효화태자(孝和太子)이다[6]. 현대의 일부 사학자들은 효화태자의 요절이 경종의 생존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7].

2. 1. 요절과 경종의 생존

광종과 대목왕후의 차남이다. 경종의 친동생이며, 성종의 정비 문덕왕후 등의 친남매이다. 형인 경종이 955년(광종 6년)에 태어났으므로 그 이후에 태어난 것은 확실하나, 정확한 생몰년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5].

고려사》에는 효화태자에 대해 "사적에 그 이름이 실전되었으며, 후손도 없다."라는 기록만 남아있다. 시호는 '''효화태자'''(孝和太子)이다[6].

현대의 일부 사학자들은 효화태자가 일찍 죽었기 때문에 경종이 부왕 광종으로부터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견해를 보이기도 한다. 965년(광종 16년) 경종이 왕태자로 책봉될 당시, 광종의 공포정치로 인해 많은 호족들과 왕족들이 죽임을 당했다. 특히 일부 호족들은 왕족을 등에 업고 반란을 일으키려는 자들도 나타났다. 따라서 경종 역시 광종으로부터 의심을 받았으나, 효화태자가 요절하여 경종을 대신할 후사가 없었기에 경종이 무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7].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친조부 겸 외조부태조 (太祖, 877~943, 재위: 918~943)
친조모신명순성왕후 (神明順成王后, 생몰년 미상)
아버지광종 (光宗, 925~975, 재위: 949~975)
외조모신정왕후 (神靜王后, ?~983)
어머니대목왕후 (大穆王后, 생몰년 미상)
경종 (景宗, 955~981, 재위: 975~981)
남매천추전부인 (千秋殿夫人, 생몰년 미상)
남매보화궁부인 (寶華宮夫人, 생몰년 미상)
남매성종 제1비 문덕왕후 (文德王后, 생몰년 미상)


참조

[1]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광종 왕자 효화태자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14
[3] 서적 《고려사》권88〈열전〉권1 - 후비 - 광종 후비 대목왕후 황보씨
[4] 서적 https://books.google[...] Korean History Research Institute, 한국인물사연구원 2009
[5] 서적 《고려사》권88〈열전〉권1 - 후비 - 광종 후비 대목왕후 황보씨
[6]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광종 왕자 효화태자
[7] 서적 (증보판)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