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약체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약 체중은 권투 등 격투기 시합에서 체급 제한 외에 선수 간 합의로 정해지는 체중을 의미한다. 이는 체중 감량 후 경기 당일 체중 회복을 통해 얻는 이점을 상쇄하고, 체급이 다른 선수 간의 대결을 성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계약 체중은 1960~70년대 텔레비전 중계로 인해 계체량 시점이 변경되면서 등장했으며, 체급 차이를 극복하거나 챔피언이 타이틀 방어를 회피하기 위해 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선수들의 의도적인 체중 초과, 다체급 석권의 정당성 논란 등 문제점도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급 - 무제한급
    무제한급은 격투기에서 체중 제한 없이 경기를 진행하는 체급으로, 종합격투기, 유도, 레슬링, 스모 등 다양한 종목에서 운영된다.
  • 격투기 용어 - 그라운드 앤 파운드
    그라운드 앤 파운드는 종합격투기에서 상대를 넘어뜨려 상위 포지션에서 주먹이나 팔꿈치 등으로 가격하는 기술 및 전략으로, 현대에는 초크나 관절기 시도, 포지션 확보 등 복합적인 기술 활용이 나타나며 다양한 격투기 스타일의 선수들이 특기를 살려 구사한다.
  • 격투기 용어 - 녹아웃
    녹아웃(KO)은 격투 스포츠에서 가격으로 인해 선수가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거나 경기 속행이 불가능한 상태를 뜻하며, 심판의 카운트 안에 일어서지 못하면 녹아웃으로 판정되고, 선수 보호를 위한 안전 규정이 중요시된다.
  • 종합격투기의 체급 - 헤비급 (종합격투기)
    헤비급은 종합격투기 체급 중 하나로, 93~120kg의 선수를 포함하며, 표도르 예멜리야넨코, 랜디 커투어, 스티페 미오치치 등이 주요 선수이고, 여러 단체에서 챔피언이 활동한다.
  • 종합격투기의 체급 - 라이트헤비급 (종합격투기)
    라이트헤비급은 종합격투기에서 84kg에서 93kg 사이의 체중을 가진 선수들이 겨루는 미들급과 헤비급 사이의 체급이며, UFC의 알렉스 페레이라, 벨라토르 MMA의 코리 앤더슨, 원 챔피언십의 아나톨리 말리킨 등이 주요 단체별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이다 (2024년 4월 20일 기준).
계약체중
계약 체중
정의계약 체중은 격투기에서 경쟁자들이 합의한 체중 제한임.
특징체중 제한은 표준 체중 한도와 다를 수 있음.
원인경쟁자 중 한 명이 특정 체중 한도 내에서 싸우는 데 어려움이 있을 때
흥행을 위해 체급이 다른 선수 간의 대결을 성사시키기 위해
규칙계약 체중은 공식적인 체급에 속하지 않음.
체중 미달 시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음.
페널티체중을 맞추지 못한 선수는 상대 선수에게 일정 비율의 파이트 머니를 지불해야 함.
상대 선수에게 체중 감량으로 인한 불이익을 보상하기 위함.
기타계약 체중 경기는 두 선수 모두에게 불리함.
체중을 맞추기 위해 무리한 감량을 시도할 수 있음.
경기력 저하 및 부상 위험 증가.

2. 정의 및 역사

권투에서 계약 체중(catchweight)은 기존 체급의 제한 체중에 해당하지 않는 체중으로 합의하여 진행하는 경기를 말한다.

캐치웨이트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시합이 편성된다.


  • 체급이 다른 선수끼리 대전시키기 위해
  • 논타이틀전으로 진행하여 패배했을 때 타이틀을 박탈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근 복싱에서는 체급이 다른 선수간의 경기가 자주 편성되는데, 2007년 7월 21일 라이트헤비급 (175파운드) 버나드 홉킨스와 미들급 (160파운드) 로날드 라이트의 대전이 170파운드 캐치웨이트로 이루어졌다.[21] 1940년 7월 17일에는 웰터급 챔피언 헨리 암스트롱과 라이트급 루 젠킨스의 대전이 140파운드 캐치웨이트로 이루어졌다.[21]

종합격투기에서는 2009년 6월 13일 라이트헤비급 (205파운드) 반다레이 실바와 미들급 (185파운드) 리치 프랭클린의 대전이 195파운드 캐치웨이트로 이루어졌다.

