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호 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호 전차는 1930년대 중반 독일에서 개발된 중형 전차로,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독일 기갑 부대의 주력으로 사용되었다. 1937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다양한 파생형이 제작되었으며, 3.7 cm 주포를 시작으로 5 cm, 7.5 cm 주포를 장착했다. 초기에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동부 전선에서 T-34 등 강력한 소련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개량을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4호 전차와 판터 전차에 주력 전차 자리를 내주었다. 3호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한 3호 돌격포는 독일군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장갑 전투 차량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형전차 - T-54
    T-54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서 개발된 중형 전차로, T-44 전차의 발전형이며 100mm 주포를 탑재하여 화력을 강화했고, 냉전 시대 동안 여러 국가에서 광범위하게 운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개량형이 개발되어 현재까지도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 중형전차 - T-34-85
    T-34-8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85mm 포를 장착하고 다양한 형태로 개량된 T-34 전차의 파생형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차 - 4호 전차
    4호 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주력 전차로, 원래는 화력 지원 전차였으나, 장포신 75mm 포를 장착하며 대전차 능력이 강화되어 독일 기갑 부대의 핵심 전력으로 활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차 - 2호 전차
    2호 전차는 1930년대 독일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독일군의 주력 전차로 활약한 경전차이며, 3호, 4호 전차 개발 지연으로 1호 전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이후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조되어 전쟁 후반까지 운용되었다.
3호 전차
개요
PzKpfw III Ausf. F
PzKpfw III Ausf. F
종류중형 전차
원산지나치 독일
사용 기간1939–1945년
사용 국가나치 독일
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공화국
크로아티아
노르웨이
튀르키예
참전제2차 세계 대전
개발 및 생산
설계다임러-벤츠
설계 시기1935–1937년
제조사다임러-벤츠
대당 가격(Ausf. M)
생산 기간1939–1943년
생산 대수5,774대 (StuG III 제외)
제원
승무원5명 (전차장, 포수, 장전수, 조종수, 무전수/전방 기관총 사수)
무장
주무장"Ausf. A - G: 1 × 3.7 cm KwK 36"
"Ausf. F - J: 1 × 5 cm KwK 38"
"Ausf. J¹- M: 1 × 5 cm KwK 39"
"Ausf. N: 1 × 7.5 cm KwK 37"
부무장2–3 × 7.92 mm MG 34 기관총
기동
엔진12기통 마이바흐 HL120 TRM 가솔린 엔진
엔진 출력300 PS (295 hp, 220 kW)
출력 대 중량비12 hp (9.6 kW) / 톤
현가 장치토션 바 현가 장치
항속 거리도로: / 야지:
속도도로: / 야지:
장갑
장갑 두께"Ausf A - C: 전방향 15 mm"
"Ausf D - G: 전방향 30 mm"
"Ausf J+: 전방향 50 mm"

2. 역사

1934년부터 대전차전을 위한 신형 중형전차 개발이 시작되면서 다임러-벤츠, MAN, 크루프, 라인메탈이 각각 설계와 시제품을 선보였다. 당시 최신식 토션 바 현가 장치를 장착한 다임러-벤츠의 설계가 채택되어 1937년부터 3호 전차 생산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3.7 cm KwK 36 L/45 전차포를 탑재했고, 5cm 전차포로의 개량을 고려했으나,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 T-34KV-1에 밀려 5 cm KwK 38 L/60 전차포를 탑재했음에도 역부족이었다.[24] 1942년에는 7.5 cm KwK 40 L/43과 7.5 cm KwK 40 L/48 주포가 개발되었지만, 3호 전차 포탑에는 장착할 수 없었다.

3호 전차 개량이 한계에 달하고 4호 전차, 3호 돌격포 등에 더 강력한 7.5 cm KwK 40 L/48 전차포가 탑재되자, 이들이 대전차전을 맡았다. 1942년 최종형인 3호 전차 N형은 7.5 cm KwK 37 L/24 전차포를 탑재하여 근접지원 용도로 1943년까지 생산되었고, 이후 3호 돌격포 생산을 위한 차체만 생산되었다. 종전까지 총 10000대의 3호 돌격포가 생산되었다.

독일 국방군전차전술에 부합하는 주력 전차를 목표로 3호 전차를 개발했다. 훈련용 1호 전차스페인 내전 (1936년 7월 - 1939년 3월)의 교훈을 통해 현대 전차의 기초를 다지는 신기술이 투입되었다. 3호 전차는 주력, 4호 전차는 지원 역할로 운용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30톤급 중전차 (소련의 T-34, 미국M4 셔먼) 등장으로 화력 부족에 시달렸고, 중(重)전차에는 완전히 상대가 되지 않았다. 방어력 또한 불충분했다.

30톤급 T-34M4 셔먼보다 개발 시기가 빨랐지만, 개발·생산 지연으로 초기 전격전에 맞추지 못했다. 이는 연합군에 대응 전차 개발 시간을 벌어주었고, 본격 운용 시점에는 장점이 퇴색되어 주력 전차 운용 기간이 짧았다.

대전 중기, 적 전차 발전으로 개량이 한계에 달했고, 독일은 5호 전차 판터를 제조하여 대체하면서 생산이 종료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생산 지연으로 필요한 수가 부족했다.[44] 3호 전차는 개전 당시 독일군 주력이었지만, 실제 주력은 2호 전차나 LT-35, LT-38이었다.

프랑스 침공 시기에는 수가 늘었고, 북아프리카 전선, 독소전에서는 주력 전차가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전에서 중장갑 영국군 보병 전차 (마틸다 II 보병전차)에 고전했고, 대전차포에 쉽게 파괴되었다.

독소전에서 37mm포 3호 전차는 T-34KV-1에 무력했다. 50mm포 탑재형도 역부족이었다. 북아프리카 전선에서는 크루세이더 순항전차 등 장갑이 얇은 영국군 전차 상대로 유리했으나, M3 그랜트, M4 셔먼 등장으로 어려운 싸움을 했다.

