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유 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유 소스는 최종 사용자와 권리 소유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방식이다. 최종 사용자는 소스 코드 열람을 통해 보조 시스템 개발, 애플리케이션 안정성 유지, 보안 검토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권리 소유자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보다 더 세밀한 제품 제어가 가능하다. 주요 공유 소스 라이선스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s-PL), 마이크로소프트 리시프로컬 라이선스(Ms-RL) 등이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엔터프라이즈 소스 라이선싱 프로그램(ESLP), 윈도 아카데믹 프로그램 등을 통해 공유 소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러나 "공유 소스"라는 용어는 마케팅 용어라는 비판과 라이선스 과다 문제를 야기한다는 지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로소프트 이니셔티브 - 차세대 보안 컴퓨팅 기반
    차세대 보안 컴퓨팅 기반(NGSCB)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설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아키텍처로, 개인 정보 보호, 보안 강화, 디지털 권리 관리를 목표로 커튼 메모리, 신뢰 플랫폼 모듈(TPM), Nexus 보안 커널을 활용하는 특징을 가지나,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여 윈도우 비스타의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으로 일부 축소 구현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 이니셔티브 - 마이크로소프트 이매진
    마이크로소프트 이매진은 학생들에게 마이크로소프트의 개발 도구,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원래 드림스파크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학생 인증을 통해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 소프트웨어 사용권 -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는 소스 코드 접근, 수정, 재배포의 자유를 보장하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 소프트웨어"와 상업적 이용 가능성에 중점을 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며, 비용 절감, 유연성 등의 장점과 기술 지원 부족, 보안 취약성 등의 단점이 있고, 다양한 이슈를 가진 채 널리 활용된다.
  • 소프트웨어 사용권 - 볼륨 라이선스
    볼륨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 여러 개를 구매할 때 사용되는 경제적인 라이선스 방식으로, 설치 미디어와 시리얼 번호 등을 묶어 관리하며, KMS 방식을 통해 불법 복제를 방지한다.
공유 소스

2. 공유 소스의 이점

공유 소스는 이를 사용하는 최종 사용자와 소스 코드의 권리를 가진 소유자 모두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최종 사용자는 소스 코드에 접근하여 보조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프로그램의 안정성 및 일관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소스 코드 검토가 용이해져 보안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권리 소유자 입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작자의 권리를 상당 부분 포기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비교했을 때 대상 제품에 대한 통제권을 더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독점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로 하던 회사가 완전한 오픈 소스로 전환하기 전 중간 단계로 공유 소스 모델을 활용하기도 한다.

2. 1. 최종 사용자 측면

공유 소스는 다른 독점 라이선스에 비해 최종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주요 장점 중 하나는 보조 시스템 개발을 위해 소스 코드를 직접 열람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 소스 코드를 참조하여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안정성이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보안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는데, 소스 코드의 검토와 감사를 장려하여 잠재적인 취약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 2. 권리 소유자 측면

공유 소스는 권리 소유자에게도 이익을 가져다준다. 일반적으로 저작자의 권리를 포기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비하여, 대상 제품에 대해 더 조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독점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로 하는 회사의 관점에서 보면, 전환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완전한 오픈 소스로의 중간 단계로 쓰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는 이러한 특징을 보여주는 예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는 개인 및 조직이 참조(예: 보완 시스템 개발 시), 보안 관점에서의 검토 및 감사(대부분 대기업 및 정부에서 요구), 개발(학술 기관, OEM, 개인 개발자)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스 코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프레임워크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반 사용을 위해 5개의 라이선스를 공개했다. 그중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S-PL)와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MS-RL)는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에 의해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승인되었으며,[3][4]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 의해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간주된다.[5] 다른 공유 소스 라이선스는 독점 라이선스이며, 따라서 저작권 소유자가 제품 사용에 대한 더 강력한 제어를 유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는 RISC OS Open Ltd.와 같은 다른 회사에서 모방되었다.[6] 마이크로소프트는 또한 공유 소스 공용 언어 인프라(Shared Source CLI) 라이선스[7]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임베디드 CE 6.0 공유 소스 라이선스와 같은 특정 제품에 대한 특정 라이선스를 사용한다.[8]

3. 주요 공유 소스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는 개인 및 조직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스 코드에 접근하여 참조(예: 보완 시스템 개발 시), 보안 검토 및 감사(주로 대기업 및 정부 요구), 개발(학술 기관, OEM, 개인 개발자 등)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공유 소스 프레임워크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여러 라이선스를 제공하며, 크게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제한된 라이선스로 나눌 수 있다. 주요 라이선스는 다음과 같다.


