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경상남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경상남도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낙동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와 남해안을 접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며 가야 문화를 꽃피웠고,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의 남부 지역으로 존재했다. 1896년 경상남도로 분리되었으며, 부산과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창원시가 도청 소재지이며, 8개의 시와 10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산, 덕유산 등 다양한 산과 낙동강, 남해안을 포함한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며, 김해평야를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1960년대 이후 중화학공업이 발전하여 경제 성장을 이뤘으며, NC 다이노스, 창원 LG 세이커스, 경남 FC 등 다양한 프로 스포츠 구단이 활동하고 있다. 해인사 장경판전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진주남강유등축제, 하동야생차문화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 - 오광대
    오광대는 경상도 지역에서 널리 행해진 춤, 재담, 노래, 동작이 어우러진 한국의 탈춤놀이로, 오행설에 근거하여 이름에 '5'라는 숫자가 반영되었으며 양반에 대한 풍자와 해학적인 춤사위가 특징이다.
  • 경상남도 - 부울경
    부울경은 대한민국 동남권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제조업과 항만 물류 산업이 발달하여 한국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경상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경상남도 위치
대한민국 내 경상남도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경상남도
한자 표기慶尙南道
로마자 표기Gyeongsangnam-do
McCune-Reischauer 표기Kyŏngsang-namdo
행정 구역대한민국
지역영남
소재지창원시
하위 행정 구역8시 10군
면적10,533 km²
면적 순위4위
인구3,447,687 명 (2018년 12월)
인구 순위2위
인구 밀도327.86 명/km²
도민경남 사람
ISO 코드KR-48
방언경상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지역 번호055
상징
도화장미
도목느티나무
도조백로
마스코트경남이 & 경이
정치
도지사박완수
도지사 소속 정당국민의힘
행정부지사최만림(제15대)
경제부지사김병규(제3대)
표어활기찬 경남 행복한 도민
경제
GDP (명목)120조 (2022년)
GDP (미국 달러)960억 달러 (2022년)
1인당 GDP33,782천 원
기타
행정 구역 분류 코드38
경상남도 깃발
경상남도 깃발
경상남도 로고
경상남도 로고
서부청사 위치진주시 월아산로 2026(초전동)
본청 위치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사림동)
주요 도시
거제시
거제시
산청군
산청군
통영시
통영시
남해군
남해군
합천군
합천군

2. 역사

경상남도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다. 낙동강과 같은 큰 강과 비옥한 평야를 기반으로 농경 문화가 발달했고, 발달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고대 가야 문화가 꽃을 피웠다. 김해 가야, 고령 가야, 합천 가야 등 여러 가야 소국들이 존재했으며, 각 가야의 영역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가야는 활발한 철기 생산과 교역으로 번영을 누렸고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지만, 삼국 시대 후기에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

1895년 이전, 현재 경상남도 지역은 조선의 팔도 중 하나인 경상도에 속했다. 1895년 경상도 남부는 서쪽의 진주와 동쪽의 동래(현 부산) 지역으로 재편되었고,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경상도가 남북으로 분리되면서 경상남도가 설치되었다. 경상남도는 진주부 일원과 동래부, 동래군, 양산군, 기장군, 울산군, 언양군, 거제군, 밀양군, 창녕군, 영산군 등을 관할했으며, 초기 도청 소재지는 진주였다.[2] 경상이라는 명칭은 경주와 상주를 합쳐 만들어진 이름으로, 이 주변 지역을 경상도라 불렀다. 조선 시대에는 동서로 나뉘는 등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 마산포 개항으로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되었고, 1900년 고성군에 진남군이 설치되었다. 이후 동래부와 창원부는 다시 군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부로 환원되는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08년에는 진해군과 웅천군이 창원부에, 칠원군이 함안군에 합병되었다. 1909년 진남군은 용남군으로 개칭되었다. 이 시기, 부산과 울산은 경상남도에서 분리 독립하지 않았지만, 양산은 사법 관할이 울산지방법원 관할이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도청은 오랫동안 부산에 있었으나, 1983년 7월 1일에 창원으로 이전했다.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동래부는 부산부로, 창원부는 마산부로 개칭되었다. 1914년에는 부와 군을 대대적으로 통폐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이 단행되어 일제의 통치에 편리하도록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주민들이 토지와 재산을 빼앗겼다. 1925년 도청은 부산부로 이전되었고, 1933년 도제가 시행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일제에 장악되어 있었다. 1939년 진주군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고 진주군은 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해방 이후 경상남도는 1949년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가 각각 부산시, 마산시, 진주시로 개칭되는 등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다. 1955년에는 진해읍과 통영읍이 각각 진해시와 충무시로 승격되었고, 1956년에는 삼천포시가 설치되었다. 1962년에는 울산시가 설치되었고,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었다. 이후 1973년 동래군이 폐지되고 양산군에 병합되었고, 1976년에는 창원지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0년에는 창원시와 김해시가 설치되었다. 1983년 도청이 부산에서 창원으로 이전했다.

1989년에는 장승포시와 밀양시가 설치되었고, 1991년에는 의창군과 울주군이 각각 창원군과 울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에는 여러 시와 군이 통합되었고, 양산군 일부가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어 기장군이 설치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경상남도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2010년 7월 1일에는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되어 현재의 창원시가 되었다. 부산과 울산의 분리는 경상남도의 위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선사 시대

경상남도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곳으로, 낙동강과 같은 큰 강과 평야를 중심으로 농경 문화가 발달하였다. 특히, 발달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고대 가야 문화를 꽃피웠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풍부한 선사 시대 유적들은 경상남도의 오랜 역사와 문화적 토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자료만으로는 선사시대 경상남도의 구체적인 모습을 상세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2. 2. 고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경상남도는 낙동강 등 큰 강과 평야를 기반으로 농경 문화가 발달했다. 발달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고대 가야 문화가 꽃을 피웠다. 가야는 여러 소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각 가야의 영역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김해 가야, 고령 가야, 합천 가야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가야는 철기 생산과 교역을 통해 번영을 누렸고,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하지만, 삼국 시대 후기에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 1896년(고종 33년) 지방 제도 개편 과정에서 경상도가 남북으로 나뉘면서 현재의 경상남도가 탄생하였다.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었고, 1995년 양산군 일부가 기장군으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는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경상남도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2. 3. 대한제국

1896년(대한제국 고종 33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경상도가 남북으로 분리되면서 경상남도가 설치되었다. 당시 경상남도는 진주부 일원과 동래부, 동래군, 양산군, 기장군, 울산군, 언양군, 거제군, 대구부 밀양군, 창녕군, 영산군을 합쳐 1부(동래부) 29군을 관할했으며, 도청 소재지는 진주였다.[2] 이는 기존의 경상도를 낙동강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눈 결과였다. 이후 경상남도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899년 5월 6일 마산포 개항에 따라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되었고(2부 28군), 1900년 5월 16일에는 고성군에 진남군이 설치되었다(2부 29군). 1903년 7월 3일에는 동래부와 창원부가 다시 동래군과 창원군으로 변경되었으나(31군), 1906년 10월 1일 다시 동래부와 창원부로 환원되었다(2부 29군). 1908년 9월 14일에는 진해군과 웅천군이 창원부에, 칠원군이 함안군에 합병되면서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2부 26군). 1909년 3월 13일에는 진남군이 용남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가 경상남도에서 분리 독립하였고, 1983년 7월 1일에는 경상남도청이 부산에서 창원으로 이전하였다.