3호 전차는 전투 능력이 전황 요구 수준에 미치지 못해 대전차 능력이 불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긴 포신 75mm 포 장착이 불가능하여 개량 한계에 달했고, 대전 중기 4호 전차에 주력 자리를 내주고, 5호 전차 판터 실용화와 함께 생산이 종료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34년부터 대전차전을 위한 신형 중형전차 개발이 시작되면서 다임러-벤츠, MAN, 크루프, 라인메탈이 각각 설계와 시제품을 선보였다. 하인츠 구데리안의 주도로 육군 무기국은 최대 중량 24000kg, 최고 속도 35km/h의 중형 전차 계획을 수립했다.[2] 이 전차는 독일 기갑사단의 주력 전차로, 적 전차 부대와 교전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4호 전차대전차포와 기관총 진지 등 보병 요새를 상대로 고폭탄을 발사하는 보병 지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당시 독일 전차는 보병의 돌파를 지원하거나, 적의 병참선과 후방 지역을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3호 전차는 이러한 구상에 따라 주력 전차로 설계되었으며, 보다 견실하게 설계된 4호 전차가 3호 전차를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획이었다.[40] [7]

2. 2. 개발 과정

1934년부터 대전차전을 위한 신형 중형전차 개발이 시작되면서 다임러-벤츠, MAN, 크루프, 라인메탈이 각각 설계와 시제품을 선보였다. 1936년과 1937년에 걸쳐 시험이 진행되었고, 토션 바 현가 장치를 장착한 다임러-벤츠의 설계가 채택되어 1937년부터 3호 전차 생산이 시작되었다.[24]

초기 개발 과정에서는 적절한 현가 장치를 찾는 것이 중요했다. Ausf. A부터 Ausf. D까지는 여러 종류의 판스프링 현가 장치를 시험했고, 보통 비교적 작은 지름의 로드 휠 8개를 사용했다. 이후 Ausf. E에서 토션 바 현가 장치가 표준화되면서 로드 휠 6개 설계가 표준이 되었다. 3호 전차는 소련의 KV 중전차와 함께 스트리드스바겐 L-60에서 처음 등장한 이 현가 장치 설계를 사용한 초기 전차 중 하나였다.[3]

3호 전차의 뚜렷한 특징은 영국의 비커스 중형 Mark I 전차 (1924)의 영향을 받은 3인승 포탑이었다. 전차장은 다른 역할에 신경 쓰지 않고 상황 인식과 전차 지휘에 집중할 수 있었다. 당시 대부분의 전차는 이러한 능력이 없었기에,[4] 3호 전차는 전투에서 유리했다.

초기 모델에는 3.7 cm KwK 36 L/45 전차포가 탑재되었고, 설계 단계부터 5cm 전차포로의 개량을 고려했다. 그러나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 T-34 등 중형전차와 마주치면서 5 cm KwK 38 L/60 전차포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1942년에는 7.5 cm KwK 40 L/43과 7.5 cm KwK 40 L/48 주포가 개발되었지만, 3호 전차의 좁은 포탑에는 장착할 수 없었다. 같은 해 생산된 최종형인 3호 전차 N형은 7.5 cm KwK 37 L/24 전차포를 탑재하여 근접지원 용도로 사용되었다.

3. 설계

1934년 1월 11일, 하인츠 구데리안의 규정에 따라 육군 무기국은 최대 중량 24000kg 및 최고 속도 35km/h의 중형 전차 계획을 수립했다.[2] 이 전차는 독일 기갑사단의 주력 전차로, 상대 전차 부대와 교전하여 파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4호 전차와 함께 운용될 예정이었다.

1935년, 독일 육군 병기국 제6과는 MAN, 다임러-벤츠, 라인메탈, 크루프, 헨셸사에 신형 주력 전차 "Z.W."의 설계 사양서를 제시했고, 5개 회사는 설계안을 제출했다. 라인메탈은 신형 화력 지원 전차 "B.W." 개발 계획에 전념하게 되었고, 나머지 4개 회사에서 경쟁 시제품 제작을 했다. 시제품은 다임러-벤츠사와 크루프사의 2개 회사 설계안만 완성되었다. 다임러-벤츠사의 시제품은 1935년 말에 완성되었다.

1936년에 실시된 다임러-벤츠사와 크루프사의 시제품 성능 비교 시험 결과, 다임러-벤츠사가 "Z.W."의 개발 및 생산을 담당하게 되었다. 단, 포탑 제작은 크루프사가 담당했다. 이때 패한 크루프사의 시제품은 확대 재설계되어 4호 전차의 원형이 되었다. 채용 결정 후, 다임러-벤츠사는 다른 회사가 개발한 시제품의 장점도 채용하여 "Z.W."의 최초 생산형인 "1/ZW"를 설계했고, 1939년 9월 27일, "1/ZW"는 "3호 전차 A형"의 정식 명칭을 부여받았다.

1937년 5월, 3호 전차의 첫 번째 모델인 ''Ausführung A.'' (Ausf. A)가 생산되었으며, 1939년부터 Ausf. F 버전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3호 전차는 당시의 선진 기술과 신기축을 담아 설계되었다.

3호 전차의 초기 개발은 적절한 현가 장치를 찾는 데 집중되었다. Ausf. A부터 Ausf. D까지 여러 종류의 판스프링 현가 장치가 시험되었으며, 이후 Ausf. E에서 토션 바 현가 장치가 표준화되었다. 3호 전차는 KV 중전차와 함께 토션 바 현가 장치를 사용한 초기 전차 중 하나였다.[3]

3호 전차의 가장 큰 특징은 3인승 포탑으로, 전차장이 전차 내 다른 역할에 신경 쓰지 않고 지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당시 대부분의 전차에는 없던 능력이었으며,[4] 프랑스의 소뮤아 S-35나 소련의 T-34와 비교했을 때 전투에서 유리함을 제공했다. 4호 전차와 달리 3호 전차는 포탑 바스켓이 없었고, 포수를 위한 발판만 있었다.

3호 전차는 독일군의 주력 전차로 설계되었으나, KV-1 중전차와 T-34 중형 전차를 만나면서 장갑과 화력 면에서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3호 전차는 5 cm KwK 39 주포로 무장하고 더 많은 장갑을 추가했지만, 여전히 소련 전차에 비해 불리했다. 그 결과, 대전차 자주포 생산과 4호 전차의 주포 강화가 이루어졌다.