  •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 (Ms-PL)[28]: 가장 제약이 적은 라이선스로,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퍼미시브 라이선스'(Microsoft Permissive Licenseeng)로 불렸다.
  • 마이크로소프트 커뮤니티 라이선스 (Ms-CL): 협업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였으며,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Ms-R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라이선스 (Ms-RL)[29]: 소스 코드의 참조만 허용되는 가장 제한적인 라이선스였으며,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소스 라이선스(Ms-RSL)로 불린다.


이 중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s-PL)와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Ms-RL)는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에 의해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승인받았으며,[3][4]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역시 이들을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한다.[5] 반면, 다른 공유 소스 라이선스들은 독점적인 성격을 가지며, 이는 저작권 소유자인 마이크로소프트가 해당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해 더 강력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는 RISC OS Open Ltd.와 같은 다른 회사에서도 유사한 모델을 채택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6]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특정 제품에 대해 별도의 라이선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공유 소스 CLI 라이선스[7]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임베디드 CE 6.0 공유 소스 라이선스[8] 등이 있다.

3. 1. 오픈 소스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이 오픈 소스 라이선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한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3][4][5]

  •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 (Microsoft Public License|Ms-PL영어): 가장 제약이 적은 라이선스로, 원래는 '마이크로소프트 퍼미시브 라이선스'(Microsoft Permissive License영어)로 불렸다.
  •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 (Microsoft Reciprocal License|Ms-RL영어): 협업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로, 원래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 커뮤니티 라이선스'(Microsoft Community License영어, Ms-CL)였으나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의 승인 과정에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3. 1. 1.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 (Ms-PL)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Microsoft Public License, Ms-PL)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 가장 제약이 적은 라이선스이다.[28] 원래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 퍼미시브 라이선스'(Microsoft Permissive License)였으나,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의 승인을 받기 위한 검토 과정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0] 2007년 10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Ms-RL)와 함께 OSI로부터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공식 승인받았으며,[3][4][11]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역시 이를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한다.[5]

Ms-PL은 상업적 또는 비상업적 목적 여부에 관계없이, 컴파일된 코드의 배포를 허용한다. 다만, 배포 시에는 Ms-PL 라이선스를 준수해야 한다.[9] 소스 코드 자체를 재배포할 경우에는 반드시 Ms-PL 라이선스 하에서만 가능하다.[9]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 따르면 Ms-PL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해당하지만, GNU GPL과는 호환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5] 또한, Ms-PL이 적용된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배포할 때 동일한 Ms-PL 라이선스를 사용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카피레프트적인 성격을 가진 라이선스로 분류되기도 한다.[12]

3. 1. 2.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 (Ms-RL)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Microsoft Reciprocal License영어, Ms-RL)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 라이선스 중 하나이다.[29] 과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커뮤니티 라이선스(Microsoft Community License영어, Ms-CL)라고 불렸으나,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의 승인 과정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 라이선스는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에 의해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승인되었으며,[3][4]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 의해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간주된다.[5]

Ms-RL은 수정된 소스 파일을 포함하고 Ms-RL 라이선스를 유지하는 한, 파생된 코드의 배포를 허용한다.[13][26] 또한, Ms-RL 하에 원래 라이선스가 부여되지 않은 배포 파일은 저작권자의 선택에 따라 라이선스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는 CDDL, EPL 또는 LGPL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OSI 승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2005년 12월 9일, John Cowan이 OSI에 승인을 위해 제출했으나,[14] 마이크로소프트는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15]
  • 2007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힐프는 Ms-PL과 함께 Ms-RL을 OSI에 정식으로 승인 요청했다고 발표했다.[16]
  • 2007년 10월 12일, Ms-PL과 함께 OSI의 승인을 받았다.[11]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Ms-RL을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하지만, GNU GPL과는 호환되지 않는다고 평가한다.[5]

