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제국은 15세기 후반 이반 3세 치세에 기틀을 마련하여 1721년 표트르 1세가 '전 러시아의 임페라토르' 칭호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절대 군주제를 확립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지만, 농노제와 사회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알렉산드르 2세의 농노 해방령, 니콜라이 2세의 입헌 군주제 시도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배와 2월 혁명으로 1917년 멸망했다. 제국은 다양한 민족, 사회 계급, 종교를 포용했으며, 동방 정교회를 국교로 삼았다. 러시아 제국은 문화적으로도 러시아 고유의 문화와 서구 문화가 융합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문학, 미술, 음악, 발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근세사 - 러시아 차르국
    러시아 차르국은 1547년 이반 4세의 즉위로 모스크바 대공국에서 건국되어 동로마 제국의 유산을 계승하고 절대 권력을 지닌 차르가 통치했으며, 류리크 왕조와 로마노프 왕조를 거치며 영토 확장, 서구화 개혁 등의 격변을 겪었다.
  • 식민제국 - 통가 제국
    통가 제국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폴리네시아에서 해군력을 바탕으로 번성하며 투발루, 피지, 사모아 일부 등 광대한 영토에 영향력을 미쳤으나, 왕조 교체와 외부 세력의 방문 이후 쇠퇴한 해양 제국이다.
  • 식민제국 - 스타토 다 마르
    스타토 다 마르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지배했던 해외 영토를 지칭하는 용어로, 달마티아 정복을 시작으로 아드리아 해를 중심으로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 등을 포함했으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멸망하며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
  • 1917년 폐지 - 러시아 제국 육군
    러시아 제국 육군은 표트르 대제 시기 창설되어 유럽 주요 열강으로 성장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혁명으로 해체되었다.
  • 1917년 폐지 - 내셔널 하키 협회
    내셔널 하키 협회는 1909년부터 1917년까지 존속한 캐나다의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 동부 캐나다 하키 협회 분열 후 창립되어 스탠리 컵을 놓고 경쟁하며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내부 갈등으로 해체되었고, 현재 NHL의 기원이 되었다.
러시아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러시아 제국 (정사영)
러시아 제국의 최대 영토 (1866년)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의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의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유럽 지도)
러시아 제국 (유럽)
기본 정보
공식 명칭러시아 제국
로마자 표기Rossíyskaya Impériya
일반 명칭제정 러시아, 러시아 제국
상단: 민간기 (1696–1917); 국기 (1896–1917)
하단: 국기 (1858–1896)
소형 국장 (1883–1917)
국가 표어신은 우리와 함께 하신다!
국가신이여, 차르를 보호하소서! (1833–1917)
이전 국가승리의 천둥이여, 울려라! (1791–1816, 비공식)
이전 국가시온에 있는 우리의 주님은 얼마나 영광스러운가 (1794–1816, 비공식)
이전 국가러시아인의 기도 (1816–1833)
수도상트페테르부르크 (1721–1728, 1730–1917), 모스크바 (1728–1730)
최대 도시상트페테르부르크
공용어러시아어
인정 언어폴란드어, 독일어 (발트 지역), 핀란드어, 스웨덴어, 중국어 (다롄)
종교기독교 84.2%
동방 정교회 69.3% (국교)
가톨릭 9.2%
기타 기독교 5.7%
이슬람교 11.1%
유대교 4.2%
불교 0.3%
기타 0.2%
종교 조사 년도1897년
정치와 정부
정치 체제단일 절대 군주제 (1721–1906), 단일 의회 반헌법 군주제 (1906–1917)
국가 원수황제
초대 황제표트르 1세 (1721–1725)
마지막 황제니콜라이 2세 (1894–1917)
정부 수반총리/내각총리대신
초대 총리니콜라이 루먄체프 (1810–1812)
마지막 총리니콜라이 골리친 (1917)
입법부통치 원로원, 국가평의회 (1810–1917), 국가두마 (1905–1917)
역사
건국 이전 사건니스탸드 조약 (1721년 9월 10일)
건국 선포1721년 11월 2일
주요 사건관등표 제정 (1722년 2월 4일)
데카브리스트 반란 (1825년 12월 26일)
농노 해방령 (1861년 3월 3일)
알래스카 매각 (1867년 10월 18일)
1905년 혁명 (1905년 1월 – 1907년 7월)
10월 선언 (1905년 10월 30일)
헌법 채택 (1906년 5월 6일)
2월 혁명 (1917년 3월 8–16일)
멸망러시아 공화국 선포 (1917년 9월 14일)
통계
면적 (1895년)22,800,000 km²
인구 (1897년)125,640,021명
인구 (1910년)161,000,000명
화폐러시아 루블
이전 및 이후 국가
이전 국가러시아 차르국
이후 국가러시아 임시 정부, 러시아 공화국
기타
데모님러시아인

2. 역사

러시아 국가의 기초는 15세기 후반 이반 3세 치세에 놓였다.[15] 16세기 초까지 러시아의 모든 반독립적인 소공국들은 모스크바와 통합되었다.[16] 이반 4세 치세 동안, 16세기 중반에 카잔 칸국아스트라한 칸국이 러시아에 정복되면서 점차 다민족 국가로 발전하게 되었다.

러시아의 영토 확장은 대부분 17세기에 이루어졌으며, 최초의 러시아 태평양 진출,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이 전쟁으로 좌안 우크라이나가 합병됨) 및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으로 절정에 달했다. 19세기 제국의 성장은 대부분 시베리아 남쪽 중앙 및 동아시아 지역에서 영토를 확보하는 데서 비롯되었다.[17]

표트르 1세가 황제(임페라토르)를 선포한 1721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에 발생한 2월 혁명에서 니콜라이 2세의 퇴위로 제정은 종언을 맞이한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의 영토는 2천만 평방킬로미터가 넘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지배했다. 수도는 1712년 모스크바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졌고, 이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154]

1613년 류리크 왕조의 외척이자 로마노프 왕조의 개창자인 미하일 로마노프가 원로원에 의해 차르로 즉위했으나, 당시 서구는 로마노프 왕조를 러시아의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17세기 중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침공, 대홍수 시대(Potop)로 불리는 내전에 개입하여 동구권에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지만, 그럼에도 대외적으로는 큰 세력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표트르 대제 시대에 러시아는 급격한 서유럽화가 진행되었으나, 농촌에는 개혁의 바람이 불지 않았다. 러시아 경제가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음에도, 1억 4,000만 명이 살던 러시아 농촌은 서양 농지보다 생산성이 훨씬 낮았다.[19]

예카테리나 2세는 독일 출신 공주로 표트르 3세와 결혼했다. 엘리자베타 여제 사후, 그녀는 남편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킨 후 권력을 잡았다. 그녀는 표트르 1세 사후 시작된 러시아 귀족의 부흥에 기여하여 국가 공무를 폐지하고 지방의 대부분의 국가 기능을 통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표트르 1세가 제정한 수염세를 폐지했다.[33]

나폴레옹러시아 원정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르 1세는 '유럽의 구원자'로 불리며 명성이 높아졌고, 빈 회의에서 유럽의 국경을 다시 그리며 폴란드를 얻었다.[41] 19세기 초중반 러시아 제국은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넓혔으나, 경제는 농노제로 인해 정체되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러시아는 경제가 퇴보했다. 이는 러시아가 점차 약해지는 원인이 되었다.[42]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정치, 크림 전쟁 패배, 발칸 반도에서의 오스만 제국과의 충돌은 이 시기 러시아의 주요 사건이었다.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당한 후,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3세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 알렉산드르 3세는 아버지의 암살에 큰 충격을 받아, 자유주의 정책을 억압하고 전제 정치를 강화했다. 그는 강력한 슬라브주의자로, 서구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믿었다.[15]

알렉산드르 3세가 죽고, 1894년에 그의 뒤를 이어 니콜라이 2세가 즉위하였는데, 니콜라이 2세 역시 알렉산드르 3세 못지않게 전제 정치를 행했다. 그는 제국의 지도자로서는 부적격했으며, 결국 제국의 마지막 황제라는 비운의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15]

1905년 러일 전쟁의 패배는 러시아 전반에 엄청난 충격을 몰고 왔다. 차르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고 사회는 급속도로 불안정해졌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1905년 혁명이 일어났고, 대부분의 도시들에서 자율적으로 생겨난 소비에트들이 권력을 잡고 국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1905년 10월, 니콜라이 2세는 반강제적으로 10월 선언을 발표했고, 러시아의 의회인 국가 두마가 설립되었다.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정교회, 슬라브족, 세르비아인들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참전했다.[73] 그러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결국 1917년 2월 혁명으로 차르 정부는 무너졌다. 임시 정부가 세워졌고, 니콜라이 2세는 가족과 함께 유폐되었다. 1918년 7월, 니콜라이 2세가 암살당하며 제국은 완전히 사라졌다.[171]

2. 1. 모스크바 공국

모스크바 대공국루스의 군소공국 가운데 하나로, 러시아 제국의 시초이다.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타타르족이나 주변 루스 공국들과 싸우면서 세력을 확대했으며, 이반 3세 때 처음으로 스스로를 차르라고 자처했다.

차르는 러시아어로, 원래 러시아 사회에서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에게만 사용되었던 칭호다. 1453년 동로마 제국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한 후,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녀를 아내로 맞이하여 차르 칭호를 사용할 명분을 얻었다. 또한 모스크바에 있던 동방정교회의 주교좌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러시아 정교회가 탄생했고, 러시아가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의 뒤를 잇는 제3의 로마라는 인식이 생겨나면서 모스크바 대공국 내에서 제국을 자부하는 의식이 생겨났다.

1547년 이반 3세의 손자 이반 4세는 자신을 전 러시아의 차르라고 선언하며, 모스크바 대공국의 군주가 곧 전 러시아의 군주이며 로마 황제의 계승자임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칭호는 국내용에만 머물렀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은 오랫동안 러시아의 차르를 로마 황제는커녕 왕도 아닌, 단순히 모스크바 대공으로 불렀다.

2. 2. 러시아 제국

표트르 대제가 로마 황제의 정식 칭호인 임페라토르를 러시아 황제의 칭호로 채택하고, 정식으로 러시아 제국이라는 국호를 제정한 것은 17세기 말이다.[152][153] 이전 러시아 차르국에서도 "러시아 제국"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으나, 러시아어에서 "차르"와 "임페라토르"는 다른 칭호이므로 주의해야 한다.[149][150]

표트르 대제


1613년 류리크 왕조의 외척이자 로마노프 왕조의 개창자인 미하일 로마노프가 원로원에 의해 차르로 즉위했으나, 당시 서구는 로마노프 왕조를 러시아의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17세기 중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침공, 대홍수 시대(Potop)로 불리는 내전에 개입하여 동구권에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지만, 그럼에도 대외적으로는 큰 세력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표트르 1세가 황제(임페라토르)를 선포한 1721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에 발생한 2월 혁명에서 니콜라이 2세의 퇴위로 제정은 종언을 맞이한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의 영토는 2천만 평방킬로미터가 넘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지배했다. 수도는 1712년 모스크바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졌고, 이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154]

전 러시아의 황제 칭호를 받은 표트르 1세.
보리스 초리코프 그림.


예카테리나 2세.
비겔리우스 에릭센 그림.


황제 전용 열차 안에서 대신과 장군들에게 퇴위를 선언하는 니콜라이 2세.


러시아 제국 황제
재위 기간이름
1721년 ~ 1725년표트르 1세
1725년 ~ 1727년예카테리나 1세
1727년 ~ 1730년표트르 2세
1730년 ~ 1740년안나
1740년 ~ 1741년이반 6세
1741년 ~ 1761년엘리자베타
1761년 ~ 1762년표트르 3세
1762년 ~ 1796년예카테리나 2세
1796년 ~ 1801년파벨 1세
1801년 ~ 1825년알렉산드르 1세
1825년 ~ 1855년니콜라이 1세
1855년 ~ 1881년알렉산드르 2세
1881년 ~ 1894년알렉산드르 3세
1894년 ~ 1917년니콜라이 2세


2. 3. 표트르 대제 집권 시기

표트르 1세(표트르 대제) 시대에 러시아는 급격한 서유럽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정작 근대화가 필요한 농촌에는 개혁의 바람이 불지 않았다. 러시아 경제가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음에도, 1억 4,000만 명이 살던 러시아 농촌은 서양 농지보다 생산성이 훨씬 낮았다.[19] 표트르 대제는 노예 생활을 하던 코로프(10세기-12세기 루스의 계급, 홀로피)들을 농노로 만들고, 이들을 세원으로 삼아 재정을 튼튼히 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코로프들은 19세기 후반까지 후진적이고 봉건적인 지역 계약 체제에 묶여 있었다.[20]

표트르 대제는 군사적 확장도 꾀했다.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군사 원정을 벌인 후, 북쪽으로 시선을 돌렸다. 당시 러시아는 북부 지역 방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는데, 이는 백해아르한겔스크 항구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해양 기지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아르한겔스크는 1년에 9개월 동안 얼어붙어 사용하지 못했고, 발트해로의 출입은 당시 스웨덴 제국에 의해 막혀 있었다. 표트르 대제는 이러한 상황을 끝내고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덴마크와 연합하여 대북방 전쟁을 일으켜 스웨덴 제국을 공격했다. 대북방전쟁은 1721년 러시아의 승리로 끝났고, 스웨덴은 반강제적으로 러시아와 평화협정을 체결했다.[119]

러시아는 대북방전쟁의 전리품으로 핀란드 만 동남부에 위치한 4개 지방을 얻어 해상 통로를 열었다. 그는 오랫동안 러시아 수도였던 모스크바를 대체하기 위해 네바 강 인근에 새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세웠다. 이 천도 사업에는 러시아를 유럽에 포함시키려는 황제의 의도가 담겨 있었다. 거의 대부분의 도시 디자인은 유럽 이탈리아 디자인을 따랐다. 1722년, 표트르 대제는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가 통치하는 캅카스카스피해로 관심을 돌렸다. 아스트라한을 페르시아 상대 군사본부로 삼고, 1722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벌였다.[30]

표트르 대제는 정부 조직도 개편했다. 옛 두마를 9명으로 이루어진 의회로 대체하고, 지방 정부도 재편하여 새 지방과 주로 나누었다. 표트르 대제는 의회 역할이 세금을 제대로 거두는 것이라고 강조했고, 그의 치세 동안 러시아 세입은 3배로 늘었다. 또한 모든 종류의 자치 정부는 폐지되었고, 귀족들의 국가 의무는 상대적으로 크게 강조되었다. 정교회를 행정 시스템 일부로 끌어들여 종교를 국가 하수인으로 삼았다. 주교좌를 해산하고 시노드를 설립하여 교회 통제권을 획득하였다.[32]

대북방전쟁 중 폴타바 전투를 묘사한 그림


알렉산더 폰 코체부가 1862년에 그린 '폴타바 전투의 승리'


표트르 대제는 1721년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다. 그는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고 러시아가 주요 유럽 강국으로 변모하는 것을 감독했다. 장-마르크 나티에의 그림, 1717년.


표트르 1세 통치 시대의 러시아 국장

2. 4. 예카테리나 2세 집권 시기

1762년부터 1796년까지 재위한 예카테리나 2세는 제국의 확장과 근대화를 계속 추진했다. 스스로를 계몽 전제 군주로 여긴 그녀는 러시아 계몽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80년대에 그려짐).