1942년에는 3호 전차의 최종 버전인 Ausf. N이 KwK 37 L/24 포를 장착하고 제작되었다. Ausf. N은 방어 목적으로 70mm 에서 100mm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는 고폭 대전차 탄두 (HEAT)탄을 장착했지만, 이는 자위용으로만 사용되었다.[29]

3. 1. 차체 구조

3호 전차는 당시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당히 선진적인 기술과 설계를 적용한 전차였다.

마이바흐 사의 4행정 V형 12기통 가솔린 엔진을 사용했는데, 초기형은 HL108TR(250마력/3,000rpm), 양산형(E형 이후)은 HL120TRM(300마력/3,000rpm)이었다.

기관 배치는 전투실 후방(차체 후미)에 기관실을 두고, 드라이브 샤프트를 차체 중앙으로 통과시켜 전방에 구동륜을 배치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구조는 기관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기관에서 발생하는 열이 조준을 방해하는 현상을 줄여주었다. 또한 조종수를 전방에 배치하여 조종성도 향상되었다.

하지만 드라이브 샤프트 때문에 차체 내부 공간과 설계에 제약이 있었고, 정비성도 좋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궤도 이탈 시 전방 구동륜을 윈치 대용으로 활용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후륜 구동 방식에 비해 전진 1단 기어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었다.

3. 1. 1. 승무원 배치 및 차체 설계

3호 전차는 5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며, 각자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었다. 이는 당시 전차로서는 선진적인 설계였다. 전방 좌측에는 조종수가, 우측에는 통신 겸 전방 기총수가 배치되었고, 포탑에는 전차장, 포수, 장전수가 탑승했다.[1] 이전의 전차들은 승무원 수가 적어 한 명이 여러 역할을 담당해야 했지만, 3호 전차는 3인승 포탑을 채용하여 승무원 각각의 전문성을 높였다.[1] 특히 전차장은 지휘와 주변 경계에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전투에서 유리하게 작용했다.[1]

포탑 바스켓은 채용되지 않아 장전수는 포탑 회전에 맞춰 스스로 움직여야 했고, 포탑은 수동으로 조작해야 했다.[1]

3호 전차는 무선 장비를 표준화하여 전차 간의 효율적인 협동을 가능하게 했다.[1] 전차장은 커맨더스 큐폴라를 통해 360° 시야를 확보하고, 타코혼(인두 마이크)을 통해 승무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했다.[1] 이러한 설계는 전격전을 가능하게 한 핵심 요소 중 하나였다.[1]

서스펜션은 초기에는 코일 스프링과 리프 스프링을 사용했지만, 양산형인 E형부터는 토션 바 서스펜션을 채택했다.[1] 토션 바 서스펜션은 험지 기동성을 높여주었지만, 생산성이 낮고 탈출 해치를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었다.[1]

궤도는 전기형이 38cm 폭, 후기형이 40cm 폭이었다.[1] 겨울철에는 접지압을 낮추기 위해 "빈터 켓텐(Winterketten)"이라는 넓은 궤도를 사용하기도 했다.[1]

3. 1. 2. 현가 장치

3호 전차의 현가 장치는 A형은 세로 배치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을, B~D형은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을, 양산형인 E형부터 토션 바 서스펜션을 채용했다.[3] 이는 이후의 중량급 전차에서도 채용되는 우수한 것으로, 전차에 의한 기동 전투, 특히 불규칙한 지형에서의 기동을 높은 수준으로 실현하기 위한 설계였다.

토션 바는 한국어로 "비틀림 봉"이라는 의미이며, 금속 봉(제조 시 특수 가공을 함)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이다. 차폭이 확대됨에 따라 토션 바 유효 길이를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강성도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롤러의 스트로크도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비교적 대형 롤러를 채용할 수 있었다. 다만, D형 이전의 형식에서는 다른 현가 방식을 설계하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다.[3]

토션 바 방식에도 결점은 있는데, 토션 바는 차체를 관통하는 대형이므로 가공에 있어서 정밀도·기술이 요구되어 공정·비용 면에서도 엄격하고 생산성이 낮았다. 또한, 차체 바닥면에 토션 바가 있기 때문에 탈출 해치를 만드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 때문에 3호 전차의 탈출 해치는 차체 측면에 설치되었지만, 측면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은 방어상 불리하며, 탈출 시에 노려질 가능성도 높아진다.

3. 1. 3. 궤도

초기형은 38cm 폭 궤도를 사용했고, 후기형은 40cm 폭 궤도를 사용했다. 겨울철에는 횡폭을 연장한 겨울용 궤도 Winterketten|빈터 켓텐de을 사용했다.

3. 2. 기관

초기형(A~D형)은 250PS 12기통 마이바흐 HL108 TR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속도는 35km/h였다.[24] 이후 양산형(E형 이후)은 300PS 12기통 마이바흐 HL 120 TRM 엔진을 탑재했다. 규정된 최고 속도는 변속기와 무게에 따라 달랐지만, 약 40km/h였다.[27]

3. 3. 화력

3호 전차의 주포는 형식과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형식주포
A형 ~ G형 초기 (1938년 12월~)37mm 46구경 포
G형 후기 ~ J형 초기 (1940년 7월~)50mm 42구경 포
J형 후기 ~ M형 (1941년 12월~)50mm 60구경 포
N형 (1942년 6월~)75mm 24구경 포



초기형에는 37mm 46구경 포가 탑재되었으나, 보급 부서와 전차 부대 간의 논쟁이 있었다. 전차 부대는 장차 대전차 능력이 더 뛰어난 50mm 포를 탑재할 것을 주장했지만, 보급 부서는 보병이 사용하던 37mm 대전차포와의 공통성을 이유로 37mm 포 탑재를 주장했다. 결국 절충안으로 초기형에는 37mm 포를 탑재하고, 나중에 50mm 포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42]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는 37mm 포로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했지만, T-34와 같은 강력한 전차들이 등장하면서 37mm 포는 "도어 노커"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위력이 부족해졌다. 이에 50mm 포가 탑재되기 시작했다.[43]

50mm 60구경 포(5 cm KwK 39)는 50mm 대전차포와 동일한 탄두에 장약량을 늘린 것으로, 소련 전차에게는 여전히 역부족이었지만 영국 전차에게는 유효했다. 3인승 포탑 덕분에 3호 전차는 빠른 발사 속도로 화력의 불리함을 어느 정도 보완했지만, 특히 단포신(42구경) 50mm 포로는 적 전차와의 전투에서 고전했다.

