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심사 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심사 분리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독립적인 관심사로 나누어 각 관심사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1974년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가 처음 사용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웹 개발,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현된다. 관심사 분리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높이고, 개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원주의 - 오컴의 면도날
    오컴의 면도날은 경쟁하는 설명 중 가장 간단한 설명이 낫다는 원리로, 과학적 모델 선택과 가설 검증에 활용되지만 단순성 기준과 적용 한계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환원주의 - 동일론
    동일론은 마음과 육체가 본질적으로 하나라고 보는 심신 문제에 대한 철학적 입장으로, 정신 상태를 특정 뇌 상태와 동일시하는 유형 동일론은 다양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 프로그래밍 원칙 - 블랙박스
    블랙 박스는 자극 입력과 출력 반응의 관점에서 시스템을 추상화하여 외부적으로 관찰하는 이론으로, 전자 회로 이론, 사이버네틱스, 시스템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예측 모델 구축 및 유효성 검증, 그리고 항공기 비행 기록 장치나 함수 교육 도구 등 실생활에도 응용된다.
  • 프로그래밍 원칙 - 정보 은닉
    정보 은닉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모듈 내부 구현을 숨기고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상호 작용하도록 하여 모듈 독립성을 높이고 시스템 복잡성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기법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와 관련된다.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 교착 상태
    교착 상태는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하고 서로의 자원을 요청하여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호 배제, 점유 대기, 비선점, 순환 대기 네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발생하고, 운영 체제는 이를 예방, 회피, 무시, 발견하는 방법으로 관리한다.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 세마포어
    세마포어는 데이크스트라가 고안한 정수 변수로, P/V 연산을 통해 자원 접근을 제어하고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며, 계수 세마포어와 이진 세마포어로 나뉘어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자원 관리 및 스레드 동기화에 기여한다.
관심사 분리
지도 정보
개념
정의컴퓨터 과학에서,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 SoC)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설계 원칙이며, 각 부분은 개별적인 관심사를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관심사란 프로그램의 기능이나 책임을 의미함.
목표
목표관심사를 분리함으로써,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됨. 각 관심사는 독립적으로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으며, 다른 관심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할 수 있음.
장점
장점유지보수성 향상: 각 관심사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
재사용성 향상: 특정 관심사를 처리하는 코드를 다른 프로그램이나 모듈에서 재사용할 수 있음.
테스트 용이성 향상: 각 관심사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개발 효율성 향상: 여러 개발자가 각자의 관심사에 집중하여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
예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UI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역할을 담당.
비즈니스 로직비즈니스 로직은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
데이터 접근데이터 접근은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 저장소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역할을 담당.
적용 방법
모듈화프로그램을 여러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이 특정 관심사를 처리하도록 설계.
추상화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각 구성 요소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
계층화시스템을 여러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이 특정 관심사를 처리하도록 설계.
관련 개념
관심사 교차 (Cross-cutting concerns)프로그램의 여러 부분에 걸쳐 나타나는 관심사 (예: 로깅, 보안, 트랜잭션 관리).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관심사 교차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기타
참고 자료위키백과 관심사의 분리

2. 역사

"관심사 분리"라는 용어는 1974년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가 작성한 논문 "과학적 사고의 역할에 관하여"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데이크스트라는 이 논문에서 복잡한 문제를 다룰 때, 문제의 한 측면을 분리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다른 측면들은 잠시 무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고 정리 기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내 취향에 맞는 모든 지적인 사고의 특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주제의 한 측면을 고립시켜 그 자체의 일관성을 위해 깊이 있게 연구하려는 의지입니다... 우리는 프로그램이 정확해야 함을 알고 있으며, 그 관점에서만 연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효율적이어야 함을 알고 있으며, 말하자면 다른 날에 효율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동시에 해결한다고 해서 얻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히려 손해만 볼 뿐입니다! 그것은 제가 때때로 '관심사 분리'라고 부르는 것으로, 완벽하게 가능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인 사고 정리를 위한 유일한 기술입니다."라고 설명하며, 각 관심사를 분리하여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5년 후인 1989년, 관심사 분리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개념이 되었다. 크리스 리드(Chris Reade)는 그의 저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요소"에서 관심사 분리에 대해 설명했다.[7] 리드는 프로그래머가 일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세 가지 주요 작업, 즉 ▲계산할 내용 설명, ▲계산 순서 구성, ▲메모리 관리 구성을 언급하며, 이들을 분리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했다. 그는 "이상적으로, 프로그래머는 다른 두 가지, 즉 더 행정적인 작업에 방해받지 않고 세 가지 작업 중 첫 번째 작업(계산할 내용 설명)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분명히 행정은 중요하지만, 주요 작업에서 분리함으로써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고, 행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함으로써 프로그래밍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주요 작업과 부수적인 작업을 분리함으로써 얻는 이점을 강조했다. 또한 관심사 분리는 프로그램 증명을 더 쉽게 만들고, 다양한 컴퓨터 아키텍처에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장점도 가진다고 덧붙였다.

