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명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유 명사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특립 명사 또는 특별 명사로, 순 우리말로는 홀로이름씨, 홑이름씨라고 불리며, '세종대왕', '경복궁', '독도' 등과 같이 개별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명사의 종류는 의미, 기능, 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고유 명사는 의미에 따른 분류 중 하나이다.
한국어 명사는 의미, 기능, 형태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아래 표와 같은 명사들을 제시하고 있다.
2. 한국어 명사의 종류
대표형 동의어 순 우리말 용어 보통 명사(普通名詞) 통칭 명사(通稱名詞) 두루이름씨 고유 명사(固有名詞)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자립 명사(自立名詞)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 옹근이름씨 의존 명사(依存名詞)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단위성 의존 명사(單位性依存名詞) 단위 명사(單位名詞), 명수사(名數詞) 셈낱이름씨 서술성 의존 명사(敍述性依存名詞) 주어성 의존 명사(主語性依存名詞) 구체 명사(具體名詞) 구상 명사(具象名詞) 꼴있는이름씨 추상 명사(抽象名詞) 무형 명사(無形名詞) 꼴없는이름씨 가산 명사(可算名詞) 불가산 명사(不可算名詞) 물질 명사(物質名詞) 남성 명사(男性名詞) 여성 명사(女性名詞) 중성 명사(中性名詞) 무정 명사(無情名詞) 유정 명사(有情名詞) 복합 명사(複合名詞) 합성 명사(合成名詞)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집합 명사(集合名詞) 중다명사(衆多名詞)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일반 명사(一般名辭) 보통 명사(普通名辭) 유형 명사(有形名詞) 인성 명사(人性名詞) 종합 명사(綜合名詞)
2. 1. 의미에 따른 분류
명사는 지시하는 대상의 의미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명사들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보통 명사(普通名詞) | 통칭 명사(通稱名詞) | 두루이름씨 |
고유 명사(固有名詞)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자립 명사(自立名詞) |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 | 옹근이름씨 |
의존 명사(依存名詞) |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 |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
단위성 의존 명사(單位性依存名詞) | 단위 명사(單位名詞), 명수사(名數詞) | 셈낱이름씨 |
서술성 의존 명사(敍述性依存名詞) | ||
주어성 의존 명사(主語性依存名詞) | ||
구체 명사(具體名詞)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추상 명사(抽象名詞) | 무형 명사(無形名詞) | 꼴없는이름씨 |
가산 명사(可算名詞) | ||
불가산 명사(不可算名詞) | ||
물질 명사(物質名詞) | ||
남성 명사(男性名詞) | ||
여성 명사(女性名詞) | ||
중성 명사(中性名詞) | ||
무정 명사(無情名詞) | ||
유정 명사(有情名詞) | ||
복합 명사(複合名詞) | 합성 명사(合成名詞) |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
집합 명사(集合名詞) | 중다명사(衆多名詞) |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
일반 명사(一般名辭) | 보통 명사(普通名辭) | |
유형 명사(有形名詞) | ||
인성 명사(人性名詞) | ||
종합 명사(綜合名詞) |
이 중 고유 명사는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이름이고, 보통 명사는 같은 종류의 대상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다. 구체 명사는 형태가 있는 대상을, 추상 명사는 형태가 없는 개념을 나타낸다. 집합 명사는 여러 개체가 모인 집합을 하나의 단위로 나타내는 명사이다.
2. 1. 1. 고유 명사
특정한 하나의 개체에 붙여진 이름으로, '세종대왕', '경복궁', '독도' 등이 있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고유 명사(固有名詞)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2. 1. 2. 보통 명사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보통 명사'를 '통칭 명사', '두루이름씨'와 같은 뜻을 가진 대표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보통 명사'는 같은 속성을 가진 대상들에 두루 쓰이는 이름으로, '사람', '나무', '책상' 등이 있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보통 명사(普通名詞) | 통칭 명사(通稱名詞) | 두루이름씨 |
일반 명사(一般名辭) | 보통 명사(普通名辭) |
2. 1. 3. 구체 명사
구체적인 형태를 가진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로, '자동차', '건물', '사과'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체 명사(具體名詞), 또는 구상 명사(具象名詞), 꼴있는이름씨라고 표현한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구체 명사(具體名詞)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2. 1. 4. 추상 명사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로, '사랑', '평화', '자유'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추상 명사(抽象名詞)를 대표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무형 명사(無形名詞)라는 동의어가 존재한다. 순 우리말 용어로는 꼴없는이름씨가 있다.2. 1. 5. 집합 명사
여러 개체가 모인 집합을 하나의 단위로 나타내는 명사로, '가족', '국민', '군대'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집합 명사(集合名詞)를 대표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동의어로는 중다명사(衆多名詞)가 있고, 순 우리말 용어로는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가 있다.2. 2. 기능에 따른 분류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표형을 제시하고 있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보통 명사(普通名詞) | 통칭 명사(通稱名詞) | 두루이름씨 |