75mm 48구경 포를 탑재한 4호 전차가 주력 전차가 되면서, 3호 전차는 잉여가 된 75mm 24구경 포를 탑재하여 화력 지원 임무로 전환하게 되었다. 75mm 24구경 포는 성형작약탄을 사용하면 50mm 60구경 포보다 뛰어난 관통력을 보여 어느 정도 대전차 전투도 가능했지만, 낮은 초속으로 인해 명중률이 낮았고, 적극적인 대전차 운용을 위한 설계는 아니었다.

Ausf. G형까지의 초기 모델은 37mm 주포와 동축으로 두 정의 MG 34 기관총을 장착하고 차체에도 비슷한 무기를 장착했다.[29] Ausf. F 이후 모델은 5cm 또는 7.5 cm 주포로 업그레이드되거나 제작되었으며, 단일 동축 MG 34와 차체 MG34를 장착했다.[28]

3. 4. 방어력

초기형은 경전차 수준의 장갑만을 적용받았는데, E형으로 정식 채용되면서 양산 과정에서 장갑이 강화되었다.[6]

3호 전차 Ausf. A부터 C형까지는 모든 면에 압연 균질 장갑 15mm, 상단에 10mm, 하단에 5mm의 장갑이 적용되었다. 이는 곧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Ausf. D, E, F, G형에서 전면, 측면, 후면에 30mm로 강화되었으며, H형은 전면 및 후면 차체에 2중 30mm 경화강 장갑판이 적용되었다. Ausf. J형은 전면과 후면에 50mm의 두꺼운 장갑판을 사용했으며, Ausf. J¹, L, M형은 전면 차체와 포탑에 20mm의 추가적인 간격이 있는 균질강 장갑판을 부착했다. M형은 차체 측면에 5mm, 포탑 측면과 후면에 8mm의 추가적인 ''슈르첸'' 간격 장갑을 장착했다.[6] 이러한 추가적인 전면 장갑으로 3호 전차는 근거리에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합군 및 소련군의 경/중형 대전차포에 대한 방어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측면은 여전히 근거리에서 대전차 소총을 포함한 많은 적의 무기에 취약했다.[6]

1943년경부터, 포탑 주변과 차체 측면에 대전차총 대책으로 슈르첸이라는 5-8mm 두께의 얇은 연강판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장갑 두께가 얇은 차체 하부 측면을 덮었기 때문에 사이드 스커트의 역할도 했다.[6]

차체 전면의 장갑 두께 변천은 다음과 같다.

형식장갑 두께
A/B/C/D형14.5 mm (1매 판)
E/F/G형30 mm (1매 판)
H형60 mm (30 mm + 증가 장갑 30 mm의 2겹)
J형50 mm (1매 판. 두께는 줄었지만, 1매 판이 2겹보다 강도가 높다)
L/M/N형70 mm (50 mm + 증가 장갑 20 mm의 2겹)


4. 운용

3호 전차는 1934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37년부터 생산된 독일의 중형 전차이다. 폴란드 침공, 프랑스 공방전, 독소전, 북아프리카 전역 등에서 독일군의 주력 전차로 활약했다.[44] 그러나 소련군의 T-34미국M4 셔먼과 같은 연합군 신형 전차의 등장으로 점차 주력 전차의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초기에는 2호 전차체코슬로바키아제 LT-35, LT-38이 독일군 전차 부대의 주력이었지만,[44] 프랑스 공방전 이후 북아프리카 전선과 독소전을 거치며 3호 전차는 명실상부한 주력 전차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프랑스 전선에서는 영국군의 마틸다 II 보병전차와 같은 중장갑 전차를 격파하지 못했고, 대전차포에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독소전 초기, 37mm 포를 탑재한 3호 전차는 T-34KV-1에 대항하기 어려웠다. 이후 50mm 포를 탑재한 개량형이 투입되었지만, 여전히 역부족이었다. 북아프리카 전선에서는 크루세이더 순항전차와 같은 경장갑 전차를 상대로는 우위를 점했지만, 미국의 M3 그랜트나 M4 셔먼의 등장으로 어려운 전투를 이어갔다.

3호 전차는 긴 포신을 가진 75mm 포를 장착하기에는 포탑의 크기가 작아 개량에 한계가 있었다. 결국 4호 전차에게 주력 전차 자리를 넘겨주고, 5호 전차 판터의 등장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1945년 종전 무렵에는 거의 전선에서 사용되지 않았고, 일부는 탄약 수송차나 회수 차량으로 개조되었다. 3호 전차의 차체는 3호 돌격포 생산에 활용되었으며, 3호 돌격포는 독일 장갑 전투 차량 중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소련은 노획한 3호 전차를 개조하여 SG-122와 SU-76i 자주포를 개발하기도 했다.

5. 파생형

3호 전차의 차체는 다양한 파생형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주요 파생형에는 3호 돌격포, 33B 돌격 보병포, 돌격 야포 42, SU-76i 등이 있다.


  • 3호 전차 포병 관측차: 전선 포병 관측병을 위한 전차로, 구형 3호 전차 E형~H형을 기반으로 262대가 개조되었다.[33]
  • 3호 전차 구난 장갑차: 1944년에 176대의 3호 전차가 장갑 구난차량 (ARV)으로 개조되었다. 주로 티거 I 중전차 부대에 배치되었다.[36]
  • 3호 전차 지휘 전차: 장거리 무선 통신기를 갖춘 지휘 전차로, D, E, H형은 더미 주포를 장착했고,[40] J, K형은 5cm 주포를 장착했다.[35]
  • 33B 돌격 보병포: 보병 근접 지원용 중돌격포로, 15 cm sIG 33 보병포를 장착했으며 총 24대가 제작되었다. 12대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사용 및 손실되었다.[36]
  • 돌격 야포 42: 두꺼운 전면 장갑과 슈르첸(Schürzen)을 갖춘 돌격 곡사포로, 10.5 cm leFH 18 곡사포를 개조한 포를 장착했으며, 전기식 발사 방식과 포구 제퇴기가 장착되었다. 1943년 3월부터 1945년까지 1,299대가 생산되었다.[38]
  • '''SU-76i''': 소련이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노획한 독일 3호 전차와 3호 돌격포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돌격포이다. 약 201대가 개조되어 붉은 군대에서 사용되었으며, 76.2mm S-1 전차포를 장착했다.[39] 1944년 초에 훈련 및 시험 용도로 전환되었으며, 2대의 SU-76i가 남아있다.
  • '''잠수 전차 III''': 바다 사자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상륙 장갑차로 개조된 전차이다. 물에 뜨는 것이 아니라 물속에 머물도록 설계되었다.[40]
  • '''탄약 수송차 III''': 일부 3호 전차는 구형 Mk III 차체를 기반으로 포탑을 제거하여 탄약 수송차/트랙터로 개조되었다.
  • '''대공포 III''':[41] 3호 전차 차체에 빌벨빈트 또는 오스트빈트 포탑을 탑재한 대공전차이다.