3. 구현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모듈식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메커니즘은 개발자가 관심사 분리(SoC) 구현을 지원한다.[4] 다양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과 기술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관심사 분리를 지원한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C#, C++, 델파이, Java와 같은 언어에서는 관심사를 객체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객체는 관련된 데이터와 기능을 하나로 묶어 관리함으로써 코드의 모듈성을 높인다. 또한, MVC나 MVP와 같은 아키텍처 설계 패턴을 사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표현)와 데이터 처리 로직(모델)을 분리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 서비스 지향 설계: 관심사를 독립적인 서비스 단위로 분리한다. 각 서비스는 특정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하며, 서로 느슨하게 결합되어 시스템 전체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인다.
  • 절차적 프로그래밍: C파스칼과 같은 언어에서는 프로시저 또는 함수를 통해 관심사를 분리한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을 함수나 프로시저로 만들어 재사용하고 코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AOP): 횡단 관심사를 핵심 비즈니스 로직(주요 관심사)과 분리하여 처리하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보안과 로깅 같은 여러 모듈에 걸쳐 나타나는 부가 기능들은 관점으로 따로 정의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드 중복을 줄이고 핵심 로직의 복잡성을 낮추며,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보안과 같은 중요한 횡단 관심사는 개발 초기부터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한데, AOP는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8]


이 외에도 부분 클래스 기능을 사용하여 하나의 클래스를 여러 파일에 나누어 작성함으로써 관심사를 분리하고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9]

4. 예시

관심사 분리의 예시로 '''구조와 외형의 분리'''(separation of presentation and content영어)가 있다. 이 원칙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다양한 영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웹 개발: 웹 페이지의 내용(HTML), 표현(CSS), 동작(자바스크립트)을 분리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통신 기능을 계층별로 나누어 각 계층이 특정 역할에만 집중하도록 설계되었다.
  • UI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 React와 같은 도구들은 컴포넌트의 상태 관리나 생명 주기 관련 로직을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프레젠테이션과 도메인 분리: 사용자 인터페이스(프레젠테이션) 로직과 핵심 비즈니스 로직(도메인)을 분리하여 개발하는 접근 방식이다.
  • 다차원 관심사 분리: 여러 관심사를 독립적인 차원으로 보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급 기법이다.
  • 정규화 시스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관심사 분리를 핵심 원칙으로 강조한다.

4. 1. 웹 개발 (HTML, CSS, JavaScript)

HTML, CSS, 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 및 웹사이트 개발에 사용되는 상호 보완적인 언어이다. HTML은 주로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CSS는 콘텐츠가 어떻게 표시될지 스타일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자바스크립트는 콘텐츠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고 동작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역사적으로는 CSS가 도입되기 전까지 HTML이 내용의 의미론적 정의뿐만 아니라 스타일 정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했다. 하지만 CSS가 등장하면서 스타일 정의 기능이 분리되어, 각 언어가 특정 관심사에 집중하게 되었다.