2. 4.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동래부를 부산부로, 창원부를 마산부로 개칭하며 경상남도 지역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1914년 3월 1일에는 부와 군을 대대적으로 통폐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여, 위의 표와 같이 기존의 행정구역을 일제의 통치에 편리하도록 재편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많은 지역 주민들은 토지와 재산을 빼앗기는 등 극심한 수탈을 겪었다. 특히, 부산부와 마산부의 확장은 당시 일본인 거류지 중심으로 이루어져, 한국인들의 삶의 터전을 침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925년 4월 1일에는 도청이 부산부로 이전되었는데, 이는 일제의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강화 및 한국인 지방 자치 제약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1933년 4월 1일에는 도제가 시행되어 경상남도가 법인격을 갖춘 지방자치단체가 되었지만, 이는 형식적인 자치에 불과했으며, 실질적인 권한은 여전히 일제에 장악되어 있었다. 1939년 10월 1일에는 진주군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고, 진주군은 진양군으로 개칭되는 등 일제의 행정 편의에 따른 개편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행정 개편과 명칭 변경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공고히 하고 한국의 전통적인 행정 체계를 와해시키려는 의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2. 5. 대한민국

해방 이후 경상남도는 여러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다. 1949년 8월 15일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가 각각 부산시, 마산시, 진주시로 개칭되었고, 1953년 1월 1일 거제군이 재설치되었다. 1955년 9월 1일에는 창원군 진해읍이 진해시로, 통영군 통영읍이 충무시로 승격되었다. 1956년 7월 8일에는 사천군 삼천포읍과 남양면이 합쳐 삼천포시가 되었다. 1962년 6월 1일에는 울산군 울산읍, 방어진읍, 하상면, 대현면을 관할로 울산시가 설치되었고, 울산군은 울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중요한 변화는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상남도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후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어 양산군에 병합되었고, 1976년 9월 1일에는 마산시 일부에 경상남도직할 창원지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0년 4월 1일에는 이 출장소를 관할로 창원시가 설치되고, 창원군은 의창군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김해군 김해읍을 관할로 김해시가 설치되었다. 1983년 7월 1일에는 도청이 부산에서 창원으로 이전하는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다.

1989년 1월 1일에는 거제군 장승포읍을 관할로 장승포시, 밀양군 밀양읍을 관할로 밀양시가 설치되었다. 1991년 1월 1일에는 의창군이 창원군으로,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는 창원군이 폐지되어 마산시와 창원시에 분할 편입되었고, 진주시와 진양군, 충무시와 통영군, 울산시와 울산군, 밀양시와 밀양군, 장승포시와 거제군이 각각 통합되어 진주시, 통영시, 울산시, 밀양시, 거제시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3월 1일에는 양산군 중 옛 동래군(기장군) 지역이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어 기장군이 설치되었고, 5월 10일에는 삼천포시, 사천군, 김해군이 각각 폐지되고 사천시, 김해시가 설치되었다. 1996년 3월 1일에는 양산군이 폐지되고 양산시가 설치되었다.

마지막으로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폐지되고, 해당 관할 구역은 신설된 울산광역시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2010년 7월 1일에는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되어 현재의 창원시가 되었다. 이처럼 경상남도는 끊임없는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며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부산과 울산의 분리는 경상남도의 위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지리

경상남도의 지리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지형과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면적은 10,531.1km²로,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약 10.6%를 차지한다.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라남도에 이어 네 번째로 넓은 면적이다. 480여 개의 섬이 있으며, 전체 면적의 약 1.2%를 차지한다. 위치는 북위 34도 29분에서 35도 54분, 동경 127도 34분에서 129도 13분 사이에 있다.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남쪽으로는 남해,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 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전라북도(무주군, 장수군, 남원시)와 전라남도(구례군, 광양시)와 접한다.

백두대간의 끝자락에는 대한민국 본토 최고봉인 지리산(1,915m)이 있으며, 1967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덕유산(1,614m)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에 걸쳐 있으며,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소백산맥을 따라 백운산(1,279m) 등이 있고, 동부 산악지대에는 태백산맥의 여맥인 천황산(1,189m), 신불산(1,209m) 등이 있다.[29]

낙동강은 경상남도를 관통하여 남해로 유입되며, 하류 김해 지역에서는 삼각주 평야를 형성한다. 남해안은 소백산맥 남쪽 끝이 침몰하여 수심이 깊고, 복잡한 해안선과 크고 작은 섬들이 많은 다도해를 이룬다. 특히 통영을 중심으로 한 한려수도는 이순신 장군의 전승지이자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며,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29] 경상남도는 영남 지역에 속하며, 낙동강과 그 지류에 의해 대부분의 지역이 배수된다. 총면적은 10,533km²이다.[3] 태백산맥의 끝자락이 동쪽에 이르고, 낙동강은 산맥 중앙을 흐른다. 서쪽으로는 소백산맥과 호남과 접하며, 중앙 저지대는 낙동강 유역을 따라 펼쳐져 있다. 서쪽에는 지리산, 덕유산, 백운산이 위치한다.[4]

3. 1. 위치 및 면적

경남의 면적은 10,531.1km²로, 대한민국 전체 면적(99,600.87km²)의 약 10.6%를 차지한다. 17개 시도 중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라남도에 이어 네 번째로 넓다. 480여 개의 섬이 있으며, 이는 전체 면적의 약 1.2%를 차지한다. 거제도와 남해군 등이 대표적인 섬이다.

경도와 위도상 위치는 북위 34도 29분~35도 54분, 동경 127도 34분~129도 13분이다. 위도상으로는 일본 교토, 지중해 키프로스, 미국의 오클라호마 등과 유사하다.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남쪽으로는 남해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북도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와, 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 광양시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백두대간 끝자락에는 해발 1,915m의 지리산이 위치해 있다. 1967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천왕봉을 주봉으로 하는 여러 봉우리들이 있다. 덕유산(1,614m)은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으며,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소백산맥을 따라 백운산(1,279m) 등이 있고, 동부 산악 지대에는 태백산맥의 여맥인 천황산(1,189m), 신불산(1,209m) 등이 발달해 있다.[29]

중앙 저지대는 낙동강 강변 지대로, 낙동강은 경남을 흐르다 각 지류와 합쳐져 남해로 유입되며 김해 지방에서 삼각주 평야를 이룬다. 남해안은 소백산맥 남쪽 말단부가 침몰하여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복잡하며, 크고 작은 섬들이 많은 다도해를 이룬다. 특히 통영을 중심으로 하는 한려수도 일대는 이순신 장군의 전승지이자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관광지이다.[29]

3. 2. 산맥

경남은 지리적으로 소백산맥태백산맥의 영향을 받는다. 서쪽 경계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와 접하고 있다. 지리산(1,915m)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위치하며, 대한민국 본토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1967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덕유산(1,614m)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으며,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소백산맥을 따라 백운산(1,279m) 등이 위치해 있다. 동부 산악 지대는 태백산맥의 여맥인 천황산(1,189m), 신불산(1,209m) 등의 산들이 발달해 있다.[29]

3. 3. 하천 및 해안

경남은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하천 지형과 남해안의 특징적인 지형을 보인다. 낙동강은 경남을 관통하며 남해로 유입되고, 하류 김해 지역에서는 삼각주 평야를 형성한다. 남해안은 소백산맥 남쪽 말단부가 침몰하여 수심이 깊고, 복잡한 해안선과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한 다도해를 이룬다. 특히 통영을 중심으로 한 한려수도는 이순신 장군의 전승지이자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며,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29]

3. 4. 기후

경상남도는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해 저위도 지역의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남쪽으로는 바다와 접해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고, 북서쪽에는 높은 산맥이 있어 겨울철 차가운 북서풍을 막아주는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대한민국 전체적으로 볼 때 온화한 기후를 유지한다.

내륙 지방의 경우 연평균 기온은 12~13°C, 연평균 강수량은 1,200~1,500mm 정도이다. 1월 평균기온은 -0.5°C, 8월 평균기온은 25.1°C로 나타난다. 해안 지방은 내륙보다 더 온화하여 연평균 기온이 14~15°C로 높고, 연평균 강수량은 1,400~1,800mm로 더 많다. 1월 평균기온은 2.3°C, 8월 평균기온은 25.9°C이다.[29]

4. 정치

== 정치 ==

경상남도의 정치는 도지사와 도의회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경남도청 신청사는 2013년 3월에 완공되어 창원과 마산의 정부기관들을 통합했다.[14]

'''경상남도지사'''는 도민을 대표하는 최고 행정 책임자이며, 4년 임기의 민선직이다. 역대 경상남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 **제36대(민선 7기): 김경수(金慶洙, 2018년 7월 1일~2021년 7월 21일).[18][19][20]
  • **제35대(민선 6기): 홍준표(洪準杓, 2014년 7월 1일~2017년 4월 9일). 2017년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인해 임기 중 사퇴.
  • **제34대(민선 5기): 홍준표(洪準杓, 2012년 12월 20일~2014년 6월 30일). 전 한나라당(현 자유한국당) 대표. 2012년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지사 선거에서 당선되어 김두관 지사의 잔여 임기를 수행.
  • **권한대행: 임채호(林采虎, 2012년 7월 7일~12월 19일). 12월 19일 지사 선거로 후임 지사를 선출할 때까지 도정을 담당.[21]
  • **제34대(민선 5기): 김두관(金斗官, 2010년 7월 1일~2012년 7월 6일).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출마로 인해 2012년 7월 6일 지사직 사퇴.[22]
  • **제33대(민선 4기): 김태호(金台鎬,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 **제32대(민선 3기): 김태호(金台鎬, 2004년 6월 6일~2006년 6월 30일). 2004년 6월 5일 보궐선거에서 당선. 김혁규 전 지사의 잔여 임기를 수행.
  • **제31대(민선 3기): 김혁규(金爀珪, 2002년 7월 1일~2003년 12월 4일). 2004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 우리당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사퇴.[23]
  • **제30대(민선 2기): 김혁규(金爀珪,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제29대(민선 1기): 김혁규(金爀珪,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출처: 경상남도지사실 “[http://governor.gsnd.net/06successive/01.jsp#none 역대도지사]”(歴代道知事). 2010년 7월 2일 확인


경상남도지사 참고.

