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우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우렁이는 사과우렁이과에 속하는 대형 담수 복족류로, 둥근 모양의 껍질과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원산지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지만, 식용 및 수족관 애완동물로 동남아시아, 미국, 중국 등지로 퍼져나갔다. 벼, 토란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잡초 제거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설류 - 우렁이
    우렁이는 전 세계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왕우렁이과의 연체동물로, 생식기 계통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아과로 나뉘며, 한국에는 논우렁이, 왕우렁이, 쇠우렁이 등이 서식하고, 과거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종이 외래종으로 취급받는다.
  • 고설류 - 논우렁이상과
    논우렁이상과는 신생복족류에 속하는 복족류 상과의 하나이며, 생태학적 및 형태학적으로 다양한 과들을 포함한다.
  • 세계 최악의 100대 침입외래종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세계 최악의 100대 침입외래종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왕우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크미린고가이
스크미린고가이
스크미린고가이의 껍데기 다섯 가지 모습, 껍데기 지름 8cm
스크미린고가이 껍데기의 다섯 가지 모습, 껍데기 지름 8cm
학명Pomacea canaliculata
학명 (명명자)라마르크, 1819
한국어 이름왕우렁이
일본어 이름스크미린고가이
영어 이름channeled apple snail
golden apple snail
보존 상태LC
보존 상태 기준IUCN3.1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강
상목신생복족상목
원시뉴설목
상과린고가이상과
린고가이과
린고가이속
이명

2. 형태

크기는 각경 77mm, 각고 76mm 정도이며, 패각 형태가 사과와 비슷해서 사과우렁이과로 명명되었다. 봉합은 깊게 함몰되었으며, 체중은 매우 크고 각구는 계란 모양이다. 왕우렁이의 껍질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색상은 갈색, 검은색, 황갈색 띠를 포함하며, 색상 패턴은 매우 다양하다. 알비노 및 금색 변종도 존재한다.[16][34]

껍질의 크기는 최대 150mm이다.[34] 담수 복족류로서는 매우 대형이다. 껍질의 형태는 독특하며 세로 길이와 가로 길이는 거의 같다. 껍질은 오른쪽으로 감긴 5단으로, 성체는 껍질 높이 50 - 80mm에 달한다.

알은 다수가 뭉쳐 난괴를 형성하며, 선명한 분홍색으로 눈에 띄기 쉽다. 분홍색인 것은 카로테노이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38] 동족 간에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외형만으로 구별하기 어렵다고 한다.

껍질. 직경 8cm.

3. 분포

왕우렁이는 라플라타 강 유역이 원산지이며, 현재는 전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져 나가 서식하고 있다. 크게 원산지와 비토착 분포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3. 1. 원산지

왕우렁이의 원산지는 기본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으로,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 브라질을 포함한다.[5] 이 종의 가장 남쪽 기록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남쪽에 있는 파소 데 라스 피에드라스 저수지이다.[6]

''왕우렁이''의 동물과 껍데기 그림


자연 분포는 남아메리카의 라플라타 강 유역에 서식한다. 온대 및 열대 아시아 각지로 이입 분포한다. 중국의 개체군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왕우렁이는 아르헨티나 기원, 동속 근연종인 ''P. maculata''는 브라질이 기원으로 추정된다.[65]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호쿠리쿠 지방 이외의 지역에 널리 정착해 있다. 양식장에서 탈출한 개체 외에도 제초 능력 때문에, 무농약 유기농법이 유행할 때 "제초제 대신의 벼 지킴 조개", "신의 조개" 등으로 불리며 미발생 지역에 적극적으로 방사하는 행위가 일부에서 이루어졌고, 이것이 일본에서 분포를 확대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66]

3. 2. 비토착 분포

왕우렁이는 미국에서도 발견되는데, 처음 유입된 경로는 수족관 방류, 즉 "수족관 투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토착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
인디애나주코스키우스코군의 와와시 호수[7]
앨라배마주모빌의 랑간 공원과 쓰리마일 크릭[8][9]
앨라배마주볼드윈군의 모빌-텐소 강 삼각주에 인접한 연못[9]
플로리다주올랜도의 리틀 웨키바 강; 잭슨빌 근처의 호수[10]
캘리포니아주샌디에이고군의 미라마르 저수지
애리조나주유마 근처의 연못



캘리포니아와 하와이에는 확립된 개체군이 존재한다.[34]

북쪽으로 이동하면, 앨버타 주 정부는 왕우렁이를 침입종으로 지정했다.[11] 앨버타 주 환경보호구역 장관 레베카 슐츠는 앨버타 침입종 위원회와 함께 왕우렁이 문제를 포함하여 앨버타를 침입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왕우렁이는 1981년부터 중국에서 발견되었다.[12] 중국 내 초기 분포 지점은 중산시였다.[13] 2009년부터는 칠레에서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며 발견되었다.[14]

또한 필리핀, 일본, 한국, 대만,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일부, 싱가포르, 에서도 발견되었다. 1980년, 왕우렁이는 식용 및 수족관 애완동물로 동남아시아에 도입되었다. 처음에는 대만, 그 다음 일본, 태국, 필리핀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인기를 얻는 대신, 우렁이가 방류되거나 탈출하여 주요 농업 해충이 되었다.[15]

2020년 12월 3일 케냐 키리냐가 카운티 므웨아 선거구에서 채취한 표본은 이 국가에서 처음으로, 실제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발견된 사례였다.