1764년, 루블 예카테리나 2세 ММД, 크라스니 조폐국


이즈마일 습격 (1790년 12월 22일), 알렉산더 수보로프의 지휘 아래 러시아군에 의해. 수보로프의 승리는 제국의 새로운 국가 의례가("승리의 천둥이 울리게 하라!")로 불멸화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독일 출신 공주로 표트르 3세와 결혼했다. 엘리자베타 여제 사후, 그녀는 남편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킨 후 권력을 잡았다. 그녀는 표트르 1세 사후 시작된 러시아 귀족의 부흥에 기여하여 국가 공무를 폐지하고 지방의 대부분의 국가 기능을 통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표트르 1세가 제정한 수염세를 폐지했다.[33]

예카테리나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토에 대한 러시아의 정치적 지배를 확장하여 타르고비차 연맹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쟁의 비용은 이미 압제적인 사회 시스템에 더 큰 부담을 주었고, 농노들은 소유주의 토지에서 거의 모든 시간을 일해야 했다. 예카테리나가 토지와 분리된 농노 판매를 합법화한 후 1773년에 주요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코사크 출신 예멜리안 푸가초프가 영감을 주었고 "지주들을 모두 교수형에 처하라!"고 선언한 반란군은 모스크바를 점령하려고 위협했지만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 전통적인 사지 분시 처벌 대신 예카테리나 여제는 법에 연민을 도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형 집행관들에게 사형 집행을 신속하고 최소한의 고통으로 집행하라는 비밀 지시를 내렸다.[34]

그녀는 고위 귀족 여성인 다리아 니콜라예브나 살티코바를 농노들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로 공개 재판에 회부하도록 명령하여 이러한 노력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러한 제스처는 계몽주의 시대 동안 유럽에서 예카테리나에게 많은 긍정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지만, 혁명과 혼란의 그림자는 그녀와 그녀의 후계자들을 계속해서 괴롭혔다. 실제로 그녀의 아들인 파벨 1세프랑스 혁명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 문화의 확산을 직접적으로 목표로 하는 칙령을 발표하기도 했다.

귀족들의 지속적인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예카테리나는 농노와 다른 하층민을 희생하여 그들의 권위와 권력을 강화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카테리나는 농노제가 결국 종식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녀의 ''나카즈''("지시")에서 농노가 "우리와 똑같이 좋다"고 말할 정도였다. 이는 귀족들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예카테리나는 러시아의 남부와 서부 국경을 확장하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과 성공적으로 전쟁을 벌여 흑해 근처의 영토를 확보하고, 폴란드 분할에서 오스트리아프로이센과 함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토를 편입했다. 조지아 카르틀리-카헤티 왕국과 체결한 게오르기예프스크 조약과 그녀 자신의 정치적 야망의 일환으로, 예카테리나는 동부 조지아를 침략한 후 1796년 페르시아에 대한 새로운 전쟁을 벌였다. 승리를 거둔 후 그녀는 러시아의 통치를 확립하고 코카서스에 새로 설립된 페르시아 주둔군을 축출했다.

예카테리나의 팽창주의 정책으로 러시아는 주요 유럽 강국으로 발전했고,[35] 러시아 계몽주의와 러시아 황금기가 그러했다. 그러나 예카테리나는 1796년에 사망한 후 아들인 파벨 1세가 계승했다. 그는 1798년 프랑스 제1공화국에 대항하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러시아를 참여시켰다. 러시아 사령관 원수 수보로프는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을 이끌었고, 프랑스에 일련의 패배를 안겼다. 특히 1799년 트레비아 전투에서 승리했다.

2. 5. 19세기 초중반

나폴레옹러시아 원정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르 1세는 '유럽의 구원자'로 불리며 명성이 높아졌고, 빈 회의에서 유럽의 국경을 다시 그리며 폴란드를 얻었다.[41]

19세기 초중반 러시아 제국은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넓혔으나, 경제는 농노제로 인해 정체되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러시아는 경제가 퇴보했다. 이는 러시아가 점차 약해지는 원인이 되었다. '강대국'이라는 허울은 정부의 무능, 국민들의 고립, 경제적, 사회적 후진성을 가렸다.[42]

알렉산드르 1세 사후, 그의 동생 니콜라이 1세가 즉위하여 즉위 직후 데카브리스트의 난에 직면했다. 이 반란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 유럽의 자유주의에 영향을 받은 군 장교들이 주도했다.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빠르게 진압되었으며, 니콜라이 1세는 표트르 대제의 개혁 정책들을 폐기하고 국가주의, 정교회, 독재에 기반한 옛 체제로 회귀했다. 이후 니콜라이 1세는 엄격한 검열과 비밀경찰 제도를 통해 국민들을 통제했으며, 반대자들을 시베리아 유형소로 보냈다.[43]

2. 6. 19세기 중후반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정치, 크림 전쟁 패배, 발칸 반도에서의 오스만 제국과의 충돌은 이 시기 러시아의 주요 사건이었다.

나폴레옹을 격파한 러시아는 이후 1세기 동안 주요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지만, 농노제 유지로 인해 경제적 진보는 상당히 제한되었다. 산업혁명 동안 서유럽 경제가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러시아는 점점 더 뒤처지기 시작하여, 강대국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는 제국에 새로운 약점을 만들었다. 러시아의 강대국 지위는 정부의 비효율성, 국민의 고립, 경제적, 사회적 후진성을 가리고 있었다. 나폴레옹의 패배 이후 알렉산드르 1세는 헌법 개혁을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일부 개혁이 도입되기는 했지만, 큰 변화는 시도되지 않았다.[42]

자유주의자였던 알렉산드르 1세를 계승한 그의 동생 니콜라이 1세(1825~1855)는 통치 초기에 봉기에 직면했다. 이 반란의 배경에는 나폴레옹 전쟁이 있었는데, 이 전쟁에서 많은 교육받은 러시아 장교들이 군사 작전 과정에서 유럽을 여행했고, 서유럽의 자유주의에 노출되어 전제주의 러시아로 돌아온 후 변화를 추구하도록 격려했던 데 있었다. 그 결과 데케엠브리스트 봉기(1825년 12월)가 일어났는데, 이는 니콜라이의 형제인 콘스탄틴을 헌법 군주로 세우려는 소수의 자유주의 귀족과 군 장교들이 주도했다. 반란은 쉽게 진압되었지만, 니콜라이가 표트르 대제가 시작한 근대화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정교회, 자치, 민족주의 사상을 옹호하게 했다.[43]

더 이상의 반란을 억압하기 위해, 학교와 대학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를 포함한 검열이 강화되었다. 교과서는 정부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었다. 경찰 스파이들이 도처에 배치되었다. 니콜라이 1세 치하에서 잠재적 혁명가들은 시베리아로 추방되었고, 수십만 명이 카토르가 수용소로 보내졌다.[44]

러시아의 방향에 대한 문제는 표트르 대제의 근대화 계획 이후로 주목을 받아왔다. 서유럽을 모방하는 것을 찬성하는 사람들과 이에 반대하고 과거의 전통으로 돌아가자는 사람들이 있었다. 후자의 길은 "타락한" 서구를 경멸한 슬라보필들이 옹호했다. 슬라보필들은 관료주의의 반대자들이었고, 서구의 개인주의보다 중세 러시아의 ''옵시치나'' 또는 ''미르''의 집산주의를 선호했다. 알렉산더 헤르첸, 미하일 바쿠닌,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같은 좌익 러시아 급진주의자들은 더 극단적인 사회적 이론을 구축했다.

2. 7. 알렉산드르 3세 집권 시기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당한 후,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3세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 알렉산드르 3세는 아버지의 암살에 큰 충격을 받아, 자유주의 정책을 억압하고 전제 정치를 강화했다. 그는 강력한 슬라브주의자로, 서구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믿었다.[15]

알렉산드르 3세는 급성장하는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프랑스 동맹을 맺었다. 또한 중앙아시아에 군대를 보내 원정을 실시하고, 청나라와 군사 협약을 맺어 영토를 확장하여 발하슈 호와 동해를 차지했다.

알렉산드르 3세의 최측근은 황제와 황태자의 교사이자 종교회의 의장이었던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였다. 그는 극도로 보수적인 인물로, 황제가 언론 자유, 민주주의, 의회, 헌법과 같은 근대적 가치를 혐오하도록 가르쳤다. 포베도노스체프의 조언에 따라, 알렉산드르 3세는 서구화 정책을 폐기하고 '러시아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모든 혁명과 발전 가능성을 차단했다.[15]

2. 8. 20세기 초

알렉산드로 3세가 죽고, 1894년에 그의 뒤를 이어 니콜라이 2세가 즉위하였는데, 니콜라이 2세 역시 알렉산드르 3세 못지않게 전제 정치를 행했다. 그는 자신의 제국이 어떠한 변화를 원하지 않았으며, 격동하는 시대에 변화하는 것에 오히려 두려워했다. 그는 제국의 지도자로서는 부적격했으며, 결국 제국의 마지막 황제라는 비운의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15] 이 시기에 산업 혁명의 여파가 러시아에도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으나, 지방과 시골 지역들은 여전히 비참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산업 혁명으로 생성된 새로운 자본주의자 엘리트들은 평화적인 개혁과 입헌군주제의 설립을 기대하고 있었고, 사회를 점진적으로 바꾸어나가고 싶어했다. 1890년대부터는 러시아의 경제도 새로운 작물의 도입, 철도의 건설 등으로 인하여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밀 생산량은 증가했고, 인구도 그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러시아 농민들의 삶도 조금씩 나아졌으며, 군인들의 체격과 영양 상태도 이전보다는 더 좋아졌다. 다만 국가 전체의 부가 증대함에 따라 빈부격차는 갈수록 더 심해지는 형편이었다.

한편 이와중에 러시아의 권력을 잡고 있던 극우 세력들은 강력한 지주제를 선호했다. 허나 지주들은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조치 이후 땅을 조금씩 팔아가며 그 세가 약해지고 있었다. 온건적 개혁파들은 지주들이 땅을 나누어 농민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에 동의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무조건 지주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나 극좌들이나 공산주의자들은 지주들의 땅을 모두 무상 몰수하여 분배해 버리고 싶어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농민들에게 각자 1인 할당 토지를 배분할 지, 혹은 집단 농장을 만들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를 따르던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은 농민들이 아니라 도시의 노동자들에 의한 혁명을 일으켜 새 세상을 건설하고 싶어했으며, 또다른 좌익 단체인 사회주의 혁명당은 전통을 존중하며 실제로 노동을 하는 계급인 농민들을 중심으로 혁명을 일으키고 싶어 했다.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2차 회의에서 당은 온건파인 멘셰비키와 급진파인 볼셰비키로 갈라졌다. 멘셰비키들은 러시아가 아직 충분히 산업화 단계에 다다르지 못했고, 진정한 의미의 사회주의란 일정 기간의 부르주아 민주주의 체제를 겪은 후에 누릴 수 있는 것이라 여겼다. 멘셰비키 세력에는 주로 자유주의적인 기업가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볼셰비키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휘 하에 있었는데, 그들은 소규모의 규율잡힌 혁명가들을 만들어 프롤레타리아 계층이 권력을 쟁취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05년 러일 전쟁의 패배는 러시아 전반에 엄청난 충격을 몰고 왔다. 차르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고 사회는 급속도로 불안정해졌다. 1905년, 차르에게 탄원하러 겨울 궁전 앞에 모인 군중들에게 군인들이 발포하며 발생한 피의 일요일 사건은 그나마 존재하던 차르에 대한 존경심을 모두 없애버렸으며, 이후 군주정을 아예 없애버리고 민주 공화국을 세우자고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로서 1905년 혁명이 일어났고, 대부분의 도시들에서 자율적으로 생겨난 소비에트들이 권력을 잡고 국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러시아는 극도로 혼란스러운 상태였고, 차르 정부는 거의 힘이 없는 무정부 상태와 유사했다. 1905년 10월, 니콜라이 2세는 반강제적으로 10월 선언을 발표했고, 이로서 러시아의 의회인 국가 두마가 설립되었다. 투표권은 확장되었고, 그 어떠한 법이나 칙령도 의회의 승인 없이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온건파들은 이 조치에 만족했으나, 민주정을 세우기 바랐던 급진파들은 이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후 개혁 세력들 사이에서는 점차 불화가 생겨났으며, 이에 반비례하여 차르의 힘은 점차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니콜라이 2세

2. 9. 멸망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정교회, 슬라브족, 세르비아인들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참전했다.[73] 1914년 8월, 러시아는 독일을 공격했고, 동맹국들의 도움을 받아 갈리시아 지방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독일과 오스만 제국이 보급선을 차단하여 러시아 군대는 약해지기 시작했다.[72]

1915년, 러시아는 전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였다. 군량과 무기 보급이 부족했고, 부상자는 늘었으며, 국내 경제는 인플레이션으로 무너졌다.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는 라스푸틴에 휘둘려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라스푸틴이 귀족들에게 암살당했지만, 황실의 권위는 회복되지 못했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차르 정부는 무너졌다. 볼셰비키는 혁명을 일으켰고, 차르 정부는 인민, 농민, 노동자의 지지를 받지 못해 무너졌다. 임시 정부가 세워졌고, 니콜라이 2세는 가족과 함께 유폐되었다. 1918년 7월, 니콜라이 2세가 암살당하며 제국은 완전히 사라졌다.[171]

2. 10. 임시 정부

러시아 공화국은 수립 직후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허락하고, 국가 두마(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등 개혁적인 조치들을 시행했다. 법무장관이었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사형제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59]

그러나 임시정부는 오래가지 못했다. 게오르기 르보프와 케렌스키 총리가 연합국과의 약속을 이유로 휴전을 반대했기 때문이다. 당시 러시아군은 동맹국군에게 계속 패배하고 있었고, 군량 부족과 사상자 증가로 인해 병사들의 사기가 매우 낮았다.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170만 명, 부상자 665만 명이라는 수치는 러시아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반전 여론을 확산시켰다.

한편,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임시정부와 별개로 소비에트(평의회)를 통해 대중의 지지를 얻고 있었다. 1917년 10월, 볼셰비키는 수도 페트로그라드를 장악하고 권력을 잡았다.

3. 정부

1905년 혁명 이전까지 러시아 제국은 차르를 정점으로 하는 전제군주정이었다. 그러나 1905년 이후에는 차르의 권력이 법률로 제한되면서, '권위적인 차르를 모시는 입헌군주정'으로 정의되기도 했다. 차르는 국가 두마에서 의결된 법률에 대한 거부권, 의회 개회 및 폐회 선포권 등 여전히 강력한 권한을 행사했다.

러시아 정치계는 보수주의가 득세했으며, 엘리트 지배층 사이에서는 반지성주의, 정교회의 비과학적 맹신, 폐쇄적인 전통주의, 경직된 계급주의가 만연했다. 일부 진보적인 지식인들은 이러한 보수적인 근대화 움직임에 우려를 표하며, 당시 러시아 정부를 '전보를 가지고 있는 칭기즈 칸'에 비유하기도 했다.

1906년 러시아 기본법 개정에 따라, 국무원은 두마와 함께 입법부의 상원 역할을 하게 되었다. 국무원은 황제가 임명하는 98명과 선출되는 98명, 총 196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장관들은 임명직이었으며, 당연직 국무원 의원이었다. 두마는 러시아 의회의 하원으로, 복잡한 선거를 통해 선출된 4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부유한 계층, 특히 지주 계급이 의원 구성의 다수를 차지했으며, 피지배 민족 출신 의원은 적었다.

1905년, 총리직이 신설되면서 장관회의가 설립되었다. 장관회의는 모든 부처 장관과 주요 부서장으로 구성되었다. 최고성소회의는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 통치 기관으로, 황제를 대표하는 평신도 검찰총장이 의장을 맡았다. 상원은 원래 표트르 대제의 정부 개혁 기간에 설립되었으며, 황제가 임명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졌다. 상원은 최고 상소 법원, 감사원, 정치 범죄 고등 법원 등의 기능을 수행했다.

