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훔멜 자주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훔멜 자주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기갑 전력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자주포이다. 3호 전차의 조종 및 조향 장치와 4호 전차의 차체를 결합한 "게슈츠바겐 III/IV"에 15cm sFH 18 중곡사포를 탑재하여 제작되었다. 훔멜은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 처음 투입되었으며, 탄약 수송을 위해 포탑이 제거된 탄약 운반차도 함께 생산되었다. 총 714대의 훔멜과 150대의 탄약 운반 차량이 생산되었다. 종전 후 루마니아, 시리아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 mm 포 - 4호 돌격전차
    4호 돌격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4호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한 보병 지원용 돌격전차로, 15cm 43식 돌격 곡사포를 장착하여 강력한 화력을 제공했으며, "브룸베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다양한 전선과 대중 매체에서 활약했다.
  • 150 mm 포 - V-3 캐넌
    V-3 캐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개발한 다실포 형태의 장거리 포로, 런던 공격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연합군의 폭격과 진격으로 인해 무산되었으며 현재는 박물관이 존재한다.
  • 독일의 자주포 - PzH 2000
    PzH 2000은 독일 KMW사에서 생산하는 155mm 자주포로, 자동 장전 장치를 통해 빠른 연사 속도와 긴 사거리를 가지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우크라이나에 지원되어 실전에서 사용된다.
  • 독일의 자주포 - 판처베르퍼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네벨베르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기반의 자주식 다연장 로켓포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화력 지원 및 심리적 공포 유발에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SU-85
    SU-8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이 독일 신형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SU-122 자주포 차체에 85mm 대전차포를 탑재하여 개발, 동부 전선에서 활약한 구축전차이며, T-34-85 전차 등장 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SU-100 개발 지연으로 SU-85M이 임시 생산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판처베르퍼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네벨베르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기반의 자주식 다연장 로켓포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화력 지원 및 심리적 공포 유발에 사용되었다.
훔멜 자주포
개요
훔멜, 2013년 [[뮈제 데 블린데]] 전시
훔멜, 2013년 뮈제 데 블린데 전시
종류자주포
개발 국가나치 독일
사용 기간1943년–1945년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생산 대수714대
제원
승무원6명 (운전병 1명, 포병 5명)
전장7.17m
전폭2.97m
전고2.81m
중량24톤
장갑10–30mm
무장
주무장1 × 15 cm sFH 18/1 L/30
주무장 탄약 적재량18발
부무장1 × 7.92 mm Maschinengewehr 34
부무장 탄약 적재량600발
기동
엔진Maybach HL120 TRM V-12 가솔린 엔진
엔진 출력300 PS (296 hp, 221 kW)
현가 장치판 스프링
최고 속도42 km/h
마력당 중량12.5 PS/톤
항속 거리215 km

2. 개발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 즉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독일 국방군(베어마흐트)의 기갑 부대를 지원할 기동성 있는 포병 전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1] 당시 운용되던 자주포들은 대부분 대전차포나 중보병포를 차체에 탑재한 형태였고, 본격적인 야전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는 부족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1942년부터 훔멜의 설계가 시작되었다.

초기 구상은 10.5cm leFH 18 경곡사포를 3호 전차 차체에 탑재하는 것이었으나, 곧 4호 전차 차체에 동일한 포를 탑재하는 안으로 변경되어 시제품 1대가 제작되었다. 하지만 더 강력한 화력을 요구하는 의견에 따라 이 계획 역시 폐기되었다.

최종적으로는 더 강력한 15cm sFH 18 L/30 중곡사포를 특별히 설계된 '게슈츠바겐 III/IV'(Geschützwagen III/IV|게슈츠바겐 드라이/피어de) 차체에 탑재하기로 결정되었다.[1] 이 차체는 3호 전차의 구동 및 조향 시스템과 4호 전차의 차체, 현가 장치, 엔진을 결합한 것으로, 이미 나스호른 전차 구축차에도 사용된 바 있었다.[1] 게슈츠바겐 III/IV 차체는 새로운 자주포대가 개발될 때까지 임시방편으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포미와 승무원을 위한 후방 전투 공간을 확보하고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엔진은 차량 중앙으로 옮겨졌다.[1] 승무원과 포를 보호하기 위해 상부 구조물은 10mm 두께의 장갑판으로 둘러싸인 오픈탑 형태로 제작되었다. 시제 차량에는 포구에 머즐 브레이크가 장착되었으나, 양산형에서는 견인포인 sFH 18과 마찬가지로 제거되었고, 궤도 구동륜 역시 4호 전차의 것 대신 3호 전차와 동일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훔멜 자주 곡사포가 언덕을 통과하고 있다.


후기 생산 모델에서는 운전수와 무전수에게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운전실과 전방 상부 구조가 약간 재설계되어 좌우 공간이 연결되는 형태로 확대되었다.[1]

훔멜은 포탄 휴대량에 제한이 있었으므로, 탄약 운반을 위한 별도의 차량도 함께 생산되었다. 종전까지 총 714대의 훔멜 자주포와 150대의 탄약 운반 차량이 생산되었다.