5. 1. 지휘 전차

1938년 6월부터 1939년 3월에 걸쳐 D형을 기반으로 한 지휘전차 D1형이 30량 생산되었다. 지휘전차는 전차 부대의 전술 통제 지휘를 위해 대형 무전기를 탑재했으며, 기본 차체로 III호 전차가 선택되었다.[45] 최대한 통상적인 전차와 유사하게 제작되었으나, 주포는 더미였고 포탑은 전차형보다 약간 앞쪽에 고정되었다. 차체 후부 기관실 위에는 프레임 안테나가 있었고, 포탑 상면의 소형 해치를 통해 대형 안테나 마스트를 세울 수도 있었다.[45]

1939년 7월부터 1940년 2월에는 E형 기반의 지휘전차 E형이 45량, 1940년 11월부터 1942년 1월에는 H형(최후기는 J형) 기반의 지휘전차 H형이 175량 생산되었다. 이들은 전차 부대의 대대급 이상 본부 차량으로 사용되었다.[45]

D1~H형에 이은 K형은 이전과 달리 전차형과 같은 60구경 5cm 전차포 KwK39/2를 중앙보다 약간 좌측에 갖추고 있었다. KwK39/2는 KwK39의 개량형으로, 60구경 5cm 대전차포 PaK38의 탄약도 사용할 수 있었다.[45] 기본 차체는 M형이었지만, 지휘전차로서 차내 용적을 확보하면서 주포를 장비하기 위해 포탑은 IV호 전차와 거의 같은 더 큰 것이 사용되었다.[45] 200량의 생산이 예정되었으나, H형 추가 발주와 통상적인 전차형에서 개조한 간이형 지휘전차의 등장으로 1942년 12월부터 1943년 2월까지 50량만 생산되었다.[45]

전선 부대는 기관총만 장비한 D1~H형에 대해 더 강력한 무장을 요구했고, 이에 통상적인 전차형에 장거리 무전기를 증설한 간이형 지휘전차가 개발되었다.[45] 대규모 개조를 한 전용 지휘전차보다 생산이 용이하여, 1943년 이후 지휘 차량은 모두 통상형에서 개조하는 방식으로 충당되었다. 무전기 증설을 위해 차체 총은 폐지되었고 탑재 탄약은 줄었다.[45] 42구경 5cm 전차포 부착 지휘전차는 III호 전차 J형을 기반으로 1942년 8월부터 1943년 9월까지 185량이 제작되었다.[45]

5. 2. 3호 돌격포

75mm 포를 장착한 돌격포/구축전차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가장 많이 생산한 장갑 전투 차량이다.[37] 원래 제식 명칭은 "돌격포"였지만, 나중에 4호 전차를 기반으로 한 같은 종류의 차량이 만들어지면서 3호 돌격포로 불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보병 지원용으로 만들어졌으며, 초기에는 24구경 7.5cm 포를 탑재했지만, 후기에는 장포신(43구경 및 48구경)으로 바뀌면서 대전차 전투에 주로 사용되었다. 종전까지 파생형을 포함하여, 대전 중 독일제 장갑 전투 차량 중에서 가장 많은 약 10,500량이 생산되었다.

5. 3. 3호 화염 방사 전차

3호 전차 M형을 기반으로 제작된 화염 방사 전차이다.[34] 포신은 철제 파이프로 제작되어, 보통 전차처럼 보이도록 위장한 더미였고, 화염은 이것을 통해 방출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교훈으로 근거리 전투 지원용으로 기획되었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에는 투입되지 못하고, 그 이후부터 실전에 투입되었다. 탑재된 화염 방사기는 55~60m(자료에 따라 100m)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1943년 2월부터 4월에 걸쳐 베크만 사에서 MIAG사제 3호 전차 M형을 기반으로 100량이 생산되었다.

5. 4. 3호 관측 전차

3호 포병 관측 전차


훔멜, 베스페 부대에 동행하는 장갑 관측용 차량이다. 1943년 2월부터 1944년 4월까지 262대가 제작되었다.[33]

구식화된 3호 전차 E형~H형 차체를 사용했다. 주포는 제거되었고, 포탑 전면 중앙에는 자위용 기관총 거치대가, 방패 우측에는 기만용 더미 주포가 부착되었다. 포탑 상면에는 관측용 인입식 대형 잠망경이 부착되었고, 차체 각부에 30mm 증가 장갑이 장착되었다.