3. 1. 차르

표트르 대제가 1721년에 스스로를 '전 러시아의 황제', 즉 '차르(Tsar)'라고 칭하면서 이 칭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황제들도 이 칭호를 계속 사용했으며, 1917년 제정이 완전히 무너질 때까지 남성 황제는 '차르', 여성 황제는 '차리차'라고 불렸다.[89]

10월 혁명 이전까지 차르는 러시아 제국의 절대 권력자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법적 제약만을 받았다.[174]

1. 러시아 정교회 신자여야 한다.

2. 파벨 1세가 제정한 황위계승법을 따라야 한다.

1905년 10월 이후, 차르는 선출된 의회인 황실 두마(의회)의 허가 없이는 법을 시행할 수 없게 되면서 스스로의 입법권을 제한했고, 일부 권력을 공직 기관에 양도했다. 그러나 의회 해산권과 법률 거부권은 여전히 차르에게 있었다.[175] 러시아 제국의 장관들은 의회가 아닌 오직 차르에게만 충성을 맹세했다.[170] 1906년 4월 28일 이후 추가적인 조치로 차르의 권력이 다시 제한되었으나, 차르의 권위가 크게 실추되지는 않았다.

3. 2. 국무원

1906년 2월 20일에 시행된 러시아 기본법에 따라, 러시아 국무원은 러시아의 상원 역할을 했다. 당시 러시아 의회는 황제 옆에서 사안들을 의결하는 정도였는데, 국무원 총원 196명 중 98명은 황제가 임명했고, 나머지 98명만이 선출된 의원들이었다. 선출되는 98명의 의원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분인원
수도승계 성직자3명
속세계 성직자3명
귀족 출신 의원18명
대학과 지식인 출신 의원6명
상인 출신 의원6명
산업 관련 인물 출신 의원6명
젬스트보를 가진 지방 출신34명
젬스트보를 가지지 않은 지방 출신16명
폴란드 출신 의원6명



이들은 의회의 상원 격에 해당하는 기관으로서 법안을 발의하고 하원 격인 국가두마와 토의할 권한이 있었으나, 실제로 입법권을 행사한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90]

3. 3. 두마

두마(Duma)는 러시아 제국의 하원이었다. 총 4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우 복잡한 선거 절차를 통해 선출되었다. 의원 자격은 엄격하게 제한되어 대다수는 기득권층인 호족 지주 계급이었다. 중앙아시아를 제외한 러시아 각 지방 대표들도 두마에서 의견을 나누었는데, 각 지역에 일정 수의 의원직이 배분되었고, 특히 큰 대도시가 있는 지역에는 추가 의원직이 주어졌다.

두마 의원은 크게 호족 지주, 자작농, 농노 대표의 세 계급으로 나뉘었다. 이 중 호족 지주 출신이 가장 많았고, 농노 대표들은 의회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고 대리인을 통해 의사를 전달했다. 평민의 경우 세금을 낼 수 있는 성인 남성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있었고, 대부분 매우 부유한 재력가들이 의원에 선출되었다.

두마에서는 모든 의원에게 1표씩을 행사하도록 했다. 보수적인 호족 지주 계급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여 진보적이고 실용적인 법안이 나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마는 이전의 러시아 제정보다 발전된 점이 있었는데,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키예프, 리가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대중들이 직접 의원을 뽑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전에는 대중의 뜻을 무시했던 시절에 비하면 훨씬 발전된 방식이었다.

두마 의원들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었고, 선거인단은 다시 지주, 시민, 농민의 세 계급 집회에 의해 선출되었다. 가장 부유한 지주들은 직접 집회에 참여했고, 소지주들은 대표를 통해 참여했다. 도시 인구는 과세 재산에 따라 두 범주로 나뉘어 주 선거인단에 대표를 직접 선출했다. 농민들은 보로스트라는 지역 구획에서 선출된 대표들이 대표했다. 50명 이상을 고용하는 산업체는 선거인단에 한 명 이상의 대표를 선출할 수 있어 노동자들은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선거인단 내 투표는 비밀 투표였고, 단순 다수결로 결정되었다. 보수적인 요소(지주와 도시 대표)가 다수였기 때문에 진보 세력은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다만, 각 주에서 다섯 계급 각각에서 최소 한 명의 의원을 선출해야 한다는 조항 덕분에 진보 세력이 어느 정도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두마에 급진적인 요소가 존재했던 것은 7개의 가장 큰 도시(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키예프, 오데사, 리가, 바르샤바, 우치)가 누린 특별한 참정권 덕분이었다. 이 도시들은 두마 대표를 직접 선출했고, 투표가 부유층에게 유리하게 나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 도시는 동일한 수의 대표를 선출했다.

3. 4. 장관회의

1905년 개혁으로 장관회의가 만들어졌고, 총리직이 처음으로 창설되었다. 장관회의에는 각 부의 모든 장관들과 지방자치단체들의 수장들이 참석하였다. 당시 러시아 제국의 부서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 제국 부서 목록 (1905년)
부서명주요 업무
황실부
외무부
전쟁부
해군부
재무부
산업부1905년 신설
내무부치안, 복지, 언론, 전보, 외교, 전략
농업부
통신부
사법부
개화부


4. 군대

러시아 제국군은 러시아 제국 육군러시아 제국 해군으로 크게 나뉘어 있었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군은 인구와 영토에 비해 약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고, 크림 전쟁에서의 패배 이후 군대 개혁이 불가피했다.[1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은 봉건제와 사병 제도로 인해 서구 열강에 비해 군사력이 약했고, 군 장비와 무기의 질도 떨어졌다.

러시아 제국군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패를 거듭했고, 이는 황제에 대한 불만을 야기하여 소련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군 최고 사령관은 차르였으며, 임시 정부 시기에는 총리인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지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제국군은 100만 명의 대군을 보유했고, 약 1,200만 명이 징집되었다.

표트르 1세대북방 전쟁과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 군대를 상비군과 해군으로 개편했다. 1699년 칙령을 통해 징병제를 마련하고, 군사 학교를 설립했으며, 군사 규정을 마련했다.[224] 또한, 육군과 해군을 감독하는 행정 기관을 설립하고 해군을 건설했다. 이러한 개혁은 외국 전문가의 도움을 받았지만, 표트르 1세 통치 말기에는 러시아 장교로 대체되었다.

징집병은 대부분 농민이었지만, 19세기 후반 해군은 도시 노동 계급을 선호했다. 부사관은 부족했고, 장교는 주로 사관학교와 준커 학교 출신이었다. 육군 장교는 대부분 귀족이었지만, 19세기 말에는 비귀족 출신이 증가했다. 해군 장교는 해군 사관학교 출신이 많았고, 발트 독일인이나 스웨덴 가문 출신도 있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 군사 예산은 민간 목적, 외채 이자 지급, 철도 건설에 대한 지출 우선으로 인해 감소했다. 러시아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100만 명이 넘는 상비군을 유지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 전쟁 중 러시아군은 독일군에 비해 전술 및 작전 능력이 부족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와 오스만 군대를 상대로는 성과를 거두었다. 러일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해군은 세계 3위에서 6위로 전락했다. 1912년 재건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전에는 완료되지 않았다. 발트 함대는 독일 공해 함대에 대해 방어적인 태도를 취했지만, 흑해 함대는 오스만 상선을 급습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쟁 지속 능력을 위협했다.

4. 1. 국경

유럽 러시아아시아 러시아의 경계는 우랄산맥, 우랄강, 카스피해였다. 제국의 아시아 영토인 시베리아와 키르기스인의 스텝 지역은 우랄 산맥의 시베리아 사면으로 일부 확장되었다. 남쪽 경계는 흑해와 카프카스였으며, 마니치 강 저지대에 의해 카프카스와 분리되었다. 서쪽 경계는 콜라 반도에서 바랑거 피오르드를 지나 보트니아 만까지, 남쪽 발트해의 쿠르스크 해협을 거쳐 다뉴브 강 어귀까지 이어졌다. 이 경계는 동중부 폴란드를 포함하여 러시아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갈리치아, 루마니아와 분리했다.

러시아는 북극해 해안을 제외하면 열린 바다로 나가는 출구가 거의 없었다. 보트니아 만과 핀란드 만은 핀란드 민족의 영토로 둘러싸여 있었고, 네바 강 어귀에 수도를 세움으로써 핀란드 만에서 확고한 발판을 마련했다. 리가 만과 발트해는 발트족과 핀란드어족, 독일인들이 거주하는 영토였다. 흑해 동해안은 트란스카프카스에 속했는데, 거대한 산맥이 러시아와 분리했다. 보스포루스 해협은 외국 영토였고, 카스피해는 사막으로 둘러싸인 얕은 호수로서 러시아와 아시아 정착지 사이의 연결 고리였다.

5. 행정 구역

1914년 기준으로 러시아 제국은 81개의 주(губерния, 구베르니야), 20개의 지역(область, 오블라스트), 그리고 1개의 군(округ, 오크루그)으로 나뉘었다. 이 외에 러시아 제국의 속국 및 보호령으로는 부하라 에미르국, 히바 칸국, 그리고 1914년 이후 투바 (우리앙카이)가 있었다.[156]

1914년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 분할 지도


이 중 11개의 주, 17개의 지역, 그리고 1개의 군(사할린)은 아시아 러시아에 속했다. 나머지 중 8개의 주는 핀란드에, 10개는 폴란드 왕국에 있었다. 유럽 러시아는 59개의 주와 1개의 지역(돈강 지역)을 포함했다. 돈 지역은 전쟁부의 직할 관할이었고, 나머지 지역들은 각각 주지사와 부주지사가 있었으며, 부주지사는 행정평의회를 주재했다.[156] 또한, 여러 주에 걸쳐 배치되어 더 광범위한 권한(관할 구역 내 군대 지휘권 포함)을 가진 총독이 있었다. 1906년에는 핀란드, 바르샤바, 빌뉴스, 키예프, 모스크바, 리가에 총독이 있었다.[156] 더 큰 도시들(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오데사, 세바스토폴, 케르치, 니콜라예프, 로스토프나도누)은 주와는 독립적인 자체 행정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경찰청장이 주지사 역할을 했다.[156]

2015년 모습의 모스크바 주지사 관저(1778~1782년)


러시아 중앙아시아는 투르키스탄이라고 불렸다.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아시아의 5개 주에는 5,260,300명의 주민이 거주했고, 그중 13.9%가 도시 거주민이었다. 가장 큰 도시는 타슈켄트(156,400명), 코칸트(82,100명), 나망간(61,900명), 사마르칸트(54,900명)였다.[126] 1911년까지 세미레치예 인구의 17%와 도시 거주민의 절반이 러시아인이었고, 그중 5분의 4가 농업 이주민이었다. 같은 해 다른 4개 주에서는 러시아인이 인구의 4%에 불과했고, 대다수는 주요 도시의 원주민 거주 지역 옆 유럽식 정착지에 거주했다.[126]

러시아 제국에는 중앙 정부의 지방 조직과 함께 행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세 가지의 선출된 자치 기관이 존재했다.[215]

  •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촌(村)과 향(郷).
  • 유럽 러시아 34개 주에 설치된 젬스트보(Земство).
  • 도시 두마(Дума).


미르(농촌 공동체)의 집회. 세르게이 코로빈 그림. 1893년.


그 기원이 확실하지 않은 농촌 공동체(미르: Мирru 또는 옵시치나: Общинаru)는 마을별 농민들의 자치 조직이었다.[215] 미르는 마을 장로와 각 가정의 가장들로 구성된 마을 회의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의 행정과 사법 그리고 경작지의 분배를 담당했다.[216] 알렉산드르 2세의 행정 개혁으로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지방 행정의 말단 기관으로서 마을 단체(세리스코예 옵시체스트보: Cельское обществоru)가 조직되었다.[217] 몇몇 마을 단체가 모여서 향(보로스트(행정 구역): волостьru)을 구성했고, 마을 단체 대표자들의 회의를 가졌다. 이 회의에서 향장이 선출되었으며, 향 법원도 설치되어 경범죄와 민사 소송 등을 처리했다.[218]

『젬스트보의 점심』
그리고리 먀소예도프 그림. 1872년.
귀족 의원이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농민 의원은 야외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알렉산드르 2세의 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1864년 34개 주와 돈 군주 및 이에 속하는 군에 지방 자치 기관인 젬스트보(Земствоru)가 설치되었다. 군 젬스트보에는 주민이 선출한 군의회와 여기서 임명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집행 기관인 군참사회가 있었다. 주 젬스트보의 주회와 참사회는 군의회 대표자들로 구성되었다. 젬스트보는 지주, 도시 거주민 그리고 향(볼로스치)이 별도로 대의원을 선출했다.[219][220]

1870년 새로운 도시법 공포 이후, 유럽 러시아의 도시 당국은 젬스토보와 유사한 대의제 도시 자치 기관(도시 두마(Дума))을 갖게 되었다.[221] 알렉산드르 3세 치세에 젬스토보와 마찬가지로 도시 두마는 주지사와 경찰에 예속되었다.[222]

6. 사회

러시아 제국은 유럽의 다른 강대국들에 비해 산업화와 근대화가 늦었고, 전근대적인 농노제와 봉건 제도를 오랫동안 유지했다. 1913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80%가 농민이었으며, 이들은 다른 유럽 국가 국민들보다 훨씬 열악한 대우를 받았다.[130] 소련 역사학자들은 19세기 러시아 제국이 멸망한 이유를 하층민들의 비참한 삶을 개선할 의지나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제국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농노 해방령(1861년)으로 사회적 역동성이 증가하고 농업 생산량이 증대되었으며 사회 전반의 질이 높아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대체로 러시아 제국 국민들의 삶의 질은 18세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나, 18세기 말부터 1914년까지는 점차 개선되기 시작했다.[130]

눈 덮인 러시아 마을 풍경


1890년 이후, 사탕무와 같은 새로운 작물 재배와 철도 교통 발달 덕분에 경제 상황이 꾸준히 개선되었다. 인구 증가로 인한 국내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총 곡물 생산량과 수출량이 증가했다. 그 결과, 1914년 이전 제국의 마지막 20년 동안 러시아 농민들의 생활 수준이 서서히 향상되었다. 징집병들의 신체적 특징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이전 세대보다 더 크고 강건했다. 그러나 인구 밀도가 높은 중부 흑토 지방에서는 빈곤이 더욱 심했고, 1891~1893년과 1905~1908년에는 일시적인 경기 침체도 있었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은 2,280만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제국이었다.

러시아 제국의 신민들은 '소슬로비예' 또는 신분(계급)으로 구분되었는데, 귀족(드보랸스트보), 성직자, 상인, 코사크, 농민 등이 있었다. 타타르스탄, 바시코르토스탄,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와 같이 비러시아계 민족이 거주하는 카프카스 지역의 원주민들은 ''이노로드치''('비슬라브계')라는 범주로 공식적으로 등록되었다. 인구의 대다수인 81.6%가 농민 계급에 속했으며, 귀족 0.6%, 성직자 0.1%, 시민과 상인 9.3%, 군인 6.1%였다. 8천8백만 명이 넘는 러시아인들이 농민이었는데, 그중 일부는 해방된 농노, 나머지는 "국유 농민"과 "영주 농민"이었다.