4. 2.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관심사 분리는 인터넷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원칙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는 이러한 원칙을 잘 구현한 대표적인 예시로, 잘 정의된 계층 구조를 통해 관심사를 분리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 계층 구조 덕분에 프로토콜 설계자는 특정 계층의 문제에만 집중하고 다른 계층의 복잡한 세부 사항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응용 계층 프로토콜인 SMTP는 이메일 전송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주로 TCP)를 이용한다. SMTP는 이 전송 서비스가 어떻게 신뢰성을 보장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오직 이메일 세션 처리에만 집중한다. 마찬가지로, 전송 계층의 TCP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목적지까지 전달되는지, 즉 인터넷 계층에서 처리하는 라우팅 문제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 각 계층은 맡은 역할에만 충실하며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4. 3. React: 생명주기 메서드와 훅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React는 생명 주기 메서드라는 개념을 통해 시간적 응집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관심사 분리(SoC)를 구현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기능적 응집도를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훅(Hook)이다.

=== 생명 주기 메서드 ===

생명 주기 메서드는 클래스 컴포넌트의 '생명 주기' 중 특정 시점에 자동으로 호출되는 특별한 메서드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가 처음 만들어질 때 호출되는 `constructor`, 화면에 UI가 그려진 후 호출되는 `componentDidMount`, 화면에서 사라지기 전에 호출되는 `componentWillUnmount`, 그리고 화면을 그릴 때마다 호출되는 `render` 등이 있다.

생명 주기 메서드를 사용하면 특정 시점에 해야 할 일들을 해당 메서드 안에 모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ponentDidMount`에서는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타이머를 설정하고, `componentWillUnmount`에서는 사용했던 자원을 정리하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시간 순서에 따라 코드가 정리되어 시간적 응집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기능적으로 보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독립적인 타이머를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생명 주기 메서드를 사용하면, 각 타이머를 시작하는 코드는 `componentDidMount`에 함께 들어가고, 각 타이머를 정리하는 코드는 `componentWillUnmount`에 함께 들어가게 된다.



class Clock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 타이머 A와 B의 초기 상태 설정 (생성 시점)

this.state = { countA: 0, countB: 0 };

}

componentDidMount() {

// 타이머 A와 B 시작 (UI 생성 시점)

this.timerIDa = setInterval(() => this.tickA(), 1000);

this.timerIDb = setInterval(() => this.tickB(), 1000);

}

componentWillUnmount() {

// 타이머 A와 B 정리 (UI 파기 시점)

clearInterval(this.timerIDa);

clearInterval(this.timerIDb);

}

tickA() {

// 타이머 A의 상태 업데이트

this.setState({ countA: this.state.countA + 1 });

}

tickB() {

// 타이머 B의 상태 업데이트

this.setState({ countB: this.state.countB + 1 });

}

render() {

// 현재 카운트 표시 (렌더링 시점)

return
now count: A/{this.state.countA} - B/{this.state.countB}
;

}

}



위 코드처럼 하나의 생명 주기 메서드 안에 서로 다른 기능(타이머 A, 타이머 B)과 관련된 코드가 섞이게 된다. 또한, 타이머 A라는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가 `constructor`, `componentDidMount`, `componentWillUnmount`, `tickA` 등 여러 메서드에 흩어져 작성된다. 이로 인해 코드의 기능적 응집도는 낮아지게 된다.

=== 훅 (Hook) ===

React는 이러한 기능적 응집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훅(Hook)이라는 기능을 도입했다. 훅은 클래스 컴포넌트의 생명 주기 메서드와 달리,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 상태 관리나 생명 주기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함수들이다.

훅을 사용하면 관련된 코드들을 기능 단위로 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seState` 훅은 상태 변수를 만들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useEffect` 훅은 컴포넌트의 생명 주기에 맞춰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데이터 가져오기, 구독 설정, 타이머 설정 등)을 제공한다.