2012년 12월 22일 하세가와 호즈미 vs. 아르투로 산토스의 경기는 당초 슈퍼밴텀급 (122파운드=55.338kg)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산토스가 타이틀 박탈을 우려하여 55.8kg 캐치웨이트 논타이틀전으로 변경되었다.[8] 2013년 5월 18일 루카스 마티세 VS 라몬 피터슨, 2008년 2월 16일 켈리 파블릭 VS 저메인 테일러 경기도 이와 유사한 사례이다.

2. 1. 계약 체중의 등장 배경

계약 체중은 권투에서 확장된 체급의 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시합의 체중 제한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계약 체중은 시합 당일에 진행되던 전통적인 계체량 규칙이 시합 전날로 변경되고, 기존 8개 체급이 17개로 확장된 후 제정되었다.

합의된 체중은 전통적으로 8개 체급 제한만 존재하고 모든 계체량이 시합 당일 또는 몇 시간 전에 이루어졌을 때 계약 체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시합 당일 계체량이 종료된 시점을 나타내는 역사적 지표는 텔레비전의 출현이다. 무하마드 알리 시대(1960년대–70년대)에 권투 프로모션은 예정된 시합 전 홍보를 위해 계체량 과정을 텔레비전으로 방송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시합 전날 계체량이 필요하게 되었다.[3]

선수들은 현대적인 컨디셔닝과 훈련 방법을 통해 시합 전날 계체량을 위해 체중 감량을 하고, 시합 당일에 동일한 체중을 되찾을 수 있다.[3]

2. 2. 계약 체중의 목적

계약 체중은 더 큰 체격의 선수가 경기 전날 계체량에서 체중 감량을 통해 일시적으로 체급을 맞추고, 경기 당일에는 체중을 회복하여 얻는 이점을 상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3] 이를 통해 선수 간 체중 불일치로 발생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줄이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경기 직전 체중 문제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3. 캐치웨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계약체중(캐치웨이트) 경기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루어진다.


  • 체급이 다른 선수끼리 대결을 시키기 위해
  • 챔피언이 타이틀 방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논타이틀전)


아르투로 가티 대 조이 가마체의 경기는 체중 불균형 논란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가티는 가마체를 2라운드 KO로 이겼지만, 경기 후 가마체 측은 가티가 계체량 이후 19파운드를 찌워 부당한 이득을 얻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4] 이 사건으로 인해 일부 복싱 위원회는 선수들의 두 번째 계체를 도입하기도 했다.

3. 1. 체급이 다른 선수 간의 대결

격투 스포츠는 보통 특정 체중 제한이 있는 정해진 체급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헤비급을 제외한 각 복싱 체급은 최소 체중의 105파운드부터 크루저급의 200파운드까지 다양하며, 그 사이 체급마다 범위가 다르다. 이러한 체급에서 챔피언십을 위해 싸우려면, 선수들은 해당 체중 이하로 경기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경기가 특정 체급 제한 내에서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두 선수가 다른 제한 체중으로 경기에 임하도록 계약을 맺는 경우가 있는데, 종종 이 제한은 두 체급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저메인 테일러와 켈리 파블릭의 두 번째 경기는 166파운드, 펠릭스 트리니다드-로이 존스 주니어의 경기는 171파운드 계약체중으로 치러졌다.

선수들이 공식 체중으로 싸우는 데 동의했지만, 계체량에서 한 선수가 체중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경기는 취소되지 않고 계약체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체중 초과 선수는 벌금을 내는데, 예를 들어 체중을 맞춘 선수에게 10%, 경기를 승인하는 위원회에 10%를 지불하는 식이다. UFC 104에서 앤서니 존슨이 웰터급 제한인 170파운드를 초과하여 요시유키 요시다와의 경기에 나선 경우가 그 예이다. 존슨은 176파운드로 나타났고, 경기는 176파운드의 계약체중으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5]

매니 파퀴아오가 미겔 코토와 싸웠을 때, 파퀴아오의 더 작은 체구를 고려하여 145파운드의 계약체중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복싱에는 체중 제한이 140파운드인 주니어 웰터급 체급과 체중 제한이 147파운드인 웰터급 체급이 있다. 경기가 147파운드 미만이고 140파운드 이상이었으므로, 이 경기는 웰터급 경기이자 계약체중 경기로 간주되었다. 세계 복싱 기구는 이 경기가 웰터급 제한 미만이었기 때문에 웰터급 타이틀을 걸고 경기를 승인했다.[6]

