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 아비뇽 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아비뇽 대교구는 프랑스 아비뇽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교구이다. 5세기 중반 넥타리우스가 초대 주교로 알려져 있으며, 1475년 교황 식스토 4세에 의해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아비뇽 유수 시기에는 교황청의 영향을 받았으며, 1801년 재건되었지만 대교구 지위는 회복하지 못했다가 2021년 프랑수아 퐁루프 대주교 임명과 함께 다시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파리 대교구
    가톨릭 파리 대교구는 프랑스 일드프랑스 지역을 포괄하는 가톨릭 교회 관구로, 노트르담 대성당을 전례 중심지로 두고 크레테유 교구 등 7개의 교구를 관할하며 성 데니스를 초대 사도로 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기독교 중심지이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오를레앙 교구
    프랑스 오를레앙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 오를레앙 교구는 프랑스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변화를 겪었고, 주요 순례지를 포함하여 지역 사회와 가톨릭 신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비뇽 유수 - 교황 베네딕토 12세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1334년부터 1342년까지 재위했으며, 아비뇽 교황청 건설을 시작하고 지복직관 교리를 확립하는 등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 아비뇽 유수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나라별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서울대교구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서울특별시를 관할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대교구로서, 한국 천주교회 역사를 이어받아 1962년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2020년 기준 약 153만 명의 신자와 954명의 사제가 소속되어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교육, 의료, 사회 사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나라별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는 사이타마현, 도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을 관할하는 교구로, 1939년 요코하마 교구에서 분리된 우라와 지목구로 설립, 1957년 우라와 교구로 승격, 200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본사도좌대리구의 역사와 연관되어 마리오 미치아키 야마노우치 주교가 교구장을 맡고 있다.
가톨릭 아비뇽 대교구
지도
일반 정보
관할권대교구
로마자 표기Archidioecesis Avenionensis
현지 명칭Archidiocèse d'Avignon
아비뇽 대성당
아비뇽 대성당
국가프랑스
관구마르세유
면적 (제곱킬로미터)3,578
인구561,469
인구 기준 년도2022
가톨릭 신자450,000
가톨릭 신자 비율80.1
본당173
교단로마 가톨릭교회
자치 교회라틴 교회
전례로마 전례
설립 연도4세기
대성당노트르담 데 돔 대성당
수호 성인노트르-담
성 아그리콜라
사제88 (교구)
47 (수도회)
22 상임 부제
교구장프랑수아 퐁뤼
교구장 직함대주교
명예 주교장피에르 카탕오즈
웹사이트아비뇽 대교구 웹사이트
역사
설정4세기
아비뇽 교구로 설정21 November 1475
재설정29 November 1801
대교구로 승격6 October 1822

2. 역사

성 루푸스와 성 유스투스가 고대 아비뇽 교구의 주교였다고 전해지지만, 역사적 증거는 없다. 역사상 알려진 첫 주교는 넥타리우스이며, 5세기 중반 여러 공의회에 참여했다.[1] 650년에서 700년 사이 주교였던 성 아그리콜은 아비뇽의 수호성인이다.

1475년 교황 식스토 4세는 조카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훗날 교황 율리우스 2세)를 위해 아비뇽 교구를 대교구로 승격시켰다.

2. 1. 초기 (5세기 ~ 1000년)

어떤 전승에 따르면 성 바울의 제자이자 키레네의 시몬의 아들인 성 루푸스와 아비뇽 지역에서 숭배받았던 성 유스투스가 고대에 그 교구의 주교였다는 증거는 없다. 역사상 알려진 첫 번째 주교는 5세기 중반에 여러 공의회에 참여했던 넥타리우스이다.[1] 650년에서 700년 사이에 주교였던 성 아그리콜은 아비뇽의 수호성인이다.

3. 역대 주교 및 대주교

1475년 교황 식스토 4세는 조카인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후에 교황 율리우스 2세가 됨)를 위해 아비뇽 교구를 대교구로 승격시켰다.

