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혈오징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흡혈오징어는 흡혈귀와 유사한 외모를 가졌지만, 실제로는 피를 빨지 않고 심해의 유기물을 섭취하는 두족류이다. 1898~1899년 발디비아 원정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문어와 오징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이 둘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최대 30cm까지 성장하며, 검은색에서 적갈색까지 변하는 젤라틴질 몸체와 발광 기관, 가시 모양의 다리, 큰 눈을 특징으로 한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심해에서 서식하며, 빛이 없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 및 생존 전략을 발달시켰다. 현재 멸종 위기종은 아니지만,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위협을 받고 있다. 대중문화에서는 골드만삭스를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다큐멘터리와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어과 - 참문어
참문어는 전 세계 해역에 서식하며 뛰어난 지능과 색상 변화 능력을 가진 문어의 일종으로 식용 가치와 문화적 의미가 높지만, 어획량 감소로 자원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문어과 - 낙지속
낙지속은 문어과에 속하는 속으로, 팔뚝문어, 붉은돗문어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한국에서는 긴다리문어와 동아시아 문어가 발견된다. - 두족류 - 흡혈오징어목
흡혈오징어목은 두족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멸종된 켈라이니나, 원오징어아목, 중간오징어아목과 현존하는 흡혈오징어아목을 포함하며, 흡혈오징어아목에는 흡혈오징어과가 유일하게 속해 있고, 일부 분류군은 오랫동안 흡혈오징어목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하다. - 두족류 - 갑오징어
갑오징어는 갑오징어속 두족류로, 뛰어난 위장술로 자신을 보호하며, 얕은 수심에서 서식하며 게, 새우 등을 먹고, 14~18개월에 성숙하여 최대 2년까지 살며,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갑오징어 뼈가 애완동물 칼슘 공급원으로 활용된다.
흡혈오징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Vampyroteuthis infernalis |
명명자 | 칼 춘 |
명명년도 | 1903년 |
속 | 코우모리다코속 Vampyroteuthis |
상위 분류군 | 팔완형상목 |
목 | 코우모리다코목 |
과 | 코우모리다코과 |
영명 | 흡혈오징어 |
로마자 표기 | Vampyroteuthis infernalis |
생물학적 특징 | |
형태 | 깊은 바다에 사는 두족류 |
발광 기관 | 생물발광 기관 보유 |
특징 | |
서식지 | 심해 |
특징 | 망토, 지느러미, 촉수, 발광 기관을 가짐 |
먹이 | 해저에서 떨어지는 유기물 파편인 "해양 눈" |
분류학적 동의어 | |
Cirroteuthis macrope | 새뮤얼 스틸먼 베리, 1911 |
Danateuthis schmidti | 루이 주뱅, 1929 |
Hansenoteuthis lucens | 주뱅, 1929 |
Melanoteuthis anderseni | 주뱅, 1931 |
Melanoteuthis beebei | 가이 코번 롭슨, 1929 |
Melanoteuthis lucens | 주뱅, 1912 |
Melanoteuthis schmidti | 주뱅, 1929 |
Retroteuthis pacifica | 주뱅, 1929 |
Watasella nigra | 사사키 마도카, 1920 |
2. 발견
흡혈오징어는 Carl Chun이 이끄는 발디비아 원정(Valdivia Expedition, 1898-1899) 중에 발견되었다. Challenger Expedition)]]에 영감을 받은 동물학자 Carl Chun은 550m 아래에도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후 Carl Chun은 흡혈오징어를 흡혈오징어목(Vampyroteuthidae)로 분류했다.[4] 발디비아 원정은 독일 과학자 모임인 독일 자연과학자 및 의사 협회(Gesellschaft Deutscher Naturforscher und Ärzte)의 지원을 받았는데, 이들은 심해 무생물설(Abyssus theory)과 달리 수심 550m 이상에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발디비아 호는 심해 생물 채집 장비, 실험실, 표본 병을 갖추고 채집된 생물을 분석하고 보존했다. 항해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시작하여 에든버러를 거쳐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진행되었고,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양과 남극해의 심해 지역을 조사했다.[7]
흡혈오징어는 이름과 달리 흡혈을 하지 않고 심해에 떠다니는 유기물 등을 먹는다. 중생대에 서식했던 두족류인 벨렘나이트처럼 다리에 가시가 나 있다. 스피룰라와 마찬가지로 2개의 지느러미 사이에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어두운 심해에서 검은 먹물 대신 형광색 빛을 내는 점액질을 뿜는다. 위험에 처하면 몸을 뒤집어 가시를 바깥으로 드러내는, 일명 '파인애플 자세'를 취한다.[9][10][22]
3. 특징
3. 1. 외형
흡혈오징어는 문어와 오징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학자들은 이들 생물이 흡혈오징어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추정한다. 우무문어처럼 큰 머리에 작은 귀처럼 생긴 지느러미가 있고, 다리 사이에는 얇은 막이 있어 박쥐 날개처럼 보인다. 다리의 빨판은 갈고리나 송곳니를 닮았다. 몸통은 새빨갛고 눈은 새파란색으로 선명하게 대비된다.
흡혈오징어는 최대 약 30cm까지 자라며, 15cm 정도 크기의 젤라틴 같은 몸체는 서식지와 조명 상태에 따라 검은색에서 밝은 적갈색까지 다양하다. 8개의 팔에는 살덩이 같은 가시 또는 촉수가 여러 줄로 나 있으며, 피부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망토"의 안쪽은 검다. 빨판은 팔의 끝부분에만 있다.
