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용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용성은 시스템, 장비 또는 부품이 특정 시점에 작동하거나 사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IBM이 1970년에 System/370 시리즈를 발표하면서 신뢰성, 가용성, 보전성을 새로운 평가 지표로 제시하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가용성은 내재 가용성, 달성 가용성, 운영 가용성으로 구분되며, 가동률로 표현되거나 평균 고장 시간과 평균 고장 간격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의 가용성은 신뢰도 블록 다이어그램이나 고장 트리 분석과 같은 모델링 기법을 통해 계산되며, 직렬 구성 요소보다 병렬 구성 요소에서 더 높은 가용성을 얻을 수 있다. 가용성은 확률적 모델링 및 최적 유지보수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발전소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 시스템 -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알고리즘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확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여러 서비스에서 활용되면서 정확도 외 다양성,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 정보 시스템 - 정보 관리
정보 관리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데이터, 정보,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과정으로, 정보 기술 발전과 함께 전략적으로 진화했으며, 의사결정, 정보 시스템 구축, 프레임워크 활용, 조직 설계 등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복합적인 관리 활동이다.
가용성 | |
---|---|
일반 정보 | |
종류 | 정보공학 |
분야 | 신뢰성 공학 |
정의 | |
정의 | 시스템이 특정 시점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 |
다른 이름 | 가동률 |
계산 | |
계산식 | MTBF / (MTBF + MTTR) |
MTBF | 평균 고장 간격 |
MTTR | 평균 수리 시간 |
중요 요소 | |
중요 요소 | 신뢰성 유지보수성 보안 안전 지원성 |
측정 및 관리 | |
측정 및 관리 |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방법론이 사용됨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비용과 효용 간의 균형을 고려해야 함 |
목표 가용성 설정 | 시스템의 중요도, 사용자의 요구, 비용 등을 고려하여 목표 가용성을 설정 |
가용성 측정 | 시스템의 실제 가용성을 측정하고 목표 가용성과 비교하여 개선점을 파악 |
가용성 관리 | 시스템의 가용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 |
활용 분야 | |
활용 분야 | 정보 기술 제조업 의료 금융 통신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신뢰성 유지보수성 안전 RASIS 정보 보안 가용성 (열역학) 가용성 휴리스틱 |
2. 역사
IBM이 대형 컴퓨터(메인프레임)인 System/370 시리즈를 1970년 6월에 발표하면서 RAS(Reliability, Availability, Serviceability, 신뢰성, 가용성, 보전성)의 세 가지 요소를 평가 지표로 삼는다는 개념이 시작되었다.[1] System/370은 1964년에 IBM이 개발, 판매한 범용 컴퓨터였던 System/360 시리즈의 후속 기종이다.[1] IBM은 System/370에 RAS 개념을 도입하여 상품 가치를 높였다.[1]
가용성은 사용자가 실제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주요 규격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당시 IBM과 경쟁하던 후지쯔와 히타치도 IBM 호환 기종인 M 시리즈에 RAS 기능을 탑재했다.[2] 이러한 과정을 거쳐 RAS와 이후 'I'와 'S'를 더한 RASIS는 컴퓨터 분야를 넘어 널리 사용되는 두문자어가 되었다.[2]
영어 형용사 available은 유용하다, 이용 가능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그 명사 availability에 대응하는 일본어는 유효, 유익 등으로 여겨진다.[3] 그러나 일본 IBM은 System/370 시리즈를 일본 시장에 출시하면서 Availability를 '가용성'(可用性)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번역했다.[3] 이는 영어 단어의 직역보다는 참신함을 추구한 결과였다.[3]
3. 가용성의 정의
: 필요로 하는 외부 자원이 주어졌을 때, 어떤 시점 또는 어떤 일정 기간 동안 기능 단위가 정해진 조건 하에서 요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능력.
: 인가된 엔티티가 요구했을 때, 접근 및 사용이 가능한 특성.
: 미리 합의된 시점 또는 기간에 걸쳐, 요구된 기능을 실행하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능력.