온대 및 열대 아시아 각지로 이입 분포한다. 중국의 개체군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왕우렁이는 아르헨티나 기원, 동속 근연종인 ''P. maculata''는 브라질이 기원으로 추정된다.[65]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호쿠리쿠 지방 이외의 지역에 널리 정착해 있다. 양식장에서 탈출한 개체 외에도 제초 능력의 높이 때문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무농약 유기농이 유행할 때 "제초제 대신의 벼 지킴 조개", "신의 조개" 등으로 칭하며 미발생 지역에 적극적으로 방사하는 행위가 일부에서 이루어졌고, 이것이 일본에서 분포를 확대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66]

4. 생태

왕우렁이는 잡식성이며, 온도 변화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

''왕우렁이''의 알 덩어리는 주로 물 위로 솟아오른 식물에 낳는다.


왕우렁이는 성적으로 성숙하면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수컷은 껍질을 부딪혀 경쟁한다. 암수 모두 난교형이며, 암컷은 여러 수컷과 교미하여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알을 낳는다. 알은 밝은 분홍색 또는 주황색을 띠며, 신경독을 포함하고 있어 포식자로부터 보호된다.[61]

왕우렁이는 아가미 호흡 외에도 폐와 유사한 기관을 통해 공기 중 산소를 이용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에도 강하다.

4. 1. 서식지

왕우렁이는 담수 호수, 강, 연못 및 늪 서식지에서 살며 광범위한 온도 범위를 견딜 수 있다.[17] 자연 환경에서 알을 낳기 위해 수역 주변의 풀과 같이 솟아오른 식물에 의존한다. 침입적인 환경에서는 번식을 위해 벼나 토란 같은 작물을 이용하기도 한다.[18]

왕우렁이는 주로 야행성으로, 낮에는 진흙 속에 들어가 쉬는 경우가 많다. 진흙에 잠기는 행동은 휴면 외에도 수심이 얕아지는 등 불리한 조건에서 자주 나타난다. 고수온이나 먹이의 양에 따라 진흙에 잠기는 비율은 암수에 차이가 있다.[39]

내한성은 높지 않아, 땅속에서 월동할 경우 0도에서 25일, -6°C에서 1일 정도면 모두 사망한다.[40] 기온에 따른 사망률은 평균 기온[41] 또는 적산 기온[42]을 사용하여 추정하기도 한다. 진흙에 잠기면 월동 시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43] 월동 사망률은 조개 크기와 관련이 있는데, 껍질 높이 10mm 미만의 어린 개체와 30mm를 넘는 큰 개체는 사망률이 높다.[43][44][45] 이는 어린 조개는 쉽게 차가워지고 건조에 약하며, 큰 조개는 땅속에 잘 잠기지 못해 저온과 건조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왕우렁이의 내한성은 체내 글리세롤 합성량에 따라 결정되며, 글리세롤이 많은 왕우렁이는 라플라타왕우렁이(''P. maculata'')보다 추위에 강하다.[46]

활동 적정 수온은 25°C에서 30°C 사이이며, 35°C를 넘으면 활동이 둔해지고,[51][39] 17°C 미만이면 활동을 정지한다.

왕우렁이는 정체된 수역을 선호하며, 유속이 빠른 곳에는 정착하기 어렵다.[47] 조개 분포는 수심 및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과도 관련이 있다. COD는 약간 높은 쪽을 선호하며,[48] 맑은 물보다는 적당히 부영양화된 웅덩이와 같은 환경을 선호한다.

4. 2. 먹이 습성

왕우렁이는 극도로 잡식성이며, 식물성(주로 대형 식물을 먹는, 부유 또는 수중 고등 식물) 먹이, 부스러기, 동물성 물질을 섭취한다. 먹이는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어리고 작은 개체는 조류와 부스러기를 먹고, 더 크고 늙은(15mm 이상) 개체는 나중에 고등 식물로 식성을 바꾼다.[19]

이 종은 전 세계적으로 도입된 토란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4] 원산지인 아르헨티나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먹이는 수중의 부식이나 생물 유체의 작은 파편, 이른바 데트리투스가 중심이며, 신선한 식물은 적다.[49] 잎이 가진 방어 물질인 페놀류의 양에 반응하며, 부식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먹이의 방어 물질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보인다.[50] 수중의 잎 외에도, 벼의 경우 수중에서 줄기를 갉아먹고, 수면에 떨어진 잎을 물속으로 끌어들여 먹는다.[51]

왕우렁이는 대식가이며, 일본에서의 관찰에서는 하루 섭취량이 껍질 높이 30mm인 개체에서 약 3g이라고 한다.[52] 벼보다 상추, 가지, 멜론 등의 채소를 선호한다.[53] 에히메현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왕우렁이가 있는 논에서는 논 잡초인 고나기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54]

4. 3. 생활사

온대 기후에서는 이른 봄부터 초가을까지 알을 낳는다.[20] 열대 지역에서는 일 년 내내 번식한다. 왕우렁이(''P. canaliculata'')의 번식 기간은 위도가 낮아짐에 따라 짧아져, 자연 분포의 남쪽 한계에서는 최소 6개월이 된다.[6] 성체 암컷은 밤에 수생 식물 위나 바위, 보트와 같은 인공 표면에 알을 낳는다. 알을 낳은 후 약 2주 후에 부화하며, 그 동안 밝은 분홍색 또는 주황색 알의 색깔이 사라진다.[21]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알 덩어리는 밝은 분홍색 또는 주황색을 띤다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알, 눈금자는 단위이다.