빛에 따라 붉거나 푸른색으로 보이는 투명하고 둥근 눈은 지름 2.5cm로 동물계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큰 눈과 마찬가지로 뇌의 시각엽도 비슷하게 발달되어 있다.[12]
성체는 작은 지느러미 한 쌍이 외투막의 측면에서 튀어나와 있다. 이 귀 모양의 지느러미는 성체의 주요 추진 수단이며, 흡혈오징어는 지느러미를 펄럭이며 물속을 이동한다(수중 이동).[11] 부리 같은 턱은 흰색이다. 피부막 안에는 촉각 섬모가 숨겨져 있는 두 개의 주머니가 있다. 이 섬모는 진짜 오징어의 촉수와 유사하며, 팔보다 훨씬 길게 뻗어 있지만, 기원이 다르며 조상인 문어에서 잃어버린 한 쌍의 촉수를 대신한다.
흡혈오징어는 거의 전적으로 발광 기관인 발광기(photophore)로 덮여 있으며, 1초의 일부분에서 수 분까지 지속되는 혼란스러운 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기의 강도와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작은 흰색 원반처럼 보이는 발광기는 팔 끝과 두 개의 지느러미 기저부에서 더 크고 복잡하지만, 망토처럼 덮인 팔의 아랫면에는 없다. 머리 위쪽의 두 개의 더 큰 흰색 부분은 처음에는 발광기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감각 수용체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두족류에 흔한 색소포(색소 기관)는 흡혈오징어에서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다. 따라서 얕은 곳에 사는 두족류처럼 극적으로 피부색을 바꿀 수 없는데, 이러한 능력은 서식하는 빛이 없는 심해에서는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9][10][22]
3. 2. 발광 기관
흡혈오징어는 몸 전체가 발광 기관인 발광기(photophore)로 덮여 있으며, 1초의 일부분에서 수 분까지 지속되는 혼란스러운 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기의 강도와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작은 흰색 원반처럼 보이는 발광기는 팔 끝과 두 지느러미 기저부에서 더 크고 복잡하지만, 망토처럼 덮인 팔의 아랫면에는 없다. 머리 위쪽의 두 개의 더 큰 흰색 부분은 처음에는 발광기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감각 수용체로 확인되었다.
두족류에 흔한 색소포(색소 기관)는 흡혈오징어에서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다. 따라서 얕은 곳에 사는 두족류처럼 피부색을 극적으로 바꿀 수 없는데, 이러한 능력은 빛이 없는 심해에서는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3. 3. 색소포
흡혈오징어는 대부분의 두족류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색소포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다. 따라서 얕은 물에 사는 두족류처럼 피부색을 극적으로 바꿀 수는 없는데, 이는 빛이 없는 심해에서는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4. 서식지와 적응
흡혈오징어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극한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생물이다. 수심 600~900미터의 빛이 거의 없는 무광층에서 발견되며, 특히 산소 최소 지역(OMZ)이라 불리는 곳에서 서식한다. OMZ는 산소 포화도가 매우 낮아 대부분의 생물이 살기 어렵지만, 흡혈오징어는 산소 포화도가 3%에 불과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두족류이다.[17]
흡혈오징어는 심해의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독특한 특징을 발달시켰다. 모든 심해 두족류 중에서 가장 낮은 대사율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 푸른색 혈액 속 헤모시아닌은 다른 두족류보다 산소를 더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운반하며, 넓은 표면적을 가진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약한 근육과 크게 축소된 껍질을 가지고 있지만,[18] 사람의 내이와 비슷한 균형 기관인 정교한 평형석과 암모니아가 풍부한 젤라틴 조직 덕분에 적은 힘으로도 민첩성과 부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흡혈오징어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생존에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최상위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큰 눈과 발달된 시신경엽을 가지고 있어, 어두운 심해에서 생물 발광을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는 먹이나 짝을 찾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4. 1. 생존 전략
흡혈오징어는 깊은 바다에서의 생존을 위해 여러 가지 독특한 적응 방식을 발달시켰다. 이들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수심 600~900미터 또는 그 이상의 무광층에 서식하며, 특히 산소 최소 지역(OMZ)이라 불리는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 지역은 산소 포화도가 매우 낮아 대부분의 생명체가 살기 어렵지만, 흡혈오징어는 산소 포화도 3%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두족류이다.[17]흡혈오징어는 낮은 산소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낮은 대사율: 모든 심해 두족류 중에서 가장 낮은 질량 대비 대사율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한다.[18]
- 효율적인 산소 운반: 푸른색 혈액 속 헤모시아닌은 산소와 더 효과적으로 결합하고, 큰 표면적의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효율적으로 운반한다.[18]
- 민첩성과 부력 유지: 약한 근육과 크게 축소된 껍질을 가졌지만,[18] 정교한 평형석과 암모니아가 풍부한 젤라틴 조직 덕분에 적은 힘으로도 민첩성과 부력을 유지한다.
- 포식자 회피 전략:
- 생물 발광 점액: 위협을 받으면 팔 끝에서 끈적끈적한 생물 발광 점액 구름을 방출하여 포식자를 혼란시키고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이 점액은 약 10분 동안 지속되며, 포식자에게 달라붙어 흡혈오징어의 포식자를 2차 포식자에게 더 잘 보이게 만들기도 한다.