러일 전쟁(1904~1905) 중 중국 내 봉천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는 러시아 군인




1908년 크렘린에서 바라본 모스크바 강 풍경

6. 1. 계급

러시아 제국의 사회 계급은 매우 엄격했다. 크게 귀족, 성직자, 상인, 카자크족, 농노 등으로 나뉘었으며, 이 중 귀족과 성직자는 권력층을 독점했다. 사회 최하층은 농노가 구성했다. 또한, 인종에 따른 차별도 존재하여 러시아계 슬라브족 백인이 아닌 시베리아, 타타르, 중앙아시아 출신 사람들은 '이노로찌'(근본이 다른 자들)라고 불리며 차별받았다.[376]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81.6%는 농민이었고, 귀족은 0.6%, 성직자는 0.1%에 불과했다. 상인과 중간 계급은 9.3%, 군인은 6.1%였다. 약 8,800만 명이 농업에 종사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과거 농노 출신이었다. 농노 출신이 아닌 사람들은 주로 국가 소속 농부나 도시 귀족 가문에 소속된 농부였다.[376]

러시아 제국의 신분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었다.

  • '''귀족''' (Дворянство|드보랸스트보ru): 세습 귀족과 일대 귀족으로 나뉘며, 관직이나 군 복무를 통해 귀족이 될 수 있었다.
  • '''성직자''':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는 독신인 검은 수도사(수도승)와 결혼한 흰 수도사(사제)로 나뉘었다. 상위 성직자는 검은 수도사가 차지했다.
  • '''명예시민''' (Почётные граждане|포툐트니예 그라주다니ru): 1832년에 도입된 신분으로, 인두세, 징병, 체벌이 면제되었다.
  • '''상인, 평민, 장인''': 상인은 길드에 소속된 부유한 상인이나 수공업자였고, 평민과 장인은 소매상인이나 소규모 수공업자였다.
  • '''코사크''' (Казак|카자크ru): 군사 공동체 출신으로, 특별한 군사 신분이었다.
  • '''농민''' (Крестьяне|크레스티야네ru): 국유지 농민, 교회 소유지 농민, 궁내청 소유지 농민, 지주 농민(농노)으로 나뉘었다.
  • '''이종인''' (Инородцы|이노로트치ru): 비러시아계 민족을 지칭하는 법률 용어로, 주로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극동의 원주민에게 적용되었다.


다음 표는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른 러시아 제국의 신분별 인구 구성 비율을 나타낸다.

1897년 러시아 제국의 신분별 인구 구성[376]
신분인구 비율
귀족0.6%
성직자0.1%
명예시민0.3%
상인, 평민, 장인10.8%
코사크2.3%
농민77.1%
이종인6.6%
기타2.2%


6. 2. 농노제

러시아 지방에서는 1649년에 법으로 명문화되면서 16세기부터 농노제가 발달했다. 농노는 귀족 가문에 딸린 채로 거의 노예와 다름없는 생활을 했다. 1861년의 농노 해방령에 의해 법적으로 해방되기 전까지 이들은 러시아 사회의 핵심 구성원이었다. 농노는 크게 황실 소속, 국가 소속, 그리고 가장 많은 귀족들의 사유지에 소속된 농노로 나뉘었다.

사유지 농노는 인두세와 병역 의무를 졌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로부터 정당한 보호를 받지 못했고, 그들의 생사여탈권은 주인에게 달려 있었다. 지주는 농노를 임의로 팔거나 살 수 있었으며, 저당잡을 수도 있었고, 매질이나 시베리아 유형과 같은 극형에도 처할 수 있었다. 농노는 지주로부터 토지를 제공받아 경작하는 대신, 그 대가를 훨씬 초과하는 지대를 바쳐야 했으며 부역 의무도 강제로 졌다. 부역 의무는 지방마다 달랐는데, 중부와 북부는 화폐로 지세를 받는 것을 선호했으며 토지가 비옥한 남부 지대에서는 부역을 선호하였다. 간혹 둘 다를 모두 받는 경우도 있었으며, 부역의 경우에는 주 3일 이상 영주의 직영 토지에 나가 강제로 노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탓에 농노는 정작 지주로부터 임대받은 자신의 토지는 제대로 경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았다. 이 때문에 농노들의 삶은 갈수록 정체하고 사회의 질은 악화되어 갔다.

황실이나 국가에 소속된 농노가 주인으로부터 받는 대우는 그나마 사유지의 농노보다는 나았다. 다만 삶의 질이나 경제적 환경 면에서 사유지 농노와 별로 다를 바가 없었고, 황제가 신하에게 땅을 하사할 경우 그 땅에 소속되어 있던 농노는 자연히 사유지 농노로 계급이 떨어졌다. 농노는 대부분 전근대적인 농민공동체인 미르에 속해 있었는데, 이 미르는 일종의 지방자치제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노동의 분배, 그리고 식량의 확보와 분배와 같은 일들을 도맡아 하였다. 지배계급들은 이 미르를 사용하여 농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도 하였다.

6. 3. 농민

러시아 제국의 농민들은 농노 해방령(1861년) 이후에도 여전히 어려운 삶을 살았다. 농노 신분에서는 벗어났지만,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지주에게 예속된 상태였다.[134][132] 농민들은 가족을 부양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땅을 받았고, 과도한 세금과 부역에 시달렸다.[136]

농노 해방 직후, 농민의 4분의 1은 1인당 1.2ha의 땅을 받았고, 절반은 3.4ha에서 4.6ha 정도의 땅을 받았다. 그러나 한 가족이 정상적으로 생활하기 위해서는 11ha에서 17ha 정도의 땅이 필요했다. 땅이 부족한 농민들은 지주에게 땅을 빌릴 수밖에 없었고, 결국 다시 경제적으로 예속되는 상황에 놓였다.[136]

국가는 농민들에게 정상적인 경우의 185%에서 275%에 달하는 세금을 징수했고, 교회, 지주, 귀족들도 사적인 이익을 위해 농민들을 착취했다. 특별 세금이라는 명목으로 세금을 더 걷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과도한 세금 부담으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고향을 떠나 도시로 향하거나,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일자리를 찾아야 했다.[136]

우크라이나헤르손 지역에서는 1인당 0.36ha의 땅만 분배되었고, 매달 5~10루블의 토지세를 바쳐야 했다. 국가 소속 농민들은 이보다는 사정이 나았지만, 여전히 집단으로 이주하거나 도망치는 경우가 많았다. 유럽 러시아 동남부 지방에서는 상황이 비교적 나았고, 서부 지방에서는 더 많은 토지가 분배되었다. 특히 발트 해 유역에서는 독일계 지주들이 농민들을 예속시키기보다는 돈을 주고 고용하는 방법을 택했기 때문에, 발트 해 유역에서는 4분의 1 정도만이 농민이었고 나머지는 고용 노동자들이었다.[136]

1909년 러시아 농민들의 모습

6. 4. 지주

농민과 지주 모두 농노 해방 이전보다 상황이 나빠졌다. 지주들은 강제 노동력 동원에 익숙해 농노 해방령 이후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가 지주에게 지급한 토지 매입 배상금은 대부분 낭비되었고, 농업 생산력 향상이나 미래 투자는 거의 없었다.[137] 1861년부터 1892년까지 귀족 소유 토지는 30% 감소하여 대부분 저가에 매각되었다. 농민들은 자체 은행을 설립, 토지 구매를 원하는 농민에게 저리로 자금을 빌려주었고 귀족들은 이들에게 토지를 매각했다. 이로 인해 일부 농민은 경제적으로 성장했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비참한 삶을 살았다.[137]

1861년부터 1892년까지 귀족 소유 토지는 로 감소했다. 이후 4년간 가 추가 매각되었고, 1903년 한 해에만 약 이 매각되었다. 반면 1861년 이후, 특히 1882년 농민토지은행(Peasant Land Bank) 설립 이후, 전 농노 또는 그 후손들은 1883년부터 1904년까지 약 를 이전 소유주로부터 매입했다.[137]

강제 노역에 익숙했던 지주들은 새 상황에 적응하지 못했다. 국가로부터 받은 수백만 루블의 해방금은 농업 개선 없이 소비되었다. 숲은 매각되었고, 농민에게 할당된 토지에 고액 지대를 요구한 자들만 번영했다. 소수 부유층의 부는 증가했지만 대다수는 빈곤해졌다. 공동 소유와 토지 점유 원칙에 기반한 미르(mir) 제도는 개인 노력을 장려하지 않았다.[137]

1906년 11월, 니콜라이 2세 황제는 해방 당시 할당된 토지 소유권을 농민에게 부여하고 상환금을 면제하는 임시 명령을 공포했다. 1908년 12월 21일 제3두마에서 통과된 이 조치는 러시아 농촌 경제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13년 전 정부는 미르 소유 토지 재분배 간 최소 12년 기간을 두어 토지 소유 안정성과 영속성을 확보하려 했다. 1906년 11월 명령은 각 농민 소유 토지 구획을 단일 경작지로 합병하도록 규정했지만, 두마는 이를 점진적 실현 이상으로 간주, 실행을 미래로 유보했다.[137]

6. 5. 교육

러시아 제국의 교육 수준은 1800년 당시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았다. 성인 남성 농노의 문해율은 1%에서 12%에 불과했고, 도시 지역에서도 20%에서 25% 정도였다. 귀족(87%), 상인(75% 이상), 노동자, 농부 순으로 문해율이 높았으며, 특히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농노들의 문해율은 유럽 최하위 수준이었다. 남녀 불평등 또한 심각하여 모든 계급에서 여성의 문해율이 남성보다 낮았다. 러시아 정교회는 고등 교육이 신앙심을 약화시킨다고 보아 국민들의 개화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고, 농노들 역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140]

알렉산데르 1세는 1801년 즉위하여 서구의 과학 지식을 도입하고 근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야심을 드러냈으나, 즉위 후 관심사를 개인적인 신앙과 권력 유지로 돌려 대부분의 개혁 조치들이 폐기되거나 미루어졌다. 당시 러시아는 전문 관료의 수가 매우 부족했고, 이들 대부분이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거주했다. 정부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제대로 교육받은 전문 관료가 필수적이었으나, 당시 러시아는 대학 교육을 받은 지식인의 수와 질 모두 서양에 비해 크게 부족했다. 교회와 군대는 독자적인 인재 양성 교육 과정이 있었으나, 교육 범위가 좁고 지식의 양도 한정적이었다.[141]

알렉산데르 1세는 전국적인 기본 교육망을 마련하고 1802년 교육부를 설립하여 전국을 6개의 교육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이 교육을 책임지도록 하였다. 교육부는 각 구역에 1개씩 대학을 세우고, 주요 도시마다 고등교육기관을 세우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1825년에는 러시아 전역에 6개의 대학, 48개의 고등교육기관, 337개의 기본교육기관이 운영되었다. 프랑스 혁명을 피해 러시아로 망명해 온 프랑스 엘리트들을 교사로 채용하였고, 독일식 대학을 본받아 카잔, 하르코프, 상트페테르부르크, 도르파트, 빌니우스, 모스크바에 대학들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의 혜택은 황족과 귀족에게 한정되었고, 대부분의 기회는 엘리트층에게만 돌아갔으며 평민들은 낮은 문해율을 유지하였다. 대학들은 여성을 받지 않았고, 귀족들은 국가 주도의 학교보다는 가정교사를 선호하였다.[142]

니콜라이 1세는 교육에 회의적이었고 서방에서 들어오는 사상과 과학 지식을 싫어했다. 교육부 장관 세르게이 유바로프는 대학에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고 장비를 확충하며 신입생 수를 늘리는 등 급진적인 개혁을 실시하였으나, 1848년 이후 이 개혁 정책들은 모두 철회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대학 교육에 집중하고 중등 교육과 초등 교육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쏟지 않았다. 1900년경 러시아에는 17,000여 명의 대학생들과 30,000명 정도가 기술 교육 과정을 밟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육 기관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했고, 그 외의 언어 사용은 대체로 금지되었다.[143]

7. 사법 제도

알렉산드르 2세는 1864년 11월 20일 법령을 통해 러시아 제국의 사법 제도를 개혁했다.[179] 이 개혁은 영국과 프랑스 법을 일부 참고하여, 사법부와 행정부의 분리, 판사와 법원의 독립, 공개 재판 및 구두 변론, 그리고 법 앞의 평등이라는 원칙을 확립했다.[179] 또한 배심원 제도를 도입하고 판사를 선거로 선출하여 민주적인 요소를 더했다.[179]

그러나 이러한 사법 제도 개혁은 사법 행정을 행정부에서 분리시켰기 때문에 관료제의 반발을 샀다.[179] 알렉산드르 2세의 통치 말기와 알렉산드르 3세 통치 기간 동안 사법부에 부여된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고, 1905년 혁명 이후 제3 두마에 의해 완전히 폐지되었다.[179]

1864년 법률에 따라 설립된 사법 제도는 두 개의 독립적인 법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법정은 자체 항소 법원을 가지고 상원에서만 만났다. 상원은 상소 법원의 역할을 했다. 영국식 모델을 기반으로 한 첫 번째 법정은 민사 또는 형사상의 소규모 사건을 담당하는, 선출된 평화의 사법 법원이었다. 프랑스식 모델을 기반으로 한 두 번째 법정은 중요한 사건을 심리하기 위해 배심원 유무에 관계없이 재판하는, 임명된 판사로 구성된 일반 법원이었다.[179]

8. 종교

1856년 알렉산드르 2세의 즉위식 당시 모스크바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 입장하는 알렉산드르 2세의 행렬을 그린 현대 회화


1897년 러시아 제국의 최대 언어-민족 집단별 하위 구분 지도


러시아 제국의 국교정교회였다.[94] 황제는 "정교회 이외의 다른 신앙을 고백할 수 없었으며"(1906년 기본법 제62조) "우세한 신앙의 교리의 최고 수호자이자 수호자"로 간주되었다(제64조). 그는 모든 고위 성직자 임명을 결정하고 취소했지만, 교리나 교회 가르침에 대한 문제는 결정하지 않았다. 러시아 정교회의 주요 교회 당국은 최고성소회의였으며, 성소회의의 민간 검찰관은 교회 문제에 대한 넓은 사실상 권한을 가진 장관회의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러시아 정교회의 교회 지도자는 세 명의 총대주교(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키예프)와 열네 명의 대주교, 50명의 주교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수도승(독신) 성직자 출신이었다. 교구 사제는 임명될 때 결혼해야 했지만, 과부가 된 경우에는 재혼할 수 없었으며, 이 규칙은 오늘날에도 계속 적용된다. 정교회 이외의 모든 종교는 제국 내에서 공식적으로 포교가 금지되었다.[95]

8. 1. 종교 정책

러시아 제국의 국교정교회였다.[94] 황제는 "정교회 이외의 다른 신앙을 고백할 수 없었으며"(1906년 기본법 제62조), "우세한 신앙의 교리의 최고 수호자이자 수호자이며, 신앙의 순수성과 성전 내의 모든 질서를 유지하는 자"로 간주되었다(제64조). 황제는 모든 고위 성직자 임명을 결정하고 취소했지만, 교리나 교회 가르침에 대한 질문은 결정하지 않았다. 러시아 정교회(구 카르틀리-카헤티 왕국을 포함한 제국 전역에 관할권을 행사)의 주요 교회 당국은 최고 성소회의였으며, 성소회의의 민간 검찰관은 교회 문제에 대한 넓은 사실상 권한을 가진 장관회의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예카테리나 2세의 영향을 받았지만 19세기에 확립된 정책에서 차르 러시아는 점점 더 "종교화"를 보이며 제국의 신앙을 상하에서 재편하려고 했다.[95] 이것은 "종교 국가"라고도 불린다.[96] 차르 정부는 이슬람, 불교, 프로테스탄트 신앙 내에서 "정교회"를 정돈하려고 했다. 이는 성직자 회의(이슬람교, 유대교, 루터교의 경우)를 만들고, 교구를 금지하고 선포하며(로마 가톨릭교회의 경우), 교리적 분쟁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95] 국가가 전 영토에 걸쳐 세속 관료제를 제공할 자원이 부족했을 때, 신앙의 지도하에 이루어진 '개혁'은 사회 통제의 요소를 제공했다.[95][96]

1905년, 니콜라이 2세 황제는 비정교 종교에 대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종교 관용 칙령을 발표했다.[122]

1897년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1905년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제국 내 각 종교 종파의 신자 수는 아래 표와 같다.