2010년에는 모든 동물 중 최초로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알에서 추출한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잠재적 포식자의 프로테아제와 트립신 억제제로 상호 작용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보고되었다.[22]

생활 리듬은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며, 낮에는 진흙 속에 들어가 쉬는 개체가 많다. 진흙에 잠기는 행동은 휴식 외에도 수심이 얕은 등 조개에게 불리한 조건에서 자주 나타난다. 고수온이나 먹이의 양 등의 조건에서는 잠기는 비율에 암수 차이가 나타난다.[39]

추위에 잘 견디지 못하며, 땅속에서 겨울을 날 경우 0도에서 25일, -6도에서 1일 정도면 모든 조개가 죽는다고 한다.[40] 기온에 따른 사망률에 대한 연구로는 평균 기온을 사용하는 방법[41]과 적산 기온을 사용한 방법[42]이 제안되고 있다. 진흙에 잠김으로써 겨울나기 시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43] 겨울나기에 따른 사망률은 조개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껍질 높이 10mm 미만의 어린 조개는 사망률이 높다. 또한, 반대로 껍질 높이 30mm를 넘는 큰 개체도 사망률이 높은 경우가 자주 관찰된다.[43][44][45] 이는 어린 조개는 쉽게 차가워지고 건조에도 견디지 못하며, 또한, 너무 큰 조개는 땅속에 잠기는 것을 잘하지 못하여 저온과 건조에 견디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추위를 견디는 정도는 체내에서 합성되는 글리세롤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글리세롤이 많은 왕우렁이는 라플라타왕우렁이(''P. maculata'')보다 추위에 더 강하다.[46]

활동하기 적당한 수온은 25도에서 30도이며, 35도를 넘으면 활동이 둔해진다는 보고가 많다.[51][39] 또한, 17도 아래로 내려가면 활동이 정지된다고 한다.

흐르지 않고 고여있는 물을 선호하며, 유속이 빠른 장소에는 정착할 수 없다.[47] 조개의 분포에는 수심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값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COD는 약간 높은 쪽을 선호하며[48], 맑은 물보다는 적당히 부영양화된 웅덩이 같은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산지인 아르헨티나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먹이는 물속의 썩은 물질이나 생물 유체의 작은 파편, 즉 데트리투스가 중심이며, 신선한 식물은 적다.[49] 먹이로서 잎이 가진 방어 물질인 페놀류의 양에 반응하며, 썩은 물질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먹이의 방어 물질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보인다.[50] 물속의 잎 외에도, 벼의 경우 물속에서 줄기를 갉아먹고, 수면에 떨어진 잎을 물속으로 끌어들여 먹는다고 한다.[51]

많이 먹는 편이며, 일본에서의 관찰에서는 하루 섭취량이 껍질 높이 30mm인 개체에서 약 3g이라고 한다.[52] 벼보다 상추, 가지, 멜론 등의 채소를 선호한다.[53] 에히메현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왕우렁이가 있는 논에서는 논 잡초인 고나기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54]

성적으로 성숙하는 것은 수컷은 껍질 높이 25mm, 암컷은 30mm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다.[55] 수컷은 껍질을 부딪혀 경쟁한다고 한다. 규슈에서의 조사에서는 수로의 개체에 비해 논의 개체가 껍질이 얇은 경향이 있다고 한다.[56] 암수 구별이 있으며 번식에는 교미를 한다. 교미 시간은 4시간에서 20시간, 평균 12시간에 달한다. 수컷은 장시간의 교미 도중에 정자 외에 음경으로부터의 분비물을 암컷에게 주는 행동이 관찰되지만, 그 의미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암수 모두 난교형이며 난괴의 알은 여러 수컷의 유전자를 포함한다고 한다.[57] 동일 난괴 중의 성비는 암수 어느 한쪽에 극단적으로 치우친다는 특이한 성질이 보고되고 있다.[58][59]

수면에서 떨어진 식물체 표면이나 둑의 벽면에 알을 낳으며, 낳은 직후에는 1개 1개의 알을 결착하고 있는 점액이 부드럽지만, 곧 단단해져 부착 지점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난괴는 선명한 선홍색의 경계색을 띠며, 알 내부에는 신경독인 AB toxin|에이비 톡신영어이 채워져 있어, 사람이 섭취할 경우 쓴맛도 있으며,[60] 이 독과 색깔 때문에 알은 개미 이외의 모든 포식자로부터 보호된다.[61] 부화산소를 필요로 하므로, 물속에서는 부화할 수 없다.

일본의 여름 기후에서 2주 정도에 부화하며, 어린 개체는 수온과 영양 상태가 좋으면, 2개월 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아가미 호흡뿐만 아니라, 폐와 유사한 기관으로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건조에 강하며, 건기 등에 물에서 떨어져도 쉽게 죽지 않는다.

잉어(''Cyprinus carpio'')는 어린 조개를 잘 먹으며, 규슈에서의 야외 관찰에서는 하루에 약 50마리 정도는 포식하고 있다고 추정된다.[62] 수조 실험에서는 하루 200마리를 포식한다고 하는 결과도 있지만, 야외에서 잎, 흙에 잠기기 때문에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그 외에 거머리류(성체도 포식 가능)[63], 반딧불이 (껍질 높이 1cm 정도까지)[64] 등이 보고되고 있다.