5. 5. 기타 파생형


  • '''3호 전차 포병 관측차''' - 전선 포병 관측병 전차. 구형 3호 전차 Ausf. E~H형을 기반으로 262대가 개조되었다.[33]
  • '''3호 전차 구난 장갑차''' - 1944년에 176대의 3호 전차가 장갑 구난차량 (ARV)으로 개조되었다. 주로 티거 I 중전차 부대에 배치되었다.[36]
  • '''3호 전차 화염 방사기 Ausf. M / 3호 전차 (Fl)''' - 화염 방사 전차. 신형 Ausf. M 섀시를 기반으로 100대가 제작되었다.[34]
  • '''3호 전차 지휘 전차''' - 장거리 무선 통신기를 갖춘 지휘 전차. Ausf. D, E 및 H형은 더미 주포를 장착했고,[40] Ausf. J 및 K형은 5 cm 주포를 장착했다.[35]
  • '''33B 돌격 보병포''' - 보병 근접 지원용 중돌격포. 15 cm sIG 33 보병포를 장착했으며 총 24대가 제작되었다. 12대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사용 및 손실되었다.[36]
  • '''3호 돌격포''' - 75mm 주포를 장착한 돌격포/구축전차.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가장 많이 생산한 장갑 전투 차량이었다.[37]
  • '''돌격 야포 42''' - 두꺼운 전면 장갑과 슈르첸(Schürzen)을 갖춘 돌격 곡사포. 10.5 cm leFH 18 곡사포를 개조한 포를 장착했으며, 전기식 발사 방식과 포구 제퇴기가 장착되었다. 1943년 3월부터 1945년까지 1,299대가 생산되었다.[38]
  • '''SU-76i''' - 소련이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노획한 독일 3호 전차와 3호 돌격포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한 돌격포. 약 201대가 개조되어 붉은 군대에서 사용되었으며, 76.2mm S-1 전차포를 장착했다.[39] 1944년 초에 훈련 및 시험 용도로 전환되었으며, 2대의 SU-76i가 남아있다.
  • '''잠수 전차 III''' - 바다 사자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상륙 장갑차로 개조된 전차. 물에 뜨는 것이 아니라 물속에 머물도록 설계되었다.[40]
  • '''탄약 수송차 III''' - 일부 3호 전차는 구형 Mk III 차체를 기반으로 포탑을 제거하여 탄약 수송차/트랙터로 개조되었다.
  • '''대공포 III'''[41] - III호 전차 차체에 빌벨빈트 또는 오스트빈트 포탑을 탑재한 대공전차.


; 지휘전차 D1~H형 (Panzerbefehlswagen, Sd.Kfz.266-268)

: 전차 부대의 전술 통제 지휘용 차량. 대형 무전기를 탑재하기 위해 III호 전차가 기본 차체로 선택되었다. D형 기반 30량, E형 기반 45량, H형(최후기 J형) 기반 175량이 생산되었다.

; 지휘전차 K형 (Panzerbefehlswagen mit 5 cm KwK 39/2 L/60)

: 60구경 5cm 전차포 KwK39/2를 장착한 지휘전차. 1942년 12월부터 1943년 2월까지 50량 생산되었다.

; 42구경 5cm 전차포 부착 지휘전차 (Panzerbefehlswagen mit 5 cm KwK 39 L/42, Sd.Kfz.141)

: 통상적인 전차형에 장거리 무전기를 증설한 간이형 지휘전차. 1942년 8월부터 1943년 9월까지 185량이 제작되었다.

; III호 잠수전차 (Panzerkampfwagen III als Tauchpanzer)

: F형, G형, H형을 개조하여 잠수 가능하게 만든 전차. 수심 15미터까지의 수저에서 행동 가능했다.

; III호 화염 방사 전차 (Panzerkampfwagen III (Fl), Sd.Kfz.141/3)

: M형을 기반으로 제작된 화염 방사 전차. 1943년 2월부터 4월까지 100량이 생산되었다.

; III호 관측 전차 (Artillerie-Panzerbeobachtungswagen (Panzerkampfwagen III), Sd.Kfz.143)

: 자주 유탄포 부대에 따르는 장갑 관측용 차량. 1943년 2월부터 1944년 4월까지 262량이 제작되었다.

; III호 회수 전차 (Bergepanzer III)

: 수리를 위해 후송된 III호 전차를 바탕으로 1944년 3월부터 12월까지 150량이 개조되었다.

; III호 돌격포

: 75mm 포를 장비한 자주포. 종전까지 파생형 등을 포함해 약 10,500량이 생산되었다.

; 10.5cm 돌격 유탄포 42

: III호 돌격포와 동일한 차체에 10.5cm leFH 18 차재형 10.5cm StuH 42를 탑재. 종전까지 1,212량이 완성되었다.

; 33B 돌격 보병포

: III호 돌격포 차대에 밀폐식 상자형 전투실을 탑재하고 15cm sIG33을 탑재. 24량이 생산되었다.

; 2cm Flakvierling38 탑재 III호 대공전차 (Flakpanzer III)

: III호 전차 차체에 빌벨빈트 포탑을 탑재한 대공전차. 실현되지 못하고 1량도 제조되지 않았다.

; 3.7 cm Flak 43 탑재 III호 대공전차 (Flakpanzer III)

: III호 전차 차체에 오스트빈트 포탑을 탑재한 대공전차. 총 90량 생산이 계획되었지만, 완성 수는 불명.

; III호 전차 강철 궤도륜 사양

: 중기~말기(1943년 이후) III호 전차 중 일부는 하부 궤도륜 전부가 IV호 구축전차나 브룸베어 강철 궤도륜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6. 대중 매체에서

3호 전차는 월드 오브 탱크,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워썬더 등 여러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다.

6. 1. 비디오 게임

월드 오브 탱크에 3호 전차가 등장한다.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3호 전차가 등장한다.

워썬더에 3호 전차가 등장한다.

7. 형식

1934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37년부터 생산된 독일의 중형전차 3호 전차는 A형부터 N형까지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개량을 거쳤다.[23] 초기에는 대전차전을 위한 주력 전차로 설계되었으나, 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 T-34와 같은 강력한 전차를 만나면서 화력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초기형인 A형부터 D형까지는 프로토타입 성격이 강했으며, E형부터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되었다. E형과 F형은 토션 바 서스펜션을 채용하고 장갑을 강화하는 등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G형과 H형은 주포를 5 cm KwK 38 L/42로 강화하고 장갑을 추가했다.

J형은 3호 전차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으로, 북아프리카동부 전선에서 활약했다. L형은 J형을 개량하여 장갑을 강화한 모델이며, M형은 L형을 기반으로 슈르첸 측면 장갑을 장착한 모델이다. N형은 보병 지원 전차로, 단포신 7.5 cm KwK 37 L/24 포를 탑재했다.

3호 전차의 주요 제원 및 생산 대수는 다음과 같다.

3호 전차 생산 - 중형 전차[23]
형식ABCDEFGHJLMN
생산 년도193719371937/381938,194019391939-411940/411940/411941/421941/421942/431942/43
생산 대수10101525 + 59645059428615211470517614



지휘 전차화염 방사 전차
형식DEHJKFlamm
생산 년도1938/391939/401940/411941/421942/431943
생산 대수30451758150100



1942년에는 7.5 cm KwK 40 L/43과 7.5 cm KwK 40 L/48 주포가 개발되었으나, 3호 전차의 좁은 포탑에는 장착할 수 없었다. 결국 3호 전차의 개량은 한계에 도달했고, 4호 전차3호 돌격포 등이 대전차전을 맡게 되었다.