종교신자 수
정교회87,123,604
이슬람교13,906,972
로마 가톨릭11,467,994
유대교5,215,805
루터파3,572,653
구교파와 여러 종파[276]2,204,596
아르메니아 사도교회1,179,241
불교라마교433,863
기타 비기독교285,321
칼뱅파85,400
메노나이트66,564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38,840
침례교38,139
카라이파12,894
성공회4,183
기타 기독교 종파3,952


8. 1. 1. 반유대주의

예카테리나 2세폴란드 분할 과정에서 폴란드 동부를 합병한 이후, 유대인들은 정착지라 불리는 차르 러시아 내 특정 지역에만 거주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이동이나 상업 활동 등의 여러 권리가 박탈되었다.[98] 특히 엄격했던 니콜라이 1세는 유대인들의 강제 동화를 추구했으며,[99] 1827년부터는 동부 지역 군사 시설에 유대인 어린이들을 칸토니스트로 강제 징집하여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다.[100] 또한 부유함에 따라 유대인들을 "유용한" 계층과 "유용하지 않은" 계층으로 분류하려 했으며,[99] 정착지 내에서 종교적, 상업적 권리를 더욱 제한했다.[98][101] 알렉산드르 2세는 이러한 가혹한 대우를 중단하고 관료적인 유형의 동화 정책을 추진했는데,[99] 예를 들어 유대인으로 남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이전 군 복무에 대한 보상을 칸토니스트들에게 지급했다.[98] 하지만 특정 군 계급은 여전히 기독교인에게만 제한되었다.[99] 반대로 알렉산드르 3세는 유대인 정착과 재산 소유권을 더욱 제한하고, 이용 가능한 직업의 종류를 제한하는 5월 법령(May Laws)을 포함하여 탄압 분위기를 재개했으며,[98][102] 1886년 키예프와 1891년 모스크바에서 유대인들을 추방했다.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유대인 인구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들은 주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에 집중 거주했다. 1897년 인구 조사 결과 521만 명에 달했다.[342] 예카테리나 2세는 "지드"(жид)라는 경멸적인 호칭 대신 "에브레이"(еврей, 히브리인)라고 부르며 유대인들에게 권리와 자유를 보장했지만, 도시 행정에서 배제하고 1791년에는 이동을 제한했다.[343] 1835년에는 거주지 제도가 확립되어 유대인들은 지정된 거주 지역에 거주해야 했다.[344] 일부 유대인들은 귀족이 되거나 기업, 예술 분야에서 활동했지만, 국정 참여는 허용되지 않았다.[345]

알렉산드르 2세의 대개혁 당시에는 유대인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었지만, 1881년 황제 암살 사건의 범인 중 유대인 여성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에서 유대인들을 공격하는 포그롬이 발생했다.[346] 러시아 정부는 이를 묵인했고, "유대인=착취자"라는 주장이 퍼지면서 학살이 조장되었다. 사건 이후 유대인 임시 조례가 제정되어 농촌 이주와 부동산 취득이 금지되었다.[347] 19세기 말에는 중등 및 고등 교육 기관의 유대인 수에 제한이 가해졌고, 젬스트보(지방 자치 기관)에서도 배제되었다.[348]

1903년부터 1906년까지 다시 대규모 포그롬이 발생했고, 베사라비아에서의 유대인 공격을 계기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서부로 확산되었다.[349] 여기에는 극우 단체뿐만 아니라 경찰과 군대까지 개입했다. 이러한 박해로 인해 150만 명의 유대인이 러시아를 떠나 북미와 서유럽으로 이주했고, 이는 시오니즘 운동으로 이어졌다.[350] 많은 유대인들이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351] 레프 카메네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레프 트로츠키와 같은 볼셰비키 지도자들도 있었다.

8. 1. 2. 무슬림 박해

러시아 제국에서 이슬람교는 "보호받았지만 불안정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103] 초기 러시아 제국에서는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산발적인 강제 개종이 요구되었다. 18세기, 예카테리나 2세는 이슬람교에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 이슬람교도들이 종교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관용 칙령을 발표했다.[107] 예카테리나 2세는 또한 국가 내 이슬람 관행 조직에 대한 제국적 관할권을 어느 정도 행사하는 오렌부르크 이슬람 종교 회의를 설립했다.[104] 러시아 제국이 확장됨에 따라, 차르 정부 관리들은 이미 존재하는 이슬람 종교 기관들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여겼다.[105][104]



19세기, 러시아-튀르크 전쟁 중 제한적인 정책은 훨씬 더 억압적으로 변했고, 러시아 제국은 1860년대 체르케스족 학살과 같은 박해를 자행했다.[107][108] 체르케스 정복 이후, 약 100만~150만 명의 체르케스인, 즉 전체 인구의 거의 절반이 사망하거나 강제 추방되었다.[109] 박해를 피해 도망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다른 국가로 가는 도중에 사망했다. 오늘날, 대다수의 체르케스인들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 살고 있다.[110] 19세기 후반 내내, 체르케스 난민들의 빈번한 출현으로 인해 "체르케스인"이라는 용어는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도적"을 뜻하는 일반적인 속담이 되었다.[111]

크림 타타르족과 같은 많은 이슬람 집단은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하도록 강요당했다.[112]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에서 이슬람의 지위는 러시아 정교회를 요구하는 차르 정권의 이념적 원칙인 공식 민족성과 연관되게 되었다.[105]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렌부르크 회의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는 이슬람 기관이 운영될 수 있었지만, 더 낮은 지위를 부여받았다.[104]

볼가-우랄 지역의 타타르인바시키르인, 그리고 아제르바이잔인을 포함한 코카서스 여러 민족의 일부와 중앙아시아 여러 민족은 무슬림(이슬람교도)이었다. 이 중 키르기스인은 토속 샤머니즘을 이슬람 신앙과 함께 믿었다.

1830년 무슬림 종무 협의회에 의해 건설된 우파의 모스크(Ufa Mosque)


16세기 중반 이반 4세(재위 1533년-1584년)의 카잔 칸국아스트라한 칸국 병합 이후, 러시아는 무슬림 사회를 포함하게 되었다. 이반 4세는 정복지에 카잔 대주교좌를 설치하고 강제 개종을 시도했으나, 곧 철회했다.[324] 정교로 개종한 타타르인은 소수였으며, 그들은 크럅센이라고 불렸다.[325] 표트르 1세는 타타르인 사제를 양성하기 위해 신학교를 설립했으나 실패했다.[326]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신규 개종자 처리국이 설치되어 크럅센 감독과 무슬림에 대한 억압이 행해졌고, 카잔에서는 536개의 모스크 중 418개가 파괴되었다.[327]

예카테리나 2세(재위 1762년-1796년) 시대에 크림 칸국이 병합되면서 많은 크림 타타르족이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왔다. 예카테리나 2세는 종교 관용 정책을 채택하고, 그동안의 억압 정책을 폐지하여 무슬림을 통치 체제에 편입시키는 방침으로 전환했다.[328] 1789년에 오렌부르크 무슬림 종무국이 우파에 설립되었고, 이 행정 조직을 통해 우라마(이슬람 법학자)의 통제와 샤리아(이슬람 법)의 집행, 모스크의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329] 1831년에 크림 지방을 관할하는 우브리다 무슬림 종무 이사회, 1872년에 자카프카스 무슬림 종무 이사회가 각각 개설되었다.[330]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카프카스가 정복되면서 북카프카스의 산악 민족과 자카프카스의 아제르바이잔인 등 무슬림이 러시아의 지배에 편입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인에 대한 개종 시도는 성과 없이 동화 정책에 대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331] 북카프카스의 산악 민족은 장기간에 걸쳐 러시아인의 지배에 저항했다(카프카스 전쟁).

이스마일 가스프린스키 (1872년 촬영)


일찍이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온 볼가 타타르인 상인과 기업가들은 언어와 종교의 동질성을 이용하여 이슬람 국가들과의 무역에 활약하여 재산을 축적하고, 러시아의 무슬림 사회 경제 발전과 이슬람 문화 부흥에 기여했다.[332] 러시아의 우라마 대부분은 중앙아시아에 유학을 갔으며, 부하라 칸국에서 중심적이었던 수피즘이 러시아에서도 성행했다.[333]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중앙아시아 찬양에 비판적인 우투즈 이마니와 법원을 주체적으로 해석하는 이즈티하드를 주장하는 아부 나스르 압둔나시르 쿨사비에 의한 이슬람 개혁 운동이 생겨났다.[334] 이와는 반대로, 부유한 타타르 상인을 중심으로 무슬림 지식인 계층도 형성되었고, 러시아식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그들은 음주를 포함한 러시아 문화를 수용하여 엄격한 수피즘 교단과 우라마의 개혁 운동과는 거리가 있었다.[335]

19세기 후반이 되면서 카프카스 전쟁의 격화와 함께 정부의 무슬림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어 아랍 문자, 터키어 출판물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졌다.[336] 이 시기에 시하브웃딘 메르자니, 무하마드 알리 알 추크리, 카이움 나시리가 러시아 문화 수용을 주장하고, 우라마의 개혁 운동과 무슬림 지식인을 연결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337] 그리고 이스마일 가스프린스키가 마드라사의 전통 교육에 대체되는 현대적인 신방식 학교 설립과 공통 튀르크어 사용 운동을 일으켰고, 이것이 19세기 말부터 20세기의 무슬림 사회의 근대화를 목표로 한 자디드 운동으로 이어졌다.[338]

1860년대부터 1880년대에 걸쳐 중앙아시아가 러시아의 영토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의 무슬림도 러시아 제국의 신민이 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그들을 이노로드츠(''Инородцы|이노로드츠ru'')로 규정하고, 무슬림 사회의 풍속 관습에 기본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정책을 채택했다.[339]

1905년 혁명이 일어나면서 무슬림의 정치 운동도 활발해지고, 러시아 무슬림 대회가 개최되어 러시아 무슬림 연맹이 발족했다.[340] 러시아 무슬림 연맹은 입헌민주당과 공동 보조를 맞추어 두마(국회)에 의원단을 파견했다.[341]

8. 1. 3. 동방 정교회 외 기독교 종파 정책

러시아 제국의 국교는 정교회였다.[94] 황제는 "정교회 이외의 다른 신앙을 고백할 수 없었으며"(1906년 기본법 제62조), "우세한 신앙의 교리의 최고 수호자이자 수호자"로 간주되었다(제64조). 황제는 모든 고위 성직자 임명을 결정하고 취소했지만, 교리나 교회 가르침에 대한 문제는 결정하지 않았다. 러시아 정교회의 주요 교회 당국은 최고 성소회의였으며, 성소회의의 민간 검찰관은 교회 문제에 대한 넓은 사실상 권한을 가진 장관회의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정교회가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기독교 종파가 존재했다.[113] 루터교는 볼가 독일인의 정착과 발트 독일 귀족의 존재로 인해 상대적으로 관용을 받았다.[114]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에는 예수회 탄압이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러시아 제국 내에서 예수회가 살아남았고 이 "러시아 예수회"는 서구에서 예수회를 재건하는 데 역할을 했다.[115]

전반적으로,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회는 엄격하게 통제되었지만, 이 시기는 가톨릭교에 대한 상대적 관용의 시대였던 것으로 간주된다.[95][116] 가톨릭교도들은 폴란드 민족주의의 요소로 러시아 제국에 의해 불신받았으며, 이러한 인식은 특히 1월 봉기 이후에 더욱 심해졌다.[117] 이후 러시아화 정책이 강화되었고,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과 같은 정교회 교회가 폴란드 의회 왕국 전역에 건설되었지만, 강제 개종 시도는 없었다.

차르의 종교 정책은 동방 가톨릭 신자와 이단자들과 같은 정교회 반대파를 처벌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95] 구교도는 위험한 요소로 간주되어 심하게 박해받았다.[118][119] 영적 기독교도와 몰로칸과 같은 여러 소수 종파는 트란스카우카시아와 중앙아시아로 내륙 망명을 당했고, 일부는 아메리카로 이민을 갔다.[120] 두호보르는 주로 캐나다에 정착했다.[121]

1905년, 니콜라이 2세 황제는 비정교 종교에 대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종교 관용 칙령을 발표했다.[122]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출현까지 이전에 박해받았던 구교도들에게 "구교의 황금기"를 가져왔다.[119]

9. 문화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러시아 고유의 문화와 서구 문화가 융합된 독자적인 문화가 발달했다. 그중 많은 것들이 오늘날에도 러시아 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친숙하게 여겨지고 있다.

러시아 제국의 궁정에서는 교양 언어로 프랑스어가 사용되었지만, 동시에 러시아어로 된 문학 활동도 활발해졌다. 표트르 1세(대제)는 키릴 문자 개혁에 착수하여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친 후, 1710년 1월 "새로운 알파벳"을 제정했다.[352] 전통적인 키릴 문자의 사용은 교회 관련에 국한되었고, 이후 모든 기회를 통해 "시민적인 자체"가 보급되었다.

러시아 근대 문학의 시초로 여겨지는 인물은 알렉산드르 푸시킨이다. 『루슬란과 류드밀라』, 『바흐치사라이의 분수』, 표트르 대제를 그린 『동상의 기사』 등 낭만주의적인 시를 쓰고, 소설로는 『스페이드의 여왕』과 푸가초프의 난을 소재로 한 『대위의 딸』을 남겼다. 그는 수도에서 추방되어 키시너우를 거쳐 오데사에서 살았지만, 황제 니콜라이 1세가 그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소환하여 "데카브리스트의 난 때 황궁에 있었다면 어떻게 했을까"라고 묻자, "반란에 가담했을 것이다"라고 답한 일화로 유명하다.[353] 푸슈킨은 유배에서 풀려났지만, 『대위의 딸』에서는 푸가초프를 호의적으로 묘사했고, 또한 『푸가초프 반란사』를 집필했다. 그는 아름다운 아내 나탈리아를 둘러싼 프랑스 망명 귀족 조르주 단테스와의 결투로 1837년에 사망할 때까지 수많은 고전 명작을 남기고, 문어로서의 러시아어 완성에 기여했다.[354] 푸슈킨은 그 때문에 종종 "러시아 국민 문학의 아버지"라고 평가된다.

전제 권력과의 긴장 관계를 통해 문학이 그 힘을 얻어가면서, 푸슈킨이 개척한 길에서는 수많은 시인과 작가들이 나타났다. 낭만주의적 경향이 강한 푸슈킨에 비해 사실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니콜라이 고골이었다. 도스토옙스키는 『가난한 사람들』, 『죄와 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등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 감옥과 옴스크 감옥에 수감되었던 도스토옙스키는 검열과 싸우면서 잇달아 걸작을 발표했다. 고골은 『코』, 『검찰관』, 『죽은 영혼』 등의 작품을 남겼다.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의 시조라고 불리는 고골의 작품은 그 환상성과 세부 묘사의 과장, 그리고 그로테스크한 묘사 등에서 20세기 문학에 준 영향도 크다. 이반 투르게네프 또한 리얼리즘에 입각한 문학가로, 러시아 농노제가 지닌 모순과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많은 작품에서 그렸다.[355] 특히 1852년의 『사냥꾼의 수기』는 황태자 알렉산드르(후의 알렉산드르 2세)로 하여금 농노 해방령을 결심하게 한 작품이라고 일컬어지며, 일본에서는 니와테이 시메이의 번역 『아히비키』로도 알려져 있다.