- 빛나는 팔 끝: 각 팔 끝에는 생체 발광 기관이 있어 먹이를 유인하거나 포식자를 혼란시키는 데 사용된다.
- "호박" 또는 "파인애플" 자세: 위협을 느끼면 팔을 몸 위로 뒤집어 망토 형태를 만들고 가시를 드러내어 더 커 보이는 효과를 낸다. 망토 아랫부분은 짙은 색소로 덮여 있어 대부분의 발광기를 가린다.
- 긴 필라멘트: 두 개의 긴 필라멘트를 펼쳐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위험을 감지하면 빠른 속도로 도망친다.
이러한 적응 덕분에 흡혈오징어는 산소가 부족한 심해에서도 생존하고, 상위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흡혈오징어는 산소가 적은 해역에 적응한 활동량이 적은 동물이다.[40] “흡혈오징어”라는 별명과는 달리, 살아있는 먹이를 적극적으로 추격하지 않는다.[40] 적을 만나면, 앞서 설명했듯이 다리의 막을 뒤집어 가시로 몸을 감싼다.[40] 이 가시는 이빨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육질의 촉수이다.[40]
흡혈오징어의 주식은 마린 스노우(플랑크톤의 유해 등 바다 속으로 떨어지는 물질)이며, 촉수가 변형된 두 개의 긴 촉수실을 이용하여 주변의 마린 스노우를 모은다.[40] 촉수실 끝에는 흡반이 있으며, 거기서 점액을 분비한다.[40] 마린 스노우는 점액으로 공 모양으로 뭉쳐진 후, 다리의 안쪽에 있는 가시를 통해 다리 밑동에 있는 입으로 운반된다.[40] 위 내용물에서 물고기 비늘이나 오징어의 일부가 발견되었지만, 살아있는 먹이를 포식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40]
5. 방어 행동
흡혈오징어는 심해어, 대형 쥐노래미,[21] 고래, 바다사자와 같은 심해 잠수 포유류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다양한 방어 행동을 통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흡혈오징어는 두 개의 긴 필라멘트를 펼쳐 깊고 검은 해류를 따라 표류한다. 필라멘트가 물체와 접촉하거나 진동이 느껴지면, 빠른 곡예 동작으로 원인을 조사한다. 초당 두 개의 신체 길이만큼 수영할 수 있지만, 약한 근육 때문에 체력이 제한된다.
심해 두족류인 흡혈오징어는 낮은 신진대사율과 먹이 밀도를 고려하여,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혁신적인 포식자 회피 전략을 사용한다.
5. 1. 몸 뒤집기
흡혈오징어는 먹물주머니가 없는 대신, 다양한 방어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 방해를 받으면 팔을 바깥쪽으로 말아 올려 몸을 감싸고, 마치 뒤집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여 몸집을 더 크게 보이게 하고 촉수(수염)에 있는 가시 돌기를 드러낸다. 망토의 아랫면은 색소가 많아 몸의 대부분의 발광기를 가린다. 빛나는 팔 끝은 동물의 머리 위쪽에서 뭉쳐 있어 중요한 부위로부터 공격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포식자 회피 행동은 "호박" 또는 "파인애플" 자세라고 불린다.[19][20] 팔 끝은 재생되므로, 팔 끝이 물린다면 포식자가 주의가 산만해지는 동안 도망칠 수 있는 방해물 역할을 할 수 있다.심하게 흥분하면 팔 끝에서 수많은 파란색 빛 알갱이를 포함한 점착성 생물 발광 점액을 분출할 수 있다. 거의 10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이 빛나는 폭격은 잠재적 포식자를 눈부시게 하고 흡혈오징어가 멀리 헤엄칠 필요 없이 어둠 속으로 사라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빛나는 "먹물"은 포식자에게 달라붙을 수도 있으며, 이는 "도둑 경보 효과"(흡혈오징어의 잠재적 포식자를 다른 포식자에게 더 잘 보이게 함, ''아톨라'' 해파리의 빛 표시와 유사함)를 만든다.
앞서 언급한 생물 발광 "불꽃놀이"는 빛나는 팔의 꿈틀거림과 불규칙적인 움직임, 탈출 궤적과 결합되어 포식자가 여러 갑작스러운 표적 중에서 오징어 자체를 식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흡혈오징어의 함입성 필라멘트는 탐지 및 탈출 메커니즘을 통해 포식자 회피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4]
5. 2. 생물 발광 점액
흡혈오징어는 심해의 낮은 먹이 밀도와 낮은 신진대사율 때문에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독특한 포식자 회피 전략을 사용한다. 적을 만나면 머리 끝을 발광시켜 눈처럼 빛나게 만들고, 동시에 눈을 다리로 뒤집어 가려 빛의 양을 조절하면서 서서히 작게 만들어 멀리 도망가는 듯한 효과를 낸다.[19]흥분하면 팔 끝에서 수많은 파란색 빛 알갱이를 포함한 끈적끈적한 생물 발광 점액을 분출한다.[4] 이 빛나는 점액은 거의 10분 동안 지속되며, 잠재적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하여 흡혈오징어가 어둠 속으로 사라질 수 있게 한다. 빛나는 "먹물"은 포식자에게 달라붙어 ''아톨라'' 해파리의 빛 표시와 유사한 "도둑 경보 효과"를 만들어, 흡혈오징어의 잠재적 포식자를 다른 포식자에게 더 잘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점액 재생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흡혈오징어는 매우 흥분했을 때만 이 방법을 사용한다.