4. 4. 천적

달팽이매(`Rostrhamus sociabilis`)는 남아메리카에서 왕우렁이의 포식자이다. 붉은 불개미(`Solenopsis geminata`) 역시 왕우렁이를 잡아먹는 것이 관찰되었다.[23]

잉어(`Cyprinus carpio`)는 어린 왕우렁이를 잘 먹으며, 규슈에서의 야외 관찰에서는 하루에 약 50마리 정도를 포식한다고 추정된다.[62] 수조 실험에서는 하루 200마리를 포식한다는 결과도 있지만, 야외에서 잎 흙에 잠기기 때문에 포식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그 외에 거머리류(성체도 포식 가능)[63], 반딧불이(껍질 높이 1cm 정도까지)[64] 등이 왕우렁이의 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왕우렁이 알은 신경독인 PcPV2|피씨피브이투영어를 포함하고 있어, 개미를 제외한 다른 포식자로부터 보호된다.[61]

4. 5. 기생충

2009년, 중국 윈난성 다리 시의 현지 시장에서 판매되는 왕우렁이의 약 1%에서 병원성 광동 주혈 흡충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36]

5. 인간과의 관계

왕우렁이는 식용, 관상용, 농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과 관계를 맺고 있다.


  • 식용: 왕우렁이는 식용이 가능하며, 중국동남아시아에서 주요 식재료로 사용된다. 그러나 날것으로 섭취하면 광동주혈선충 감염의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25][36]
  • 농업: 일본 일부 지역에서는 논의 잡초 제거에 왕우렁이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어린 벼를 먹거나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될 수 있다.[30][31][32]
  • 관상용: 왕우렁이는 관상용 애완동물로 거래되며, 담수 수족관에서 기르기도 한다.[33]
  • 사료: 에히메현 양계 연구소에서는 왕우렁이를 산란계 사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채취 및 가공 비용 문제가 남아있다.[109]

5. 1. 식용

왕우렁이는 식용이 가능하다. ''Pomacea canaliculata''(왕우렁이)는 중국 시장에서 발견되는 세 가지 주요 담수 달팽이 중 하나이다.[25]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는 왕우렁이를 포함한 달팽이를 생으로 먹거나 덜 익혀 먹는 것이 애니지오스트롱거일로증을 유발하는 광동주혈선충 감염의 주요 경로이다.[36]

필리핀 ''기나탕 쿠홀''(코코넛 밀크에 담긴 왕우렁이)


태국이산 지역에서는 왕우렁이를 수집하여 섭취한다. 우기에는 운하, 늪, 연못, 물이 찬 에서 손이나 그물로 잡고, 건기에는 마른 흙 속에 숨어 있는 왕우렁이를 으로 흙을 긁어 찾아낸다. 왕우렁이 수집은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한다.[35] 수집 후에는 세척하고 반쯤 삶은 다음, 껍질에서 꺼내 잘라 소금물에 씻는다. 물로 헹군 후에는 구운 쌀, 말린 고추, 라임 주스, 생선 소스와 섞어 먹는다.[35]

일부 프랑스 식당에서는 왕우렁이를 달팽이 요리(escargot)의 대체재로 사용하려 한다.[26] 끓인 후, 왕우렁이의 내장과 알을 제거하고 근육질의 몸통만 식초로 씻으면 냄새가 제거되어 달팽이 요리의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다.[27]

왕우렁이는 태국필리핀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던 ''Pila'' 속의 토착 논 사과 달팽이 (''Pila ampullacea''(앰풀라리아), ''Pila pesmei''(페스메이))와 생이과의 뚜껑 달팽이 (''Cipangopaludina chinensis'')의 서식지를 대체했다.[28][29]

기생충 위험 때문에 생식은 할 수 없다. 중국에서는 왕우렁이가 광동 주혈선충의 주요 감염원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69]

왕우렁이의 신경독을 포함하지만 단백질 독이기 때문에, 가열하면 변성되어 독성을 잃는다고 마우스 투여 실험에서 보고되고 있다.[70]

5. 2. 농업 피해

왕우렁이는 논과 습지에서 자라는 벼, 토란, 가시연, 과 같은 작물에 큰 피해를 준다.[51] 특히 벼의 경우, 잎이 4장 정도 자랄 때까지의 어린 모가 피해를 입기 쉽다. 모내기 후 약 2주 동안 피해가 가장 크며, 껍질 높이가 15mm를 넘는 왕우렁이는 모내기된 벼를 먹을 수 있다. 껍질 높이 30mm가 넘으면 7엽기 정도의 벼까지 먹을 수 있다.[51]

볍씨를 논에 직접 뿌리는 직파의 경우, 싹이 트자마자 왕우렁이의 피해를 받을 수 있어 더욱 문제가 된다. 껍질 높이 15mm 미만의 어린 왕우렁이라도 볍씨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왕우렁이를 없애기 위해 메타알데히드, 석회 질소 등의 살패제를 사용한다. 메타알데히드는 왕우렁이를 죽이는 효과[72]뿐만 아니라, 쫓아내는 효과도 있어 얇은 용액에 담근 먹이를 주어도 왕우렁이가 먹지 않는다.[73] 2008년부터는 벼 왕우렁이류 구제용 농약으로 등록되었다. 석회 질소도 효과가 좋지만, 작물에 해를 줄 수 있어 씨를 뿌리기 전, 약을 뿌리고 10일 정도 기다려야 한다.[74]

인산철(III), 황산구리・수산화구리(II) 등의 구리[75], 카르탑 등도 효과가 있다. 카르탑은 먹는 것을 막는 효과가 높지만[76], 단독으로는 죽이는 효과가 낮다.[72] 인산철은 효과는 약하지만 유기농법에 사용할 수 있다.