2. 1. 탄약 운반차

훔멜 자주포는 탑재할 수 있는 포탄의 양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탄약 운반만을 위한 별도의 차량인 '탄약 운반차 훔멜'(Munitionsträger Hummel|무니치온스트레거 훔멜de)이 개발되었다.[2] 이 차량은 기본적으로 야포가 없는 표준 생산형 훔멜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포가 있어야 할 개방된 부분은 10mm 두께의 장갑판으로 덮었으며, 내부에는 탄약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랙)이 설치되었다.[2] 주된 역할은 탄약 운반이었지만, 필요할 경우 야전 정비 수준에서 일반 훔멜에 사용되는 15cm 곡사포를 장착하여 자주포로 개조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2] 전쟁이 끝날 때까지 총 157대의 훔멜 탄약 운반차가 생산되었다.[1][2]

3. 실전 운용

''훔멜''은 쿠르스크 전투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이때 약 100대가량이 기갑사단의 기갑 포병 대대(''Panzerartillerie Abteilungen'')에 배치되었다.[2] 이들은 각각 훔멜 6대와 탄약 운반차 1대로 구성된 별도의 중(重)자주포 포대로 편성되었다.[1]

소련군 표식의 노획된 훔멜, 날짜 미상

3. 1. 해외 운용

훔멜 자주포의 해외 사용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련은 노획한 차량을 운용했다.[3] 전쟁이 끝난 후 이 자주포를 획득한 국가는 루마니아시리아 정도였다.

루마니아는 전쟁 종료 후 붉은 군대로부터 1대의 훔멜 자주포를 받았다. 이 차량은 군 등록 번호 U069009로 제2 장갑 연대에 배정되었고, 군대 목록에서는 공식적으로 "훔멜 TAs 자주포"로 불렸다. 하지만 이 자주포는 포신의 잠금 장치가 없어 실제 운용은 불가능한 상태였다.[3] 1946년 5월 10일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서 루마니아 표시를 부착하고 대중에게 공개되기도 했다. 루마니아 군은 1950년부터 보유하고 있던 독일제 장갑차를 단계적으로 폐기하기 시작했으며, 1954년까지는 모든 독일제 장비를 폐기하고 소련전차와 장갑 전투 차량(AFV)만을 운용하게 되었다.[3]

시리아는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프랑스로부터 노획된 훔멜 자주포 5대를 인수했다. 처음에는 주포 탄약 공급이 제한적이었으나, 이후 소련이 호환 가능한 150mm 포탄을 생산하여 공급했을 가능성이 있다. 시리아는 이 훔멜 자주포를 1960년대까지 이스라엘과의 분쟁에서 사용했으며,[4] 이후 모두 폐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

4. 파생형

훔멜 자주포의 기본형은 15 cm sFH 18 L/30 곡사포를 탑재했다.[1] 이 기본형은 탑재할 수 있는 포탄의 수량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2] 탄약 보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파생형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훔멜 탄약 운반차'(''Munitionsträger Hummel'')가 개발되었다.[2] 이 차량은 기본형 훔멜의 차체에서 주포를 제거하고, 포가 있던 개구부를 10mm 두께의 장갑판으로 막은 형태였다.[2] 내부에는 탄약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이 설치되었다.[2] 이 탄약 운반차는 필요할 경우 야전 정비 수준에서 다시 15cm 곡사포를 장착하여 일반적인 훔멜 자주포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2]

전쟁이 끝날 때까지 총 714대의 기본형 훔멜과 150대의 훔멜 탄약 운반차가 생산되었다.[1][2]

5. 보존

총 6대의 훔멜 자주포가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국가소재지박물관/기관명
독일뮌스터독일 전차 박물관 (Deutsches Panzermuseum Munster)
독일이더오버슈타인포병학교
독일진스하임진스하임 자동차 & 기술 박물관
프랑스소뮈르기갑 박물관 (Musée des Blindés)
미국오클라호마주 포트 실포트 실 야전 포병 박물관



또한, 한 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장갑 및 포병 박물관에서 재건되었으며 윈터케튼 궤도를 기다리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ummel (Bumblebee)/15cm ''Schwere Panzerhaubitze auf Fahrgestell Panzerkampfwagen'' III/IV (Sf) http://www.historyof[...] 2014-07-29
[2] 웹사이트 Hummel https://tanks-encycl[...] 2022-01-26
[3] 서적 2005
[4] 간행물 Strangers In a Strange Land: Early Syrian Armor 1948-56 Darlington Productions, Inc. 1995-07
[5] 뉴스 Fort Sill Field Artillery Museum restores WWII weapon http://www.army.mil/[...]
[6] 웹사이트 Sill gets rare piece of artillery http://www.swoknews.[...] 2013-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