앞서 언급한 생물 발광 "불꽃놀이"는 빛나는 팔의 꿈틀거림, 불규칙한 움직임 및 탈출 궤적과 결합되어 포식자가 여러 표적 중에서 오징어 자체를 식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흡혈오징어의 함입성 필라멘트는 탐지 및 탈출 메커니즘을 통해 포식자 회피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4]
5. 3. 기타
알려진 습성은 무인 해중 작업장치의 한시적 관찰에서 수집되었다. 흡혈오징어는 포획될 때 종종 부상을 당하며 수족관에서는 최대 두 달까지 생존한다. 2014년 5월,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은 최초로 이 종을 전시했다.흡혈오징어는 깊고 검은 해류를 따라 표류하며, 두 개의 긴 필라멘트를 이용해 물체와의 접촉이나 진동을 감지하고 빠른 동작으로 원인을 조사한다. 이들은 초당 두 개의 신체 길이만큼 수영할 수 있지만, 약한 근육으로 인해 체력이 제한된다.
심해 두족류인 흡혈오징어는 낮은 신진대사율과 먹이 밀도를 고려하여 혁신적인 포식자 회피 전략을 사용한다. 적을 만나면 머리 끝을 발광시켜 눈처럼 빛나게 하고, 동시에 눈을 다리로 뒤집어 가리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작게 만들어 멀리 도망가는 효과를 낸다. 또한 발광 점액, 팔 끝의 몸 뒤집기, 불규칙한 움직임, 탈출 궤도를 결합하여 포식자가 여러 표적을 식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흡혈오징어의 신축가능한 필라멘트는 탐지 및 탈출 방법을 통해 포식자 회피에 더 큰 역할을 한다.[4]
"호박" 또는 "파인애플" 자세라고 불리는 위협 반응에서, 흡혈오징어는 팔을 몸 위로 뒤집어 망토 형태를 만들고 가시를 드러내지만, 이는 무해하다. 망토 형태의 아랫부분은 짙은 색소로 덮여 있어 대부분의 발광기를 가린다. 빛나는 팔의 끝은 흡혈오징어의 머리보다 훨씬 위에 뭉쳐져 있어 공격을 급소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팔 끝은 재생될 수 있다.[19][20]
많은 심해 오징어류와 달리, 흡혈오징어는 먹물주머니가 없어 다양한 대체 방어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 방해를 받으면 팔을 바깥쪽으로 말아 올려 몸을 감싸고, 마치 뒤집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여 몸집을 더 크게 보이게 하고 촉수에 있는 가시 돌기를 드러낸다. 이러한 포식자 회피 행동은 "호박" 또는 "파인애플" 자세라고 불린다.[19][20]
심하게 흥분하면 팔 끝에서 수많은 파란색 빛 알갱이를 포함한 점착성 생물 발광 점액을 분출할 수 있다. 거의 10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이 빛나는 폭격은 잠재적 포식자를 눈부시게 하고 흡혈오징어가 멀리 헤엄칠 필요 없이 어둠 속으로 사라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빛나는 "먹물"은 포식자에게 달라붙을 수도 있으며, 이는 "도둑 경보 효과"를 만든다.
이러한 방어 메커니즘에도 불구하고, 흡혈오징어는 심해어를 포함한 큰 대형 쥐노래미의 위 내용물에서,[21] 그리고 고래와 바다사자와 같은 심해 잠수 포유류에서 발견되었다.
6. 먹이
흡혈오징어는 8개의 팔을 가지고 있지만 먹이를 잡을 수 있는 촉수가 없다. 대신 두 개의 섬모를 사용하여 먹이를 잡는다. 이 섬모에는 많은 감각 세포로 이루어진 작은 털이 있어 먹이를 감지하고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흡혈오징어는 빨판에서 분비되는 점액과 배설물을 결합하여 먹이 공을 만든다. 흡혈오징어는 젤리 모양의 동물성 플랑크톤과 요각류, 패충류, 단각류, 등각류 등의 잔재를 먹는다.[22][23] 또한 물속에서 생물발광 원생생물을 의도적으로 휘저어 더 큰 먹이를 유인하여 섭취하는 독특한 유인 방법을 사용한다.[22][23]
6. 1. 주식
흡혈오징어는 8개의 팔을 가지고 있지만 먹이를 잡는 촉수는 없으며, 대신 두 개의 함입 가능한 섬모를 사용하여 먹이를 포획한다.[22][23] 이 섬모에는 많은 감각 세포로 이루어진 작은 털이 있어 먹이를 감지하고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흡혈오징어는 빨판에서 분비되는 점액과 배설물을 결합하여 먹이 공을 만든다.[22][23]흡혈오징어는 정착성 잡식성 먹이 섭취 동물로서, 젤라틴성 동물 플랑크톤(살파, 유형동물, 해파리 등)의 유체와 살갗, 패각류, 옆새우류, 등각류와 같은 완전한 갑각류, 그리고 위쪽에 서식하는 다른 수생 생물의 배설물 펠릿을 포함하는 퇴적물을 먹는다.[22][23] 또한 흡혈오징어는 물속에서 생물발광 원생생물을 의도적으로 휘저어 더 큰 먹이를 유인하여 섭취하는 독특한 유인 방법을 사용한다.[22]
주식은 마린 스노우(플랑크톤의 유해 등 바다 속으로 떨어지는 물질)이며, 촉수가 변형된 두 개의 긴 촉수실을 이용하여 주변의 마린 스노우를 모은다.[40] 촉수실 끝에는 흡반이 있으며, 거기서 점액을 분비한다.[40] 마린 스노우는 점액으로 공 모양으로 뭉쳐진 후, 다리의 안쪽에 있는 가시를 통해 다리 밑동에 있는 입으로 운반된다.[40]