자연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레프 톨스토이는 크림 전쟁에서 장교로 종군했고, 이때의 경험이 후일의 비폭력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진다.『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등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독자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번 연극화 및 영화화되어 왔다. 톨스토이는 1901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파문되었지만, 작가로서의 명성은 쇠퇴하지 않았고, 독자들의 지지는 변함없었다. 1909년에서 1910년에 걸쳐서는 인도의 간디(마하트마 간디)와 서신을 교환했으며, 일본의 문필가로는 도쿠토미 소호와 도쿠토미 로카 등과 만났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기법을 시작한 막심 고리키는 방랑자나 부랑자 등 사회의 최하층에서 사는 사람들의 인간으로서의 긍지를 주제로 하는 많은 작품을 남겼다.[356] 고리키의 작품으로는 희곡 『바닥』이 유명하며, 일본어로도 번역되어 메이지·다이쇼 시대에 걸쳐 일본 문학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진다.[357] 레오니드 안드레예프도 일본 문학에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이며, 『7인의 사형수 이야기』는 번역되어 그 영향은 나쓰메 소세키와 시가 나가야의 작품에도 미쳤다. 러시아에서는 비교적 무명인 미하일 아르치바셰프도 다이쇼 시대의 일본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희곡에서는 자연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안톤 체홉이 유명하며, 『벚꽃 동산』, 『갈매기』, 『바냐 아저씨』, 『세 자매』 등의 작품을 남겼다.[358] 체홉은 1890년에는 사할린의 유형수의 생활을 조사하기 위해 시베리아를 경유하여 현지에 들어가, 카드를 이용하여 철저히 조사하여, 르포 작품 『사할린 섬』을 저술했다.

러시아의 모나리자라고 불리는 「알 수 없는 여인」。이동파 거장 이반 크람스코이 작품.


러시아에서는 중세를 통틀어 이콘이 그려졌고, 왕공귀족의 초상화나 초상조각조차 제작이 금기시되어 왔으나, 서구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온 표트르 대제 시대부터 세속 회화가 번성하기 시작했다.[359] 또한, 현재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소장품에서 볼 수 있듯이 역대 황제와 귀족들은 서구 미술품 수집에 힘썼다.

예카테리나 2세 통치하에서는 프랑스의 계몽사상가 드니 디드로의 소개로 러시아에 초청되어, 여제의 명으로 표트르 대제 기마상(「청동의 기사」상)을 제작했다. 18세기 러시아 미술은 전반적으로 프랑스의 영향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미술의 중심지로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제국예술아카데미가 설립된 것은 1757년이며, 모스크바에 미술·조각·건축 전문학교가 설립된 것은 1832년이었다.[360] 1860년대 알렉산드르 1세의 「대개혁」 시대에는 러시아 각지에서 다양한 계층의 미술 청년들이 제국 아카데미에 모였지만, 이탈리아를 최고의 예술 대상으로 여기는 아카데미의 교수법·예술관과의 갈등이 발생하여, 이반 크람스코이를 비롯한 14명의 미술 학생들이 작품 출품을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주제로 하도록 요구했고,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함께 퇴학하겠다는 시위 행동을 일으켜 결국 13명이 퇴학했다(「14인의 반란」). 크람스코이는 미술가들의 동업자 단체 의 사무실과 아틀리에를 페테르부르크 교외의 바실리예프스키섬에 마련하고 창작 활동에 힘썼다.

크람스코이를 중심으로 하는 일단에서 러시아의 역사와 민중의 삶을 사실주의적인 기법으로 표현하고, 사회 악을 고발하며, 각지에서 이동 전시회를 여는 화가 그룹이 등장했다. 그것이 이동파이다. 이동 전시회의 제안은 모스크바에서 「미술가 조합」에 참가한 에 의해 이루어졌다. 크람스코이도 이에 동의하여 1870년, 「이동미술전람회협회」가 설립되었다.

알렉세이 사브라소프 「까마귀의 귀환」


이동파에 의한 이동 전시회는 1871년부터 1923년까지 48회 열렸다. 개최지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뿐만 아니라 키예프, 하리코프, 카잔, 오룔, 리가, 오데사 등 여러 도시에 이른다. 제1회 전시회에는 니콜라이 게, 미아소예도프, 크람스코이, 일라리온 프랴니시니코프, 알렉세이 사브라소프 등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또한, 제2회 전시회에는 크람스코이의 대표작 「황야의 예수 그리스도」가 출품되었다. 민중의 구제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은 「브 나로드(인민에게)」라는 운동의 사조에도 부합했다.

이동파의 동인들은 리얼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가로서, 그 활동이 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민중의 가난뿐 아니라 아름다움을, 고통뿐 아니라 인내와 강인함을 그린 작품은 큰 공감을 얻었다.

이동파 화가 중에서 빠질 수 없는 예술가로 일리야 레핀이 있다. 우크라이나하리코프주에서 태어난 레핀은 페테르부르크 미술학교에서 크람스코이에게 재능을 발견되어 격려를 받았고, 또한 「민족 예술의 창조」라는 크람스코이의 사상에도 공감하여 미술가 조합에도 참가했다. 1873년에는 아카데미의 급여생으로 유럽에 유학하여 프랑스 인상파의 영향도 받았지만,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볼가의 뗏목꾼」「쿨스크 주의 십자가 행진」「농사짓는 톨스토이」「이반 뇌제와 황자 이반」「터키의 술탄에게 편지를 쓰는 자포로제 코사크」 등 사회적인 대작과 역사화, 풍속화 등을 발표했다.

이동파의 중심이 된 크람스코이, 레핀, 게, 수리코프 등을 지원하고 작품을 계속 구입한 것이 모스크바에 거주하는 거상 파벨 트레차코프와 그의 형 세르게이 트레차코프였다. 형의 컬렉션을 상속받은 파벨은 나중에 미술관을 열고 컬렉션을 포함하여 모스크바시에 기증했다. 이것이 현재의 트레차코프 미술관이다.

같은 무렵, 모스크바의 아브람체보에 있는 실업가 사바 마몬토프의 저택에서는 「러시아의 메디치」라고도 불린 마몬토프의 보호 아래, 러시아의 전통적인 민족 문화를 보호하고 복원하려는 미술가 집단 「미술가 연맹」이 결성되었다. 일리야 레핀도 이에 참여하여 바스네초프 형제, 미하일 네스테로프, 빅토르 하르트만 등이 활동했다. 이 그룹은 도자기나 공예품 등 이후의 조형 예술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세기말에 걸친 러시아 미술은 격동하는 사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러시아 인상파를 대표하는 것이 콘스탄틴 코로빈이며,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것이 미하일 브루벨이다. 1899년, 알렉산드르 베누아, 레옹 바크스트, 세르게이 디아길레프 3인에 의해 페테르부르크에서 창간된 미술 잡지 「예술세계」는 이동파 비판을 전개하고, 아르누보의 장식 미술과 무대 미술을 창출했다.「예술세계파」라고 불리는 아티스트에는 콘스탄틴 소모프, 발렌틴 세로프,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이반 빌리빈, 이고리 그라바리, 세르게이 수데이킨, 니콜라이 레리히 등이 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세계적으로는 파블로 피카소앙리 마티스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추상 예술이 탄생했지만, 러시아에서도 바실리 칸딘스키가 나타나, 종종 추상 회화의 선구자라고 불린다. 칸딘스키는 1912년에 미술 이론서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관하여』를 간행하고, 1914년에는 연작 『구성』을 발표했다.[361]

제정 시대, 러시아 음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서구 음악 기법을 수용하면서도 전통적인 음악 요소를 살려 독자적인 위치를 확립했다.

러시아 음악은 16세기 중반에 유명한 성가 작곡가들을 배출했고, 독특한 기보법을 사용하여 성가집을 편찬했으며, 독자적인 다성법을 사용하는 등 러시아 고유의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모스크바 총대주교 니콘의 개혁을 통해 기존 전통이 뒤집히고,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에서 서구적인 음악도 유입되면서 제정 러시아 초기에 이르러서는 단순한 삼화음 음악이 널리 퍼져 있었다.[362]

미하일 글린카


표트르 1세는 직접 유럽 음악을 수입했고, 이후 역대 황제들은 파리 등에서 음악가와 무용수들을 초청하여 로마노프 왕조의 궁정에 발레오페라를 도입했다. 특히 계몽 전제군주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는 발다사레 갈루피, 톰마조 트라에타, 조반니 파이지엘로, 주세페 사르티, 도메니코 치마로자 등 유명한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들이 잇달아 궁정 악장으로 초청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오래 머물면서 러시아인 음악가들을 양성했다. 러시아 음악가들 중에는 이탈리아 유학을 명받는 사람들도 있었고, 우크라이나 출신인 막심 베레조프스키는 1771년 볼로냐의 볼로냐 필하모닉 아카데미 정회원으로 인정받았다. 음악의 거장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같은 아카데미 회원이 된 다음 해였고, 베레조프스키에게 주어진 시험 과제는 모차르트에게 주어진 것과 같았다고 한다. 또한 이탈리아에서 연마를 쌓고 러시아에서 오랫동안 궁정 악장을 지낸 인물로 드미트리 보르트냔스키가 있다. 이탈리아 시절 그는 현지 오페라 극장에서 실제로 상연되는 오페라를 여러 편 작곡할 정도로 이탈리아 오페라에 정통했다.

19세기, 러시아는 음악 문화 면에서도 국제적인 수준의 작품을 탄생시키게 되는데, 그 최대 공로자가 미하일 글린카이다.[363] 글린카는 무치오 클레멘티와 함께 페테르부르크에 온 아일랜드인 존 필드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정규 음악 교육은 받지 않았지만 바이올린, 성악, 지휘, 작곡 등을 두루 배우고 이탈리아에서도 공부하여 오페라 작곡가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그러나 서구 음악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러시아 음악가로서의 자각이 높아지고, 러시아적인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소망이 커졌기 때문에, 베를린에서 음악 이론가로 알려진 지크프리트 데인에게 사사하여 음악 이론을 완성한 후 귀국했다. 흔히 “러시아 근대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글린카는 애국적인 오페라 「황제에게 바친 생명」에 이어 민화를 소재로 한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 그리고 관현악곡 「카마린스카야」 등을 작곡했다. 「루슬란과 류드밀라」에서는 러시아 민요뿐만 아니라 러시아 제국 내에 다수 거주하는 무슬림 여러 민족의 음악을 도입하여 러시아 음악에서 하나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오리엔탈리즘의 기초를 마련했다.

명문 귀족의 아들로 성장한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시스키는 처음에는 살롱 음악 분야에서 유명했지만, 귀국한 글린카와 만나 그의 영향 아래서 러시아어 억양을 음악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루살카」, 「돌 손님」 등의 오페라에 그 성과를 반영했다. 다르고미시스키는 음악사적으로 흔히 글린카와 “러시아 5인조”의 가교 역할을 한 인물로 여겨진다.

유대계 상인의 가정에서 태어난 안톤 루빈슈타인과 니콜라이 루빈슈타인 형제는 필드의 제자인 빌란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유럽에서 데뷔하여 러시아 피아니스트로서 처음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안톤은 “피아노의 마술사” 프란츠 리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거장으로 여겨졌다. 반면 동생 니콜라이는 차이콥스키의 절친으로도 유명하다. 라이벌이기도 했던 두 사람은 1859년부터 1860년에 걸쳐 궁정의 지원을 받아 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에 각각 러시아 음악 협회를 설립하고, 그 부속 시설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1862년, 모스크바 음악원을 1866년에 설립했다. 페테르부르크는 안톤, 모스크바는 니콜라이가 주도했고, 이를 통해 두 수도에 정기적인 연주 활동이 자리 잡고 음악의 직업 교육이 확립되었다.

수학을 전공했던 카잔 대학교를 중퇴한 후 페테르부르크에서 글린카를 만나 음악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는 밀리 발라키레프는 예술 비평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와 친분을 맺고, 1856년 군사 기술 아카데미에 근무하는 귀족 음악 애호가 체자르 퀴이를 만나 적극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364] 발라키레프는 1857년 젊은 육군 장교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를 제자로 받아들이고, 1861년 해군 장교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를, 1862년에는 의학 아카데미의 화학자 알렉산드르 보로딘을 맞아들여 스타소프의 이론적 지원을 얻어 그들을 지도하며, 루빈슈타인 형제가 주도하는 관제 러시아 음악 협회에 맞섰다. 페테르부르크에서 결성된 이 음악가 집단을 발라키레프를 포함하여 “러시아 5인조” 또는 “러시아 국민 악파”라고 부른다. 그들은 자신들을 “신러시아 악파”라고 칭하며 반서구, 반전문주의, 반아카데미즘을 표방했다. 1862년 발라키레프와 퀴이를 중심으로 시작된 무료 음악학교는 수도 시민들을 널리 모아 아마추어 음악 교육을 보급했다. 무료 음악학교 운동은 재정적 기반이 부족하여 경제적으로 빈번히 위기에 처했지만,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까지 전 러시아에서 활동을 계속했다. 그들 5인은 또한 발라키레프를 제외하고 모두 음악 이외에 확실한 직업을 가지고 있어 음악가로서는 일종의 아마추어였으며, 모두 대귀족 출신이었다. 러시아 5인조의 작품으로는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과 피아노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보로딘의 오페라 「이고르 왕자」,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곡 「셰헤라자데」 등이 특히 유명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첫 졸업생이 된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졸업과 동시에 모스크바의 니콜라이 루빈슈타인에게 초청되어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가 되었다. 러시아가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인 차이콥스키의 음악은 초기에는 민족주의적 경향이 짙었지만, 그를 특징짓는 것은 오히려 주관적인 서정성이며, 수많은 관현악곡 외에도 「잠자는 숲 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과 「백조의 호수」 등의 발레 음악으로 유명하다. 차이콥스키는 흔히 러시아 5인조와 대비되는데, “5인조”가 모두 대귀족 출신으로 음악으로 생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음악을 오히려 신성한 예술로 생각한 반면, 차이콥스키는 재산이 없는 관료 출신의 일대 귀족의 아들이었고, 상인 출신의 루빈슈타인 형제와 마찬가지로 음악의 길로 들어섰다면 그것으로 생계를 유지해야만 했다. 그런 의미에서 차이콥스키는 음악적으로 직업주의를 표방해야 했고, 음악에 대한 태도도 또한 장인적이었다.

안톤 루빈슈타인이 페테르부르크를 떠나 유럽과 미국에서 화려한 연주 활동을 시작한 것은 1867년이었다. 러시아 5인조에서는 러시아 음악 협회의 음악 감독을 계승한 발라키레프가 궁정과의 관계가 잘되지 않아 1871년에는 음악 협회를 떠나 봉급 생활자가 되었다. 또한 음악원에서 작곡을 담당한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정규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한동안 음악 이론 습득에 전념해야 했다. 반면 1870년대에 원숙기 단계에 들어선 차이콥스키는 80년대에는 세계적인 음악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작곡 활동이 원숙기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1880년대 후반을 기다려야 했고, 그때까지는 차이콥스키의 작곡 활동이 눈에 띄었다. 1893년 차이콥스키의 사망 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활약이 두드러지게 되고, 말년에는 해마다 걸작 오페라를 발표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모스크바에서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그리고 페테르부르크에서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등장했다. 또한 세기말에는 비길 데 없는 명성을 가진 가수이자 “노래하는 배우”라는 별명을 가진 표도르 샤랴핀이 나타났다.[365]

19세기 후반은 러시아 전통 음악에서도 혁신이 이루어진 시대였고, “발랄라이카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바실리 안드레예프발랄라이카 개량에 평생을 바쳤고, 거기에 돔라와 구슬리의 두 현악기를 더하여 1896년 최초의 러시아 민족 악기 오케스트라를 결성했다. 러시아 민요도 잘 부르던 가수 샤랴핀은 안드레예프와 친분이 있었고, 발랄라이카에 대한 조예도 깊었다.