UFC 99에서 반델레이 시우바가 리치 프랭클린과 195파운드의 계약체중 경기를 치렀는데, 시우바는 라이트 헤비급(205파운드), 프랭클린은 미들급(185파운드)에서 싸웠다. 두 선수 모두 194파운드의 체중을 기록했다.[7]

2007년 7월 21일, 라이트헤비급(175파운드)의 버나드 홉킨스와 미들급(160파운드)의 로날드 라이트의 대전이 170파운드의 계약체중으로 이루어졌다.[21] 1940년 7월 17일에는 웰터급 챔피언(147파운드) 헨리 암스트롱과 라이트급(135파운드)의 루 젠킨스의 대전이 140파운드의 계약체중으로 이루어졌다.[21]

종합격투기에서는 2009년 6월 13일, 라이트헤비급(205파운드)의 반다레이 실바와 미들급(185파운드)의 리치 프랭클린의 대전이 195파운드의 계약체중으로 이루어졌다.

3. 2. 타이틀 방어전 회피

챔피언이 타이틀 방어전에서 패배할 경우 타이틀을 잃을 위험을 피하기 위해, 논타이틀 캐치웨이트 경기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2012년 12월 22일 하세가와 호즈미 대 아르투로 산토스의 경기가 그 예시이다. 이 경기는 원래 슈퍼밴텀급 (122파운드=55.338kg)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WBF 세계 슈퍼밴텀급 챔피언인 산토스가 타이틀을 잃는 것을 우려하여 55.8kg의 캐치웨이트 논타이틀 경기로 진행되었다.[8] 2013년 5월 18일 루카스 마티세 대 라몬 피터슨의 경기, 2008년 2월 16일 켈리 파블릭 대 저메인 테일러의 경기도 이와 유사한 사례이다.

4. 논란과 문제점

계약 체중은 체급 제도의 근간을 흔들고, 스포츠 정신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타이틀 매치에서의 계약 체중은 체급별 스포츠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4. 1. 다체급 석권의 정당성 논란

매니 파퀴아오 등 일부 선수들이 계약 체중을 통해 다체급을 석권하면서, 그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9] 특히 타이틀 매치에서의 계약 체중은 체급별 스포츠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문제라는 지적이 있다.

2009년 11월 14일 WBO 세계 웰터급 챔피언 미겔 코토 대 매니 파퀴아오의 경기는 웰터급 규정 체중(약 66.68kg)이 아닌 약 65.77kg의 계약 체중으로 치러졌으며, 파퀴아오가 승리하여 5체급 제패를 달성했다. 2010년 11월 13일 WBC 세계 슈퍼웰터급 타이틀 결정전에서 매니 파퀴아오 대 안토니오 마르가리토의 경기는 슈퍼웰터급 규정 체중(약 69.85kg)이 아닌 약 68.04kg의 계약 체중으로 진행되었고, 파퀴아오가 승리하여 6체급 제패를 달성했다.

이처럼 규정 체중이 아닌 계약 체중에 의한 다체급 제패에 대한 의문은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4. 2. 의도적인 체중 초과 문제

일부 선수들이 계약 체중을 맞추지 않고, 벌금을 내는 방식으로 경기를 강행하면서, 스포츠맨십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타이틀 매치에서의 계약 체중은 체급별 스포츠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10]

2009년 9월 19일 논타이틀 웰터급 12라운드 경기로 치러진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후안 마누엘 마르케스의 경기는 약 65.32kg의 계약 체중으로 결정되었다. 메이웨더는 약 2년 만의 현역 복귀전이었고, 약 65.32kg 이하로 감량하는 것은 4년 만이었기에 계체를 통과할 수 있을지, 통과하더라도 감량의 영향으로 움직임이 둔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전날 계체에서 메이웨더는 약 0.91kg 초과로 계체에 실패했다. 그러나 체중 초과 약 0.45kg당 300000USD(총 600000USD)의 위약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경기를 성사시키는 계약이 양자 간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경기는 진행되었지만, "완전한 컨디션으로 임하기 위해 처음부터 감량할 생각이 없었고, 의도적으로 체중을 초과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10]

5. 주요 캐치웨이트 경기 사례

캐치웨이트는 체급이 다른 선수 간의 경기나 타이틀 방어전 회피 등의 목적으로, 기존 체급과 다른 체중으로 합의하여 치르는 경기를 의미한다.

아르투로 가티 대 조이 가마체의 경기는 체중 불균형 논란을 일으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가티는 계체량 이후 19파운드를 증량하여 경기에 임했고, 이는 작은 체구의 가마체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했다.[4] 이 사건 이후 일부 복싱 위원회는 선수들의 두 번째 계체를 도입하기도 했다.