3. 2. 제한된 라이선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 일부는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이 제시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제한적인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5][18] 이러한 라이선스들은 대체로 소스 사용 가능 소프트웨어로 분류되며, 특정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등)에서의 사용을 강제하거나[17][19] 소스 코드의 참조 외 수정이나 배포를 금지하는[20][21] 등 독점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제한은 저작권 소유자인 마이크로소프트가 해당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해 더 강력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표적인 예로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퍼블릭 라이선스(Ms-LPL),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상호 라이선스(Ms-LRL), 그리고 과거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라이선스(Ms-RL)로 불렸던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소스 라이선스(Ms-RSL) 등이 있다.[29] 이들 라이선스는 OSI와 FSF 양측 모두로부터 오픈 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받지 못했다.[5][18] 각 라이선스의 구체적인 조건과 제약 사항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2. 1.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퍼블릭 라이선스 (Ms-LPL)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퍼블릭 라이선스(Ms-LPL)는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릭 라이선스의 한 버전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만 권리가 부여된다.[17] 이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 사용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로 제한하는데, 이러한 플랫폼 제한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가 기술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OSI의 규정을 위반하므로 OSI는 Ms-LPL을 오픈 소스로 인정하지 않는다.[18] 또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역시 이러한 제약 때문에 Ms-LPL을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5]

3. 2. 2.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상호 라이선스 (Ms-LRL)

마이크로소프트 제한된 상호 라이선스(Ms-LRL)는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의 한 버전이다.[19] 이 라이선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랫폼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만 권한이 부여된다는 주요 제한 사항을 가지고 있다.[19]

Ms-LPL과 마찬가지로, Ms-LRL은 라이선스가 적용된 소프트웨어가 반드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포함하고 있어 기술 중립적이지 않다.[18] 이러한 제한 때문에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는 Ms-LRL을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인정하지 않으며,[18]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역시 동일한 이유로 이를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간주하지 않는다.[5]

3. 2. 3. 마이크로소프트 참조 소스 라이선스 (Ms-RSL)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소스 라이선스(Microsoft Reference Source License|Ms-RSLeng)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 가장 제한적인 종류이다.[29][20] 이 라이선스에 따라 제공되는 소스 코드는 주로 디버깅 시 마이크로소프트 클래스 소스 코드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참조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20] 개발자는 이 코드를 상업적 또는 비상업적 용도를 불문하고 배포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21]

이 라이선스는 과거에 마이크로소프트 레퍼런스 라이선스(Microsoft Reference Licenseeng)로 불렸으며 'Ms-RL'이라는 약칭으로 사용되었다.[29] 하지만 현재 'Ms-RL' 약칭은 마이크로소프트 상호 라이선스를 의미한다.[13]

Ms-RSL은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가 정의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해당하지 않으며,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도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는 소스 사용 가능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분류된다.

4. 주요 공유 소스 프로그램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공유 소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엔터프라이즈 소스 라이선싱 프로그램 (ESLP): 기업 고객이나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윈도우 소스 코드 일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의 라이선스는 소스 코드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등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에서도 제한적인 조건을 가진다.
  • 윈도 아카데믹 프로그램: 전 세계 대학에서 수업 및 연구 목적으로 윈도우 커널의 소스 코드와 관련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4. 1. 엔터프라이즈 소스 라이선싱 프로그램 (ESLP)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업 고객이나 행정기관이 윈도우의 소스 코드 일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엔터프라이즈 소스 라이선싱 프로그램(ESLP)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라이선스는 공유 소스 라이선스 중에서도 가장 엄격하고 복잡한 편에 속하며, 소스 코드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는다.

4. 2. 윈도 아카데믹 프로그램

윈도 커널의 소스 코드와 기술을 전 세계 대학에서 수업 및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1][2]

4. 3. 공유 소스 공용 언어 기반 (Shared Source CLI)

널리 배포된 최초의 공유 소스 프로그램은 공유 소스 공용 언어 기반(Shared Source Common Language Infrastructure, SSCLI)이다. 이는 공통 언어 기반(Common Language Infrastructure, CLI)을 공유 소스 라이선스로 구현한 것이다. 이 라이선스는 소스 코드의 비상업적인 변경과 재배포를 허용하지만, 이때 원래의 라이선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라이선스를 반드시 적용해야 한다는 조건이 따른다.