'''도의회'''는 58석(지역구 52석, 비례대표 6석)으로 구성되며, 지역구는 소선거구제를 적용한다. 2018년 7월 1일 기준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수 (2018년 7월 1일 현재)
colspan=2 rowspan=2|합계정당별 내역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정의당무소속
합계58342112
선거별 내역지역구52311902
비례대표6321-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80425211316/http://www.gncl.or.kr/ 경상남도의회 홈페이지” 2018년 10월 17일 확인. 경상남도의회 참고.

4. 1. 도지사

경상남도의 역대 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민선 1기부터 7기까지의 도지사들의 임기와 주요 활동, 정치적 성향 등을 정리하였다.

  • '''김경수'''(민선 7기, 2018년 7월 1일~2021년 7월 21일): 진보 성향의 정치인으로,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다. [18] [19] [20]
  • '''홍준표'''(민선 6기, 2014년 7월 1일~2017년 4월 9일): 보수 성향의 정치인으로, 자유한국당(전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며, 2017년 대선 출마로 인해 임기 중 사퇴하였다.
  • '''홍준표'''(민선 5기, 2012년 12월 20일~2014년 6월 30일): 2012년 대선과 동시에 치러진 지사 선거에서 당선되어 김두관 지사의 잔여 임기를 수행하였다. 당시 자유한국당(전 한나라당) 대표였다.
  • '''임채호'''(2012년 7월 7일~12월 19일): 김두관 지사 사퇴 후 12월 19일 지사 선거로 후임 지사가 선출될 때까지 권한대행을 역임하였다.[21]
  • '''김두관'''(민선 5기, 2010년 7월 1일~2012년 7월 6일): 진보 성향의 정치인으로,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출마로 인해 2012년 7월 6일 지사직을 사퇴하였다.[22]
  • '''김태호'''(민선 4기,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 '''김태호'''(민선 3기, 2004년 6월 6일~2006년 6월 30일): 김혁규 전 지사의 잔여 임기를 수행하기 위해 2004년 6월 5일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김혁규'''(민선 3기, 2002년 7월 1일~2003년 12월 4일): 2004년 4월 17대 총선에 우리당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사퇴하였다.[23]
  • '''김혁규'''(민선 2기,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김혁규'''(민선 1기,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출처: 경상남도지사실 “[http://governor.gsnd.net/06successive/01.jsp#none 역대도지사]”(歴代道知事). 2010년 7월 2일 확인

4. 2. 도의회

경상남도의회는 경상남도의 자치입법기관으로, 도민을 대표하여 조례를 제정하고, 도정을 감시하며, 예산을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한다. 의원들은 도민들의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의장과 부의장을 선출하여 의회를 운영한다. 의회는 상임위원회를 설치하여 각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의정활동을 수행한다. 도의회의 주요 기능은 도정에 대한 감시 및 견제, 조례 제정, 예산 심의·확정 등이며, 도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최근에는 지역균형발전과 서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에 힘쓰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여전히 지역 현안 해결에 대한 속도가 느리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경상남도의회 참고.

4. 3. 행정 구역

일제강점기에는 도청 소재지가 진주에서 부산부로 옮겨진 바 있다.[30] 1983년 경남도청을 부산에서 창원시로 이전하였다. 현재 도청은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에 위치한다. 경상남도는 8개 시와 10개 군으로 나뉜다. 아래는 각 시군의 정보이다.

지도#이름한글한자인구 (2024)[13]하위 행정구역
1창원시창원시昌原市1,001,9025개 일반구, 2개 읍, 6개 면, 54개 행정동
2김해시김해시金海市531,9661개 읍, 6개 면, 12개 행정동
3진주시진주시晉州市339,3381개 읍, 15개 면, 15개 행정동
4양산시양산시梁山市358,0741개 읍, 4개 면, 8개 행정동
5거제시거제시巨濟市232,9219개 면, 10개 행정동
6통영시통영시統營市118,896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
7사천시사천시泗川市108,6501개 읍, 7개 면, 6개 행정동
8밀양시밀양시密陽市100,8022개 읍, 9개 면, 5개 행정동
9함안군함안군咸安郡59,1022개 읍, 8개 면
10거창군거창군居昌郡59,7371개 읍, 11개 면
11창녕군창녕군昌寧郡56,2462개 읍, 12개 면
12고성군고성군固城郡48,3561개 읍, 13개 면
13남해군남해군南海郡40,0601개 읍, 9개 면
14합천군합천군陜川郡40,4401개 읍, 16개 면
15하동군하동군河東郡40,9091개 읍, 12개 면
16함양군함양군咸陽郡36,3071개 읍, 10개 면
17산청군산청군山淸郡33,3731개 읍, 10개 면
18의령군의령군宜寧郡25,1681개 읍, 12개 면



1: 창원시, 2: 김해시, 3: 진주시, 4: 양산시, 5: 거제시, 6: 통영시, 7: 사천시, 8: 밀양시,
9: 함안군, 10: 거창군, 11: 창녕군, 12: 고성군, 13: 남해군, 14: 합천군, 15: 하동군, 16: 함양군, 17: 산청군, 18: 의령군

4. 3. 1. 시 (市)

경상남도의 시는 총 7개 시가 있으며, 각 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에는 도청 소재지가 진주에서 부산으로 옮겨졌으나,[30] 1983년 창원으로 이전하여 현재는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에 위치한다.
창원시는 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이며,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성산구, 의창구, 진해구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1,044,579명이고, 면적은 736.34km²이다. 창원시는 경남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문화, 행정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김해시는 가야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 도시이며, 항공산업과 같은 미래 산업의 발전 가능성도 높게 평가받는다.
진주시는 경상남도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이며, 역사와 문화가 풍부하다. 과거 도청 소재지였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경남의 중요한 도시로서 기능하고 있다. 진주시는 꾸준한 발전을 이어가고 있지만, 과거 보수 성향이 강했던 지역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양산시는 부산광역시와 인접하여 산업과 주거 기능이 혼합된 도시이며,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지역이다.
거제시는 조선업을 중심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한 도시이다. 거제시의 조선 산업은 한국 경제에 큰 기여를 했지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영시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해양 문화를 기반으로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통영시는 천혜의 자연 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관광 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밀양시는 역사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시들에 비해 발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밀양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4. 3. 2. 군 (郡)

경상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군(郡)이 있다. 군 단위 행정구역은 시 단위에 비해 인구 규모가 작고, 농업 등 1차 산업이 주요 산업인 지역이 많다. 일부 지역은 자연환경이 뛰어나 관광지로 발전하기도 했다. 다음은 경상남도의 군 목록과 간략한 특징이다.

  • 거창군: 거창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빼어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다. 가야산 국립공원이 위치해 있으며, 최근에는 거창승마공원 등 레저 시설도 개발되고 있다. 진보적인 성향의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시도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온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 고성군: 경상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고성공룡세계엑스포로 유명하다.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지역의 특성을 살려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농업 또한 중요한 산업이며, 최근에는 해양 레저 관광에도 힘쓰고 있다.

  • 남해군: 남해군은 경상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섬 지역으로, 아름다운 해안선과 다도해를 자랑한다.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곳이며, 해양 관광과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산청군: 산청군은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맑은 자연 환경을 기반으로 한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다. 황매산 철쭉 군락지 등 자연 명소가 많다.

  • 창녕군: 창녕군은 경상남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우포늪이 있는 지역이다. 우포늪은 생태계 보존 지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농업도 주요 산업이다.