저메인 테일러와 켈리 파블릭의 두 번째 경기(166파운드), 펠릭스 트리니다드와 로이 존스 주니어의 경기(171파운드) 등은 서로 다른 체급 선수들이 중간 지점의 체중으로 합의하여 경기를 치른 예시이다. 선수가 계체량에서 체중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경기는 캐치웨이트로 진행될 수 있는데, UFC 104에서 앤서니 존슨은 웰터급 제한 체중을 초과한 176파운드로 요시유키 요시다와의 경기에 나섰고, 체중 초과에 대한 벌금을 지불하고 경기를 진행했다.[5]

매니 파퀴아오와 미겔 코토의 웰터급 경기는 145파운드의 캐치웨이트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파퀴아오의 작은 체구를 고려한 조치였다. 이처럼 캐치웨이트 경기는 공식 체급 내의 경기로 간주되기도 한다.[6] 종합격투기에서도 체급이 다른 선수 간의 경기가 캐치웨이트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UFC 99에서 반델레이 시우바와 리치 프랭클린은 195파운드의 캐치웨이트 경기를 치렀다.[7]

다음은 주요 캐치웨이트 경기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날짜시합규정 체중캐치웨이트비고
에리스란디 라라 vs. 대니 가르시아160파운드(미들급)157파운드[11]
거본타 데이비스 vs. 레오 산타 크루스슈퍼 페더급 계약 시합이었지만, 라이트급과 슈퍼 페더급의 체급이 다른 두 개의 세계 타이틀이 동시에 걸린, 극히 이례적인 시합.
사울 알바레스 vs. 아미르 칸160파운드(미들급)155파운드
사울 알바레스 vs. 미겔 코토 160파운드(미들급)155파운드[12]코토가 타이틀 승인료 지불을 거부했기 때문에, 알바레스가 승리한 경우에만 타이틀을 획득하는 변칙적인 룰로 진행되었다.[13]
미겔 코토 vs. 다니엘 겔160파운드(미들급)157파운드[14]
매니 파퀴아오 vs. 크리스 알기에리147파운드(웰터급)144파운드[15]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vs. 마르코스 마이다나웰터급 계약 시합이었지만, 슈퍼 웰터급과 웰터급의 체급이 다른 두 개의 세계 타이틀이 동시에 걸린, 극히 이례적인 시합.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vs. 미겔 코토160파운드(미들급)159파운드[16]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 vs. 사울 알바레스154파운드(슈퍼 웰터급)152파운드
아브넬 마레스 vs. 에릭 모렐122파운드(슈퍼밴텀급)120파운드[17]
매니 파퀴아오 vs. 후안 마누엘 마르케스 3차전147파운드(웰터급)144파운드
사울 알바레스 vs. 매튜 허튼154파운드(슈퍼 웰터급)150파운드[18]알바레스는 캐치웨이트 150파운드를 1.4파운드 초과하여 허튼에게 벌금을 지불했다.[18]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vs. 폴 윌리엄스 2차전160파운드(미들급)157파운드[19]
매니 파퀴아오 vs. 안토니오 마가리토154파운드(슈퍼 웰터급)150파운드파퀴아오, 6체급 제패.
매니 파퀴아오 vs. 미겔 코토147파운드(웰터급)145파운드파퀴아오, 5체급 제패.
버나드 홉킨스 vs. 오스카 데 라 호야160파운드(미들급)158파운드[21]
훌리오 세사르 차베스 vs. 퍼넬 휘태커147파운드(웰터급)145파운드[20]
테리 노리스 vs. 멜드릭 테일러154파운드(슈퍼 웰터급)150.5파운드[21]
슈가 레이 레너드 vs. 로베르토 듀란 3차전168파운드(슈퍼미들급)162파운드[22]
슈가 레이 레너드 vs. 토마스 헌즈 2차전168파운드(슈퍼미들급)164파운드[22]
슈가 레이 레너드 vs. 돈 라론데슈퍼미들급 계약 시합이었지만, 라이트헤비급과 슈퍼미들급의 체급이 다른 두 개의 세계 타이틀이 동시에 걸린, 극히 이례적인 시합[23]