공유 소스 공용 언어 기반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이 제창하는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니며,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가 제창하는 오픈 소스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4. 4. Windows Installer XML (WiX)

WiX는 윈도우에서 설치 패키지를 XML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툴셋이다. SourceForge.net에서 릴리즈된 최초의 공유 소스 소프트웨어이며, Common Public License (CPL)가 적용되었다.

4. 5. ASP.NET AJAX Control Toolkit

이는 웹사이트의 조작성을 쉽게 향상시키기 위한 Ajax 기술을 사용한 툴킷이다. 이는 Microsoft Public License (Ms-PL)가 적용되었으며, 한때는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커뮤니티인 CodePlex에서 관리되었지만, 이후 DevExpress로 이관되어[24], GitHub상에서 수정된 BSD 라이선스 하에 유지보수되고 있다.[25]

5. 비판

FSFOSI는 두 개의 특정 공유 소스 라이선스를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 OSI 회장인 마이클 티먼(Michael Tiemann)은 "공유 소스"라는 용어 자체가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마케팅 용어라고 비판한다. 그는 이 용어가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고 비슷한 약속을 제시함으로써 오픈 소스 메시지를 방해하고 희석시키는 반란 용어"라고 주장했다.[22]

또한, 공유 소스 이니셔티브는 라이선스 과다 문제를 심화시킨다는 지적도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Microsoft announces expansion of Shared Source Initiative http://www.geekzone.[...]
[2] 웹사이트 Microsoft Shared Source Initiative https://cyber.harvar[...] 2018-08-24
[3] 웹사이트 Microsoft Public License (MS-PL) – Open Source Initiative http://opensource.or[...]
[4] 웹사이트 Microsoft Reciprocal License (MS-RL) – Open Source Initiative http://opensource.or[...]
[5]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8-07-23
[6] 웹사이트 RISC OS Open: Welcome http://www.riscosope[...]
[7] 웹사이트 Shared Source Common Language Infrastructure License http://msdn.microsof[...]
[8] 웹사이트 Windows Embedded http://msdn2.microso[...]
[9] 웹사이트 Microsoft Public License (Ms-PL) http://www.microsoft[...]
[10] 웹사이트 Microsoft gets the open-source licensing nod from the OSI https://www.zdnet.co[...] 2015-05-22
[11] 웹사이트 OSI Approves Microsoft License Submissions http://opensource.or[...] 2013-08-08
[12] 웹사이트 Microsoft Public License (MS-PL) {{!}} Open Source Initiative https://opensource.o[...] 2020-08-28
[13] 웹사이트 Microsoft Reciprocal License (Ms-RL) http://www.microsoft[...]
[14] 웹사이트 For Approval: Microsoft Community License http://www.crynwr.co[...] license-discuss mailing list 2005-12-09
[15] 뉴스 Blogger Can't Tempt Microsoft To Drink OSI Kool-Aid http://www.eweek.com[...] eWeek 2006-08-22
[16] 뉴스 Microsoft to Submit Shared Source Licenses to OSI http://radar.oreilly[...] O'Reilly Radar 2007-07-26
[17] 웹사이트 Microsoft Limited Public License (Ms-LPL) http://www.microsoft[...]
[18] 웹사이트 The Open Source Definition http://www.opensourc[...] Open Source Initiative
[19] 웹사이트 Microsoft Limited Reciprocal License (Ms-LRL) http://www.microsoft[...]
[20] 웹사이트 Microsoft Reference Source License http://referencesour[...] Microsoft 2016-07-06
[21] 웹사이트 Microsoft Reference Source License http://referencesour[...]
[22] 웹사이트 Who Is Behind "Shared Source" Misinformation Campaign? http://opensource.or[...] 2011-03-12
[23] Ars Evaluating Microsoft’s Shared Source licenses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07
[24] AJAX AJAX Control Toolkit | DevExpress https://www.devexpre[...]
[25] DevExpress DevExpress/AjaxControlToolkit: The ASP.NET AJAX Control Toolkit is a classic set of ASP.NET WebForms extensions. https://github.com/D[...]
[26] Microsoft Microsoft Reciprocal License (MS-RL) | Open Source Initiative https://opensource.o[...]
[27] 웹인용 Microsoft announces expansion of Shared Source Initiative https://www.geekzone[...] 2005-03-21
[28] 웹인용 Microsoft Public License (Ms-PL) http://www.microsoft[...]
[29] 웹인용 Microsoft Reciprocal License (Ms-RL) http://www.microso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