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통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통발은 한국 중북부 연못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는 5-15cm이다. 긴 뿌리줄기를 가지며, 잎은 마주난다. 물속 잎은 2-3회 3출엽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으며 벌레잡이 주머니는 없다. 꽃줄기에는 2-5송이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화관은 입술 모양이다. 수술은 2개이고 열매는 삭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0년 기재된 식물 - 차요테
차요테는 박과의 덩굴성 식물로 열매, 덩이줄기, 잎, 줄기, 씨앗 등 모든 부분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녹색 또는 흰색의 배 모양 열매는 샐러드, 볶음, 절임,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1800년 기재된 식물 - 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은 복주머니 모양의 꽃이 특징적인 여러해살이풀로, 요강꽃, 작란화 등으로도 불리며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통발과 - 통발속
통발속은 뿌리와 잎, 줄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식충식물 속으로, 독특한 포충낭을 이용하여 수생 동물을 포획하며, 다양한 생활 형태와 꽃의 형태를 보인다. - 통발과 - 땅귀개
땅귀개는 습지나 얕은 수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충식물로, 실 모양의 땅속줄기에 달린 포충낭으로 플랑크톤을 잡아먹으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노란색 입술 모양의 꽃을 피우고, 꽃 모양이 귀이개를 닮아 이름 붙여졌으며, 서식지 파괴로 많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북아메리카의 식물상 - 쇠뜨기
쇠뜨기는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이뇨 작용 효능이 있으며, 영양줄기와 생식줄기로 나뉘고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강한 번식력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약용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북아메리카의 식물상 - 부들속
부들속은 물 또는 반수생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를 가지며, 암수한그루이고, 바람에 의해 씨앗이 퍼져나가며, 습지 생태계에서 우점종으로 작용하며 식용, 건축 자재, 제지, 섬유, 바이오 연료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개통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Utricularia intermedia |
명명자 | Hayne |
이명 | Lentibularia intermedia (Hayne) Nieuwl. & Lunell U. alpina Georgi U. grafiana Koch U. media Schum. U. millefolium Nutt. ex Tuck. |
PLANTS 심볼 | UTIN2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미분류) | 국화군 |
상목 (미분류) | 꿀풀군 |
목 | 꿀풀목 |
과 | 통발과 |
속 | 통발속 |
아속 | 통발아속 |
절 | 통발절 |
2. 생태
2. 1. 형태
높이는 5-15cm이다. 근경은 길게 뻗으며, 잎은 마주난다. 물 속의 잎은 2-3회 3출엽(세 갈래로 갈라지는 잎)이며, 갈래에 톱니가 있고, 벌레잡이 주머니는 없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비늘잎이 1-2장씩 있으며, 땅 속으로 자라는 가지에 벌레잡이 주머니가 있다.[4]2. 2. 생식
꽃은 꽃줄기에 2~5송이씩 총상꽃차례(송이 모양으로 피는 꽃차례)로 달린다.[1] 포는 난형(달걀 모양)이고, 꽃자루는 길이 7~10mm이다.[1] 화관(꽃부리)은 입술 모양이며, 길이 12~15mm이다.[1] 윗입술 꽃잎은 크고 거의 원통형이며 아랫입술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1] 수술은 2개이며 열매는 삭과(익으면 껍질이 쪼개지면서 씨가 나오는 열매)이다.[1]참조
[1]
PLANTS
2008-12-28
[2]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3]
서적
The genus Utricularia - a taxonomic monograph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XIV: London
1989
[4]
서적
The genus Utricularia - a taxonomic monograph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XIV: London
1989
[5]
PLANTS
2008-12-28
[6]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