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정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승군을 이끌고 활약한 조선의 승려이다. 9세에 부모를 잃고 한양에서 공부하며 불교에 입문, 선과에 급제하여 교종판사 등을 지냈다. 금강산에서 시를 짓다 정여립의 옥사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옥살이를 했으나 풀려났으며, 이후 조선 불교계의 통합과 교선겸수, 유불도 삼교합일론을 주장하며 불교 중흥에 기여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주에서 선조를 알현하고 팔도십육종도총섭이 되어 5,000명의 의승군을 조직, 평양성 탈환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다. 전쟁 후 묘향산으로 돌아가 제자를 양성하며 선 사상을 전파했고, 85세에 입적했다. 서산대사로 추앙받으며, 그의 사상은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등 관련 문화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선승 - 유정 (승려)
유정은 조선 중기의 승려이자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킨 의병장이자, 전후 일본과의 강화 협상과 포로 귀환에 공헌한 외교관으로, 그의 업적은 표충사와 수충사에 배향되었고 관련 유물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선승 - 만공 (승려)
만공은 송도암이라는 본명과 월면이라는 법명을 가진 조선 말기 및 일제강점기의 승려로, 경허의 제자로서 한국 선불교 중흥에 기여하고 불교 교육 근대화와 선승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 불교를 지키기 위해 투쟁했다. - 1520년 출생 - 교황 식스토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으로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임하며 교황령 치안 확보, 재정 개혁, 로마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고대 유물 훼손, 강압적 재정 정책 등의 논란도 있는 제227대 교황이다. - 1520년 출생 - 심전
조선 중기 문신 심전은 생원, 진사를 거쳐 문과 급제 후 홍문관저작, 이조좌랑, 동부승지,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권신을 탄핵하기도 했으나 탐욕스러운 행위로 비판받았고, 사후 아들의 공훈으로 추증되었지만 서자의 난으로 재조명되기도 했다. - 1604년 사망 - 구와야마 가즈하루 (초대)
구와야마 가즈하루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분로쿠·게이초의 역에 참전하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야마토 신조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후사 없이 사망했다. - 1604년 사망 - 구사맹
구사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때 이조좌랑과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그의 딸이 정원군과 혼인하여 인조를 낳아 인조 즉위 후 능안부원군에 추증되었다.
휴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법명 | 휴정 (休靜) |
속명 | 최여신(崔汝信) |
자/별칭 | 서산대사 |
호 | 청허(淸虛) ·서산(西山) |
출생일 | 1520년 3월 26일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안주 |
입적일 | 1604년 1월 23일 |
입적지 | 조선 평안도 묘향산 원적암(圓寂庵) |
국적 | 조선 |
종교 | 불교 |
종파 | 선종 |
스승 | 숭인장로(崇仁長老) |
존칭 | 대선사(大 Seonsa) |
![]() | |
승려 정보 | |
출가 | 1538년 |
부모 | 아버지 최세창(崔世昌), 어머니 김씨(金氏) |
제자 | 유정, 평양 언기 (平壤彦機), 처영, 영규, 의엄 |
저서 |
2. 생애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평안북도 묘향산에서 서산대사(西山大師)로 불렸다. 1552년 승과(僧科)에 급제, 교종판사와 선종판사를 거쳐 판선종사에 올랐으나, 1559년 사직하고 입산하였다. 조선 불교계 통합, 교선겸수(敎禪兼修), 유불도 삼교합일론(儒佛道三敎合一論)을 주장하며 조선 불교 중흥조(中興祖)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의승군(義僧軍)을 편성, 전국 사찰에 격문을 보냈다. 팔도 십육종도총섭(十六宗都總攝)에 임명되어 제자 유정 등과 함께 5,000명의 의승군을 이끌고 일본군과 싸웠다.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에는 휴정을 모신 표충사(表忠祠)가 있다. 태권도 품새 "서산"은 그에게서 유래한다.[1]
2. 1. 임진왜란 이전
평안도 안주 출신으로, 9세에 어머니를 잃었고 10세에는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나 고아가 되었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휴정을 안주 목사 이사증이 한양으로 데려가 반재에서 공부시켰다. 이 무렵 호남 감사로 부임한 스승이 몇 달 만에 별세하자, 동급생들과 함께 문상을 갔다가 지리산 일대를 구경하고 경전을 공부하며 선가(禪家)의 법을 깨닫고 숭인(崇仁) 장로에게서 승려가 되었다. 21세에 운관 대사에게 인가(印可)를 얻고 촌락을 다니다가 정오에 닭 울음소리를 듣고 홀연히 심신(心神)을 깨달았다. 30세에 선과(禪科)에 합격하였다.