위 내용물에서 물고기 비늘이나 오징어의 일부가 발견되었지만, 살아있는 먹이를 포식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40]
6. 2. 기타
흡혈오징어는 8개의 팔을 가지고 있지만 먹이를 잡는 촉수는 없으며, 대신 두 개의 함입 가능한 섬모를 사용하여 먹이를 포획한다. 이 섬모에는 많은 감각 세포로 이루어진 작은 털이 있어 먹이를 감지하고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흡혈오징어는 빨판에서 분비되는 점액과 배설물을 결합하여 먹이 공을 만든다.[22][23] 정착성의 잡식성 먹이 섭취 동물로서, 젤라틴성 동물 플랑크톤(살파, 유형동물, 해파리 등)의 유체와 살갗, 패각류, 옆새우류, 등각류와 같은 완전한 갑각류, 그리고 위쪽에 서식하는 다른 수생 생물의 배설물 펠릿 등을 먹는다.[22][23] 또한 흡혈오징어는 물속에서 생물발광 원생생물을 의도적으로 휘저어 더 큰 먹이를 유인하여 섭취하는 독특한 유인 방법을 사용한다.[22][23]흡혈오징어는 산소가 적은 해역에 적응한 활동량이 적은 동물이다.[40] 연구에 따르면, “흡혈오징어”라는 별명과는 달리 살아있는 먹이를 적극적으로 추격하지 않는다.[40] 적을 만나면, 앞서 설명했듯이 다리의 막을 뒤집어 가시로 몸을 감싼다.[40] 이 가시는 이빨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육질의 촉수이다.[40]
주식은 마린 스노우(플랑크톤의 유해 등 바다 속으로 떨어지는 물질)이며, 촉수가 변형된 두 개의 긴 촉수실을 이용하여 주변의 마린 스노우를 모은다.[40] 촉수실 끝에는 흡반이 있으며, 거기서 점액을 분비한다.[40] 마린 스노우는 점액으로 공 모양으로 뭉쳐진 후, 다리의 안쪽에 있는 가시를 통해 다리 밑동에 있는 입으로 운반된다.[40]
위 내용물에서 물고기 비늘이나 오징어의 일부가 발견되었지만, 살아있는 먹이를 포식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40]
7. 생애 주기
다른 심해 오징어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추론해 볼 때, 흡혈오징어는 소량의 큰 알을 통해 느리게 번식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K-선택 전략에 해당한다. 배란은 불규칙적이며 생식선 발달에 투입되는 에너지는 최소화된다.[24] 영양분이 풍부하지 않은 서식지의 깊이 때문에 성장 속도가 느리다. 광활한 서식지와 희소한 개체 밀도로 인해 번식을 위한 만남은 우연한 사건이다.
흡혈오징어는 수컷이 정자 "꾸러미"를 암컷에게 전달하고, 암컷은 이를 받아 맨틀 안쪽의 특수한 주머니에 저장한다. 암컷은 알을 수정할 준비가 될 때까지 오랫동안 수컷의 수압으로 이식된 정포를 저장할 수 있다. 수정 후에는 알이 부화할 때까지 최대 400일 동안 알을 보호해야 할 수도 있다. 흡혈오징어의 번식 전략은 반복생식(iteroparous)으로 보이는데, 이는 일회성 생식(semelparous)인 다른 콜레오이드류와는 다른 점이다. 콜레오이드류 오징어는 일생 동안 한 번의 번식 주기만 거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흡혈오징어는 여러 번의 번식 주기를 거치는 증거를 보여준다. 알을 방출한 후, 암컷 흡혈오징어는 휴식 상태로 돌아온 후 새로운 알이 형성된다. 이 과정은 수명 동안 최대 20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흡혈오징어의 신진대사율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산란 사건은 상당히 간격을 두고 발생한다.[24]
7. 1. 발달 단계
흡혈오징어의 개체 발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들의 발육은 세 가지 형태학적 형태를 통해 진행되는데, 매우 어린 동물들은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고, 중간 형태는 두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성숙한 형태는 다시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발육 초기 및 중간 단계에서는 한 쌍의 지느러미가 눈 근처에 위치한다. 동물들이 성장하고 부피 대비 표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지느러미는 걸음걸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크기가 조정되고 위치가 조정된다. 어린 개체들은 주로 제트 추진에 의해 스스로 추진되는 반면, 성숙한 개체들은 지느러미를 펄럭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발견한다.[24]
이 독특한 개체 발생은 과거에 혼동을 일으켰고, 다양한 형태들이 별개의 과에서 여러 종으로 확인되었다. 만약 다른 심해 두족류에 대한 지식에서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면, 흡혈오징어는 소수의 큰 알을 통해 천천히 번식할 것이며, 이는 K-선택 전략에 해당한다.