5. 1. 세계 주요 경기

버나드 홉킨스와 로날드 라이트의 경기는 170파운드 계약 체중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라이트헤비급(175파운드)에서 활동하던 홉킨스와 미들급(160파운드)에서 활동하던 라이트의 체급 차이를 고려한 조치였다.[21] 1940년에는 헨리 암스트롱과 루 젠킨스의 경기가 140파운드 계약 체중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웰터급 챔피언(147파운드)이었던 암스트롱과 라이트급(135파운드)에서 활동하던 젠킨스의 체급 차이를 반영한 결과였다.[21]

매니 파퀴아오와 미겔 코토의 경기는 145파운드 계약 체중으로 치러졌는데, 이는 웰터급 규정 체중(147파운드)보다 가벼운 조건이었다. 이 경기에서 파퀴아오는 승리하여 5체급 제패를 달성했다.[6]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후안 마누엘 마르케스의 경기는 144파운드 계약 체중으로 결정되었으나, 메이웨더가 계체에서 2파운드를 초과하여 논란이 되었다. 메이웨더는 체중 초과에 대한 위약금(600000USD)을 지불하고 경기를 진행했지만, 고의적인 체중 초과 의혹을 받았다.[10]

5. 2. 한국 선수 관련 경기

長谷川 穂積일본어와 아르투로 산토스의 경기는 원래 WBF 타이틀 방어전으로 예정되었으나, 산토스가 방어전을 피하기 위해 55.8kg의 계약체중 경기로 진행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catchweight http://www.dictionar[...] 2018-02-04
[2] 웹사이트 Catch Wrestling Rules https://web.archive.[...] 2017-12-15
[3] 웹사이트 How to Cut and Make Weight http://www.grapplear[...] 2012-03-16
[4] 뉴스 Boxer suing Gatti http://www.boston.co[...] AP 2006-03-03
[5] 웹사이트 UFC 104 official weigh-in results: Johnson misses weight by five pounds, fight goes on | MMAjunkie.com https://archive.toda[...] 2009-12-17
[6] 웹사이트 Boxing News - BRC - Miguel Cotto ready to put out his fire power... By Francisco Guzman https://web.archive.[...] 2009-12-17
[7] 웹사이트 Official UFC 99 Weigh-In Results http://www.ufc.com/n[...]
[8] 문서 公開練習2012.12.19 55.8Kg契約に変更 http://boxmob.jp/sp/[...] BoxingMobile 2012-12-19
[9] 웹사이트 Mayweather & Pacquiao: Understanding catch-weights! http://www.boxingnew[...] Boxing.News.24 2013-07-28
[10] 문서 メイウェザー2ポンド超の146。マルケスは142 http://boxingnewsbox[...] ボクシングニュース「Box-on!」 2009-09-19
[11] 웹사이트 Erislandy Lara retains the WBA middleweight title by stopping Danny Garcia in nine https://www.ringtv.c[...] The Ring 2024-09-14
[12] 웹사이트 Cotto-Alvarez weight set at 155; likely date Nov. 7 or Nov. 21 http://espn.go.com/b[...] ESPN.com 2015-07-02
[13] 웹사이트 WBC Prez: Cotto Questioning Rule That Made Him Champ http://www.boxingsce[...] Boxing Scene.com 2015-11-19
[14] 웹사이트 コットvsゲール、世界戦が157ポンド契約体重に http://boxingnews.jp[...] Boxing News(ボクシングニュース) 2015-06-03
[15] 웹사이트 Manny OKs catchweight at 144 lbs http://www.philstar.[...] Philstar 2014-08-14
[16] 웹사이트 Cotto-Martinez at 159lb catch weight http://www.fightnews[...] Boxing.News 2014-02-02
[17] 웹사이트 Abner Mares, Eric Morel set to fight http://espn.go.com/b[...] ESPN.com 2012-03-15
[18] 웹사이트 Canelo light and heavy http://www.fightnews[...] FightNews.com 2011-03-04
[19] 웹사이트 Sergio Martinez-Paul Williams II set http://sports.espn.g[...] ESPN.com 2010-09-20
[20] 웹사이트 Pernell Whitaker vs. Julio Cesar Chavez http://boxrec.com/me[...] BoxRec
[21] 웹사이트 Both fighters take risks in catchweight bouts http://sports.espn.g[...] ESPN.com 2008-02-13
[22] 웹사이트 DOUGIE’S MONDAY MAILBAG (ERIK MORALES, MANNY PACQUIAO, WEIGHT CLAUSES, TIGER FLOWERS) https://www.ringtv.c[...] THE RING 2020-05-18
[23] 웹사이트 Both fighters take risks in catchweight bouts http://sports.espn.g[...] ESPN.com 2008-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