대선(大選)에서 양종 판사(兩宗判事)에까지 오른 후 승직을 버리고 금강산에 들어가 삼몽사(三夢詞)를 짓고 향로봉에 올라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 만국의 도성은 개미집이요, 일천 집의 호걸은 초파리 같네, 창에 비친 밝은 달 아래 청허하게 누우니, 끝없는 솔바람 운치가 별미로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의 옥사 때 요승 무업(無業)이 이 시를 문제삼아 무고하여 옥에 갇혔으나, 선조가 억울함을 알고 석방했을 뿐만 아니라 시를 칭찬하고 상을 내렸다.[1]
2. 2. 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주에서 선조를 알현하고 팔도십육종도총섭(八道十六宗都總攝)에 임명되었다.[1] 선조에게 각지의 노약자들로 하여금 기도하게 하고, 나머지 승려들을 모아 적군을 몰아내겠다고 건의하여 허락을 받았다. 이후 전국에서 5,000여 명의 의승(義僧)을 모집하여 평양성 탈환 전투 등에서 큰 공을 세웠다.[1] 이는 단순한 군사적 승리를 넘어,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고 국난 극복에 대한 의지를 고취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특히 휴정의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과 위기 상황에서의 결단력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2. 3. 임진왜란 이후
임진왜란 이후, 묘향산으로 돌아가 제자 양성에 힘쓰며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85세에 입적할 때까지 불교 선 사상을 널리 전파하는 데 헌신했다.[3]3. 사상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묘향산에 살면서 서산대사(西山大師)라는 존칭으로 추앙받았다. 1552년 과거의 승과(僧科)에 급제하여 교종판사(敎宗判事), 선종판사(禪宗判事)를 거쳐 판선종사(判禪宗事)에 올랐으나, 1559년에 사직하고 입산하였다. 조선 불교계의 통합, 교선겸수(敎禪兼修), 유불도 삼교합일론(儒佛道三敎合一論)을 주장하며, 조선 불교의 중흥조(中興祖)가 되었다.[1]
4. 평가 및 영향
서산대사는 조선 불교의 중흥조이자 임진왜란의 영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조선 불교계의 통합, 교선겸수(敎禪兼修), 유불도 삼교합일론(儒佛道三敎合一論)을 주장하였다.[1]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한성(현재의 서울)을 점령하자, 의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1500명의 의승군(義僧軍)을 편성하고 전국 사찰에 격문을 보냈다. 팔도 십육종도총섭(十六宗都總攝)에 임명되어 제자 유정 등과 함께 5000명의 의승군을 이끌고 일본군과 싸웠다.[1]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에는 휴정을 모신 표충사(表忠祠)가 있으며, 태권도 품새 중 하나인 “서산(西山)”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다.[1]
5. 관련 문화재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보물 제1347호), 심법요초(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0호), 청허당 진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0-1호)은 서산대사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
5. 1. 주요 문화재 목록
명칭 | 지정 번호 |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 보물 제1347호 |
심법요초 |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0호 |
청허당 진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0-1호 |
참조
[1]
웹사이트
테코ンドー24의 투르(형)
https://www.taekwon-[...]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encykorea.aks[...]
[3]
웹인용
승병대장과 금강산
https://web.archive.[...]
조선금강산국제려행사
20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