역대 주교 및 대주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아비뇽 교구와 대교구의 역대 주교 및 대주교

|-

! 초기 주교
(~ 1000년) !! 중세 주교
(1000년 ~ 1474년) !! 대주교
(1474년 ~ 현재)

|-

|

이름재임 기간
성 시몬 퀴레네? - 100년[1]
성 루프3세기 또는 4세기
넥타리우스439년–451년
사투리누스465년
율리아누스475년–507년
에우케리우스524년–540년
안토니우스541년–554년
요하네스585년
막시무스618년
성 베르데메7세기
성 아그리콜7세기 (683년 추정)
라게누티우스855년
힐두이누스860년–876년
라티프리두스876년–879년



|

재임 기간이름
1002년 언급피에르
1006년 이전–1033년엘데베르
1033년–1036년세니오레
1037년–1047년 이후브누아 1세
1050년 이전–1173년 이후로스탱 2세
1095년–1120년 이후알베르
1124년 이전–1142년로게리우스
1148년–1148년 이후조프루아 1세
1173년–1174년레몽 1세
1174년–1177년조프루아 2세
1178년–1180년퐁티우스
1180년–1197년로스탱 3세 드 마르그리트
1197년–1209년로스탱 4세
1209년–1216년기욤 1세 드 몽텔리에[1]
1225년 언급피에르 2세[1]
1226년 이전–1230년 이후니콜라 드 코르비[1]
1238년 언급베네딕투스[1]
1242년–1261년조엔 텐카라리
1264년–1266년베르트랑 드 생 마르탱[1]
1267년– c. 1287년로베르 도제[1]
1288년 언급브누아 3세[1]
1290년–1294년 이후앙드레 드 랑기스셀[1]
1300년–1310년베르트란두스 아이미니[1]
1310년–1312년자크 뒤에즈, 이후 교황 요한 22세[1]
1313년–1317년자크 드 비아 (요한 22세의 조카)[1]
1317년–1334년요한 22세 (재임)[1]
1336년–1349년장 드 코조르단
1349년–1352년교황 클레멘스 6세
1352년–1362년교황 인노첸시오 6세
1362년–1366년앙글리쿠스 그리모아르 (교황 우르바노 5세의 형제)[1]
1366년–1367년교황 우르바노 5세
1367년–1368년필리프 드 카바솔
1368년–1371년피에르 다이그르푀유
1371년–1383년파디 다이그르푀유
1391년–1394년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1394년–1398년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
1398년–1406년질 드 벨라메르
1410년–1412년피에르 5세 드 투로예
1412년–1415년시몽 드 크라모
1415년–1419년기 1세 드 루시용-부샤주
1419년–1422년기 2세 스피파메
1422년–1432년기 3세 드 루시용-부샤주
1432년–1433년마르코 콘둘메르
1437년–1474년알랭 드 쿠아티비



|

이름재임 기간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1474년–1503년 (1475년부터 대주교)[1]
앙투안 플로레스1503년–1512년
올란도 카레토 델라 로베레(오를랑 드 루르)1512년–1517년
히폴리토 데 메디치1517년–1535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청년)1535년–1551년
아니발레 보추티 (아니발 부추토)1551년–1562년
펠리시앙 카피토네1566년–1576년
조르주 다르마냐크1577년–1585년
도메니코 그리말디1585년–1592년
프랑수아-마리 토루시(프란체스코 마리아 타루기)1592년–1598년
장-프랑수아 보르디니1598년–1609년
에티엔 2세 둘시1609년–1624년
마리우스 필로나르디1624년–1644년
베르나르 3세 피넬리1644년–1647년
세사르 아르젤리1647년–1649년
도메니코 데 마리니1649년–1669년
아초 아리오스토1669년–1672년
야상트 리벨리1673년–1686년
알렉상드르 2세 몬테카티니1686년–1689년
로렌초 피에스키1690년–1705년
프랑수아 모리스 곤테리1705년–1717년
조제프 기용 드 크로샹1742년–1757년
프랑수아 마리아 만지1757년–1775년
카를로 빈첸초 조비오1775년–1790년
프랑수아-레지 로베르1793년–1794년
프랑수아 에티엔1798년
장-프랑수아 페리에1802년–1817년
에티엔-파르페-마르탱 모렐 드 몽스1821년–1830년
루이-조제프 드 휘미에르1831년–1834년
셀레스탱 뒤퐁(자크-마리-앙투안-셀레스탱 뒤 퐁)
(또한 부르주 대교구 대주교)
1834년–1842년
폴 노도1842년–1848년
장-마리-마티아스 데벨레이1848년–1863년
루이-안 듀브뢰유1863년–1880년
--
프랑수아-에두아르 아즐리
(또한 캉브레 대교구 대주교)
1880년–1884년
루이-조제프-마리-앙제 빈1885년–1895년
루이-프랑수아 쇠르1896년–1907년
가스파르-마리-미셸-앙드레 라티1907년–1928년
가브리엘-로슈 드 로베1928년–1957년
조제프-마르탱 우르타순1957년–1970년
외젠-장-마리 폴제1970년–1978년
레이몽 부셰1978년–2002년
장-피에르 마리 카테노즈2002년–2021년
프랑수아 퐁루프2021년–현재



|}

3. 1. 초기 주교 ( ~ 1000년)