수심을 얕게 관리하는 것도 효과적인데, 왕우렁이는 수심이 얕은 것을 싫어하고 물이 적으면 흙 속에 들어가 휴면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52][77] 모내기 후 2주 동안 얕은 물로 관리하고, 벼 줄기가 굳어져 왕우렁이가 먹지 못하게 된 후에는 물을 늘려 왕우렁이가 벼 이외의 잡초를 먹게 하는 방법도 있다. 후쿠오카현의 실험에서는 벼의 피해가 조금 발생했지만, 잡초 제거에 효과가 있었다.[78]

겨울철 왕우렁이의 사망률을 높이기 위해 논을 갈아엎는 방법도 있다. 어린 왕우렁이나 너무 큰 개체는 겨울에 죽는 경우가 많고, 중간 크기에서 큰 개체가 살아남을 확률이 높다. 트랙터로 논을 갈면 껍질 높이 12mm, 20mm 구획 모두에서 왕우렁이의 70% 정도를 죽일 수 있다.[81]

전기 충격도 오랫동안 연구되었는데, 왕우렁이의 움직임을 20분 정도 멈출 수 있지만 죽이지는 못한다.[82] 사세보 공업 고등 전문학교의 야기우 요시히토 등은 전류를 흘리면 음극 쪽에 왕우렁이가 모이는 성질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구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84]

농약이나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뜨거운 물 뿌리기[85] 등이 있다. 사람이 직접 줍는 방법도 효과가 있는데, 태국베트남에서는 사람이 주워서 왕우렁이 밀도를 낮추고 있다.[86] 덫을 이용해 유인하여 모은 왕우렁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고안되었다.[87][88][89]

천적으로는 자라를 대량으로 풀어놓아 구제하기도 하지만,[90] 이를 식용으로 잡는 사람들도 있어 문제가 된다.[91]

왕우렁이의 산란을 억제하기 위해 구리 성분이 있는 페인트를 수로 벽면에 바르기도 한다. 페인트를 바른 면보다 위쪽 구역에는 산란을 막는 효과가 있었지만, 논 안의 왕우렁이 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92]

왕우렁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묘를 튼튼하게 키우는 방법도 있다. 왕우렁이는 줄기가 굳은 큰 묘는 먹지 못한다. 뿌리가 잘 뻗고 활착률을 개선한 포트 묘와 이앙기가 개발되어 일부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다.[93] 풀브산을 첨가한 흙으로 묘를 키워 줄기를 굳게 하는 방법도 있다.[88]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볍씨를 직접 뿌릴 때 밭벼 상태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물을 채워 재배할 때는 2-3주 정도 물을 빼거나 묘 옆에 도랑을 만들어 수심을 관리하고, 살패제를 뿌리는 등의 방법이 있다. 수심 관리만으로는 비가 많이 올 때 왕우렁이가 다시 활동할 위험이 있지만, 메타알데히드 살패제를 함께 사용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94] 논 이외의 밭작물과 몇 년 단위로 번갈아 심는 것도 좋다.

5. 3. 방제

왕우렁이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 생물로, 방제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사이클로타이드 추출물은 메타알데히드와 비슷한 연체동물 살충 효과를 보이며,[24] 물에 잠긴 알은 부화율이 낮아 수위 조절로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다.[21]

일본에서는 벼, 토란 등에 피해를 주며, 특히 어린 묘가 취약하다. 모내기 후 2주까지, 껍질 높이 15mm 이상 개체가 벼를 가해한다.[51]

구제에는 메타알데히드, 석회 질소 등 살패제가 쓰인다. 메타알데히드는 살패율, 기피율이 높아 효과적이며,[72][73] 2008년 벼 왕우렁이류 구제용 농약으로 등록되었다. 석회 질소는 살패율이 높지만 약해를 주의해야 한다.[74] 인산철(III), 황산구리, 수산화구리(II), 카르탑 등도 효과가 있다.

얕은 물을 싫어하는 특성을 이용해 수심 관리로 식해를 방지하고,[52][77] 논 잡초 제거에 활용하기도 한다. 단, 피해 없는 논 방사, 직파 논, 수심 관리 불가 논에는 부적합하다.[78]

월동 시 트랙터 경운으로 어린 개체 사망률을 높이고,[81] 전기 충격,[82][83][84] 열탕 살포, 인력 채집,[85][86] 트랩 유인[87][88][89] 등 다양한 구제법이 연구된다. 천적 자라를 이용하나, 식용 포획 문제가 있다.[90][91]

구리 도료로 산란을 억제하나, 논 내 조개 총량에는 큰 영향이 없다.[92]

줄기가 굳은 큰 묘를 심거나,[93] 풀브산 첨가 배토로 육묘해 줄기를 강화한다.[88] 피해 지역은 볍씨 직파 시 건답식을 권장하며, 담수 시 물 빼기, 수심 관리, 살패제를 병행한다.[94]

5. 3. 1. 참정당 SNS 문제 (일본)

2023년 7월, 참정당나라현 지부의 SNS는 모내기 실습을 보고하는 영상에서 왕우렁이를 이용한 제초법을 소개했다.[95][96] 2024년 2월 말, 후쿠오카현과 나라현에서 농업을 하는 참정당의 일부 당원이 왕우렁이를 이용한 자연 농법을 추천하는 듯한 내용을 게시하여, 당원 내에서 왕우렁이 농법이 추진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97][98] 후쿠오카현 지부의 당원은 X(소셜 미디어)에서 왕우렁이 농법을 "40년 전부터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유기농법", "지역 전체에서 JA후쿠오카시가 지도했다", "전국에서 하면 좋다"라고 게시했다.[99][100][96][101][102] 이 당원은 자신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왕우렁이 농법을 채택한 무농약 쌀을 판매하고 있다.[96][103]