고유 명사(固有名詞)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구체 명사(具體名詞)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추상 명사(抽象名詞) | 무형 명사(無形名詞) | 꼴없는이름씨 |
가산 명사(可算名詞) | | | |
불가산 명사(不可算名詞) | | | |
물질 명사(物質名詞) | | | |
남성 명사(男性名詞) | | | |
여성 명사(女性名詞) | | | |
중성 명사(中性名詞) | | | |
무정 명사(無情名詞) | | | |
유정 명사(有情名詞) | | | |
복합 명사(複合名詞) | 합성 명사(合成名詞) |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
집합 명사(集合名詞) | 중다명사(衆多名詞) |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
일반 명사(一般名辭) | 보통 명사(普通名辭) | |
유형 명사(有形名詞) | | | |
인성 명사(人性名詞) | | | |
종합 명사(綜合名詞) | | | |
단위성 의존 명사(單位性依存名詞) | 단위 명사(單位名詞), 명수사(名數詞) | 셈낱이름씨 |
서술성 의존 명사(敍述性依存名詞) | | | |
주어성 의존 명사(主語性依存名詞) | | |
2. 2. 1. 자립 명사
다른 단어의 도움 없이 혼자서 문장 성분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로, 대부분의 명사가 이에 속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자립 명사를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와 동의어로 보며, '옹근이름씨'라는 순우리말 용어를 제시한다.대표형 | 동의어 | 순우리말 용어 |
---|---|---|
자립 명사(自立名詞) |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 | 옹근이름씨 |
2. 2. 2. 의존 명사
'것', '수', '바' 등과 같이 반드시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이다.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라고도 하며,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라고도 한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의존 명사(依存名詞) |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 |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
2. 3. 형태에 따른 분류
명사는 의미적인 특징 외에도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는 대표적인 분류 방식과 용어는 다음과 같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보통 명사(普通名詞) | 통칭 명사(通稱名詞) | 두루이름씨 |
자립 명사(自立名詞) |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 | 옹근이름씨 |
의존 명사(依存名詞) |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 |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
* 단위성 의존 명사(單位性依存名詞) | 단위 명사(單位名詞), 명수사(名數詞) | 셈낱이름씨 |
* 서술성 의존 명사(敍述性依存名詞) | ||
* 주어성 의존 명사(主語性依存名詞) | ||
구체 명사(具體名詞)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추상 명사(抽象名詞) | 무형 명사(無形名詞) | 꼴없는이름씨 |
가산 명사(可算名詞) | ||
불가산 명사(不可算名詞) | ||
* 물질 명사(物質名詞) | ||
* 남성 명사(男性名詞) | ||
* 여성 명사(女性名詞) | ||
* 중성 명사(中性名詞) | ||
* 무정 명사(無情名詞) | ||
* 유정 명사(有情名詞) | ||
집합 명사(集合名詞) | 중다명사(衆多名詞) |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
일반 명사(一般名辭) | 보통 명사(普通名辭) | |
유형 명사(有形名詞) | ||
인성 명사(人性名詞) | ||
종합 명사(綜合名詞) |
2. 3. 1. 단일 명사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고유 명사'를 대표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 동의어와 순 우리말 용어는 다음과 같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고유 명사(固有名詞)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2. 3. 2. 복합 명사
둘 이상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명사이다. 대표형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대표형으로 제시하고 있는 용어이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복합 명사(複合名詞) | 합성 명사(合成名詞) |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
고유명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미가 변하기도 한다.
명사는 위에 제시된 분류 외에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명사 분류는 다음과 같다.
3. 명사의 의미 변화
4. 기타 명사 분류
대표형 동의어 순 우리말 용어 구체 명사(具體名詞) 구상 명사(具象名詞) 꼴있는이름씨 추상 명사(抽象名詞) 무형 명사(無形名詞) 꼴없는이름씨 복합 명사(複合名詞) 합성 명사(合成名詞)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집합 명사(集合名詞) 중다명사(衆多名詞)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일반 명사(一般名辭) 보통 명사(普通名辭) 유형 명사(有形名詞) | 인성 명사(人性名詞) | 종합 명사(綜合名詞) |
4. 1. 가산 명사/불가산 명사
셀 수 있는 명사인 가산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인 불가산 명사로 구분한다.
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가산 명사(可算名詞) | ||
불가산 명사(不可算名詞) |
4. 2. 유정 명사/무정 명사
감정이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를 유정 명사, 그렇지 않은 명사를 무정 명사라고 한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유정 명사(有情名詞) | ||
무정 명사(無情名詞) |
4. 3. 남성 명사/여성 명사/중성 명사
일부 언어에서는 문법적 성에 따라 명사를 남성, 여성, 중성으로 분류한다. 한국어에는 이러한 구분이 없지만, 차용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남성 명사(男性名詞) | ||
여성 명사(女性名詞) | ||
중성 명사(中性名詞)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