7. 1. 3호 전차 A형

3호 전차 A형(Panzerkampfwagen III Ausf A, Sd.Kfz.141)은 1937년에 10대가 생산된 프로토타입 차량이다.[23] 15톤 프로토타입으로, 단 8대만이 무장되어 폴란드에서 실전에 투입되었다.[24] 3.7 cm KwK 36 L/46.5 주포와 2정의 동축 7.92 mm MG34 기관총으로 무장했으며, 250 PS HL 108 엔진을 탑재했다.[24] 1937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1940년에 퇴역했다. FuG 5 무전기와 360° 수동 회전 포탑을 장착했다.[24]

A형의 서스펜션은 이후의 형식에 비해 대형인 한쪽에 5개의 로드휠을 코일 스프링으로 독립 현가하는 크리스티 방식에 가까운 독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차대 높이가 있는 크리스티 전차나 BT계, 코일 스프링을 비스듬히 배치하여 서스펜션의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했던 T-34나 영국제 순항전차와 달리, 낮은 차대에 수직으로 배치된 스프링의 스트로크 길이가 짧아 승차감이 나빴다. 최고 속도는 40km/h를 목표로 했지만, 실제로는 32km/h에 머물렀다(B형 이후는 동일 엔진임에도 불구하고 35km/h). 장갑 두께는 최대 14.5mm에 불과하여 소총탄이나 파편 방어 수준이었다. 3호 전차 최초의 생산형이지만, 아직 증가 시제형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A형은 대 폴란드전에 사용되었지만, 능력 부족을 이유로 1940년 2월에는 실전 부대에서 철수되었다. 차체 전면 우측의 MG34 7.92 mm 기관총 1정 외에, 포탑 전면 우측에 주포와는 별도로, 연장식 MG34 7.92 mm 기관총(A형~F형까지. G형 이후는 동축 기관총 1정이 됨)을 장비했다. 포탑 전면 연장 기관총은 75발들이 새들 드럼 탄창(도펠・트롬멜)을 사용했다. 새들 드럼 탄창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2정의 기관총은 앞뒤로 어긋나 있었다.

7. 2. 3호 전차 B/C/D형

3호 전차 B/C/D형은 초기 생산형으로 1937년부터 1938년까지 B, C형이 각각 15대, D형이 30대 생산되었다. A형의 서스펜션은 스트로크가 부족하여 실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 B형부터는 한쪽에 8개의 소형 로드휠을 리프 스프링으로 현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B형에서 D형에 걸쳐 리프 스프링의 배치와 방향 등 세부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D형에서는 변속기, 구동륜, 유도륜, 큐폴라도 신형으로 변경되었다.[25][26]

B~D형은 A형과 마찬가지로 폴란드전 이후 실전 부대에서 제외되었지만, 전차 부족으로 인해 소수의 D형은 몇 달 동안 더 사용되었다.[26]

측면은 서스펜션을 위한 구조로 채워져 있어, 조종수와 무선수의 탈출용 문은 설치되지 않았다.

7. 3. 3호 전차 E/F형

3호 전차 E형과 F형은 1938년 12월부터 1940년 7월 사이에 만들어진 양산형이다.[27][28] 15톤급 전차에 충분한 기동성을 주기 위해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는데, E형에 이르러 스웨덴의 란츠베르크 경전차를 참고한 토션 바 서스펜션을 채용하여 한쪽에 6개의 로드휠을 현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7] 또한, 차체 측면에 조종수와 통신수를 위한 탈출 해치가 설치되었다.[27]

성능은 충분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이는 이후 3호 전차의 공통적인 스타일이 되었다. 주포는 이전과 같이 보병의 대전차포와 같은 3.7cm 포를 장착했고, 개발 중이던 5cm 포로 교체할 것도 고려되었다. 기본 장갑은 D형까지의 14.5mm에서 30mm로 두 배 증가하여, 중량은 19.5톤으로 늘었다. E형은 96대, 거의 동일한 F형은 435대가 생산되었다.[27][28]

3호 전차 E/F/G형은 원래 고속 전차로 개발되었고, 습식 궤도 도입에는 실패했지만, 고속 사양의 10단 변속기 "마이바흐(Maybach)제 SGR 328 145 Variorex"를 탑재했다. 소련이 불가침 조약 중에 구입한 3호 전차가 시험에서 최고 속도 69.7km/h를 기록하여 "3호 전차는 쾌속 전차"라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속은 변속기 고장을 유발하여 실용성이 없었고, 상한 40km/h로 운전이 제한되었다. H형부터는 신뢰성이 높은 6단 변속기 "ZF사(ZF)제 SSG 77"로 변경되어 이러한 고속은 낼 수 없게 되었다.[27]

F형은 E형을 개선한 것으로, 최초의 대량 생산 버전이며, 후기 생산분은 5 cm KwK 38 L/42 주포로 무장했다.[28]

3호 전차 생산 - 중형 전차[23]
형식EF
생산 년도19391939-41
생산 대수96450



3호 전차 생산 - 지휘 전차
형식E
생산 년도1939/40
생산 대수45


7. 4. 3호 전차 G형

Ausf. G형은 Ausf. F형을 기반으로 포 방패에 추가 장갑을 부착했으며, 후기 생산분은 5 cm KwK 38 L/42 주포를 탑재했다.[28]

7. 5. 3호 전차 H형

Ausf. Hde는 5 cm KwK 38 L/42를 표준 주포로 장착했다. 차체 전면과 후면에 볼트온 방식으로 추가 장갑(기본 30mm + 추가 30mm)을 부착했다.[29] 1940년 10월부터 1941년 4월 사이에 308대가 생산되었다.[29]

소뮤르 전차 박물관의 3호 H형.