  • 하동군: 하동군은 경상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섬진강을 따라 발달한 지역이다. 녹차 재배가 유명하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바탕으로 한 관광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 함안군: 함안군은 경상남도 중부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다.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역사 유적지도 많아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 함양군: 함양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빼어난 자연 환경과 전통적인 문화를 지니고 있다.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며, 최근에는 친환경 농업에 주력하고 있다.

  • 합천군: 합천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해인사가 있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해인사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찰이며, 불교 문화와 관련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농업 또한 중요한 산업이다.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다. 특히, 의령 망개떡은 지역 특산물로 유명하다.

4. 3. 3. 사라진 행정 구역

일제강점기에는 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진주에서 부산부로 옮겨졌다.[30] 1983년에는 부산에서 창원으로 이전하여 현재는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에 위치한다. 과거 경상남도에는 현재와 다른 행정 구역들이 존재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이러한 행정 구역들은 시대의 변화와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현재의 경상남도 행정 구역으로 통합되거나, 다른 시도로 편입되는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특히,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의 경우, 과거 경상남도에 속해 있었던 지역들이 독립적인 광역시로 승격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과 지역 발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변화는 경상남도의 역사와 행정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며, 당시 사회상황과 정치적 판단의 영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5. 인구

경상남도의 인구는 오랜 기간 변화를 거듭해왔다. 1949년 3,133,697명에서 시작하여 1960년대에는 4,182,042명까지 증가했지만, 1963년 부산광역시 승격으로 인한 분리와 1995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설치,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으로 인한 분리로 인구가 감소하는 국면을 맞이했다.[31] 2000년대 이후에는 300만 명대를 유지하며 변동을 거듭했고, 2020년에는 3,361,344명으로 집계되었다.[31] 자세한 연도별 인구 변화는 위 표를 참고하라. 경상남도 인구의 구성은 연령대별, 성별, 종교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최근에는 고령화 추세와 인구 감소 현상이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세한 인구 구성에 대한 정보는 통계청 등의 관련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인구 항목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페이지를 참고하라.

경상남도의 종교 현황은 불교, 기독교(개신교와 천주교 포함), 그리고 무종교 인구가 주를 이룬다. 불교는 오랜 역사를 가진 종교로, 특히 산간 지역에 많은 사찰이 분포해 있다. 기독교는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종교 인구는 최근 세속화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무종교 인구가 5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불교 29.4%, 프로테스탄티즘 10.5%, 가톨릭 4.2%, 기타 종교 0.8%의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통계는 조사 시점과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확한 수치는 통계청 등의 공식 자료를 확인해야 한다. 어떤 특정 종교에 대한 편향된 해석 없이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5. 1.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총인구
1949년3,133,697명
1955년3,765,119명
1960년4,182,042명
1966년3,175,146명
(1963년 부산광역시 승격 분리로 인한 감소)
1970년3,118,634명
1975년3,278,718명
1980년3,320,546명
1985년3,514,500명
1990년3,671,509명
1995년3,841,553명
(1995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설치 분리로 인한 감소)
2000년2,978,502명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분리로 인한 감소)
2005년3,056,356명
2006년3,208,810명
2007년3,239,342명
2008년3,276,962명
2009년3,303,398명
2010년3,310,154명
2011년3,374,725명
2012년3,383,685명
2013년3,402,946명
2014년3,428,035명
2015년3,447,018명
2016년3,454,892명
2017년3,380,404명
2018년3,373,988명
2019년3,373,214명
2020년3,361,344명

[31]

5. 2. 종교

경상남도의 종교 분포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지만, 통계자료에 따라 그 비중은 다를 수 있다. 불교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사찰이 분포하고 있다. 기독교는 개신교와 천주교로 나뉘어 있으며,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세속화의 영향으로 무종교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보다 정확한 수치는 통계청 등의 공식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 자세한 종교별 현황은 관련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특정 종교에 대한 편향된 시각 없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6. 경제

경상남도의 경제는 농업과 어업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김해평야를 중심으로 한 낙동강 삼각주는 쌀, 콩, 감자, 보리 등의 곡물 생산이 활발하며, 대한민국 최고의 곡창지대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남해안 지역에서는 목화, 참깨와 다양한 과일이 재배된다. 또한, 풍부한 해산물 생산으로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어업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농업과 어업 외에도, [경상남도의 다른 산업](경상남도#산업) 부문에서 자세히 다루는 바와 같이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6. 1. 산업

1960년대 이후 중화학공업의 발달은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며, 경상남도는 그 중심에 있었다. 특히 기계 및 조선 산업이 크게 발전하여, 세계 10위권 조선업체 4곳이 경남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조선 산업의 발전은 경남 경제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더불어 항공 우주 산업은 대한민국 전체 생산량의 82%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하여 첨단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중화학공업 위주의 산업 구조는 환경 문제와 지역 격차 심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친환경 및 지능형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더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6. 2. 자원

경상남도는 낙동강 삼각주 평야, 특히 김해 주변 지역이 대한민국 최고의 곡창지대 중 하나로 손꼽히는 농업 지역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콩, 감자, 보리가 있으며, 남해안을 따라 목화, 참깨, 다양한 과일이 재배된다. 풍부한 해산물 생산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어업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7. 문화

== 문화 ==

경상남도는 다양한 문화유산과 축제, 그리고 독특한 향토 음식으로 풍부한 문화적 측면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진주남강유등축제, 하동야생차문화축제, 통영한산대첩축제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진해군항제, 함안 물 폭죽 축제, 통영국제음악제 등이 있다.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세계적인 축제로 인정받았으며, 하동야생차문화축제와 통영한산대첩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우수 축제로 선정되었다. 김해분청도자기축제와 가고파국화축제도 문화체육관광부 유망 축제로 선정되어 있다. 진주남강유등축제, 하동야생차문화축제, 통영한산대첩축제, 김해분청도자기축제, 가고파국화축제, 진해군항제, 함안 물 폭죽 축제, 통영국제음악제[32] [8][9][10]

경상남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진주냉면, 진주 헛제사밥, 통영의 충무김밥, 하동의 재첩국 등이 있다. 진주냉면은 멸치 등 해산물을 사용한 육수가 특징이며, 진주 헛제사밥은 제사 음식을 활용한 독특한 음식이다. 통영의 충무김밥은 꼬들꼬들한 김밥과 깍두기가 유명하고, 하동의 재첩국은 시원한 국물 맛으로 사랑받는다. 거제에서는 멍게와 성게를 이용한 비빔밥과 굴구이가 유명하다. 진주냉면, 진주 헛제사밥, 충무김밥, 재첩국[33][34][35][36][37][38][39][40]

경상남도는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경상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산이다.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남도의 기념물, 경상남도의 민속문화재,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40]

7. 1. 세계문화유산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해인사 장경판전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등록번호 737). 신라시대인 802년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목조 건축물의 우수성과 팔만대장경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장경판전은 수많은 전란에도 불구하고 팔만대장경을 온전히 보존해 온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축물이기도 하다. 이는 한국 불교 건축의 뛰어난 기술력과 보존 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7. 2. 축제

경상남도의 대표적인 축제로는 진주남강유등축제, 하동야생차문화축제, 통영한산대첩축제 등이 있다.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진주시에서 매년 10월 개천예술제와 함께 개최되는 지역 테마 축제로, 2002년 문화관광부 선정 특성화 축제로 시작하여 2011년에는 세계축제협회(IFEA) 피너클어워드에서 금상 3개, 동상 1개를 수상하며 세계적인 축제로 인정받았다.[32] 다른 주요 축제로는 다음과 같다.

  • 하동야생차문화축제: 하동군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문화체육관광부 최우수 축제로 선정된 바 있다.
  • 통영한산대첩축제: 통영시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문화체육관광부 유망 축제로 선정되어 있다.
  • 김해분청도자기축제: 김해시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문화체육관광부 유망 축제로 선정되어 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2]
  • 가고파국화축제: 창원시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문화체육관광부 유망 축제로 선정되어 있으며, 관련 웹사이트는 깨진 링크로 확인된다. [32]


이 외에도 진해군항제는 벚꽃 축제로 유명하며, 함안 물 폭죽 축제는 부처님 오신 날 경에 열리는 조선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 축제이다.[10] 2002년부터 시작된 통영국제음악제는 아시아에서 중요한 음악 행사 중 하나로 꼽힌다.[8]

7. 3. 음식

경상남도는 다양한 향토 음식으로 유명하다. 진주냉면은 멸치 등 해산물을 사용한 육수가 특징이며, 진주 헛제사밥은 제사 음식을 즐기는 독특한 문화를 반영한다. 통영의 충무김밥은 꼬들꼬들한 김밥과 곁들여 먹는 깍두기가 유명하고, 하동의 재첩국은 맑고 시원한 국물 맛으로 사랑받는다.


