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는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운흥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화입니다. 1730년(영조 6년) 의겸이 수화승을 맡아 제작했으며, 행종, 채인 등이 참여했습니다. 보물 제169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운흥사 관음보살도는 보타락가산에 유희좌 자세로 앉아 있는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정병, 청조, 한 쌍의 청죽, 선재동자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1723년 흥국사 수월관음도와 기본적인 구성 및 도상이 동일하지만, 정병과 청죽 한 쌍, 청조의 위치가 좌우 바뀌었고, 화면 하단에 용녀와 용왕이 등장하며, 복식의 문양이 간략해진 점 등이 차이가 있습니다. 관음보살의 표현은 1730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수월관음도와 흡사합니다.
관음보살은 머리에 화불이 있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오른손은 무릎 뒤로 살짝 감추고 왼손은 왼 무릎 위에 올려놓은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양 어깨를 감싼 옷은 무릎 아래쪽까지 내려져 있고, 가슴 부분은 구슬 장식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관음보살의 머리와 몸 뒤로는 둥근 광채(두광·신광)가 표현되어 있으며,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보살의 발 모양이 특징적입니다.
화면 하단에는 선재동자가 합장하고 서 있고, 여의주를 받든 용녀와 홀을 든 용왕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형식은 1858년 통도사 관음전 후불탱, 1868년 운문사 관음보살도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운흥사 관음보살도는 의겸이 제작한 다른 관음보살도인 1723년 여수 흥국사 수월관음도(보물 제1332호), 1730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수월관음도(보물 제1204호)와 비교해 볼 때, 의겸이 한 가지 도상을 바탕으로 변형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
| 원어 | 固城 雲興寺 觀音菩薩圖 |
| 지정 종류 | 보물 |
| 지정 번호 | 1694 |
| 지정일 | 2010년 12월 21일 |
| 시대 | 조선시대, 1730년 |
| 소유자 | 운흥사 |
| 기탁 | 쌍계사성보박물관 |
| 주소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248-28, 운흥사 (와룡리) |
| 크기 | 1폭 (259×193cm) |
| 재료 | 비단 |
| 이전 지정 정보 | |
| 이전 명칭 | 고성운흥사관음탱화 |
| 지정 종류 (이전) | 유형문화재 |
| 지정 번호 (이전) | 355 |
| 지정일 (이전) | 2000년 8월 31일 |
| 해제일 (이전) | 2011년 4월 28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