2024년 3월 6일, 농림수산성은 X에서 논에서의 왕우렁이 방목을 중단하도록 주의를 환기했고,[104][105] 농림수산대신은 3월 12일에 제초 목적이라도 주변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방목하지 않도록 호소했다.[104][106] JA후쿠오카시 홈페이지에는 왕우렁이를 이용한 제초법이 2024년 4월 현재에도 게재되어 있지만,[107] 3월 7일 시점에서 "본 조합이 '왕우렁이 농법을 추천하고 있다'는 내용의 게시물이 있습니다만, 그러한 사실은 없습니다"라고 성명을 발표했다.[95][101] 3월 9일, 참정당은 공식 홈페이지에 "당으로서 왕우렁이 농법을 추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왕우렁이는 박멸이 필요하다", "의도적으로 번식시키는 행위는 일절 이루어지지 않았다"라고 밝히며,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발신을 한 지부와 당원에게는 발신 내용을 정정하고, 앞으로는 그러한 발신을 자제하도록 지도했다"라고 발표했다.[104][96][108]

5. 4. 사육

왕우렁이는 식용이 가능하다. 중국 시장에서 발견되는 세 가지 주요 담수 달팽이 중 하나이다.[25]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는 왕우렁이를 포함한 달팽이를 생으로 먹거나 덜 익혀 먹는 것이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 감염의 주요 경로이며, 이는 뇌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36]

태국이산 지역에서는 우기 동안 운하, 늪, 연못, 물이 찬 에서 손이나 그물로 왕우렁이를 잡는다. 건기에는 마른 흙 속에 숨어 있기 때문에 으로 흙을 긁어 찾아낸다. 달팽이는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수집한다.[35] 수집 후에는 세척하고 반쯤 삶는다. 그런 다음 껍질에서 꺼내 잘라 소금물에 씻는다. 물로 헹군 후, 구운 쌀, 말린 고추, 라임 주스, 생선 소스와 섞어 먹는다.[35]

일부 프랑스 식당에서는 왕우렁이를 달팽이 요리(escargot)의 대체재로 사용하려 한다.[26] 끓인 후, 왕우렁이의 내장과 알을 제거한다. 근육질의 몸통만 식초로 씻으면 냄새가 제거된다.[27]

왕우렁이는 전통적으로 동남아시아 ( 태국필리핀 포함)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던 ''Pila'' 속에 속하는 토착 논 사과 달팽이 종, 예를 들어 ''Pila ampullacea''(앰풀라리아)와 ''Pila pesmei''(페스메이)뿐만 아니라 생이과의 뚜껑 달팽이 (''Cipangopaludina chinensis'')의 서식지를 대체했다.[28][29]

일본의 일부 에서는 왕우렁이를 잡초 제거에 사용하는데, 달팽이가 잡초를 먹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달팽이가 어린 벼를 먹고, 침입성 해충으로 인근 밭과 수로로 퍼질 위험이 있다.[30][31][32]

왕우렁이는 관상용 애완동물로 거래되기도 하며, 담수 수족관에서 기르기도 한다.[33] 수족관 시장에서 왕우렁이의 황변종은 '''골든 애플 스네일'''이라는 상품명으로 유통되고 있다. 수조 내의 이끼 제거 탱크메이트로 사육되지만, 수초가 있는 수조에서 사육하면 수초가 훼손된다. 담수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수조 내에서 수가 너무 많이 늘어나는 피해도 발생한다.

5. 5. 사료

에히메현 양계 연구소에서는 왕우렁이를 산란계 사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109] 다만, 왕우렁이 채취와 가열 건조에 드는 비용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6. 분류학적 위치

"왕우렁이"라는 호칭이 있지만 논우렁이와는 담수성 복족류라는 점 외에는 공통점이 없고, 분류학적으로는 매우 멀다.[110]

일본어 명칭인 린고가이(リンゴガイ)는 영문명 apple snail(사과 같은 달팽이)의 직역이다. 영문명 자체는 껍데기의 세로와 가로가 거의 같은 형태와 노란빛을 띠는 색깔이 사과 열매와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는 왕우렁이속(*Pomacea*) 중 왕우렁이와 라플라타왕우렁이(*Pomacea insularum*)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은 형태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아시아에 주로 서식하는 것은 왕우렁이지만, 라플라타왕우렁이, (*Pomacea diffusa*), (*Pomacea scalaris*)도 발견되었다.[111]

아시아로 유입된 종은 한때 라플라타왕우렁이로 여겨졌지만, 1986년에 일본산 종은 왕우렁이와 동일종으로 동정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시즈오카현, 히로시마현, 오키나와현 등 몇몇 현에서 라플라타왕우렁이도 발견되었다.[112] 껍데기에 검은 선이 있는 것은 왕우렁이인 경우가 많지만, 둘은 교잡도 하기 때문에 형태만으로는 판별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한다.

