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라비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비교는 귀스타브 에펠이 설계한 프랑스의 고가교로, 1885년 11월에 개통되었다. 프랑스 캉탈주의 마르브졸과 뇌사르그를 잇는 철도 노선에 건설되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치교로 기록되었다. 2009년 균열이 발견되어 폐쇄되었다가 안전 검사 후 통행이 재개되었지만, 속도 제한이 적용되었다. 가라비교는 프랑스 200프랑 지폐에 등장하였고, 영화 《카산드라 크로싱》의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캉탈주 - 캉탈 (치즈)
    캉탈 치즈는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의 소젖으로 만들며, 생우유로 만든 캉탈 페르미에와 살균 우유로 만든 캉탈 레티에로 나뉘고, 숙성 기간에 따라 맛과 풍미가 달라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가라비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라비교
가라비교
공식 이름Viaduc de Garabit
횡단트뤼에르강
위치캉탈주 륀장마르그리드
구조
설계귀스타브 에펠
재료강철
주경간165m
길이564.69m
운행 높이122m
연혁
착공일1880년
완공일1884년
개통일1888년 5월 27일
기타

2. 역사

1884년 4월 18일 건설 당시의 모습. 알퐁스 테르페로 촬영.


아래에서 본 모습


1885년 11월 단선으로 개통한 가라비 고가교는 길이 565m, 중량 3,587톤에 달했다. 하중변형의 범위가 8mm에 불과했으며 귀스타브 에펠이 사전에 계산한 수치와 일치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교량의 고도는 강 수면을 기준으로 124m에 달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치교로 기록되었다.[1] 공사 비용은 총 으로 추산됐다.[2]

1885년 개통 이후 백년이 넘는 세월 동안 클레르몽페랑-베지에 간 편도 노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가 매일 한 대씩 고가교 위를 지나갔다. 그러나 2009년 9월 11일 고가교의 기초 말뚝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폐쇄 조치가 내려졌다. 긴급 안전 검사를 거친 뒤 2009년 10월부터 다시 통행이 재개되었으나 10km/h 미만의 속도로 운행하라는 제한이 내려졌다.[3]

2. 1. 건설 배경

귀스타브 에펠이 테오필 세이리그와 함께 설립한 '에펠 에 시'(Eiffel & Cie)는 1870년대 후반 당대 프랑스의 대표 건축공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1875년~1877년 포르투갈 포르투도루강을 지나는 마리아피아교가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이후 캉탈주의 마르브졸과 뇌사르그를 잇는 철도 건설이 추진되면서 트뤼에르강을 가로지르는 고가교 건설이 예정되었다. 건설 당국은 마리아피아교와 비슷한 지형 조건임을 감안하여 통상적인 경쟁 입찰을 거치지 않고 귀스타브 에펠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에펠 사의 마리아피아교 설계 사례를 보고 가라비교 건설을 결정했다는 평가도 있다.[1]

2. 2. 건설 과정



1870년대 후반 귀스타브 에펠이 테오필 세이리그와 함께 설립한 '에펠 에 시' (Eiffel & Cie)는 당대 프랑스의 대표 건축공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1875년~1877년 포르투갈 포르투도루강을 지나는 마리아피아교가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이후 캉탈주의 마르브졸과 뇌사르그를 잇는 철도 건설이 추진되면서 트뤼에르강을 가로지르는 고가교 건설이 예정되었다. 건설당국은 마리아피아교와 비슷한 지형조건임을 감안하여 통상적인 경쟁입찰을 거치지 않고 귀스타브 에펠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에펠 사의 마리아피아교 설계 사례를 보고 가라비교 건설을 결정했다는 평가도 있다.[1]

1885년 11월 단선으로 개통한 가라비 고가교는 길이 565m, 중량 3,587톤에 달했다. 하중변형의 범위가 8mm에 불과했으며, 귀스타브 에펠이 사전에 계산한 수치와 일치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교량의 고도는 강 수면을 기준으로 124m에 달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치교로 기록되었다.[2] 공사 비용은 으로 추산됐다.[3]

2. 3. 개통 및 운영

1870년대 후반 귀스타브 에펠이 테오필 세이리그와 함께 설립한 '에펠 에 시' (Eiffel & Cie)는 당대 프랑스의 대표 건축공학 기업이었다. 1875년~1877년 포르투갈 포르투도루강을 지나는 마리아피아교가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이후 캉탈주의 마르브졸과 뇌사르그를 잇는 철도 건설이 추진되면서 트뤼에르강을 가로지르는 고가교 건설이 예정되었다. 건설당국은 마리아피아교와 비슷한 지형조건임을 감안하여 경쟁입찰을 거치지 않고 귀스타브 에펠에게 설계를 의뢰하였다. 에펠 사의 마리아피아교 설계 사례를 보고 가라비교를 건설하게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1]

1885년 11월 단선으로 개통한 가라비 고가교는 길이 565m, 중량 3,587톤에 달했다. 하중변형의 범위가 8mm에 불과했으며 귀스타브 에펠이 사전에 계산한 수치와 들어맞았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교량의 고도는 강 수면을 기준으로 124m에 달했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치교로 기록되었다.[1] 공사 비용은 총 3100000FRF으로 추산됐다.[2]

1885년 개통 이후 백년이 넘는 세월동안 클레르몽페랑-베지에 편도노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가 매일 한 대씩 고가교 위를 지나갔다. 그러나 2009년 9월 11일 고가교의 기초 말뚝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폐쇄 조치가 내려졌다. 긴급 안전검사를 거친 뒤 2009년 10월부터 다시 통행이 재개되었으나 10km 미만의 속도로 운행하라는 제한이 내려졌다.[3]

3. 대중 문화

귀스타브 에펠과 가라비교를 도안으로 삼은 200프랑 지폐


1996년 프랑스 은행에서 발행했던 200프랑 지폐에는 귀스타브 에펠과 함께 가라비교가 뒷배경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영화 《카산드라 크로싱》에서 출입이 통제되어 있는 '카산드라교'의 로케이션 촬영 장소로 쓰였다.[1] 작중 카산드라교는 사용되지 않고 버려진 지 30년~40년이 넘었으며 인근 주민들이 다리가 무너질까 두려워 이사를 갈 정도로 위험한 곳으로 묘사된다.

3. 1. 프랑스 200프랑 지폐



1996년 프랑스 은행에서 발행했던 200프랑 지폐에는 귀스타브 에펠과 함께 가라비교가 뒷배경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3. 2. 영화 《카산드라 크로싱》

영화 《카산드라 크로싱》에서 출입이 통제되어 있는 '카산드라교'의 로케이션 촬영 장소로 쓰였다.[1] 작중 카산드라교는 사용되지 않고 버려진 지 30년~40년이 넘었으며 인근 주민들이 다리가 무너질까 두려워 이사를 갈 정도로 위험한 곳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Structures: From Arch Analysis to Computational Mechanics https://archive.org/[...] Ernst & Sohn 2008
[2] 웹인용 Le Viaduc de Garabit https://web.archive.[...]
[3] 웹인용 140 camions en plus par jour (et des autocars TER) si la ligne des Causses ferme http://www.lamontagn[...] 2014-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