이름재임 기간
성 시몬 퀴레네? - 100년[1]
성 루프3세기 또는 4세기
넥타리우스439년–451년
사투리누스465년
율리아누스475년–507년
에우케리우스524년–540년
안토니우스541년–554년
요하네스585년
막시무스618년
성 베르데메7세기
성 아그리콜7세기 (683년 추정)
라게누티우스855년
힐두이누스860년–876년
라티프리두스876년–879년


3. 2. 중세 주교 (1000년 ~ 1474년)

재임 기간이름
1002년 언급피에르
1006년 이전–1033년엘데베르
1033년–1036년세니오레
1037년–1047년 이후브누아 1세
1050년 이전–1173년 이후로스탱 2세
1095년–1120년 이후알베르
1124년 이전–1142년로게리우스
1148년–1148년 이후조프루아 1세
1173년–1174년레몽 1세
1174년–1177년조프루아 2세
1178년–1180년퐁티우스
1180년–1197년로스탱 3세 드 마르그리트
1197년–1209년로스탱 4세
1209년–1216년기욤 1세 드 몽텔리에[1]
1225년 언급피에르 2세[1]
1226년 이전–1230년 이후니콜라 드 코르비[1]
1238년 언급베네딕투스[1]
1242년–1261년조엔 텐카라리
1264년–1266년베르트랑 드 생 마르탱[1]
1267년– c. 1287년로베르 도제[1]
1288년 언급브누아 3세[1]
1290년–1294년 이후앙드레 드 랑기스셀[1]
1300년–1310년베르트란두스 아이미니[1]
1310년–1312년자크 뒤에즈, 이후 교황 요한 22세[1]
1313년–1317년자크 드 비아 (요한 22세의 조카)[1]
1317년–1334년요한 22세 (재임)[1]
1336년–1349년장 드 코조르단
1349년–1352년교황 클레멘스 6세
1352년–1362년교황 인노첸시오 6세
1362년–1366년앙글리쿠스 그리모아르 (교황 우르바노 5세의 형제)[1]
1366년–1367년교황 우르바노 5세
1367년–1368년필리프 드 카바솔
1368년–1371년피에르 다이그르푀유
1371년–1383년파디 다이그르푀유
1391년–1394년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1394년–1398년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
1398년–1406년질 드 벨라메르
1410년–1412년피에르 5세 드 투로예
1412년–1415년시몽 드 크라모
1415년–1419년기 1세 드 루시용-부샤주
1419년–1422년기 2세 스피파메
1422년–1432년기 3세 드 루시용-부샤주
1432년–1433년마르코 콘둘메르
1437년–1474년알랭 드 쿠아티비


3. 3. 대주교 (1474년 ~ 1801년)


  • 1474년 ~ 1503년: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1475년부터 대주교)[1]
  • 1503년 ~ 1512년: 앙투안 플로레스
  • 1512년 ~ 1517년: 올란도 카레토 델라 로베레(오를랑 드 루르)
  • 1517년 ~ 1535년: 히폴리토 데 메디치
  • 1535년 ~ 1551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청년)
  • 1551년 ~ 1562년: 아니발레 보추티 (아니발 부추토)
  • 1566년 ~ 1576년: 펠리시앙 카피토네
  • 1577년 ~ 1585년: 조르주 다르마냐크
  • 1585년 ~ 1592년: 도메니코 그리말디
  • 1592년 ~ 1598년: 프랑수아-마리 토루시(프란체스코 마리아 타루기)
  • 1598년 ~ 1609년: 장-프랑수아 보르디니
  • 1609년 ~ 1624년: 에티엔 2세 둘시
  • 1624년 ~ 1644년: 마리우스 필로나르디
  • 1644년 ~ 1647년: 베르나르 3세 피넬리
  • 1647년 ~ 1649년: 세사르 아르젤리
  • 1649년 ~ 1669년: 도메니코 데 마리니
  • 1669년 ~ 1672년: 아초 아리오스토
  • 1673년 ~ 1686년: 야상트 리벨리
  • 1686년 ~ 1689년: 알렉상드르 2세 몬테카티니
  • 1690년 ~ 1705년: 로렌초 피에스키
  • 1705년 ~ 1717년: 프랑수아 모리스 곤테리
  • 1742년 ~ 1757년: 조제프 기용 드 크로샹
  • 1757년 ~ 1775년: 프랑수아 마리아 만지
  • 1775년 ~ 1790년: 카를로 빈첸초 조비오
  • 1793년 ~ 1794년: 프랑수아-레지 로베르
  • 1798년: 프랑수아 에티엔
  • 1802년 ~ 1817년: 장-프랑수아 페리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