참조

[1] 간행물 "''Pomacea canaliculata''" 2012
[2]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ttp://www.iucngisd.[...]
[3] 논문 More than "100 worst" alien species in Europe 2017-12-18
[4] 간행물 "Las especies de ''Ampullaria' en la Argentina" 1919
[5] 논문 The apple snails of the Americas (Mollusca: Gastropoda: Ampullariidae: Asolene, Felipponea, Marisa, Pomacea, Pomella): a nomenclatural and type catalog.
[6] 논문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along its southernmost natural limit. 2001
[7] 웹사이트 Channeled Applesnail http://www.in.gov/dn[...] Indian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05-06-16
[8] 문서
[9] 뉴스 Amazonian apple snails found in Baldwin pond http://blog.al.com/l[...] 2011-01-29
[10] 문서
[11] 웹사이트 Channeled Apple Snail https://abinvasives.[...] 2024-05-29
[12] 웹사이트 map of distribution in 2007 http://www.plosntds.[...]
[13] 논문 Invasive snails and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results from the first national survey on Angiostrongylus cantonensis in China
[14] 논문 Registro de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1822) (AMPULLARIIDAE), molusco exótico para el norte de Chile 2009
[15] 웹사이트 Introduced Species Summary Project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02-02-25
[16] 문서
[17] 논문 Seasonal Changes in Cold Hardiness of the Invasive Freshwater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Gastropoda: Ampullariidae) https://www.biodiver[...] 2007-12
[18] 논문 The identity, distribution, and impacts of non-native apple snails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2007-06
[19] 논문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life-history traits and their plasticity" 2002-04
[20] 논문 Apuntes para una hidrobiología argentina. II. ''Ampullaria insularum'' Orb. y ''A. canaliculata'' Lam.(Moll. Prosobr., Ampullaridae). Observaciones biológicas y ecológicas. 1960-10
[21] 논문 Behavioural study of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a Tropical Lake, Chenderoh Reservoir, Malaysia 2018
[22] 논문 The role of the proteinase inhibitor ovorubin in apple snail eggs resembles plant embryo defense against predation 2010-12
[23] 논문 Predation on eggs of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dae) by the fire ant ''Solenopsis geminata''
[24] 논문 "Backbone cyclised peptides from plants show molluscicidal activity against the rice pest ''Pomacea canaliculata'' (golden apple snail)." 2008-07-09
[25] 논문 "Emerging angiostrongyliasis in mainland China" 2008
[26]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食材に 食感「エスカルゴのよう」 佐倉の伊料理店 プレゼンテ・スギ https://www.chibanip[...] 2022-04-25
[27] 웹사이트 田んぼのジャンボタニシについて https://icchinosora.[...] 2019-08-16
[28] 논문 Heavy predation on freshwater bryozoans by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1822 (Ampullariidae). Tropical Natural History. 2006-05
[29] 서적 Global advances in ecology and management of golden apple snails Philippine Rice Research Institute
[30] 웹사이트 自然栽培米・自然農法米の除草作業の特徴 https://natural-farm[...]
[31] 웹사이트 九州沖縄農業研究センター:スクミリンゴガイ {{!}} 農研機構 https://www.naro.go.[...]
[32] 웹사이트 『脅威の除草力「ジャンボタニシ除草法」』 https://ameblo.jp/mo[...]
[33] 논문 Molluscs for Sale: Assessment of Freshwater Gastropods and Bivalves in the Ornamental Pet Trade 2016
[34] 문서 Pomacea canaliculata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35] 논문 Children's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of wild food resources: a case study in a rural village in Northeast Thailand 2007-10
[36] 논문 Human angiostrongyliasis outbreak in Dali, China 2009-09
[37] 논문 水田作物を加害するラプラタリンゴガイ(ジャンボタニシ)の発生 1986
[38] 논문 ジャンボタニシの卵塊に含まれる成分の抽出と分析 2020
[39]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Pomacea canaliculata (Lamarck)の潜土行動;日周性と潜土に影響を及ぼす要因 2000
[40] 논문 北部九州におけ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越冬 1987
[41] 논문 冬期の平均気温を用いたスクミリンゴガイの発生予察法の検討 2012
[42] 논문 気温データを用いたスクミリンゴガイの水田における越冬死亡率の推定 2001
[43]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越冬経過について 1987
[44]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水稲への加害と越冬状況 1989
[45] 논문 千葉県におけ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発生生態と防除 1989
[46] 논문 Cold tolerance of invasive freshwater snails, ''Pomacea canaliculata'', ''P. maculata'', and their hybrids helps explain their different distributions 2016
[47] 논문 河川流域におけ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地理的分布の制限と水田分布の関連 2001
[48] 논문 棲息地別のスクミリンゴガイ密度と環境要因の関与 2000
[49] 논문 You are what you eat: is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a macrophytophage or a detritivore in its native range (southern Pampas, Argentina)? 2024
[50] 논문 Consumption, survival and growth in the invasive freshwater snail ''Pomacea canaliculata'': does food freshness matter? 2011
[51] 논문 ラプラタリンゴガイのイネ稚苗食害習性 1986
[52]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水田雑草食性と水稲苗の食害防止 1994
[53] 논문 野菜に対す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選好性と摂餌行動(収量予測・情報処理・環境) 2001