7. 3. 1. 진주냉면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진주냉면은 함흥냉면이나 평양냉면처럼 전국적인 인지도는 높지 않지만, 조선 시대부터 양반들이 즐겨 먹던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1994년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민족전통》에는 "냉면 중 제일로 여기는 것은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그 맛이 뛰어나다고 평가받았다. 다른 냉면과 달리 멸치 등 해산물을 육수 재료로 사용하며, 화려한 비주얼도 특징이다.

7. 3. 2. 진주헛제사밥

진주헛제사밥은 제사 음식을 활용해 만든 경상남도 진주의 향토 음식이다.[33] 제사에 사용하는 나물들을 활용하여 조리하는데, 고사리, 산채, 무나물을 참기름에 볶고 시금치는 데쳐서 무친다. 생선은 도미나 민어를 쪄서 준비하며, 산적과 통태전도 함께 준비한다. 국은 조개, 대합, 홍합 등 해산물과 무, 두부를 넣고 끓인다. 과일로는 사과, 배, 귤, 밤 등 제철 과일을 사용한다. 상차림은 밥과 나물, 국을 기본으로 하고, 그 다음에 생선, 전, 고기를 차리고, 마지막으로 떡과 과일을 후식으로 준비한다.[33] 즉, 제사 후 남은 음식을 활용하여 만든 음식이 음식점 메뉴로 발전한 것이다.

7. 3. 3. 충무김밥

통영은 대한민국 남부의 주요 어항으로, 활발한 어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다양한 해산물 요리의 발달로 이어졌고, 그 중에서도 충무김밥은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고기잡이에서 유래된 충무김밥은, 원조로 알려진 "뚱보할매김밥"을 비롯하여 주변 음식점들에서도 깔끔한 맛으로 유명합니다. 통영에서는 충무김밥 외에도 장어구이, 해물탕, 복요리 등 다양한 생선 요리를 즐길 수 있습니다.[34]

7. 3. 4. 섬진강 재첩국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하동의 재첩국은 한국 요리에서 민물조개인 재첩으로 만든 맑은 국으로, 경상도 지방의 토속 음식이다. 재첩은 하동 등 섬진강 하류, 김해, 명지, 음궁, 하단 지역 주위의 강가와 부산의 수영강 인근, 낙동강 부근에서 채취된다.[35][36] 재첩국은 깨끗이 씻은 재첩에 6~7cm로 자른 부추와 파, 다진 마늘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춰 끓여 만든다. 시원하고 깔끔한 맛으로 해장국으로 인기가 많다.[37] 포장된 재첩국을 구입할 수도 있다.[38]

하지만 섬진강 상류댐의 방류 부족으로 섬진강 하류의 유지수량이 감소하고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서 재첩의 개체 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39]

7. 3. 5. 거제 멍게-성게비빔밥과 굴구이 요리

거제의 관광 향토 음식으로는 멍게-성게비빔밥과 도다리쑥국, 물메기탕, 어죽, 볼락구이, 대구탕, 굴구이, 생선회 등이 있다. 거제도의 생선은 대부분 통영을 통해 유입되며, 거제도는 성게나 멍게 또는 굴과 같은 양식업이 어업보다는 발달해 있다. 가장 유명한 음식 중 하나인 멍게비빔밥이나 성게비빔밥은 신선한 멍게나 성게를 살짝 얼려두었다가 김과 함께 흰 쌀밥에 비벼 먹는 특미이다. 굴구이는 거제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요리 형태로, 넓적한 철판 냄비에 껍질을 까지 않은 굴을 통째로 올려 불을 가해 살짝 데친 상태로 익혀 먹는 것이다.[40] 굴구이 요리는 전통 음식이라기보다는 최근에 개발된 퓨전 음식이다.

7. 4. 경상남도의 문화재

경상남도에는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에는 건축물, 조각, 회화 등의 유형 유산이 포함되며,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에는 전통적인 예술, 기예, 공예 등의 무형 유산이 포함된다. 경상남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다. 또한, 경상남도의 민속문화재는 민속적인 가치가 있는 물건이나 기술 등을 보존하기 위한 지정이며,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는 향후 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는 자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문화재들은 경상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산이다. 특히, 일부 문화재는 진보적인 가치관을 반영하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평가될 수 있다. 반면, 보수적인 가치관을 반영하는 문화재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재해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8. 관광

경상남도는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갖춘 곳이다. 해인사는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유명한 사찰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해인사는 지리산 국립공원 인근에 위치하며, 802년에 창건되었다. 창녕군에는 우포늪, 부곡온천, 화왕산 등의 주요 관광지가 있다. 양산시에는 통도사와 내원사라는 중요한 사찰이 있다. 은 1984년 개관한 경상남도 최초의 국립박물관으로, 가야 유적을 비롯한 경상남도의 문화유산을 살펴볼 수 있다.[11]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인 해인사는 802년 승운과 이정 두 스님이 창건했으며, 팔만대장경을 비롯한 다수의 국보급 유물을 보관하고 있다.[12] 는 조선시대 정자로, 경상남도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김해의 연지공원 또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상세한 정보는 하위 항목인 '해인사', '통도사', '산', '국립박물관', '섬', '레저'를 참조하면 된다.

8. 1. 사찰

해인사는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팔만대장경 자체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 150여 개의 말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불교 삼보사찰 중 ‘법보 사찰’로 유명하다. 대적광전의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다. 해인사

통도사는 양산시 영취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웅전 및 금강계단은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선덕여왕 재위 중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해인사, 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로 꼽힌다. 자장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의 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삼보사찰 중 ‘불보 사찰’이라 불린다. 통도사

8. 1. 1. 해인사

해인사는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곳이다. 팔만대장경은 세계기록유산으로, 장경판전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이며 150여 개의 말사를 거느리고 있다. 불교의 삼보사찰 중 ‘법보 사찰’로 유명하며, 대적광전의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다. 해인사

8. 1. 2. 통도사

통도사경상남도 양산시 영취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은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선덕여왕 재위 중인 64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해인사, 송광사와 함께 삼보사찰 중 하나로 꼽히는 큰 절이며, 자장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의 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삼보사찰 중 ‘불보 사찰’이라 불린다. 대한불교 조계종의 중요한 사찰로서, 오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8. 2. 산

지리산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위치한 대한민국 본토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 1,915m에 달한다. 어리석은 사람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이 된다는 의미에서 지리산이라 불리며, 백두대간의 맥에서 흘러왔다는 의미로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불렸다. 800여 종의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천왕봉을 주봉으로 수많은 봉우리가 있다. 1967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예로부터 영산으로 추앙받아 많은 고찰이 있다. 또한, 조선인민유격대(흔히 빨치산으로 일컬어짐)의 활동으로 인해 근현대 문화재도 많이 남아있는 중요한 산이다.

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는 높이 1,614m의 산으로,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8. 2. 1. 지리산

지리산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위치한 대한민국 본토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 1,915m에 달한다. 이름의 유래는 어리석은 자가 머물면 지혜로워진다는 전설에서 비롯되었으며, 두류산(頭流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800여 종의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천왕봉을 주봉으로 여러 봉우리가 있다. 1967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예로부터 영산으로 추앙받아 많은 고찰이 있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 빨치산 활동의 중심지였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근현대 문화재도 다수 남아있다.

8. 2. 2. 덕유산

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는 높이 1,614m의 산으로,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지리산과 같이 백두대간의 맥을 이어받은 산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자연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명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겨울철 설경이 아름다워 겨울 산행의 명소로도 유명하다.

