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제군 (195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군 (1958년 선거구)는 1958년부터 1973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53년 통영군에서 분리된 지역을 기반으로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으며,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진석중, 윤병한, 김주인, 이학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광주시 갑 (전남 선거구)
    광주시 갑은 1958년 신설되어 1973년 광주시 을과 통합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정성태 의원이 초대부터 8대 국회까지 지역구 의원을 역임했다.
  • 거제시의 정치 - 거제시장
    거제시장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시장으로, 시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어 임기 4년 동안 거제시를 대표한다.
  • 거제시의 정치 - 거제시 (선거구)
    거제시 선거구는 1995년 장승포시와 거제군 통합으로 신설되어 거제시 전 지역을 관할하며 김기춘, 윤영, 김한표, 서일준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선전한 지역으로, 22대 총선에서는 국민의힘 서일준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거제군 (195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거제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58
폐지197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통영군 을
이후 선거구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
의원 수1인

2. 역사

1953년 1월, 통영군 을 선거구에 해당하는 지역들이 거제군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영군 을이라는 선거구명으로 선거가 치러졌으며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영군 을 선거구가 거제군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충무시·통영군 선거구, 고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거제군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선거당선자정당득표율(%)
제4대 총선 (1958년)진석중자유당45.00
제5대 총선 (1960년)윤병한민주당23.29
제6대 총선 (1963년)김주인민주공화당41.76
제7대 총선 (1967년)김주인민주공화당61.01
제8대 총선 (1971년)이학만민주공화당96.96


4. 1.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진석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진석중자유당18,58545.00
반성환자유당12,16929.46
윤병한민주당195510,54525.53
합계41,299100.00


4. 2.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윤병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윤병한민주당9,75023.29
김종호무소속6,06914.49
서순영민주당5,95714.23
이채오무소속5,25812.56
최창일민주당3,0767.34
이도주무소속2,5055.98
송종완한국사회당2,2865.46
김구대무소속2,1445.12
원정희무소속1,8894.51
김재윤사회대중당1,7104.08
이풍식무소속1,2142.90
진석중무소속00


4. 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김주인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주인민주공화당15,69041.76
반성환민주당14,47338.52
신용돈민정당6,75417.97
고재일자유민주당6511.73
합계37,568100


4. 4.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김주인 후보가 재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주인민주공화당27,23261.01
반성환신민당16,93337.93
노옥준자민당3500.78
차승훈민중당1190.26
합계44,634100


4. 5.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거제군 선거구에서는 민주공화당 이학만 후보가 96.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당 윤병한 후보는 1.74%, 민중당 노옥준 후보는 0.85%, 대중당 차승훈 후보는 0.43%를 득표했다. 신민당 김봉조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학만민주공화당29,18996.96%
윤병한국민당5251.74%
노옥준민중당2570.85%
차승훈대중당1320.43%
김봉조신민당-등록무효
합계3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