[54]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Pomacea canaliculata (LAMARCK) の侵入が水田植物相に及ぼす影響評価 2007
[55] 논문 ラプラタリンゴガイの性成熟 1986
[56]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殻厚に影響する要因 2008
[57] 논문 リンゴガイ類の繁殖生物学 2015
[58] 논문 A snail with unbiised population sex ratios but highly biased brood sex ratios 2003
[59]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特異な性比変動 2005
[60] 웹사이트 九州沖縄農業研究センター:スクミリンゴガイ 生態 http://www.naro.affr[...] 農研機構 2020-02-20
[61] 뉴스 ScienceShot: Invasive Snails Protect Their Young With Odd Poison http://news.sciencem[...]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3-06-03
[62] 논문 野外におけるコイのスクミリンゴガイ捕食能力 2001
[63]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成貝を捕食するヒル類の一種について 1989
[64] 논문 ヘイケボタル幼虫によ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捕食について 1988
[65] 논문 Distribution and the origin of invasive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and ''P. ma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in China 2018
[66] 서적 外来種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67] 웹사이트 スクミリンゴガイ https://www.nies.go.[...] 2016-11-09
[68] 웹사이트 九州沖縄農業研究センター:スクミリンゴガイ 分布と被害 http://www.naro.affr[...] 農研機構 2020-02-20
[69] 논문 Invasive Snails and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Results from the First National Survey on ''Angiostrongylus cantonensis'' in China 2009
[70] 논문 First egg protein with a neurotoxic effect on mice. 2008
[71] 논문 水稲直播栽培技術の採択要因とその効果 2010
[72]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に対する薬剤防除試験 1987
[73]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に及ぼす農薬の影響 1992
[74] 논문 石灰窒素の散布が湛水土中直播水稲の出芽に及ぼす影響(栽培) 2002
[75]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に対する銅剤などの殺貝効力について 1989
[76]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Pomacea canaliculata'')の摂食活動に対するカルタップおよびベンスルタップの阻害作用 1987
[77] 논문 湛水直播水稲におけるスクミリンゴガイによる被害:播種後3週間落合体系による被害と雑草の発生 1999
[78]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による水田雑草防除 1994
[79] 논문 減農薬稲作技術の社会的形成と農家の主体性 ―福岡県における減農薬運動を事例に― 2019
[80] 논문 暖地水稲作における無農薬栽培の実践過程と作業特性 1999
[81] 논문 ロータリ耕耘や代かきによ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殺貝効果 2004
[82] 논문 スクミリンゴガイの電気工学的防除 交流電圧による阻害効果 1998
[83] 간행물 電気刺激によるジャンボタニシの産卵防止効果 2007
[84] 뉴스 ジャンボタニシ 捕獲にビリビリ有効 おびき寄せて超音波で駆除 https://www.agrinews[...] 2019-05-26
[85] 뉴스 ジャンボタニシお湯攻め静岡県高温洗浄機で駆除実証 日本農業新聞 2021-12-02
[86] 논문 Distribution of the Apple Snail and Damage in Rice Fields of Thailand and Vietnam 2001
[87]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 ごめんね」 中学生が改良を重ねた「罠」: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5-25
[88] 뉴스 ジャンボタニシ対策/捕獲:苗箱で100匹超 水稲:茎と葉を固く 日本農業新聞 2020-07-31
[89] 뉴스 ジャンボタニシの誘引餌にドッグフード グッドな駆除 日本農業新聞 2021-07-10
[90] 웹사이트 九州沖縄農業研究センター:スクミリンゴガイ http://www.naro.affr[...] 農研機構 2013-06-25
[91] 뉴스 ジャンボタニシ退治にスッポン活躍 http://mytown.asahi.[...] 2007-10-20
[92] 논문 水路における忌避材によ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産卵抑制 2013
[93] 논문 植栽時期の異なるヒノキコンテナ苗の活着と成長 2016
[94] 논문 落水管理とメタアルデヒド剤によるスクミリンゴガイの直播水稲の食害防止 2000
[95]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放飼「止めて!」農水省が警鐘 X論争で...飛び火のJA福岡市も訴え「推奨している事実一切ない」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24-03-12
[96] 웹사이트 【参政党研究】 党員の「ジャンボタニシ 農法」大炎上で 見えた 危うい 農本主義信仰 https://jigensha.inf[...] 示現舎 2024-03-12
[97]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で除草? 投稿が炎上 農水省が注意喚起 米農家「信じられない」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24-03-14
[98]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撒いてたご本人… このタイミングで参政党公認市議選候補とは https://twitter.com/[...] SITO.(シト) - X 2024-03-13
[99] 웹사이트 最近、アンチがジャンボタニシ農法を馬鹿のしてるらしい。 https://archive.is/t[...] 重松ゆうこ - X 2024-03-12
[100] 웹사이트 17分あたりからジャンボタニシ農法触れてます。 https://twitter.com/[...] 重松ゆうこ - X 2024-03-12
[101] 웹사이트 281回 ジャンボタニシ農法と参政党 https://bunkaonline.[...] 코아매거진(로망 유우코) 2024-03-12
[102] 웹사이트 岐路に立つ参政党。ジャンボタニシが追い討ち?<ドラネ考> https://kurodoraneko[...] 黒猫ドラネコ【トンデモ観察記】 2024-03-12
[103] 웹사이트 無農薬米を販売しています https://web.archive.[...] 重松雄子の食育べっぴん塾 2024-03-12
[104] 웹사이트 「気持ち悪いんです、これ」 農水相、ジャンボタニシの放し飼いで注意喚起 イネに被害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3-13
[105] 웹사이트 【 #ジャンボタニシ 放飼は止めてください!】 https://twitter.com/[...] 農林水産省 2024-03-12
[106] 웹사이트 坂本農林水産大臣記者会見概要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03-12
[107] 웹사이트 ジャンボタニシ除草 https://www.ja-fukuo[...] JA福岡市 2024-04-20
[108] 웹사이트 SNS上で発信されている「ジャンボタニシ」の件について https://www.sanseito[...] 参政党 2024-03-09
[109] 웹사이트 厄介者ジャンボタニシ鶏の餌に ひなの成長、好み問題なし 愛媛県(日本農業新聞) https://news.yahoo.c[...] 2024-03-07
[110] 서적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Mollusca University of California
[111] 웹사이트 九州沖縄農業研究センター:スクミリンゴガイ 分類 http://www.naro.affr[...] 농연기구 2020-02-20
[112] 논문 Genetic divergence of the genus Pomacea (Gastropoda: Ampullariidae) distributed in Japan, and a simple molecular method to distinguish P. canaliculata and P. insularum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