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곡수왕관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수왕관장은 1841년 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가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네덜란드 왕국의 개인 연합 시기에 제정한 룩셈부르크의 훈장이다. 빌럼 2세와 빌럼 3세는 이 훈장을 네덜란드 국민에게도 수여하여 네덜란드 훈장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1890년 빌헬미나 여왕의 즉위와 살리카법에 따라 룩셈부르크 왕위가 아돌프에게 넘어가면서 룩셈부르크만의 훈장으로 남게 되었다. 현재 룩셈부르크 대공이 수장이며, 5개의 등급과 3개의 메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곡수왕관장
개요
곡수왕관장 훈장 세트
곡수왕관장 훈장 세트
수훈 대상뛰어난 공로를 세운 룩셈부르크 시민 및 저명한 예술가
수여 요건정부 구성원, 대의원, 국가 평의원, 공무원, 선출직 대표, 시정부 직원, 경제, 사회, 문화 또는 스포츠 부문의 주요 인물, 자원봉사자
모토'Je maintiendrai' (나는 유지할 것이다)
수여일대공 공식 생일 (6월 23일, 국경일)
종류기사단 훈장 (5등급)
지위현재 존재
상위 훈장나소 아돌프 훈장
하위 훈장룩셈부르크 대공국 공로 훈장
곡수왕관장 리본
훈장 리본
수훈자
그랜드 마스터앙리 룩셈부르크 대공
총장뤽 프리덴
등급
현재 등급그랜드 크로스, 그랜드 오피서, 커맨더, 오피서, 나이트
과거 등급그랜드 크로스 기사, 스타 기사, 커맨더 기사
제정
제정일1841년 12월 29일

2. 역사

1841년, 빌럼 2세가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네덜란드 왕국의 개인 연합 상태에서 곡수왕관장을 제정했다. 이 훈장은 법적으로 룩셈부르크의 훈장이었지만, 빌럼 2세와 빌럼 3세는 네덜란드 국민에게도 자주 수여했다. 빌럼 3세는 즉위 당일에만 300개의 훈장을 수여하는 등 훈장 수여를 남발했다.

1890년, 빌헬미나 여왕이 네덜란드 왕위를 계승하면서 아돌프가 룩셈부르크 대공이 되었다. 이로써 곡수왕관장은 룩셈부르크만의 훈장이 되었고, 네덜란드는 오렌지-나사우 훈장을 제정했다. 이후 곡수왕관장은 주로 룩셈부르크 시민에게 수여되었지만, 외국 왕족이나 룩셈부르크와 관련된 저명한 외국인에게도 수여되었다.

2. 1. 제정 배경

1841년, 국왕 겸 룩셈부르크 대공 빌럼 2세는 룩셈부르크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고 자유주의에 반대하는 헌법을 부여했다. 이와 함께 그는 자신의 정권에 충성하는 룩셈부르크 지지자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곡수왕관장을 제정했다.[1]

훈장의 디자인은 빌럼 2세가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받은 성 게오르기 훈장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2. 2. 네덜란드와의 관계

대공 빌럼 2세가 1841년 곡수왕관장을 제정했을 당시,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네덜란드 왕국은 개인 연합 상태였다. 즉, 두 국가는 독립된 국가였지만, 동일한 인물이 국가 원수를 맡고 있었다. 곡수왕관장은 법적으로 룩셈부르크의 훈장이었으나, 빌럼 2세와 국왕 겸 대공 빌럼 3세는 네덜란드 국민에게도 이 훈장을 자주 수여했다. 빌럼 3세는 즉위 당일에만 300개의 훈장을 수여하는 등, 훈장 수여를 남발하여 네덜란드 내에서 이 훈장이 네덜란드 훈장으로 오인되기도 했다.

1890년, 빌헬미나 여왕이 네덜란드 왕위를 계승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살리카법에 기반한 나사우 가문 조약에 따라, 룩셈부르크 왕위는 나사우 공작 아돌프에게 넘어갔다. 이로써 곡수왕관장은 룩셈부르크만의 훈장이 되었고, 네덜란드는 오렌지-나사우 훈장을 새로 제정했다.

2. 3. 현대

룩셈부르크 대공은 곡수왕관장의 대공 수장(Grand Master)이다. 이 훈장은 주로 룩셈부르크 시민에게 수여되지만, 외국 왕족이나 룩셈부르크와 관련된 저명한 외국인에게도 수여될 수 있다.

