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이저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이저우시는 주강 삼각주의 일부로 광둥성 중남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진나라 시대에 부라현이 설치되면서 혜주의 일부가 되었고, 수나라 시대에는 동강 유역의 정치,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문화 중심지였으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88년 혜주시가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후이청 구, 후이양 구, 보뤄 현, 후이둥 현, 룽먼 현 등 2구 3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인구 조사에서 600만 명 이상이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제조업이며, 다야만 경제기술개발구 등 개발 구역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징주선, 후이저우 핑탄 공항 등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객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강아오 대만구 - 선전시
선전시는 광둥성 남동부에 위치한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이자 홍콩과 접경한 도시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통해 중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첨단 기술, 금융, 물류, 문화 산업이 발달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둔 마천루가 많은 도시이다. - 웨강아오 대만구 - 한정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 한정은 상하이시 시장과 당 서기를 거쳐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하고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을 맡고 있으며, 상하이 방파의 일원으로서 시진핑 지도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광둥성의 지급시 - 산터우시
산터우시는 중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고대 어촌에서 시작하여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개항하며 발전했고, 현재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조주인을 중심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며,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과 산터우 항 및 제양 차오산 국제공항을 통해 국내외로 연결된다. - 광둥성의 지급시 - 선전시
선전시는 광둥성 남동부에 위치한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이자 홍콩과 접경한 도시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통해 중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첨단 기술, 금융, 물류, 문화 산업이 발달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둔 마천루가 많은 도시이다.
후이저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惠州市 (후이저우 시) |
별칭 | 혜민지주 (惠民之州, 백성을 이롭게 하는 도시) |
위치 | 중국 광둥 성 |
시 승격 | 1988년 |
면적 | 10,922 km² |
도시 면적 | 2,672 km² |
해안선 길이 | 223.6 km |
고도 | 15 m |
인구 (2020년) | 6,042,852 명 |
도시 인구 (2020년) | 3,494,715 명 |
도시권 인구 (2020년) | 2,090,578 명 |
GDP (2016년) | CN¥ 4,977억 (미화 772억 달러) |
1인당 GDP (2016년) | CN¥ 82,113 (미화 12,728 달러)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08:00) |
우편 번호 | 516000 |
지역 번호 | 0752 |
차량 번호판 | (웨L) |
ISO 3166-2 | CN-GD-13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중국 공산당 서기 | 리이웨이 () |
시장 | 류지 () |
행정 구역 | |
구분 | 구 |
목록 | 후이청 구 후이양 구 후이둥 현 보뤄 현 룽먼 현 |
언어 | |
간체 | (후이저우) |
웨이드-자일스 | Waichow |
광동어 | Wai6-zau1 (와이짜우) |
2. 지리
주강 삼각주의 일부로 서쪽으로 광저우, 북쪽으로 사오관, 북동쪽으로 허위안, 동쪽으로 산웨이, 남서쪽으로 둥관, 선전과 접하며 남쪽으로 남중국해에 면한다. 광둥성 중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허위안 시, 산웨이 시와 접하고, 서쪽은 선전 시, 둥관 시, 광저우 시와, 북쪽은 사오관 시와 접한다. 남쪽에는 다야만이 있고, 바다를 사이에 두고 홍콩을 마주보고 있다. 주강의 큰 지류인 둥장이 시역을 관통한다.
진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기원전 214년에 남해군 부라현(傅羅县)이 설치되었고, 후이저우는 부라현의 일부에 속했다. 591년 수나라 때 후이저우에 순주총관부(循州総管府)가 설치되면서 동강 유역의 정치,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3. 역사
송나라 시대에 후이저우는 후이양부의 수도이자 이 지역의 문화 중심지였다.[5] 쑤스는 송나라 황실 정부에 의해 후이저우로 유배되었는데, 그는 후이저우의 펑호를 방문했을 때 도시 서쪽에 있는 호수가 항저우의 서호처럼 아름다운 것을 발견하고 서호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또한 서호 양쪽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개의 다리를 건설하도록 도왔으며, 후세 사람들은 그의 업적을 기려 다리를 쑤디교라고 명명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둥장 전구(東江専区), 후이양 현(恵陽县), 후이양 전구(恵陽専区), 후이양 지구(恵陽地区)로 변경되었다. 1988년에는 후이저우 시, 둥관 시, 허위안 시, 산웨이 시의 4개 시로 분할되어 현재에 이른다.[30][31]
3. 1. 연표
기원전 214년, 진나라 진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남해군 부라현(傅羅县)을 설치했고, 후이저우는 부라현의 일부에 속했다. 591년 수나라 때 후이저우에 순주총관부(循州総管府)가 설치되면서 동강 유역의 정치,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둥장 전구(東江専区), 후이양 현(恵陽县), 후이양 전구(恵陽専区), 후이양 지구(恵陽地区)로 변경되었다. 1988년에는 후이저우 시, 둥관 시, 허위안 시, 산웨이 시의 4개 시로 분할되어 현재에 이른다.[30][31]
연도 | 사건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광둥성 둥장 전구 성립, 후이양 현, 보뤄 현, 쩡청 현, 룽먼 현, 쯔진 현, 허위안 현, 롄핑 현, 룽촨 현, 허핑 현, 하이펑 현, 루펑 현 발족 (11개 현) |
1951년 9월 | 북장 전구 신펑 현 편입 (12개 현) |
1952년 11월 | |
1956년 1월 4일 | 광둥성 행정구 후이양 현, 허위안 현, 쯔진 현, 하이펑 현, 루펑 현, 룽촨 현, 광둥성 중부 행정구 바오안 현, 둥관 현, 보뤄 현, 쩡청 현, 룽먼 현, 광둥성 북부 행정구 허핑 현, 롄핑 현 편입, 후이양 전구 성립 (13개 현) |
1958년 4월 8일 | 후이양 현, 보뤄 현 일부 합병, 후이저우 시 발족 (1시 13현) |
1958년 4월 11일 | 후이양 현 일부 분리, 후이둥 현 발족 (1시 14현) |
1959년 3월 22일 | |
1963년 7월 3일 | 포산 지구 후이양 현, 보뤄 현, 바오안 현, 둥관 현, 쩡청 현, 룽먼 현, 사오관 지구 허위안 현, 롄핑 현, 허핑 현, 룽촨 현, 산터우 지구 쯔진 현 편입, 후이양 지구 성립 (11개 현) |
1964년 10월 31일 | 후이양 현 일부 분리, 후이저우 시 발족 (1시 11현) |
1965년 7월 19일 | 후이양 현 일부 분리, 후이둥 현 발족 (1시 12현) |
1970년 | 후이양 지구 명칭 변경 (1시 12현) |
1975년 3월 24일 | 쩡청 현, 룽먼 현 광저우 시 편입 (1시 10현) |
1979년 3월 5일 | 바오안 현 시 승격, 지급시 선전 시 승격 (1시 9현) |
1983년 12월 22일 | 산터우 지구 하이펑 현, 루펑 현 편입 (1시 11현) |
1988년 1월 7일 | |
1988년 1월 7일 | 후이양 지구 후이저우 시 지급시 후이저우 시 승격, 후이청 구 설치 (1구 4현) |
1994년 5월 6일 | 후이양 현 시 승격, 후이양 시 성립 (1구 1시 3현) |
2003년 3월 6일 |
4. 행정 구역
(2010년 인구 조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