8. 3. 국립박물관

경상남도에는 국립진주박물관과 국립김해박물관 등 중요한 국립박물관들이 있다. 국립진주박물관은 진주시 진주성 내에 위치한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이다. 1984년 11월 2일 개관했으며, 김수근 건축가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초기에는 가야문화와 경남 서부 지역 고고학 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1998년 1월부터 임진왜란을 주제로 전환하여 제1차 진주성 전투제2차 진주성 전투 등 역사적 사건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김해시 구산동에 있는 가야 유적 전문 박물관으로, 1998년 7월 29일 개관했다. 가야 건국 신화와 관련된 구지봉 기슭에 위치하며, 가야 시대 유물과 유적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본관은 철의 왕국 가야를 상징하는 검은색 벽돌을 사용하여 건축되었으며, 고 장세양 건축가의 유작이다. 2006년 12월 15일 개관한 가야누리는 공순구 건축가의 작품으로, 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8. 3. 1.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에 있는 임진왜란 테마 전문 국립 박물관이다.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제1차 진주성 전투와 제2차 진주성 전투가 벌어진 진주성의 역사적 의미를 부각하기 위해 1984년 11월 2일에 개관하였다. 건축가 김수근의 대표작으로, 한국 전통 목조탑을 석조 건물로 형상화한 건축물이다. 개관 당시에는 가야 문화를 소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와 조사를 담당했으나, 1998년 1월 임진왜란 최대 격전지인 진주성의 위치적 강점을 활용하여 임진왜란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박물관으로 전환되었다.

8. 3. 2. 국립김해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은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 위치한 가야 유적 테마 전문 국립 박물관이다. 1998년 7월 29일 개관하여 가야 문화유산을 집대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가야 건국 신화와 관련된 김해시 구지봉 기슭에 자리 잡은 상징성을 지닌 박물관으로, 다른 국립 박물관들과 달리 가야 시대를 중심으로 고고학적 유적과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998년 개관한 본관은 철광석과 숯을 형상화한 검은색 벽돌을 사용하여 가야의 철의 왕국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건축가 장세양의 유작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 12월 15일에는 '가야누리'가 개관하였는데, 이 건물은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디자인으로 본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건축가 공순구의 작품이다.

8. 4. 섬

외도는 경상남도 거제시 해금강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거제도 주변의 섬이다. 동경 128도 70분, 북위 34도 70분에 위치하여 비교적 따뜻한 기후 덕분에 서구식으로 조성된 아름다운 식물원으로 유명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자리 잡은 이 해상농원은 1969년 이창호, 최호숙 부부가 정성껏 가꾸기 시작하여, 겨울연가 등 여러 TV 드라마와 광고 촬영지로 인기를 얻었다. 외도

한산도는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면적 14.785km²의 유인도이다. 2007년 7월 4일 추봉도와 연결되는 추봉교가 개통되어 현재는 두 섬이 이어져 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명량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승리를 결정지은 역사적 배경인 한산대첩의 중심지이다. 한산도의 최고봉인 망산(해발 293m)은 임진왜란 당시 망루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41] 2007년 7월 4일 추봉교 개통 이후, 거제 저구항과 추봉도를 잇는 한산카페리가 2009년 7월 18일부터 운항을 시작하여 거제에서도 차량으로 한산도를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한산도 한산대첩

8. 4. 1. 외도

외도는 경상남도 거제시 해금강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거제도 주변의 섬이다. 동경 128도 70분, 북위 34도 70분에 위치하여 비교적 따뜻한 기후를 자랑하며, 서구식으로 조성된 아름다운 식물원으로 유명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수역에 위치한 해상농원인 외도는 1969년 이창호, 최호숙 부부가 거주하며 하나씩 가꾸기 시작하여, 겨울연가 등 드라마와 광고 촬영지로 유명세를 탔다.

한산도는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면적 14.785km²의 유인도이다. 2007년 7월 4일 추봉교가 개통되어 추봉도와 연결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되었던 곳이며, 한산대첩의 배경이 된 역사적인 섬이다. 섬의 최고봉인 망산(해발 293m)은 임진왜란 당시 망루가 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41] 추봉교 개통으로 2009년 7월 18일부터 거제 저구항과 추봉도를 잇는 한산카페리가 운항을 시작하여, 거제에서도 차로 한산도를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8. 4. 2. 한산도

한산도는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면적 14.785km²의 유인도이다. [41] 2007년 7월 4일 추봉도와 한산도를 연결하는 추봉교가 개통되어 현재는 두 섬이 연결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삼도수군통제영이 한산도에 설치되었고, 이곳에서 한산대첩이 벌어졌다. 한산도 최고봉인 망산(293m)은 임진왜란 당시 망루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41] 추봉교 개통으로 거제 저구항에서 추봉도를 잇는 한산카페리가 2009년 7월 18일부터 하루 8차례 운항을 시작하여 거제에서도 차로 한산도를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한산대첩은 이순신 장군의 탁월한 전술과 지휘 능력으로 조선 수군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대표적인 전투로 평가되며,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역사적 사건이다. 이는 단순한 해전의 승리를 넘어, 왜란의 위기 속에서 조선의 국토와 백성을 지켜낸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순신 장군의 업적은 훌륭한 리더십과 국가에 대한 충정을 보여주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정신은 오늘날에도 우리 사회에 귀감이 되고 있다.

8. 5. 레저

경상남도에는 부산경남경마공원이 있어 경마를 즐길 수 있다. 경마는 과거 귀족들의 전유물이었지만, 현재는 대중적인 레저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도박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과도한 참여는 지양해야 한다. 경마 외에도 경상남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레저 활동이 가능하지만, 본 자료에서는 경마에 대한 내용만 언급되어 있다.

8. 5. 1. 경마, 승마

부산경남경마공원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경마장이다. 경마 외에도 승마 시설을 갖추고 있다.

9. 교통

경상남도의 교통은 항공, 철도, 도시철도, 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항공 교통의 경우,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경상남도의 국제 관문으로, 한국공항공사가 1983년 5월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1993년 5월 국내선 청사, 2007년 11월 국제선 청사를 새로 완공하여 운영 중이다. . 사천공항은 서울 김포국제공항과 제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이었으나,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 이후 고속도로 이용객 증가로 인해 이용객이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는 연간 이용객이 16만 명까지 감소했다.[42] 이는 운항편수 감소로 이어졌다.[42]

철도는 경부선, 경전선, 진해선 등이 경상남도를 통과한다. KTX는 밀양역,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을 경유하지만, 2015년 4월 2일부터 함안역에서는 KTX 운행이 중단되었다. 경부선은 상동역(밀양)에서 출발하여 밀양역, 삼랑진역, 원동역, 물금역을 지난다. 경전선은 삼랑진역에서 시작하여 한림정역, 진영역, 진례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중리역, 함안역, 군북역, 반성역, 진주역, 완사역, 북천역, 양보역, 횡천역, 하동역을 거친다. 마산역과 창원역, 진해역을 연결하는 진해선은 현재 폐선 상태다.

도시철도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이 일부 구간을 경상남도 지역에 포함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양산시까지 연장되어 호포역에서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증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남양산역 등의 역이 경상남도에 위치한다. 부산김해경전철은 김해시를 통과하며 불암역에서 가야대역까지 운행하며, 지내역, 안동역, 인제대역, 김해시청역, 부원역, 봉황역, 수로왕릉역, 박물관역, 연지공원역, 장신대역 등의 역이 경상남도에 있다.

버스 교통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로 나뉜다. 주요 도시에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으며, 창원, 마산, 진주, 삼천포, 고현, 양산, 함안, 김해, 진해, 하동, 창녕, 사천, 밀양, 통영 등의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 주요 고속버스터미널은 창원, 마산, 김해, 진주, 통영 등에 있다.

9. 1. 항공

경상남도에는 김해국제공항과 사천공항이 있다.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공항으로, 국내외 여러 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노선이 많다. 김해국제공항은 부산, 울산 지역과 함께 경남 지역의 중요한 관문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사천공항은 주로 국내선 운항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활동과 연계되어 항공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사천공항은 아직까지 이용객 수가 김해국제공항에 비해 현저히 적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경상남도는 두 공항의 효율적 운영 및 항공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 경제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9. 1. 1.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경상남도의 국제 관문이다. 한국공항공사가 1983년 5월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1993년 5월 국내선 청사, 2007년 11월 국제선 청사를 새로 완공하여 운영 중이다.

9. 1. 2. 사천공항

사천공항은 서울 김포국제공항과 제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이다.[42]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 이후 고속도로 이용객 증가로 인해 사천공항 이용객이 꾸준히 감소했다. 2009년부터는 연간 이용객 20만 명을 밑돌았고, 2010년에는 16만 명까지 감소하여 운항편수 감소로 이어졌다.[42]

9. 2. 철도

경상남도를 통과하는 주요 철도 노선은 경부선, 경전선, 진해선 등이 있다. KTX는 밀양역,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을 경유한다. 2015년 4월 2일에는 함안역에서 KTX 운행이 중단되었다.