배란은 불규칙하며 생식선의 발달에 최소한의 에너지가 투입된다. 동물들이 자주 찾는 수심에는 영양분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성장이 느리다. 서식지의 광활함과 개체 수가 희박하기 때문에 번식을 위한 만남은 우연한 사건이다. 암컷은 알을 수정하기 전에 수컷의 수압 이식 정포(원통 모양의 정자 주머니)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24]
흡혈오징어의 번식 전략은 반복적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반달형 콜레오상과에서는 예외이다. 흡혈오징어가 여러 번 번식 주기의 증거를 보인 반면, 콜레아 두족류는 한 번의 번식 주기만 거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알을 낳은 후, 암컷 흡혈오징어가 휴식 상태로 돌아간 후 새로운 알 덩어리가 형성된다. 이 과정은 수명 동안 최대 20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흡혈오징어의 반복적인 생활 습관은 오징어의 편안한 생활 습관과 함께 진화했다는 가설이 있다. 흡혈오징어와 같이 성체 생존율이 높은 생물에서 종종 나타나는 반복성으로 인해, 이 종에서는 많은 저비용 번식 주기가 예상된다. 부화한 새끼는 몸길이가 약 8mm이며, 투명하고 팔에 물갈퀴가 없고, 눈이 상대적으로 작고, 벨라 필라멘트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성체의 축소판이다.[25]
새끼는 알 수 없는 기간 동안 풍부한 내부 난황을 먹고 살다가 먹이를 적극적으로 먹기 시작한다. 더 작은 동물들은 더 깊은 바다에 자주 다니며, 아마도 해양 눈(떨어지는 유기물 잔해)을 먹고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숙한 흡혈오징어는 또한 물고기 뼈, 다른 오징어 살, 그리고 젤라틴 물질이 성체 흡혈오징어 위에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더 큰 먹이를 사냥하는 기회주의적 사냥꾼으로 여겨진다.[26]
흡혈오징어의 번식은 다른 두족류와는 다르다. 짝짓기를 하는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정자 한 묶음을 건네주고, 암컷은 그것을 받아 자신의 맨틀 안에 있는 특별한 주머니에 저장한다. 암컷이 준비가 되면, 암컷은 새끼를 낳기 위해 그 주머니를 사용할 것이다. 암컷은 번식의 필요성을 느낄 때 별도의 산란 "이벤트"로 알을 낳는다. 이러한 산란 행사는 흡혈오징어의 낮은 대사율 때문에 상당히 멀리 떨어져 발생하는데, 이는 산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축적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매우 드물고 그것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7. 2. 번식
흡혈오징어의 번식은 다른 두족류와는 달리, 짝짓기를 하는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정자 묶음을 건네주고 암컷은 이를 자신의 맨틀 안에 있는 특별한 주머니에 저장한다. 암컷은 준비가 되면 이 주머니를 사용해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번식 필요성을 느낄 때 별도의 산란 "이벤트"로 알을 낳는데, 흡혈오징어의 낮은 대사율 때문에 이러한 산란 행사는 상당히 멀리 떨어져 발생한다. 이는 산란에 필요한 자원을 축적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24]다른 심해 오징어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추론해 볼 때, 흡혈오징어는 소량의 큰 알을 통해 느리게 번식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K-선택 전략에 해당한다. 배란은 불규칙적이며 생식선 발달에 투입되는 에너지는 최소화된다.[24] 영양분이 풍부하지 않은 서식지의 깊이 때문에 성장 속도가 느리다. 광활한 서식지와 희소한 개체 밀도로 인해 번식을 위한 만남은 우연한 사건이다. 흡혈오징어처럼 성체 생존율이 높은 유기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복 생식의 경우, 이 종에서는 많은 저비용 번식 주기가 예상된다.
흡혈오징어의 번식은 다른 콜레오이드류 오징어와는 다르게, 수컷은 정자 "꾸러미"를 암컷에게 전달하고 암컷은 이를 받아 맨틀 안쪽의 특수한 주머니에 저장한다. 암컷은 알을 수정할 준비가 될 때까지 오랫동안 수컷의 수압으로 이식된 정포를 저장할 수 있다. 수정 후에는 알이 부화할 때까지 최대 400일 동안 알을 보호해야 할 수도 있다. 흡혈오징어의 번식 전략은 반복 생식으로 보이는데, 이는 일회성 생식인 다른 콜레오이드류와는 다른 점이다. 콜레오이드류 오징어는 일생 동안 한 번의 번식 주기만 거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흡혈오징어는 여러 번의 번식 주기를 거치는 증거를 보여준다. 알을 방출한 후, 암컷 흡혈오징어는 휴식 상태로 돌아온 후 새로운 알이 형성된다. 이 과정은 수명 동안 최대 20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흡혈오징어의 신진대사율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산란 사건은 상당히 간격을 두고 발생한다.[24]
흡혈오징어의 개체 발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부화한 새끼는 길이가 약 8mm이며, 투명하고 팔에 물갈퀴가 없고, 눈이 상대적으로 작고, 벨라 필라멘트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성체의 축소판이다.[25] 발달 과정은 세 가지 형태학적 형태를 거친다. 매우 어린 개체는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 형태는 두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고, 성체 형태는 다시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진다. 초기 및 중간 발달 단계에서 눈 근처에 한 쌍의 지느러미가 위치하며, 동물이 성장함에 따라 다른 쌍이 발달하면서 이 쌍은 점차 사라진다. 동물이 자라면서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지느러미의 크기가 조정되고 위치가 재조정되어 보행 효율을 극대화한다. 어린 개체는 주로 제트 추진을 통해 이동하는 반면, 성체는 지느러미를 퍼덕이는 더 효율적인 방법을 선호한다. 이러한 독특한 개체 발생으로 인해 과거에는 다양한 형태가 서로 다른 과의 여러 종으로 확인되어 혼란을 야기했다.