가용성은 신뢰성, 보전성과 혼동되기 쉽지만, 장애 대책의 관점에서는 구분해서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신뢰성이 낮아 고장이 자주 발생하면 가용성도 낮아진다. 하지만, 중복화를 통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시스템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고장의 영향을 줄이고, 범위를 좁히는 경우 가용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전성이 낮으면 고장 발생 시 수리 시간이나 정상 작동 시 점검 또는 백업 시간이 길어져 전체적인 가용성이 낮아진다.
4. 가용성의 표현
가용성(''A'')의 가장 간단한 표현은 시스템의 가동 시간 기대값을 가동 시간과 중단 시간 기대값의 합(관찰 기간의 "총 시간" ''C''를 나타냄)의 비율이다.[1]
:
가용성(''A'')에 대한 또 다른 방정식은 MTTF와 MTBF의 비율이다.[1]
:
상태 함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
:
따라서 시간 ''t'' > 0에서의 가용성 ''A''(''t'')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1]
:
평균 가용성은 실수선 상의 구간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임의의 상수 을 고려하면 평균 가용성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1]
:
제한(또는 정상 상태) 가용성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1]
:
제한 평균 가용성은 또한 구간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
가용성은 임무가 임의의 시간에 요청될 때 항목이 임무 시작 시 작동 가능하고 커밋 가능한 상태에 있을 확률이며, 일반적으로 가동 시간을 총 시간(가동 시간 더하기 중단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1]
MTTF이 81.5년이고 MTTR이 1시간인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면:
:MTTF (시간) = 81.5 × 365 × 24 = 713940 (이것은 신뢰성 매개변수이며 종종 불확실성이 높다.)
:고유 가용성 (Ai) = 713940 / (713940+1) = 713940 / 713941 = 99.999860%
:고유 비가용성 = 1 / 713940 = 0.000140%
장비 고장으로 인한 연간 중단 시간 = 1/속도 = 1/MTTF = 연간 0.01235 시간.
가용성의 수치적 표현은 '''가동률'''이라고 불리며, 수리가 가능한 계통, 기기, 부품 등이 특정 순간에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확률(순간 가동률), 또는 규정된 시간 동안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확률(평균 가동률)을 의미한다. 약호는 A이다.[1]
가동률 A와 MTBF, MTTR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1]
:
가동률 | 동작 불능 시간 |
---|---|
99.9999% | 32초 |
99.999% | 5분 15초 |
99.99% | 52분 34초 |
99.9% | 8시간 46분 |
99% | 3일 15시간 36분 |
5. 가용성 모델링
시스템의 가용성을 계산하기 위해 신뢰도 블록 다이어그램이나 고장 트리 분석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1]
- 신뢰성 모델
- 유지보수성 모델
- 유지보수 개념
- 중복성
- 공통 원인 고장
- 진단
- 수리 수준
- 수리 상태
- 휴면 고장
- 테스트 범위
- 활성 작동 시간/미션/하위 시스템 상태
- 예비 부품 (재고) 수준 (여러 창고), 운송 시간, 여러 수리 라인에서의 수리 시간, 인력 가용성 등과 같은 물류적 측면
-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또한 이러한 방법은 가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항목과 고장 모드 또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가용성은 확률적 모델링 및 최적 유지보수 문헌에서 잘 확립되어 있다.[1] Barlow와 Proschan [1975]는 수리 가능한 시스템의 가용성을 "지정된 시간 t에 시스템이 작동할 확률"로 정의한다. Blanchard [1998]은 가용성을 "임무가 알 수 없는 임의의 시점에 요청될 때, 임무 시작 시 작동 가능하고 커밋 가능한 상태에 있는 시스템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정성적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MIL-STD-721에서 가져왔다. Lie, Hwang 및 Tillman [1977]은 가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함께 완전한 조사를 수행했다.
가용성 측정은 관심 있는 시간 간격 또는 시스템 다운타임의 메커니즘에 따라 분류된다. 관심 있는 시간 간격이 주된 관심사일 경우, 순간 가용성, 극한 가용성, 평균 가용성 및 극한 평균 가용성을 고려한다. 위에서 언급한 정의는 Barlow와 Proschan [1975], Lie, Hwang 및 Tillman [1977], 그리고 Nachlas [1998]에 제시되어 있다. 가용성에 대한 두 번째 주요 분류는 고유 가용성, 달성된 가용성 및 운영 가용성과 같은 다양한 다운타임 메커니즘에 달려 있다. (Blanchard [1998], Lie, Hwang, and Tillman [1977]). Mi [1998]는 고유 가용성을 고려한 가용성에 대한 몇 가지 비교 결과를 제공한다.