프랑스의 궁정 문화로 발전해 온 발레는 프랑스에서는 대중화와 함께 저속화되어 쇠퇴했지만, 러시아에서는 프랑스 궁정 발레가 전해져 귀족들의 교양으로서의 사교댄스 장려와 역대 황제의 무용 후원을 받아 발전했다.

1738년, 프랑스인 장-바티스트 란데의 주창 아래 여제 안나 이바노브나에 의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러시아 최초의 발레학교가 설립되었다. 그것이 제국 연극 무용학교(현재의 러시아 국립 와가노바 발레 아카데미)이다.[366] 이후, 러시아의 발레리노/발레리나들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F. 힐페르딩이나 이탈리아인 G. 칸치아니 등 외국인 교사들의 지도 아래 발레를 배웠다.

1783년, 예카테리나 2세의 칙령에 따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볼쇼이 카멘니 극장이 오페라·발레 전용 극장으로 건설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1859년마린스키 극장이 건설되었고, 볼쇼이 카멘니 극장이 노후화로 인해 철거된 후 제국 극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연극 무용학교에서 육성된 발레리노/발레리나들을 중심으로 제정 러시아의 클래식 발레를 주도했다(마린스키 발레). 한편 모스크바에서도 18세기 중반에는 이미 귀족들의 저택에서 연극과 무용이 이루어졌고, 전용 극장으로서 도 설치되어, 이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국 극장의 관리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것이 현재의 볼쇼이 극장이며, 그 기원은 177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위 "볼쇼이 발레"는 1773년에 시작된 모스크바의 고아원 아동에 대한 발레 교육을 기원으로 하며, 제국 극장이 된 볼쇼이 극장이 1825년에 현재 위치에 세워져 개장함과 동시에 그 부속 발레단으로서 발전했다.

1801년, 저명한 프랑스인 안무가이자 무용수이기도 했던 샤를르 디드로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하여 볼쇼이 카멘니 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제국 무용학교의 지도를 이어받았다.[367] 디드로는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로 일시 귀국하지만, 그 후 20년 이상 사망할 때까지 러시아에 머물면서 무용수들의 수준을 격상시켰다. 또한, 안무 재능을 러시아 땅에서 꽃피워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학파"라고 불리는 드라마틱한 발레 스타일의 기초를 닦았다. 디드로가 키운 발레리나로 가 있으며, 명화로 불렸다.

1847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한 프랑스인 발레 마스터 마리우스 프티파는 19세기 후반을 "프티파의 시대"라고 부를 만한 한 시대를 건설했다. 프티파는 마린스키 극장에서 약 60년 동안 차이콥스키,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체사레 푸니, 레옹 민쿠스 등 많은 뛰어난 음악가들의 협력을 얻어 『파키타』, 『지젤』, 『돈키호테』, 『바야데르카』, 『잠자는 숲속의 미녀』,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라임온다』 등 46편에 달하는 발레 작품과 많은 오페라를 위한 무용을 창작했다. 이 시대는 또한 차이콥스키가 음악을 담당함으로써, 종래에는 무용의 반주에 불과했던 발레 음악의 질을 비약적으로 높인 시대이기도 했다.

프티파의 연출 중에서도 1890년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1895년의 『백조의 호수』 1막·3막은 특히 걸작으로 여겨지지만, 프티파의 조수로 『백조의 호수』 2막을 담당한 레프 이바노프의 시정 넘치는 안무는 오늘날에도 종종 완벽한 연출이라고 평가된다.

