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설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설류는 왕우렁이상과, 산우렁이상과, 논우렁이상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전통적으로 중복족류로 여겨졌으나, 신끈설류를 제외한 그룹으로, 직복족아강 신생복족상목에 속하는 원시끈설목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왕우렁이상과는 민물에 서식하며, 왕우렁이과와 멸종된 Naricopsinidae를 포함한다. 산우렁이상과는 육상에 서식하며, 산우렁이과, 애기고둥과 등 다양한 과를 포함한다. 논우렁이상과는 민물에 서식하며, 논우렁이과와 멸종된 Pliopholygidae를 포함하며, 논우렁이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설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Architaenioglossa Haller, 1892 |
학명의 명명자 | 할러, 1890 |
영어 이름 | Architaenioglossa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https://doi.org/10.1111/j.1463-6409.1998.tb00467.x https://doi.org/ |
2. 분류
고설류는 전통적으로 중복족류(Mesogastropoda)로 여겨져 온 분류군에서 신끈설류(Neotaenioglossa)를 제외한 그룹이다. 이 그룹은 직복족아강(Orthogastropoda) 신생복족상목(Caenogastropoda)에 분류되는 원시끈설목(Architaenioglossa)으로 여겨졌지만,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었다. Bouchet 외 (2017)는 Caenogastropoda를 아강으로, Architaenioglossa를 등급(grade)으로 위치시키며, 목 계급으로는 인정하지 않았다. 후쿠다(2022)는 원시끈설류를 정복족아강 신생복족하강에 분류하고, 엔마노츠노가이목을 포함하는 여러 목으로 구성된 등급(비공식군)으로 하고 있다.
원시끈설류에 속하는 목·상과에 대해서는 후쿠다 (2022)의 "오카야마현 야생 생물 목록 2019"(Ver1-3)를 따른다. 상과의 소속 과에 대해서는 Bouchet 외 (2017)를 따른다. 일본어 명칭은 니시와키·고이케 (2001) 및 후쿠다 (2022)를 따른다. †는 멸종 과를 나타낸다.
2. 1. 왕우렁이상과 (Ampullarioidea)
왕우렁이상과는 주로 민물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수륙 양쪽에서 생활한다. 왕우렁이과와 멸종된 †Naricopsinidae과를 포함한다. 한국에는 왕우렁이가 서식하며,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2. 2. 산우렁이상과 (Cyclophoroidea)
산우렁이상과는 주로 육상에서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종들을 포함한다.과 |
---|
산우렁이과 (Cyclophoridae) |
애기고둥과 (Aciculidae) |
Craspedopomatidae |
깨알달팽이과 (Diplommatinidae) |
† Ferussinidae |
Maizaniidae |
Megalomastomatidae |
Neocyclotidae |
번데기우렁이과 (Pupinidae) |
2. 3. 논우렁이상과 (Viviparoidea)
논우렁이상과(Viviparoidea영어)는 민물에 서식하는 고둥의 상과이다. 한국에는 논우렁이과(Viviparidae)가 대표적이다. 논우렁이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우렁이 양식을 통해 대량 생산된다.참조
[1]
논문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ower Caenogastropoda (Mollusca, Gastropoda, Architaenioglossa, Campaniloidea, Cerithioidea) as determined by partial 18S rDNA sequences
[3]
서적
貝類学
http://www.um.u-toky[...]
東京大学出版会
[4]
서적
漢和辞典
旺文社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ower Caenogastropoda (Mollusca, Gastropoda, Architaenioglossa, Campaniloidea, Cerithioidea) as determined by partial 18S rDNA sequences
[6]
논문
Classification and systematic relationships of the Abyssochrysidae, a relict family of bathyal snails (Prosobranchia: Gastropoda)
https://doi.org/10.5[...]
[7]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nomenclator and typification of gastropod and monoplacophoran families
https://doi.org/10.4[...]
BioOne
[8]
간행물
岡山県野生生物目録2019
https://www.pref.oka[...]
岡山県環境文化部自然環境課
2022-06-14
[9]
논문
軟体動物腹足類の新分類体系と上位分類群の和名
https://gunma-u.repo[...]
群馬大学教育学部
2001
[10]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lower Caenogastropoda (Mollusca, Gastropoda, Architaenioglossa, Campaniloidea, Cerithioidea) as determined by partial 18S rDNA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