7. 6. 3호 전차 J형

3호 전차 J형은 3호 전차의 가장 일반적인 변형으로, 북아프리카동부 전선에서 운용되었다. 차체와 포탑 전면 장갑을 50mm 단일 장갑판으로 강화했고, 포 방패 주변에는 공간 장갑을 배치했다.[30]

J형은 1941년 3월부터 1942년 7월 사이에 생산되었다. 초기형은 5 cm KwK 38 L/42를 장착했고, 1941년 12월 이후 생산분은 5 cm KwK 39 L/60를 장착했다. 총 2,616대가 생산되었으며, 그 중 단포신형은 1,549대, 장포신형은 1,067대였다.[10] 이후 장포신 5 cm 포를 장착한 J형은 Ausf. L로 재지정되었다.[29]

7. 7. 3호 전차 L형

5 cm KwK 39 L/60 포를 장착한 J형을 재설계한 것으로, 차체와 포탑 전면에 20mm 간격 장갑을 추가했다.[29] 또한 가열된 엔진 냉각수를 다른 차량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갖추었다.[32] 1942년 6월부터 12월까지 653대가 생산되었다.

7. 8. 3호 전차 M형

3호 전차 M형은 3호 전차 Ausf. L형을 약간 수정한 모델이다.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깊은 도하를 위한 배기구와 슈르첸 측면 장갑 패널을 장착한 것이 있다.[29]

당초 1,000대가 발주될 예정이었으나, 전차로서의 위력 부족이 명확해짐에 따라 5호 전차 판터 생산에 집중하는 등의 방침이 전환되었다. 이 때문에 발주 수가 삭감되고, 이미 생산된 차체는 자주포, 화염 방사 전차, 3호 전차 N형 등으로 전용되었다. 그 결과, M형으로 완성된 것은 1942년 10월부터 1943년 2월까지 250대에 불과했다.[29]

M형은 전선 부대의 보충용으로 사용되었다. 엔진룸 좌우 흡기구와 후부 오버행 아래 배기구에 수밀 해치가 부착되었고, 엔진 머플러는 방수 밸브가 달린 신형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었다. 튀어나온 엔진 머플러 때문에 L형과 차체 전장이 다르다. 또한 슈르첸을 장착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차체 하부 측면의 조종수 및 무선수 탈출용 문은 폐지되었다.[29]

7. 9. 3호 전차 N형

3호 전차 N형(Panzerkampfwagen III Ausf N, Sd.Kfz.141/2)은 7.5 cm KwK 37 L/24를 장착한 보병 지원 전차이다. 4호 전차가 장포신 75mm 포를 장착하면서, 기존에 4호 전차 초기형에 탑재되었던 단포신 75mm 포를 3호 전차에 탑재하여 화력 지원용으로 활용하였다.[29] 성형 작약탄을 사용해도 대전차 능력은 제한적이었지만, 전선 부대에서는 호평을 받았다.[29]

1942년 6월부터 1943년 8월까지 생산되었으며, L형, M형을 베이스로 제작되었다. 신조된 것은 663대로, J형 차체 3대, L형 차체 447대, M형 차체 213대였다. 이 외에 1944년까지 수리를 위해 후송되어 온 37대가 N형으로 개조되었다.[29] 전투실 전면에는 중공 장갑이 장비되었지만, 포탑 방패의 중공 장갑은 없거나 부착대만 장비된 차량이 많았다.

티거 I을 장비하는 초기의 독립 중전차 대대에도 중전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경소대에 배치되었다. 이들 대대는 티거 I 20대와 3호 N형 25대로 편성되었다.

참조

[1] 서적 Panzertruppen: The Complete Guide to the Creation & Combat Employment of Germany's Tank Force 1933–1942 Schiffer 1996
[2] 문서 2017
[3] 웹사이트 Strv_m_38-39 http://www.ointres.s[...]
[4] 웹사이트 AFV Development During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2011-01-16
[5] 웹사이트 German Panzerkampwagen III, Ausf.J, Part 1 http://www.kithobbyi[...] 2011-01-16
[6] 문서 2013
[7] 문서 1999
[8] 문서 1999
[9] 문서 1999
[10] 문서 1999
[11] 서적 Panzer III - Germany's Medium Tank Archive Media Publishing Ltd
[12] 서적 Panzer Tracs No.3-1, Panzerkampfwagen III Ausf. A-D Panzer Tracts 2006
[13] 서적 Panzer Tracs No.3-2, Panzerkampfwagen III Ausf. E-H Panzer Tracts 2007
[14] 서적 Panzer Tracs No.3-3, Panzerkampfwagen III Ausf. J-N Panzer Tracts 2009
[15] 웹사이트 Panzer Abteilung 100 http://www.normandy-[...]
[16] 웹사이트 Panzer tanks found in Norway http://www.armchairg[...] Armchair General
[17] 문서 Panzers in Finland
[18] 문서 1984
[19] 문서 1994
[20] 간행물 Le Blindorama : La Turquie, 1935 - 1945 Caraktère 2011-02
[21] 간행물 Le Blindorama : La Croatie, 1941 - 1945 Caraktère 2011-04
[22] 문서 2007
[23] 서적 Panzer Tracts No.23 - Panzer Production from 1933 to 1945
[24] 문서 2017
[25] 문서 2017
[26] 문서 2017
[27] 문서 2017
[28] 문서 2013
[29] 문서 2017
[30] 문서 2017
[31] 문서 2017
[32] 서적 Panzer III - Germany's Medium Tank Archive Media Publishing Ltd
[33] 문서 1999
[34] 문서 2017
[35] 문서 2017
[36] 문서 Perrett (1999), p. 13.
[37] 문서 Green, Anderson, & Schultz (2017), p. 48.
[38] 서적 Panzer III & its variants https://www.worldcat[...] Schiffer Military/Aviation History 1993
[39] 문서 Zaloga, Grandsen (1984), p. 180
[40] 문서 Tucker-Jones (2017), p. 67.
[41] 웹사이트 3.7 cm Flak 43 in Keksdose-Turm auf Pz.KPFW.III Fahrgestell https://tanks-encycl[...] 2021-02-22
[42] 문서 독일전차발달사 P.70-72
[43] 문서 독일전차발달사 P.70-72
[44] 문서 독일전차발달사 P.85
[45] 웹사이트 Kfz der Wehrmacht>Panzerbergeanker als Anhänger (1 achs.) (Sd.Ah.40) http://www.kfzderweh[...]
[46] 뉴스 1973년 골란고원 전차전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1-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