3. 등급

대십자


대장교

사령관

장교--
기사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3. 1. 등급 (높은 순)

곡수왕관장은 5개 등급과 3개 포장으로 구성된다. 높은 등급부터 낮은 등급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등급약장패용법
대십자
오른쪽 어깨에 현장을 착용하고 그 위에 대십자장 패용, 왼쪽 가슴에 소판 패용
대장교
목에 경식을 착용하고 그 위에 대장교장 패용, 왼쪽 가슴에 소판 패용
사령관
목에 경식을 착용하고 그 위에 사령관장 패용
장교
왼쪽 가슴에 장미매듭이 추가된 약장을 패용
기사
왼쪽 가슴에 약장을 패용
금포장왼쪽 가슴에 약장을 패용
은포장왼쪽 가슴에 약장을 패용
동포장왼쪽 가슴에 약장을 패용


3. 2. 메달

등급약장패용법
금포장왼쪽 가슴에 약장을 패용
은포장
동포장




4. 훈장의 형태

룩셈부르크 곡수왕관 훈장의 착용 모습


장교 십자 훈장


기사 십자 훈장

4. 1. 배지 (Badge)



훈장의 배지는 흰색 에나멜로 칠해진 도금 십자형 십자이다. 장교 등급은 십자형 십자 팔 사이에 녹색 에나멜 오크 화환이 있다. 중앙 원반에는 녹색 에나멜 배경에 왕관을 쓴 "W"(빌헬름 2세)의 모노그램이 새겨져 있다.

4. 2. 패 (Plaque)

대십자는 팔각형 은성, 대장교는 팔각형 은색 몰타 십자이다. 중앙 원반에는 "Je Maintiendrai"(Je Maintiendrai|나는 유지할 것이다프랑스어)라는 표어가 새겨진 빨간색 에나멜 링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에는 녹색 에나멜 배경에 왕관을 쓴 "W"(빌헬름)의 모노그램이 있으며, 다시 녹색 에나멜 오크 화환으로 둘러싸여 있다.

4. 3. 메달 (Medal)

메달은 팔각형 모양이며, 앞면에는 에나멜이 없는 훈장의 배지 모티프가 있고, 뒷면에는 에나멜이 없는 오크 화환이 있다.

4. 4. 리본 (Ribbon)

훈장의 리본은 세 개의 짙은 녹색 줄무늬가 있는 노란색-주황색 모아레이다. 이 색상은 룩셈부르크 시골의 참나무 숲과 밭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5. 주요 수훈자

다음은 곡수왕관장을 수여받은 주요 인물 목록이다.