부화한 새끼는 알 속의 풍부한 난황을 이용하여 활동적으로 먹이를 먹기 시작하기 전까지 알 수 없는 기간 동안 생존한다.[25] 어린 개체는 훨씬 더 깊은 물에서 생활하며,
7. 3. 부화
흡혈오징어의 개체 발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부화한 새끼는 길이가 약 8mm이며, 투명하고 팔에 물갈퀴가 없고, 눈이 상대적으로 작고, 벨라 필라멘트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성체의 축소판이다.[25] 발달 과정은 세 가지 형태를 거친다. 매우 어린 개체는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며, 중간 형태는 두 쌍의 지느러미를, 성체는 다시 한 쌍의 지느러미를 가진다. 초기 및 중간 발달 단계에서는 눈 근처에 한 쌍의 지느러미가 위치하며, 성장함에 따라 다른 쌍이 발달하면서 이 쌍은 점차 사라진다. 동물이 자라면서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지느러미의 크기와 위치가 조정되어 보행 효율을 극대화한다. 어린 개체는 주로 제트 추진으로 이동하지만, 성체는 지느러미를 퍼덕이는 더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독특한 개체 발생으로 인해 과거에는 다양한 형태가 서로 다른 과의 여러 종으로 확인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부화한 새끼는 알 속의 풍부한 난황을 이용하여 활동적으로 먹이를 먹기 시작하기 전까지 알 수 없는 기간 동안 생존한다.[25] 어린 개체는 훨씬 더 깊은 물에서 생활하며, 해양 눈(떨어지는 유기 잔해물)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 성체 흡혈오징어는 어류 뼈, 다른 오징어 고기, 젤라틴 물질 등이 성체의 위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기회주의적 포식자로 여겨진다.[26]
8. 계통 분류
뱀피로모르피다(흡혈오징어목)는 다른 모든 문어의 자매 분류군이다. 여러 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이용한 두족류의 계통발생학적 연구는 뱀피로모르피다가 다른 모든 문어와 진화적으로 분리된 최초의 문어군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13][14][15]
뱀피로모르피다는 발광기의 소유와 아마도 변형된 팔인 두 개의 벨라 필라멘트와 같은 파생된 특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오징어를 포함한 다른 두족류와 내부 갑각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시문어류와 같은 여덟 개의 물갈퀴 달린 팔을 공유한다.
''흡혈오징어''는 측면의 털이나 필라멘트가 빨판과 번갈아 나타나는 원시문어류와 마찬가지로 여덟 개의 원시문어류 팔을 가지고 있다. ''흡혈오징어''는 팔의 원위쪽 절반에만 빨판이 있고 털은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점에서 다르다. 원시문어류에서는 빨판과 털이 전체 길이에 걸쳐 번갈아 나타난다. 또한, ''흡혈오징어''와 쥐라기-백악기 롤리고세피이나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내부 강화 구조인 갑각의 유사성으로 나타난다. 프랑스 중기 쥐라기 라 불트쉬르론 출토 ''뱀파이로나사 로다니카''는 ''흡혈오징어''와 일부 특징을 공유하는 흡혈오징어과의 하나로 간주된다.[16]
키메리지절-티톤절(1억 5600만 년 전~1억 4600만 년 전) 졸른호펜 출토의 추정 흡혈오징어류인 ''플레시오튜티스 프리스카'', ''레프토튜티스 기가스'', ''트라키튜티스 하스티포르미스''는 이 그룹에 확실하게 배정할 수 없다. 이들은 크기가 큰 종(35cm의 ''P. prisca''부터 1m가 넘는 ''L. gigas''까지)이며 흡혈오징어류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징을 보이며, 참오징어류인 오징어목과 다소 유사하다.
흡혈오징어는 실제로는 오징어도 문어도 아니며, 그것들이 종으로 분화하기 이전에 존재했던 조상 형태를 계승하고 있는 현생종으로 생각된다.
9. 인간과의 관계
흡혈오징어는 현재 멸종 위기종 또는 멸종 위협 종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인간에게 알려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7] 하지만, 흡혈오징어는 먹이가 대부분 해양 눈(marine snow)이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취약하다.[28] 미세 플라스틱은 소화관을 막아 영양분 흡수를 방해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여 먹이 활동을 감소시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29]
"흡혈 오징어"라는 용어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맷 테이비가 ''롤링 스톤''지에 기고한 기사[30]에서 골드만삭스를 비판하며 사용하면서 대중문화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31][32][33]
살아있는 흡혈오징어는 ''플래닛 어스''의 "심해" 편에 등장한다.[34]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은 2014년 5월에 이 종을 처음으로 전시했다.[35][36] 또한, 흡혈오징어는 2023년 비디오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 포획하여 요리할 수 있는 생물로 등장한다.[37]
9. 1. 보존 상태
흡혈오징어는 현재 멸종 위기종 또는 멸종 위협 종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인간에게 알려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7] 흡혈오징어는 먹이가 대부분 해양 눈(marine snow)이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 오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28] 미세 플라스틱은 소화관에서 공간을 차지하여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고도 동물의 위가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여 먹이 활동을 감소시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29]9. 2. 대중문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맷 테이비가 ''롤링 스톤''지에 기고한 기사[30]에서 "흡혈 오징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후, 이 용어는 골드만삭스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31][32][33]
살아있는 흡혈오징어는 ''플래닛 어스''의 "심해" 편에 등장한다.[34]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은 2014년 5월에 이 종을 처음으로 전시했다.[35][36]
흡혈오징어는 2023년 비디오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 포획하여 요리할 수 있는 생물로 등장한다.[37]
참조
[1]
웹사이트
Vampyroteuthis infernalis Chun, 1903
http://www.molluscab[...]