유지보수 모델링에서 고려되는 가용성은 교체 모델의 경우 Barlow와 Proschan [1975], 예비 부품 및 수리가 있는 R-out-of-N 시스템의 경우 Fawzi와 Hawkes [1991], 교체 및 수리가 있는 직렬 시스템의 경우 Fawzi와 Hawkes [1990], 불완전한 수리 모델의 경우 Iyer [1992], 연령 교체 예방 유지보수 모델의 경우 Murdock [1995], 예방 유지보수 모델의 경우 Nachlas [1998, 1989], 불완전한 유지보수 모델의 경우 Wang과 Pham [1996]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의 매우 포괄적인 책은 Trivedi와 Bobbio [2017]에 의해 쓰여졌다.
6. 가용성 향상 기법
시스템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법은 다음과 같다.
- 직렬 구성 요소: 구성 요소 A, B, C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전체 가용성은 각 구성 요소의 가용성을 곱하여 계산한다.[2][3]
- 전체 가용성 = (A의 가용성) x (B의 가용성) x (C의 가용성)
- 직렬 구성에서는 전체 가용성이 항상 개별 구성 요소의 가용성보다 낮다.
- 병렬 구성 요소: 구성 요소 A, B, C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전체 가용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2][3]
- 전체 가용성 = 1 - (1 - A의 가용성) X (1 - B의 가용성) X (1 - C의 가용성)
- N개의 병렬 구성 요소가 각각 X의 가용성을 갖는 경우: 전체 가용성 = 1 - (1 - X)^ N

병렬 구성은 전체 시스템 가용성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일 수 있다.[2] 예를 들어, 각 호스트의 가용성이 50%일 때 10개의 호스트를 병렬로 사용하면 99.9023%의 가용성을 얻을 수 있다.[3]
하지만 중복이 항상 가용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 중복은 복잡성을 증가시켜 오히려 가용성을 낮출 수 있다. 마크 브루커(Marc Brooker)는 중복성 활용 시 다음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4]
- 시스템 전체 가용성의 순수익 개선
- 중복 구성 요소의 독립적인 실패
- 정상적인 중복 구성 요소의 안정적인 감지
- 중복 구성 요소의 안정적인 확장 및 축소
중복화나 장애 영향 완화 및 국소화에 성공하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가용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7. 가용성의 응용
가용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가동률은 발전소 공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북미 전력 신뢰도 공사는 1982년에 발전 가동 데이터 시스템을 구현했다.[8]
참조
[1]
서적
Reliability Engineering
Addison Wesley
[2]
서적
System Sustainment: Acquisition And Engineering Processes For The Sustainment Of Critical And Legacy Systems
World Scientific
[3]
서적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Engineering: Modeling, Analysi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Understanding Distributed Systems, Second Edition: What every developer should know about large distributed applications
Roberto Vitillo
2022-02-23
[5]
웹사이트
Inherent Availability (AI)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Defense
2014-04-10
[6]
웹사이트
Achieved Availability (AI)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Defense
2014-04-10
[7]
웹사이트
Operational Availability (AI)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Defense
2014-04-10
[8]
웹사이트
Mandatory Reporting of Conventional Generation Performance Data
https://ghostarchive[...]
North American Electric Reliability Corporation
2014-03-13
[9]
웹사이트
システム370におけるRAS機能(System/370 RAS Facilities)
http://ci.nii.ac.jp/[...]
[10]
웹사이트
Ⅱ.大型計算機開発の時代、〔1962年~1980年〕、8.3 テクノロジとアーキテクチャ、【表5.M-160/M-180II/M-190 の概要】、特徴: 高度なRAS機能
http://homepage2.nif[...]
[11]
웹사이트
available の日本語訳
http://dictionary.go[...]
[12]
웹사이트
availability の日本語訳
http://dictiona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