계급이름
대십자아베 신조
대십자오렌지 공 알렉산더
대십자벤트하임-슈타인푸르트 공 알렉시스
대십자로열 공주 앤
대십자베아트릭스 (네덜란드)
대십자조제프 베슈
대십자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 베른하르트(1792–1862)
대십자자비에 베텔
대십자오토 폰 비스마르크
대십자아니발 카바쿠 실바
대십자칼 15세
대십자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세습 대공 카를 아우구스트(1844–1894)
대십자찰스 3세 (영국)
대십자샬롯 대공녀 (룩셈부르크)
대십자네덜란드의 크리스티나 공주
대십자윈스턴 처칠
대십자프란체스코 코시가
대십자샤를 드 브로크빌
대십자테오필 드 란셰르
대십자로렌티우스 니콜라스 데커르스
대십자루돌프 폰 델브뤼크
대십자에두아르 데캉
대십자오귀스탱 뒤몽-뒤모르티에
대십자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십자지우스티노 포르투나토(1777–1862)
대십자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왕자(1794–1863)
대십자한스 글로브케
대십자룩셈부르크 세습 대공 기욤
대십자카미유 구트
대십자데니스 해스터트
대십자룩셈부르크 대공 앙리
대십자네덜란드의 헨리 공자(1820–1879)
대십자룩셈부르크 대공 장
대십자요스 판 케메나데
대십자타나트 코만
대십자타놈 키티카촌
대십자마리-피에르 쾨니히
대십자프리츠 코르탈스 알테스
대십자오귀스트 람베르몽 남작
대십자에드몽 르뷔르통
대십자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대십자샤를 드 림뷔르크 슈티룸
대십자벤트하임-슈타인푸르트 공 루드비히 빌헬름
대십자요제프 룬스
대십자시코 만스홀트
대십자마르셀랭 마르보
대십자네덜란드의 마르그리트 공주
대십자하이메 데 마리찰라르
대십자윌프리트 마르텐스
대십자데지레-조제프 메르시에
대십자요안네스 요세푸스 판 물켄
대십자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십자장-밥티스트 노톰
대십자오스카르 2세
대십자피터 아우드
대십자모리스 드 파툴
대십자펠스 라이켄
대십자얀 야코프 로쿠센
대십자요제프 판 스하이크
대십자에밀 폰 슐리츠
대십자폴 슐뤼터
대십자빌렘 숄텐
대십자에마뉘엘 세르베
대십자월터 베델 스미스
대십자하인리히 폰 슈테판
대십자디르크 스티커
대십자루트비히 프라이헤어 폰 운트 추 데어 탄-라트삼하우젠
대십자이냐키 우르당가린
대십자아실 판 아커르
대십자빅토르 판 스트라이동크 드 버켈
대십자피터 판 폴렌호벤
대십자프란스 바이스글라스
대십자빌헬미나(네덜란드)
대십자빌럼 알렉산더르(네덜란드)
대십자비드의 윌리엄 공자
대십자요한 비테베인
대십자아우구스트 추 오일렌부르크
대장교요지아스 판 아르트선
대장교프랑수아 알트비스
대장교위베르 비어만스
대장교테오 보트
대장교한스 판 덴 브로에크
대장교피트 벅만
대장교레옹 들라크루아
대장교장 헹겐
대장교클라렌스 R. 휴브너
대장교돌프 요케스
대장교헹크 캄프
대장교마르가 콤페
대장교루돌프 데 코르테
대장교헹크 코르탈스
대장교에르네스트 크링스
대장교피에르 라르디누아
대장교오귀스트 라발
대장교아스트리드 룰링
대장교런스포드 E. 올리버
대장교요한 렘케스
대장교카를 로메
대장교바우케 롤링크
대장교온노 루딩
대장교욥 데 레이터
대장교노르베르트 슐멜처
대장교에밀 스펠러
대장교케스 스타프
대장교에초 토코페우스
대장교안네 폰델링
대장교베렌트-얀 판 보어스트 토트 보어스트
사령관빅토르 아벤스
사령관빌렘 알바르다
사령관마리-클로드 보
사령관로렌스 얀 브링크호르스트
사령관빌 데이비드슨 (사업가)
사령관빔 데트만
사령관앤서니 판 데르 에브
사령관장 파비에
사령관루디 푹스
사령관렌데르트 긴야르
사령관에밀 하그
사령관알로이스 헹텐
사령관해럴드 힌드
사령관얀 코호트
사령관코르넬리스 크루세만
사령관르네 판 데르 린덴
사령관피터 마우러
사령관레옹 메츠
사령관리즈 몬
사령관얀 빌럼 루이 판 오르트
사령관장-밥티스트 피론
사령관미하일 미하일로비치 플레시코프
사령관게라르트 베링가
사령관요리스 보어호베
사령관조세프 웨일랜드
장교장 베르나르 신부
장교휴고 건즈백
장교장-마리 할스도르프
장교요제프 홀만
장교오스카르 코흐
장교니콜라에 페트레스쿠-코멘
장교살로몬 베르베르
장교헹크 폰호프
장교체르크 베스터테르프
장교피트 판 제일
기사쥘 메르슈
기사다니엘 노르들랜더
기사아트 판 레인
기사장 수페르
기사가보르 하라칼리
기사단 (구식)크리스토펠 비스쇼프
기사단 (구식)얀 빌렘 판 보르셀런
기사단 (구식)아리 요하네스 라메
계급 미상클레어 힢스 암스트롱
계급 미상알퐁스 베르너스
계급 미상레미 에이페스
계급 미상플로리스 아드리안 판 할
계급 미상베렌트 헤링가
계급 미상헨리 J. 레어
계급 미상펄 메스타
계급 미상피에르 노팅
계급 미상니코 리에스
계급 미상사무엘 사르파티
계급 미상니콜라스 셸테마
계급 미상오토 실리
계급 미상에밀 세르베
계급 미상탁신 친나왓
계급 미상알베르투스 빌렘 시트호프
계급 미상얀 젬베크 (외교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