2021-03-19
[2]
논문
The bioluminescent organs of the deep-sea cephalopod Vampyroteuthis infernalis (Cephalopoda: Vampyromorpha)
https://zslpublicati[...]
1994-05-01
[3]
웹사이트
Vampire Squid, Vampyroteuthis infernalis
http://marinebio.org[...]
[4]
논문
Homology of Retractile Filaments of Vampire Squid
https://www.jstor.or[...]
1967
[5]
논문
Mitochondrial genome structure and evolution in the living fossil vampire squid, Vampyroteuthis infernalis, and extant cephalopods
2007-08
[6]
웹사이트
The Valdivia Expedition: Carl Chun's diving into the deep sea
https://www.sensesat[...]
2020-10-29
[7]
논문
The German Deep-Sea Expedition
https://www.jstor.or[...]
1898
[8]
논문
Fossil evidence for vampire squid inhabiting oxygen-depleted ocean zones since at least the Oligocene
2021-02-18
[9]
웹사이트
The vampire squid and the vampire fish
https://oceanservice[...]
2023-12-22
[10]
웹사이트
Vampyroteuthis infernalis, Deep-sea Vampire squid
http://www.thecephal[...]
Dr. James B. Wood
2011-07-03
[11]
웹사이트
Introducing Vampyroteuthis infernalis, the vampire squid from Hell
http://www.thecephal[...]
Dr. James B. Wood
2012-04-27
[12]
논문
Comparative brain structure and visual processing in octopus from different habitats
2021-11-18
[13]
논문
Revisiting the phylogeny of Cephalopoda using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https://academic.oup[...]
2017-05-01
[14]
논문
A multi-gene phylogeny of Cephalopoda supports convergent morphological evolution in association with multiple habitat shifts in the marine environment
2012-07-28
[15]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coleoid cephalopods (Mollusca: Cephalopoda) inferred from three mitochondrial and six nuclear loci: a comparison of alignment, implied alignment and analysis methods
2007-11-01
[16]
논문
Exceptional soft-tissue preservation of Jurassic Vampyronassa rhodanica provides new insights on the evolution and palaeoecology of vampyroteuthids
2022-06-23
[17]
웹사이트
Vampyroteithis infernalis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2021-03-05
[1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predator avoidance in cephalopods: A case of brain over brawn?
https://www.frontier[...]
[19]
Youtube
What the vampire squid really eats
https://www.youtube.[...]
2012-09-26
[20]
웹사이트
Vampire Squid Turns "Inside Out"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1-06-03
[21]
논문
The feeding habits of slope dwelling macrourid fishe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22]
웹사이트
Vampire squid from hell eats faeces to survive depths
https://www.newscien[...]
2018-05-07
[23]
웹사이트
Vampyrotheuthis infernalis (Vampire Squid)
https://sta.uwi.edu/[...]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2022-05-24
[24]
논문
Vampire squid reproductive strategy is unique among coleoid cephalopods
2015-04-20
[25]
논문
Morphological Observations On A Hatchling And A Paralarva Of The Vampire Squid, Vampyroteuthis Infernalis Chun (Mollusca : Cephalopoda)
http://biostor.org/r[...]
2020-02-09
[26]
논문
The first global deep-sea stable isotope assessment reveals the unique trophic ecology of Vampire Squid Vampyroteuthis infernalis (Cephalopoda)
[27]
웹사이트
Vampire Squid
https://marinebio.or[...]
The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2021-03-05
[28]
논문
Plastic in the inferno: Microplastic contamination in deep-sea cephalopods (Vampyroteuthis infernalis and Abralia veranyi) from the southwestern Atlantic
https://www.scienced[...]
2022-01
[29]
논문
Harmful effects of the microplastic pollution on animal health: a literature review
2022-06-14
[30]
잡지
The Great American Bubble Machine
https://www.rollings[...]
2021-02-25
[31]
웹사이트
The Great Vampire Squid Keeps On Sucking
https://www.forbes.c[...]
2021-02-25
[32]
웹사이트
Goldman Sachs: the death of the vampire squid
https://www.standard[...]
2021-02-25
[33]
뉴스
Goldman Sachs is still the 'giant vampire squid': When will it decide to change?
https://www.independ[...]
2021-02-25
[34]
웹사이트
BBC One - Planet Earth, Ocean Deep
https://www.bbc.co.u[...]
2024-07-13
[35]
뉴스
World's first vampire squid on display at Monterey Bay Aquarium
https://kion546.com/[...]
2014-05-31
[36]
뉴스
First ever vampire squid goes on display at the Monterey Bay Aquarium
https://reefbuilders[...]
2014-05-31
[37]
웹사이트
Dave the Diver Fish List
https://progameguide[...]
2024-07-13
[38]
문서
1911年筆の原画(コモンズに画像あり)をリファインしたもの。
[39]
문서
この水深は酸素極小層に属し、溶存酸素量が極端に少ない。
[40]
웹사이트
“吸血鬼イカ”の穏やかなスローライフ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6-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