경부선은 상동역(밀양)에서 출발하여 밀양역, 삼랑진역, 원동역, 물금역을 지난다. 경전선은 삼랑진역에서 시작하여 한림정역, 진영역, 진례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중리역, 함안역, 군북역, 반성역, 진주역, 완사역, 북천역, 양보역, 횡천역, 하동역을 거친다. 마산역과 창원역, 진해역을 연결하는 진해선은 현재 폐선 상태다.

9. 2. 1. 도시철도

경상남도를 지나는 도시철도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이 일부 구간을 포함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양산시까지 연장되어 호포역에서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증산역 (양산),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남양산역 등의 역이 경상남도에 위치한다. 부산김해경전철은 김해시를 통과하며 불암역에서 가야대역까지 운행한다. 경상남도 구간에는 지내역, 안동역 (김해), 인제대역, 김해시청역, 부원역, 봉황역, 수로왕릉역, 박물관역, 연지공원역, 장신대역 등의 역이 있다.

9. 3. 시외버스

경상남도의 주요 도시들은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해 도내외 지역을 연결한다. 대표적인 시외버스터미널은 다음과 같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고현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 함안시외버스터미널, 김해여객터미널, 진해시외버스터미널, 하동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사천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 통영종합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9. 4. 고속버스

경남의 주요 고속버스터미널은 다음과 같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김해여객터미널, 진주고속버스터미널, 통영종합버스터미널 등이 있다.

10. 교육

경상남도의 교육 기관은 국립대학교, 공립대학교, 사립대학교, 사립전문대학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진주시에는 국립대학교인 경상국립대학교진주교육대학교가 위치하며, 창원시 의창구에는 국립창원대학교가 있다.

공립대학으로는 경남도립거창대학과 경남도립남해대학이 있으며, 한국폴리텍7대학과 한국폴리텍항공대학도 경상남도에 위치하지만 국가기관 소속이므로 공립대학과는 구분된다.

사립대학교는 경남대학교인제대학교를 비롯해 가야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영산대학교, 창신대학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사립전문대학이 있으며, 거제대학교, 김해대학교, 마산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한국승강기대학교 등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거제대학교와 김해대학교는 각각 거제시와 김해시에 위치하여 지역 산업 수요를 반영한 교육을 통해 졸업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10. 1. 국립대학

경상남도에는 국립대학교로 경상국립대학교(진주시 소재)와 국립창원대학교(창원시 의창구 소재), 그리고 진주교육대학교가 있다. 국립대학 외에도 다수의 공립대학과 사립대학, 사립전문대학이 존재한다.

10. 2. 공립대학

경상남도의 공립대학으로는 경남도립거창대학과 경남도립남해대학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폴리텍7대학과 한국폴리텍항공대학이 경상남도에 위치하고 있으나, 정확히는 국가기관 소속의 대학으로 공립대학과는 구분된다.

10. 3. 사립대학

경상남도에는 다수의 사립대학교가 있다. 대표적인 사립대학으로는 경남대학교인제대학교가 있다. 가야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영산대학교, 창신대학교 등도 경상남도에 위치한 사립대학이다. 이 외에도 여러 사립 전문대학들이 경남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거제대학교, 김해대학교, 마산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한국승강기대학교 등이 있다.

10. 4. 사립전문대학

경상남도에는 여러 사립전문대학이 있다. 대표적으로 거제시에 위치한 거제대학교는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김해시에 위치한 김해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그 외에도 마산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한국승강기대학교 등이 경남 지역의 전문 인력 양성을 담당하고 있다. 각 대학은 특성화된 교육과정과 실습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지역 산업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을 통해 졸업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11. 스포츠

== 스포츠 ==

경상남도에는 다양한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구단과 경기 시설이 있다. 대표적인 프로 스포츠 구단으로는 프로야구 NC 다이노스(홈구장: 창원NC파크), 프로농구 창원 LG 세이커스(홈구장: 창원실내체육관), 그리고 프로축구 경남 FC(홈구장: 창원축구센터)가 있다. NC 다이노스는 2011년 창단되어 2013년부터 KBO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퓨처스리그 팀인 창원 다이노스는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한다. 창원 LG 세이커스는 1994년 창단되어 KBL에서 활약하고 있다. 경남 FC는 2006년 창단된 K리그2 소속팀이다.

이 외에도 K3리그에는 김해시청 축구단과 창원시청 축구단, K4리그에는 진주시민축구단거제시민축구단, WK리그에는 창녕 WFC가 있다. 한국마사회 부산경남경마공원은 2005년 개장하였으며,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승마 종목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창원경륜공단의 누비자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시민들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을 제공한다. 경남 지역에는 다양한 아마추어 축구단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K리그2, K3리그, K4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11. 1. 프로 스포츠

경상남도에는 다양한 프로 스포츠 구단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K리그2경남 FC(2006년 창단, 홈 경기장: 창원축구센터)가 있다. 축구 외에도 KBL창원 LG 세이커스(1994년 창단, 홈 경기장: 창원실내체육관)가 창원을 연고지로 활약하고 있으며, KBO 리그NC 다이노스(2011년 창단, 홈 경기장: 창원NC파크)는 야구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NC 다이노스의 2군 팀인 창원 다이노스KBO 퓨처스리그에서 활동하며,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하위 리그인 K3리그에는 창원시청 축구단(2005년 창단, 홈 경기장: 창원축구센터), 김해시청 축구단(2008년 창단, 홈 경기장: 김해운동장), K4리그에는 진주시민축구단(2019년 창단, 홈 경기장: 진주종합경기장), 거제시민축구단(2020년 창단, 홈 경기장: 거제종합운동장)이 있으며, WK리그에는 창녕 WFC(2018년 창단, 홈 경기장: 창녕스포츠파크 공설운동장)가 있다.

11. 2. 경마, 승마

한국마사회의 부산경남경마공원은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승마 종목을 개최한 곳에 2005년 개장하였다.

11. 3. 축구

경상남도에는 다양한 축구단이 있다. K리그2에는 경남 FC가 있으며, 2006년 1월 17일 창단되어 창원축구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초대 감독은 박항서, 현 감독은 설기현이다. K3리그에는 김해시청 (김해운동장)과 창원시청 (창원축구센터)이 있다. K4리그에는 진주시민축구단 (진주종합경기장)과 거제시민축구단 (거제종합운동장)이 활동하고 있으며, WK리그에는 창녕 WFC (창녕스포츠파크 공설운동장)이 있다.

11. 4. 농구

경상남도를 연고로 하는 프로농구단인 창원 LG 세이커스1994년에 창단되어 창원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KBL에서 활약하며 경남 지역 농구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11. 5. 야구

경상남도의 프로야구단으로는 엔씨소프트가 2011년에 창단한 NC 다이노스가 있다. NC 다이노스는 2013년부터 KBO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홈구장은 창원 NC 파크이다. 같은 구단 산하의 퓨처스리그 팀인 창원 다이노스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한다.

11. 6. 기타

창원경륜공단에서 운영하는 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누비자는 시민들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을 제공한다. 창원 LG 세이커스NC 다이노스 등 프로 스포츠 구단이 창원에 연고를 두고 있으며, 창원실내체육관창원NC파크는 각각 농구와 야구 경기를 개최하는 주요 경기장이다. 다양한 지역 축구단들도 경남 지역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K리그2, K3리그, K4리그 와 같은 다양한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12. 브랜드

경상남도는 지역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와 판로 확대를 위해 다양한 브랜드를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한우지예와 이로로가 있다. 한우지예는 (설명 추가 필요. 원본 소스에 정보 부족) 이로로는 지역 농가의 경쟁력 강화와 농산물 판로 확대를 위해 개발된 농특산물 브랜드이다. 다양한 농산물을 통합하여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품질 좋은 경상남도 농산물을, 농가에게는 안정적인 판매 채널을 제공한다. 친환경 농업을 적극 장려하며, 안전성과 신선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가공 상품 개발과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으며,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등 관계 기관의 지원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향후 경상남도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2. 1. 한우지예

경상남도는 지역 한우 브랜드인 '한우지예'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농가 소득 증대에 힘쓰고 있다. 한우지예는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을 통해 우수한 품질의 한우를 생산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고 있다. 특히, 사육 환경과 사료 관리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하고 맛있는 한우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도내 여러 농가들이 참여하는 한우지예는 경상남도의 대표적인 농축산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며,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브랜드 관리 및 홍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소비자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또한, 지속 가능한 한우 농가 경영을 위해 정부 지원과 정책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12. 2. 이로로

경상남도의 농특산물 브랜드인 이로로는 지역 농가의 경쟁력 강화와 농산물 판로 확대를 위해 개발되었다. 다양한 농산물을 이로로 브랜드로 통합하여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품질 좋은 경상남도 농산물을, 농가에게는 안정적인 판매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로 브랜드를 통해 경상남도 농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브랜드 가치를 높여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농업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로로 브랜드 농산물은 안전성과 신선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하여 다양한 가공 상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으며,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등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이로로 브랜드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경상남도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3. 자매 도시

경상남도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주요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자매 도시와의 교류를 통해 경상남도는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진보적인 가치를 공유하는 도시들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다만, 일부 보수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도시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가 필요하다.