1898년에는

참조

[1] 웹사이트 St. Petersburg through the Ages https://forumspb.com[...] 2022-08-06
[2] 웹사이트 18th Century in the Russian History https://rusmania.com[...]
[3] 서적 Orthodox Christianity in Imperial Russia: A Source Book on Lived Relig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4] 학술지 The concept of the first Duma: Russia 1905–1906 1994-12-01
[5] 웹사이트 Chapter One On the Essence of Supreme Sovereign Power Article 7. http://www.imperialh[...]
[6] 학술지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1997-09
[7] 웹사이트 The Price of Expansion: The Nationality Problem in Russia of the Eighteenth-Early Twentieth Centuries https://src-h.slav.h[...] 2024-07-20
[8]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European Countries in the 19th Century https://dmorgan.web.[...] 2024-07-20
[9] 웹사이트 Population of Russia and the USSR, 1913 to 1928 https://www.research[...] 2024-07-20
[10] 웹사이트 The Great Game, 1856–1907: Russo-British Relations in Central and East Asia Reviews in History https://reviews.hist[...] 2021-10-08
[11] 웹사이트 Russian Empire https://www.britanni[...] 2022-08-14
[12] 서적 Trotsky and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3]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https://books.google[...] Indiana UP 2008
[14] 서적 Decades of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6] 서적 A History of Russia Volume 1: To 1917 Anthem Press 2003
[17] 문서 1974
[18] 웹사이트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http://demoscope.ru/[...] 2021-03-26
[19] 백과사전 Peter I https://bigenc.ru/do[...] 2017
[20] 백과사전 Romania to Saint-Jean-de-Luz https://bigenc.ru/mi[...] 2015
[21] 서적 Politics and Culture in Eighteenth-Century Russia: Collected Essays by Isabel de Madariag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17
[22] 웹사이트 Прошение сенаторов к царю Петру I о принятии им титула "Отца Отечества, императора Всероссийского, Петра Великого" http://www.school.ed[...] 2018-07-09
[23] 서적 Politics and Culture in Eighteenth-Century Russ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4] 학술지 ТИТУЛ "ИМПЕРАТОР" И ПОНЯТИЕ "ИМПЕРИЯ" В РОССИИ В ПЕРВОЙ ЧЕТВЕРТИ XVIII ВЕКА http://www.historia.[...] 1999
[25] 논문 Петр I в Отечественной Историографии: Конца XVIII – Начала XX ВВ http://www.dissercat[...] 2006
[26] 서적 Theological Reflection in Eighteenth-Century Russ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
[27] 논문 Промышленно-торговая политика Петра 1 https://economy-lib.[...] 2004
[28] 논문 Formation of the system of Russian education during the reforms of Peter I http://www.dissercat[...] 2001
[29] 논문 Внешняя торговля и финансово-экономическая политика Петра I http://www.dissercat[...] 1999
[30] 서적 The Revolution of Peter the Gre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31] 웹사이트 BOUNDARIES ii. With Russia https://iranicaonlin[...] 2021-10-15
[32] 서적 The Three Empresses: Catherine I, Anne and Elizabeth of Russia 1972
[33] 서적 Russia in the Age of Catherine the Great Yale University Press 1981
[34] 서적 Autocratic politics in a national crisis: the Imperial Russian government and Pugachev's revolt, 1773–1775 1969
[35] 서적 Catherine the Great: Portrait of a Woman Random House 2011
[36] 논문 Legal Basis of Control and Prevention of Crimes by Subaltern Officers in Russian Empire Publishing house Sreda 2021-10-29
[37] 서적 The Real and Live Ethnographic Map of Russia: The Russian Empire in The Mirror of The State Duma http://dx.doi.org/10[...] BRILL 2024-05-22
[38] 웹사이트 Catherine II. Novodel Sestroretsk Rouble 1771 http://coins.ha.com/[...] Heritage Auctions 2015-09-01
[39] 서적 A History of Russia 1984
[40] 서적 Napoleon in Russia Simon and Schuster 1967
[41] 서적 Alexander I of Russia: the man who defeated Napoleon 1970
[42] 논문 The economic development of Russia 1954
[43] 서적 Nicholas I, Emperor and Autocrat of All the Russias 1978
[44] 서적 The first Russian revolution, 1825: the Decembrist movement, its origins,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1961
[45] 서적 The last years of the Georgian monarchy, 1658–1832 1957
[46] 논문 The January Uprising of 1863 in Poland: Sources of Disaffection and the Arenas of Revolt 1985
[47] 서적 Tsarist and Communist Russia 1855–196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2022-03-11
[48]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49]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Simon and Schuster 2006
[50] 서적 A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From 150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1] 서적 The abolition of serfdom in Russia 1762–1907 Longman 2001
[52] 서적 Rus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Autocracy, Reform, and Social Change, 1814–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1-21
[53] 논문 Russian Opinion on the Cession of Alaska https://doi.org/10.2[...] 1943-04-01
[54] 서적 The Holy Place: Architecture, Ideology, and History in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3-01-21
[54] 서적 Russia: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3-01-21
[55] 논문 Why the United States Purchased Alaska https://doi.org/10.2[...] 1934-03-01
[56] 서적 The Fires of Patriotism: Alaskans in the Days of the First World War 1910–192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ska Press 2017
[57] 논문 The Plans for Russian Expansion in the New World and the North Pacific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journals.ope[...] 2022-02-02
[58] 서적 Alexander III of Russia https://archive.org/[...] 1895
[58] 웹사이트
[58] 서적 Pobedonostsev: His Life and Thought Indiana University Press 1968
[59] 서적 Russian foreign policy, 1815–1917
[60] 서적 Soviet Russia and Tibet: the debacle of secret diplomacy, 1918-1930s https://books.google[...] Brill 2023-03-22
[61] 웹사이트 Port Arthur Revisited https://www.historyt[...] 2002-01-01
[62] 서적 St. Petersburg and Moscow: Tsarist and Soviet Foreign Policy, 1814–1974 1974
[63] 서적 The Revolution of 1905: A Short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3-19
[63] 서적 First blood: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Macmillan 1964
[64] 서적 Nicholas II: the life and reign of Russia's last monarch 1997
[65] 서적 The Decline of Imperial Russia, 1855–1914 1952
[66] 논문 An Alternative to Bolshevism: The Program of Russian Social Revolutionism 1953
[67] 논문 The Bolshevik-Menshevik split November 16th, 1903 2003
[68] 서적 China's Quest: The History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1-10
[69] 서적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23-01-10
[70] 서적 The Third Republic in France, 1870–1940: Conflicts and Continu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1-10
[71] 서적 Arming the Sultan: German Arms Trade and Personal Diplomacy in the Ottoman Empire Before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1-10
[72] 서적 The Origins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2-30
[73] 서적 Equality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22-12-30
[74] 서적 Power in Uncertain Times: Strategy in the Fog of Peac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12-30
[75] 서적 Germany at War: 400 Years of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1-05
[76] 서적 Tannenberg 1914: Destruction of the Russian Second Arm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2-12-30
[77]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12-30
[78] 서적 World War O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2-30
[79] 서적 Russian Revolution of 1917: The Essential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12-30
[80] 서적 500 Great Military Lead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12-30
[81] 서적 Patriotic Culture in Russia During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12-30
[82] 서적 A Companion to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2-12-30
[83] 서적 To kill Rasputin: the life and death of Grigori Rasputin 2011
[84] 서적 The Routledge Atlas of Russian History Routledge 2007
[85] 서적 Diplomacy Simon & Schuster Paperbacks 1994
[86] 학술지 Revisiting Russian Conservatism 2009
[87] 서적 Romantics, Reformers, Reactionaries: Russian Conservative Thought and Politics in the Reign of Alexander I 1997
[88] 서적 Revolution and Real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Books 2018
[89]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 premodern identit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0] 웹사이트 Fundamental Laws of the Russian Empire http://www.imperialh[...]
[91] 서적 The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1-16
[92] 간행물 Building a Railway, Creating Imperial Space: 'Locality,' 'Region,' 'Russia,' 'Empire' as Political Arguments in Post-Reform Russia 2006
[93] 간행물 Russian railway penetration of Central Asia 1992-06
[94] 문서 Article 62 of the 1906 Fundamental Laws
[95] 서적 The Russian Empire 1450–1801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17
[96] 서적 Jews and Muslims in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Union https://www.worldcat[...] Vandenhoeck & Ruprecht 2021-10-17
[97] 뉴스 1791: Catherine the Great Tells Jews Where They Can Live https://www.haaretz.[...] 2021-10-17
[98] 웹사이트 The Pale of Settlement https://www.jewishvi[...] 2021-10-15
[99] 웹사이트 Russia Virtual Jewish History Tour https://www.jewishvi[...] 2022-02-02
[100] 웹사이트 Cantonists https://www.jewishvi[...] 2022-02-02
[101] 웹사이트 Nicholas https://www.jewishvi[...] 2022-02-02
[102] 뉴스 This Day in Jewish History May Laws Punish Russia's Jews https://www.haaretz.[...] 2021-10-15
[103] 학술지 Russian Roads to Mecca: Religious Tolerance and Muslim Pilgrimage in the Russian Empire https://www.jstor.or[...] 2021-10-15
[104] 서적 Muslim Religious Institutions in Imperial Russia: The Islamic World of Novouzensk District and the Kazakh Inner Horde, 1780–1910 Brill 2021
[105] 서적 For prophet and tsar : Islam and empire in Russi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03-19
[106]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
[107] 서적 The Muslim question and Russian imperial governanc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3-03-19
[108]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
[109] 혼합
[110] 혼합
[111] 서적 A History of the Caucasus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1-25
[112] 학술지 Hijra and Forced Migration from Nineteenth-Century Russia to the Ottoman Empire. A Critical Analysis of the Great Crimean Tatar Emigration of 1860–1861 2000
[113] 학술지 The Tsar's Foreign Faiths: Toleration and the Fate of Religious Freedom in Imperial Russia by Paul W. Werth https://doi.org/10.1[...] 2021-10-15
[114] 학술지 Lutherans in Russia since 1990 https://doi.org/10.1[...] 2021-10-15
[115] 학술지 How the Jesuits Survived Their Suppression: The Society of Jesus in the Russian Empire (1773–1814), written by Mark Inglot, S.J. https://brill.com/vi[...] 2021-10-17
[116] 학술지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Its Legal Position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Russia in 1917 https://www.jstor.or[...] 2021-10-17
[117] 학술지 "Religion, Nationality, or Politics: Catholicism in the Russian Empire, 1863–1905" 2011-01-01
[118] 학술지 Russian Old Believers: genetic consequences of their persecution and exile, as shown by mitochondrial DNA evidence https://pubmed.ncbi.[...] 2021-10-15
[119] 뉴스 Perspective {{!}} Russian Orthodox Old Believers: Keeping their faith and fighting fires in the West Siberian Plain https://www.washingt[...] 2021-10-15
[120] 학술지 Religion and Migration: The Molokan Experience https://www.jstor.or[...] 2021-10-17
[121] 웹사이트 Canada's little-known Russian sect https://www.bbc.com/[...] 2021-10-17
[122] 웹사이트 On This Day: Nicholas II Signs Decree for "Tolerance Development" https://www.themosco[...] 2021-10-15
[123] 혼합
[124] 서적 The Last Tsar: The Life and Death of Nicholas II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22-04-27
[125] 웹사이트 http://www.archipela[...] archipelag.ru
[126]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russian history
[127] 서적 The Russian Officer Corps of the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Wars, 1795-1815 Savas Beatie
[128] 학술지 Reform in the Russian Army, 1856-1861 1984
[129]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06–1921 Conway Maritime Press
[130] 혼합
[131] 서적 Russia's age of serfdom 1649–1861 2008
[132] 서적 Lord and Peasant in Russia from the Ni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1961
[133] 서적 Serfdom and social control in Russia: Petrovskoe, a village in Tambov 1989
[134] 서적 The Russian Peasantry 1600–1930: The World the Peasants Made 1999
[135] 서적 The Peasantry https://books.google[...] Indiana UP 2019-07-05
[136] 혼합
[137] 서적 Peasant Russia: family and community in the post-emancipation period 1991
[138] 서적 News under Russia's Old Regime: The Development of a Mass-Circulation Press 1991
[139] 학술지 Passage to Europe: Dostoevskii in the St. Petersburg Arcade 2003
[140]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Literacy in Russia and the USSR from the T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1991
[141] 논문 Enlightenment and religion in Russian education in the reign of Tsar Alexander I 1992
[142] 서적 Russian Identities: A Historical Survey 2005
[143] 논문 Reaction Reconsidered: Education and the State in Russia, 1825–1848 2000
[144] 서적 Russia in the Age of Modernisation and Revolution 1881 – 1917 1983
[145] 서적 Language and power in the lat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7
[146] 문서 독일인이 소수민족이었던 다민족 국가
[147] 서적 [제목 없음]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48] 문서 1897년 슬라브 인구 통계
[149] 간행물 岩波ロシア語辞典 増訂版 岩波書店 1970-11-20
[150] 간행물 ロシア語ミニ辞典 白水社 2008-02-10
[151] 웹사이트 Царь http://www.gramota.r[...]
[152] 웹사이트 Император http://www.gramota.r[...]
[153] 웹사이트 Царская власть в XVII веке: титулование и положение https://web.archive.[...] 2010-02-23
[154] 문서 표트르 2세의 모스크바 환도
[155] 문서 田中他(1994)
[156]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5-20
[157]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158] 웹사이트 樺太-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3-08
[159] 문서 田中他(1994)
[160] 문서 田中他(1994)
[161] 서적 北槎聞略・大黒屋光太夫ロシア漂流記 岩波書店 1993
[162] 문서 田中他(1994), 岩間他(1979)
[163] 문서 土肥(2009), 岩間他(1979)
[164] 문서 鈴木他(1999)
[165] 서적 ニコライ[1世] 1989
[166] 웹사이트 ニコライ(1世)-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04-09
[167] 서적 米欧回覧実記 岩波書店 1996
[168] 웹사이트 農奴解放令-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01-23
[169] 웹사이트 ロシア史 - 改革と反動 -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04-09
[170] 문서 鈴木他(1999)
[171] 문서 栗生沢(2010)
[172] 웹사이트 ツァーリ-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12-31
[173] 문서 露国事情(1899)
[174] 문서 露国事情(1899)
[175] 문서 田中他(1994)
[176] 웹사이트 Royal Russia - Russian Fundamental Laws of 1906 http://www.angelfire[...] 2012-03-09
[177] 문서 土肥(2009)
[178] 문서 田中他(1994)
[179] 문서 露国事情(1899)
[180] 문서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181] 웹사이트 Fundamental Laws of the Russian Empire http://www.angelfire[...]
[182] 문서 田中他(1994)
[183]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184] 문서 岩間他(1979)
[185] 문서 岩間他(1979)
[186] 웹사이트 ドゥーマ-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19
[187] 문서 岩間他(1979)
[188] 문서 松田(1990), 岩間他(1979)
[189] 문서 田中他(1994)
[190] 문서 田中他(1997), 岩間他(1979)
[191] 문서 露国事情(1899)
[192] 문서 露国事情(1899)
[193] 문서 露国事情(1899)
[194] 문서 田中他(1994)
[195] 문서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196] 문서 露国事情(1899)
[197] 문서 露国事情(1899)
[198] 문서 田中他(1994)
[199] 문서 岩間他(1979)
[200] 문서 田中他(1994), 露国事情(1899)
[201] 문서 露国事情(1899)
[20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203] 문서 田中他(1994)
[204] 문서 田中他(1994), 岩間他(1979)
[205] 문서 岩間他(1979)
[206] 문서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07] 문서 田中他(1994), 岩間他(1979)
[208] 문서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09]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210] 문서 岩間他(1979)
[211] 서적 田中他(1994)
[212] 서적 土肥(2007)
[213] 서적 田中他(1994), 岩間他(1979)
[21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215] 웹사이트 ミール-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11
[216]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17] 서적 和田他(2002), 田中他(1994)
[218] 서적 岩間他(1979)
[219]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20] 웹사이트 ゼムストボ-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11
[221] 서적 田中他(1994)
[222] 서적 田中他(1994)
[223] 서적 田中他(1994)
[224] 서적 田中他(1994)
[225] 서적 土肥他(2009b)
[226] 서적 阿部(1966)
[227] 서적 土肥他(2009b), 田中他(1994)
[228] 서적 岩間他(1979)
[229] 서적 藤沼(1966)
[230]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31] 서적 岩間他(1979)
[232] 서적 和田(1971)
[233] 서적 和田(1971)
[234] 서적 和田(1971)
[235] 서적 栗生沢(2010), 岩間他(1979), 鳥山(1968)
[236] 서적 和田(1971)
[237] 서적 田中他(1994), 岩間他(1979)
[238] 서적 田中他(1994)
[239] 서적 田中他(1994)
[24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3-31
[241] 서적 コナフトン(1989)
[242] 서적 コナフトン(1989)
[243] 서적 コナフトン(1989)
[244] 서적 コナフトン(1989)
[245] 서적 コナフトン(1989)
[246] 서적 Livesey(1994)
[247] 서적 瀬戸(2011)
[247] 서적 Livesey(1994)
[248] 서적 瀬戸(2011)
[249] 서적 岩間他(1979)
[250] 서적 Watts(1990)
[251] 서적 Watts(1990)
[252] 서적 田中(2009)
[253] 서적 Watts(1990)
[254] 서적 Watts(1990)
[255] 서적 Watts(1990)
[256] 서적 Watts(1990)
[257] 서적 Watts(1990)
[258] 서적 Conway(1979)
[259] 서적 Watts(1990)
[259] 서적 Conway(1979)
[260] 서적 Watts(1990)
[261] 서적 Watts(1990)
[262] 서적 オレンダー(2010)
[263] 서적 Conway(1979)
[264] 서적 Gardiner(1985)
[265] 서적 パイロンズオフィス(1998)
[266] 서적 Gardiner(1985)
[267] 서적 Gardiner(1985)
[268] 서적 ポルトフ(2010)
[268] 서적 Gardiner(1985)
[269] 서적 飯山(2003)
[270] 서적 飯山(2003)
[271] 서적 飯山(2003)
[272] 서적 飯山(2003)
[273] 서적 飯山(2003)
[274] 서적 飯山(2003)
[275] 서적 飯山(2003)
[276] 서적 田中他(1994)
[277]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78] 서적 廣岡(1993)
[279] 서적 廣岡(1993)
[280] 서적 土肥(2007)
[280] 서적 廣岡(1993)
[281] 서적 廣岡(1993)
[282] 서적 和田他(2002)
[283] 서적 廣岡(1993)
[284] 서적 廣岡(1993)
[285]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86] 서적 濱本(2011)
[287] 서적 濱本(2011)
[288] 서적 濱本(2011)
[289] 서적 高田(2012), 濱本(2011)
[290]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291]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2005)
[292] 서적 高田(2012)
[293] 서적 高橋(1980)
[294] 서적 岩間他(1979)
[295] 서적 岩間他(1979)
[296]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13-"Russia" https://archive.org/[...] New York, The Encyclopedia Press 2012-03-11
[297] 웹사이트 20世紀のロシア正教会 チーホンからアレクシー2世へ(1) http://src-h.slav.ho[...]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012-03-17
[298] 서적 廣岡(1993)
[299] 웹사이트 ロシア正教会-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3-12
[30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23
[301]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13-"Russia" https://archive.org/[...] New York, The Encyclopedia Press 2012-03-10
[302] 서적 土肥(2007), 廣岡(1993)
[303] 문서 分離派(ラスコーリニキ)
[304] 서적 岩間他(1979)
[305] 서적 田中他(1994)
[306]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07] 서적 岩間他(1979)
[308] 서적 岩間他(1979),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09] 서적 岩間他(1979)
[310]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2005)
[311] 서적 服部(2004)
[312] 서적 ルコフスキ&ザヴァツキ(2007)
[313] 서적 ルコフスキ&ザヴァツキ(2007)
[314] 서적 ルコフスキ&ザヴァツキ(2007)
[315]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13-"Russia" https://archive.org/[...] New York, The Encyclopedia Press 2012-03-25
[316] 서적 岩間他(1979)
[317]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318] 서적 中島(2009) and 岩間他(1979)
[319] 서적 中島(2009)
[320]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
[321]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
[322] 논문 ロシアの性愛論 (7) : 去勢派 https://doi.org/10.1[...] 九州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院
[323]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
[324] 서적 濱本(2011)
[325]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326] 서적 山内(1996)
[327] 서적 濱本(2011)
[328] 서적 濱本(2011) and 山内(1996)
[329] 서적 濱本(2011)
[330]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331] 서적 山内(1996)
[332] 서적 濱本(2011)
[333] 서적 濱本(2011)
[334] 서적 濱本(2011)
[335] 서적 濱本(2011)
[336] 서적 濱本(2011)
[337] 서적 濱本(2011)
[338] 서적 濱本(2011) and 山内(1996)
[339] 서적 山内(1996)
[340] 서적 小松他(2000) and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341]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342]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
[343] 서적 田中他(1994)
[344] 서적 田中他(1994)
[345] 서적 和田他(2002)
[346] 서적 伊東他(1998) and 岩間他(1979)
[347] 서적 岩間他(1979) and 田中他(1994)
[348] 서적 岩間他(1979)
[349]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
[350] 서적 和田他(2002) and 田中他(1994)
[351] 서적 田中他(1994)
[352] 서적 土肥(2009)
[353] 서적 和田他(2002)
[354] 서적 ロマノフ王朝
[355] 서적 ロマノフ王朝
[356] 서적 中山(1990)
[357] 서적 下斗米&島田(2002)
[358] 서적 ロマノフ王朝
[359] 서적 富田(1996)
[360] 서적 土肥(2009)
[361] 서적 中村(1991)
[362] 서적 森田(1996)
[363] 서적 土肥(2009)
[364] 서적 森田(1996)
[365] 서적 ペレサダ(2002)
[366] 웹사이트 ロシア国立ワガノワ・バレエ・アカデミーの歴史 http://vaganova.jp/h[...]
[367] 서적 村山(1996)
[368] 서적 田之倉(1991)
[369] 서적 村山(1996)
[370] 서적 和田他(2002)
[371]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72] 서적 土肥(2007)
[373] 웹사이트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13-"Russia" https://archive.org/[...] New York, The Encyclopedia Press 2012-03-10
[374] 문서 ロシア初の国勢調査による数値
[375]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76] 서적 田中他(1994)
[377]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78] 서적 岩間他(1979)
[379]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80]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81] 서적 岩間他(1979)
[382] 서적 岩間他(1979)
[383]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84] 웹사이트 フランス語[国際語としてのフランス語]-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24
[385] 서적 第5回 ロシア人と外国語――欧米文化に復帰するロシア人 http://www.tmu.co.jp[...] TMU CONSULTING 2012-02-24
[386] 書籍 田中他(1994)
[387] 書籍 田中他(1994)
[388] 書籍 和田他(2002)
[389] 書籍 和田他(2002)
[390] 書籍 和田他(2002), 田中他(1994)
[391] 書籍 和田他(2002), 岩間他(1979)
[392] 웹사이트 エカチェリーナ(2世)-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21
[393] 書籍 和田他(2002),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94] 書籍 土肥(2007)
[395] 書籍 田中他(1994),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396] 書籍 田中他(1994)
[397] 書籍 田中他(1994)
[398] 書籍 田中他(1994)
[399] 書籍 土肥(2007), 和田他(2002), 田中他(1994)
[400] 書籍 土肥(2007)
[401] 書籍 和田他(2002)
[402]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03] 書籍 田中他(1994)
[404] 書籍 田中他(1994)
[405]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06]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07] 書籍 田中他(1994)
[408]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09] 書籍 和田他(2002)
[410] 書籍 和田他(2002)
[411] 書籍 田中他(1994)
[412] 書籍 和田他(2002)
[413]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14] 書籍 岩間他(1979)
[415] 웹사이트 -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2-24
[416] 書籍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17] 書籍 岩間他(1979)
[418]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23
[419] 書籍 和田他(2002), 田中他(1994)
[420] 書籍 田中他(1994)
[421] 서적 田中他(1994)
[422] 서적 土肥(2007)
[423]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24]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25] 서적 田中他(1994)
[426] 서적 岩間他(1979)
[427] 서적 田中他(1994)
[428] 서적 和田他(2002)
[429] 서적 鈴木他(1999)
[430] 서적 岩間他(1979)
[431] 서적 和田他(2002);岩間他(1979)
[432] 서적 和田他(2002);田中他(1994)
[433] 서적 和田他(2002);岩間他(1979)
[434] 서적 田中他(1994)
[435] 서적 岩間他(1979)
[436] 서적 和田他(2002);岩間他(1979)
[437] 서적 ロシア・ソ連を知る事典(1989)
[438] 서적 岩間他(1979)
[439] 서적 岩間他(1979)
[440] 서적 岩間他(1979)
[441] 서적 田中他(1994);岩間他(1979)
[442] 서적 田中他(1994);岩間他(1979)
[443] 서적 和田他(2002);岩間他(1979)
[444] 서적 岩間他(1979)
[445] 웹사이트 農奴解放令-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1-01-23
[446] 서적 和田他(2002);田中他(1994);岩間他(1979)
[447] 서적 田中他(1994)
[448] 서적 高田(2012)
[449] 서적 Millar(2004);Slocum(1998)
[450]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2005)
[451] 서적 露国事情(1899)
[452]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2005)
[453]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VOLUME XXIII. "Russia" https://archive.org/[...] 2012-02-12
[454] 웹사이트 Syryenians http://www.1911encyc[...]
[455] 서적 鈴木(2006)
[456] 문서 小松他(2000)
[457] 문서 현대 철자 개정 이후는 "С нами Бог!"
[458] 웹사이트 St. Petersburg through the Ages https://forumspb.com[...] 2022-08-06
[459] 웹사이트 18th Century in the Russian History https://rusmania.com[...] 2022-03-19
[460] 서적 Orthodox Christianity in Imperial Russia: A Source Book on Lived Relig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461] 저널 The concept of the first Duma: Russia 1905–1906 1994-12-01
[462] 웹사이트 Chapter One On the Essence of Supreme Sovereign Power Article 7. http://www.imperialh[...] 2019-06-08
[463] 저널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06-12
[464] 웹사이트 The Price of Expansion: The Nationality Problem in Russia of the Eighteenth-Early Twentieth Centuries https://src-h.slav.h[...] 2024-07-20
[465]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Major European Countries in the 19th Century https://dmorgan.web.[...] 2024-07-20
[466] 웹사이트 Population of Russia and the USSR, 1913 to 1928 https://www.research[...] 2024-07-20
[467] 웹사이트 The Great Game, 1856–1907: Russo-British Relations in Central and East Asia Reviews in History https://reviews.hist[...] 2021-10-08
[468] 웹사이트 Russian Empire https://www.britanni[...] 2022-08-14
[469] 서적 Trotsky and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470]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https://books.google[...] Indiana UP 2008
[471] 서적 Decades of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