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색망토타마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색망토타마린은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에 분포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몸 전체는 갈색이며 꼬리는 검은색을 띠고, 흰 입 부분과 얼룩무늬가 있는 등을 제외하면 머리털 색깔 등으로 아종 간의 변이가 있다. 꼬마원숭이 등 다른 종과 혼합 무리를 형성하며 숲의 하층부에서 생활한다. 과거에는 타마린속에 속했지만, 현재는 세마타마린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종소명 'fuscicollis'는 '갈색 목의'라는 뜻이며,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은망토타마린속 - 웨들새들백타마린
  • 검은망토타마린속 - 붉은망토타마린
    붉은망토타마린은 검은망토타마린속에 속하는 영장류이다.
  • 1823년 기재된 포유류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23년 기재된 포유류 - 바라싱가
    바라싱가는 인도와 네팔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며 5~7개의 갈라진 뿔을 가진 대형 사슴으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습지나 습원에서 풀과 수생식물을 먹으며 세 가지 아종으로 나뉜다.
  • 에콰도르의 포유류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 에콰도르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갈색망토타마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마라다타마린
세마라다타마린 Saguinus fuscicollis
상태관심 필요 (LC)
상태 참고Heymann, E.W., Ravetta, A.L., Mittermeier, R.A., Alonso, A.C. & Moura, E.F. 2021. Leontocebus fuscicollis (amended version of 2020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160885500A192315580. https://doi.org/10.2305/IUCN.UK.2021-1.RLTS.T160885500A192315580.en. Accessed on 13 September 2024.워싱턴 협약 부속서 II
영장목 Primates
오마키사루과 Cebidae
아과마모셋아과 Callitrichinae
타마린속 Saguinus
아속Leontocebus
세마라다타마린 S. fuscicollis
학명Saguinus fuscicollis
명명자Spix, 1823년
한국어 이름세마라다타마린
영어 이름Brown-mantled tamarin
Saddleback tamarin
학명 (이명)Saguinus fuscicollis
추가 정보 (갈색망토타마린)
상태 기준iucn3.1
IUCN ID39947
분포
갈색망토타마린
갈색망토타마린

2. 분포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에서 발견된다.[1]

3. 형태

흰 입 부분과 얼룩무늬가 있는 등을 제외한 전신이 갈색을 띠고 있으며, 꼬리는 검은색이다[7]。 머리털 색깔 등으로 아종 간의 변이가 있다[7]。 갈색망토타마린을 포함하는 ''Leontocebus'' 아속에는 등면에 검은색과 옅은 노란색의 얼룩무늬가 있는 종이 많으며[10], 일본어 이름의 세마다라(背斑, 등 반점)나 영어 이름의 saddle-back(안장 걸이의 의미)는 이 무늬에서 유래한다[7][8]

4. 생태

꼬마원숭이 등 마모셋아과 내 다른 종과 함께 활동하며 혼합 무리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11] 주로 숲의 하층부에서 생활한다.[11] 서식지 분화를 통해 동일 지역에 분포하는 다른 종과의 경쟁을 회피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

5. 분류

검은목타마린 ''S. nigricollis''의 조상 종에서 종분화되었다고 여겨진다.[11] 과거에는 타마린속(''Saguinus'')의 ''S. nigricollis'' 그룹으로 여겨졌지만,[7] 2016년에 이 종군을 세마타마린속(''Leontocebus'')으로 분류하는 설이 제창되었다.[6]

종소명 ''fuscicollis''는 '갈색 목의'라는 뜻이다.[7] 과거에는 노란머리타마린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1970년대 이후 세마타마린이라는 일본어 이름이 정착되었다.[8]

5. 1. 아종

(스픽스새들백타마린)Saguinus fuscicollis fuscicollis
(Spix, 1823)Spix's saddle-back tamarin아빌라피레스새들백타마린Saguinus fuscicollis avilapiresi
(Hershkovitz, 1966)Ávila Pires' saddle-back tamarin라코새들백타마린
(허쉬코비츠새들백타마린)Saguinus fuscicollis primitivus
(Hershkovitz, 1977)Hershkovitz's saddle-back tamarin무라새들백타마린Saguinus fuscicollis mura
(Röhe et al., 2009)Gray-fronted saddle-back tamarin



웨델타마린 ''S. weddelli''


과거에는 13~14아종으로 구성된 큰 그룹으로 여겨졌으나[7], 분류가 세분화되면서 2011년에는 웨들새들백타마린 등이 별도의 종으로 분리되었다[9]

5. 2. 계통 분류

검은망토타마린속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5]

{| class="wikitable"

|-

! colspan="2" | 검은망토타마린속

|-

|

일리거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갈색망토타마린
안데스새들백타마린



|-

|

{| class="wikitable"

|-

| 크루즈리마타마린

|-

|

웨들새들백타마린
흰망토타마린



|}

|}

|-

| 조프루아새들백타마린

|}

|-

|

검은망토타마린
그라엘스타마린



|}

|-

|

황금망토타마린
붉은망토타마린



|}

|}

참조

[1] 논문 Leontocebus fuscicollis (amended version of 2020 assessment) 2024-09-13
[2]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CITES 2024-09-13
[3] 웹사이트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24年7月版 http://www.j-monkey.[...] 2024-09-13
[4] 서적 Order Primates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논문 昆虫食を通じて拡がる世界-生態系における霊長類昆虫食の役割-
[6] 논문 Taxonomic review of the New World tamarins (Primates: Callitrichidae)
[7] 논문 サルの分類名(その6:マーモセット科)
[8] 논문 頭蓋計測値に基づくクラライ(ペルー)のキンイロマントタマリンとアカマントセマダラタマリンの相違
[9] 논문 Mitochondrial phylogeny of tamarins (Saguinus, Hoffmannsegg 1807) with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for the S. nigricollis species group Wiley
[10] 논문 Phenotypic evolution in marmoset and tamarin monkeys (Cebidae, Callitrichinae) and a revised genus-level classification
[11] 논문 新世界ザルの種間関係
[12] IUCN Saguinus fuscicollis 2009-01-02
[13] MSW3
[14] 서적 South American Primates: Comparative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Ba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15] 논문 Mitochondrial Phylogeny of Tamarins (Saguinus, Hoffmannsegg 1807) with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for the S. nigricollis Species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