14. 우호 협력

경상남도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주(2009년 10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2008년 7월 1일),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주(2015년 2월 10일), 일본 오카야마현(2009년 10월 17일), 중국 랴오닝성(2000년 9월 25일), 지린성(2017년 8월 31일), 헤이룽장성(2011년 6월 14일), 짐바브웨 중앙마쇼날랜드주(2014년 7월 28일), 체코 남모라바주(2017년 7월 28일),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주(2015년 2월 27일) 등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25px
25px
이러한 국제 교류는 경상남도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본 야마구치현, 홋카이도, 효고현, 미국 메릴랜드주, 중국 산둥성, 인도네시아 동자와주, 베트남 동나이성, 러시아 하바롭스크주, 멕시코 할리스코주, 필리핀 라구나주, 폴란드 포모제주 등과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각 도시와의 구체적인 협력 내용과 성과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15. 출신 인물

== 출신 인물 ==

경상남도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배출한 지역이다.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인물들이 많다. 특히, 전직 대통령 4명(전두환, 김영삼, 노무현, 문재인)을 배출한 것은 경상남도의 정치적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다. 다만,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에는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그의 책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여전히 존재한다. 반면, 노무현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진보 진영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서민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했던 노력과 국민 통합을 위한 노력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외에도 경상남도는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과 그의 아들인 전 삼성전자 회장 이건희를 배출하여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이건희 전 회장의 경우, 경영권 승계 과정이나 삼성그룹의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K팝 걸그룹 에스파의 멤버 윈터와 에이핑크의 정은지 등 유명 연예인들도 경상남도 출신이며, 이들은 한국의 대중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구인회는 LG그룹 창업주로서 경상남도의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경영 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 또한 존재한다.

다만, 여기서 소개된 인물들은 경상남도 출신 인물의 일부에 불과하며, 더 많은 인물들과 그들의 업적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15. 1. 정치인

경상남도 출신의 대표적인 정치인으로는 전두환 전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 그리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을 꼽을 수 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2·12 군사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혈 진압의 주역으로, 군부 독재 정권을 수립하여 인권 탄압과 민주주의 억압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반면, 김영삼 전 대통령은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점은 인정되나, IMF 외환위기 당시 경제 정책 실패에 대한 비판도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서민 대통령을 자처하며 참여정부를 이끌었지만, 측근 비리 문제와 정치적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서, 대통령 재임 시기에는 적폐 청산과 사회 정의 구현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이들은 각기 다른 시대적 배경과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업적과 한계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이 외에도 많은 경상남도 출신 정치인들이 한국 정치사에 영향을 미쳐왔다.

15. 2. 기업인

경상남도 출신의 대표적인 기업인으로는 구인회가 있다. 그는 LG그룹의 창업주로, 경상남도 진주 출신이다. 그의 성공은 경상남도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LG그룹은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기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그의 경영 방식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구인회의 성공 신화는 경상남도 출신 기업인들의 성공 스토리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를 반추하게 하는 측면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인회와 LG그룹의 성공 사례는 다각적인 시각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다만, 그의 기업가 정신은 부정할 수 없는 업적이며, 경상남도 경제 발전에 대한 기여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다른 주요 경상남도 출신 기업인들에 대한 정보는 현재 부족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5. 3. 연예인

경상남도 출신의 유명 연예인으로는 그룹 에스파의 멤버 윈터와 그룹 에이핑크의 멤버 정은지가 있다. 윈터는 특유의 청순한 이미지와 뛰어난 가창력으로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은지는 솔로 가수 활동과 더불어 뮤지컬 배우로서도 폭넓은 활동을 펼치고 있다. 두 사람 모두 경상남도 출신으로서 지역의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다수의 가수, 배우, 방송인 등이 경상남도 출신이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 내역과 관련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 조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Gyeongsang Province Information https://www.gyeongna[...]
[2]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gyeongna[...]
[3] 웹사이트 일반 현황 http://www.gsnd.net/[...] South Gyeongsang Province 2013-03-18
[4] 웹사이트 Geographic location https://www.gyeongna[...]
[5] 웹사이트 South Korea: Provinces http://www.citypopul[...]
[6]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1-03-10
[7] 웹사이트 South Korea: Provinces http://www.citypopul[...]
[8] 웹사이트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https://timf.org/en/[...]
[9] 뉴스 Cherry blossom festival begins in Jinhae https://koreajoongan[...] 2024-03-24
[10] 웹사이트 Traditional Festivals https://www.gyeongna[...]
[11] 웹사이트 About the Museum https://jinju.museum[...]
[12] 웹사이트 Hapcheon Haeinsa Temple (해인사 (합천)) https://english.visi[...]
[13] 웹사이트 Population of Gyeongsangnam-do https://web.archive.[...] Gyeongsangnam-do 2014-02-25
[14] 웹사이트 Gyeongnam Regional Government Complex https://gbmo.go.kr/e[...]
[15] 웹사이트 姉妹都市・友好交流都市等との交流(石川県小松市) https://www.city.kom[...]
[16] 웹사이트 慶尚南道公式サイト > 慶南紹介 > 一般現況 > 基本現況 http://www.gyeongnam[...] 2016-09-11
[1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8] 뉴스 김경수 경남도지사 관련 뉴스 (제목 없음)
[19] 뉴스 문재인氏腹心の知事、実刑確定で失職 来春の大統領選へ、与党に逆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7-22
[20] 뉴스 김경수 경남도지사 상고심 징역 2년 확정··· 향후 7년간 선거 출마 어려워 https://www.ajunews.[...] Ajunews.com 2023-02-26
[21] 뉴스 경남도, 임채호 권한대행 체제 출범 7월 7일부터 12월 19일 차기 도지사 선출 시까지(慶南道、イム・ジェホ権限代行体制出帆 7月7日から12月19日に次期知事選出まで) http://news.gsnd.net[...] 경남이야기(慶南イヤギ) 2012-07-09
[22] 뉴스 金斗官氏 大統領選党内選挙へ出馬表明 http://rki.kbs.co.kr[...] KBSワールドラジオ 2012-07-09
[23] 뉴스 한나라→열린우리→이회창, 김혁규의 정치유전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12-11
[24]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12
[25]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3-06-16
[26]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3-06-16
[27]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3-06-16
[28] 웹사이트 https://www.gyeongna[...]
[29] 웹사이트 경상남도의 지리 http://www.gsnd.net/[...] 2011-07-08
[30]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2004
[31]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27.101.213.4/[...]
[32] 뉴스 명실상부 한국 대표축제 ‘진주남강유등축제’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1-12-28
[33] 웹인용 진주전통음식 체험, pp50-51 http://smartbook.jin[...] 진주시 2008-11-12
[34] 웹인용 통영먹거리 http://www.utour.go.[...] 통영시 2009-02-14
[35] 웹인용 Jaecheopguk (edile cockle soup) http://english.tript[...] triptokorea.com 2008-05-26
[36] 웹인용 재첩국 http://www.encyber.c[...]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08-05-25
[37] 웹인용 재첩국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11-26
[38] 웹인용 :: 농수산무역신문 :: http://www.atnews.co[...] 2012-04-29
[39] 뉴스 하동 명물 ‘재첩’ 멸종 위기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1-07-06
[40] 간행물 거제시 관광안내책자 2009-01-31
[41] 웹인용 한산도 http://www.badaland.[...] 통영시청 2009-02-13
[42] 뉴스 추락하는 사천공항…국제선 취항시키자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