앞서 살펴본 타이머 예제를 훅을 사용하여 다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function Clock() {

// 타이머 A 관련 로직 /////////////////////////////////////////

const [countA, setCountA] = useState(0); // 타이머 A의 상태 관리 (useState 훅 사용)

useEffect(() => {

// 타이머 A 설정 및 해제 로직 (useEffect 훅 사용)

const id = setInterval(() => setCountA(n => n + 1),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타이머 정리

}, []); // 빈 배열은 컴포넌트 마운트/언마운트 시 한 번만 실행됨을 의미

// 타이머 A 관련 로직 /////////////////////////////////////////

// 타이머 B 관련 로직 /////////////////////////////////////////

const [countB, setCountB] = useState(0); // 타이머 B의 상태 관리 (useState 훅 사용)

useEffect(() => {

// 타이머 B 설정 및 해제 로직 (useEffect 훅 사용)

const id = setInterval(() => setCountB(n => n + 1),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타이머 정리

}, []);

// 타이머 B 관련 로직 /////////////////////////////////////////

// 현재 카운트 표시

return
now count: A/{countA} - B/{countB}
;

}



훅을 사용하면 타이머 A와 관련된 상태(`countA`)와 로직(`useEffect` 내부)이 한 곳에 모이고, 타이머 B와 관련된 상태(`countB`)와 로직도 다른 한 곳에 모이게 된다. 각 기능(타이머 A, 타이머 B)에 필요한 모든 코드가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기능적 응집도가 높아진다. 이는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기 쉽게 만들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며, 진정한 의미의 관심사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각 훅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필요에 따라 커스텀 훅을 만들어 재사용할 수도 있다.

4. 4. 프레젠테이션과 도메인 분리

'''프레젠테이션과 도메인 분리'''(Presentation Domain Separation영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다른 코드와 분리"하는 설계 원칙이다. 즉, 소프트웨어를 프레젠테이션(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과 도메인(기타 코드, 주로 비즈니스 로직)이라는 두 가지 '''관심사'''를 기반으로 분리하는 원칙이다. 이는 관심사 분리의 한 예시이다.

관심사 분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코드 집중: 특정 기능(프레젠테이션 또는 도메인)에 응집된 코드에만 집중하여 개발할 수 있다.
  • 분업 및 전문화: 각기 다른 부분을 다른 개발자가 맡아 작업할 수 있어, 전문 기술을 활용하고 개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UI 유연성: 도메인 코드를 프레젠테이션과 독립적으로 만들어 동일한 도메인 코드 위에 여러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지원할 수 있다.
  • 테스트 용이성: 도메인 코드를 분리하면 해당 부분의 테스트가 훨씬 쉬워진다.


명확한 분리가 필요한지 여부는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에 따라 달라진다. 간단한 시스템의 경우 분리에 따른 추가 작업이 부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될 데이터 구조(View)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와 거의 일치하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없다면, SQL과 View를 직접 연결하는 도구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하지만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도메인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프레젠테이션과 도메인을 분리함으로써 얻는 이점(유지보수성, 테스트 용이성 등)이 커진다.

4. 5. 다차원 관심사 분리

관심사 분리는 각 관심사를 다른 관심사와 동등한 위치에서 별도의 소프트웨어 구조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각 관심사는 공통 객체가 구성되는 자체적인 클래스 구조를 제공하며,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태와 메서드를 복합적인 결과에 기여한다. 대응 규칙은 다양한 관심사의 클래스와 메서드가 상호 작용하는 지점에서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설명하며, 여러 관심사에서 메서드의 복합적인 동작을 파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차원 관심사 분리는 각 관심사가 선택의 다른 지점이 열거되는 차원을 제공하고, 마치 다차원 "행렬"처럼 관심사의 분석 및 구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 행렬의 각 셀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아티팩트로 채워진다.

4. 6. 정규화 시스템

정규화 시스템에서 관심사 분리는 네 가지 지침 중 하나이다. 이 원칙을 준수하는 것은 유지 관리되는 소프트웨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입되는 조합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 중 하나이다. 정규화된 시스템에서 관심사 분리는 도구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원된다.

5. 인공지능에서의 분석 수준

인지 과학 및 인공 지능 분야에서는 데이비드 마르의 분석 수준을 통해 관심사 분리를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구자는 주어진 시점에서 지능의 특정 측면이 (1) 무엇을 계산해야 하는지, (2)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 또는 (3) 해당 알고리즘이 하드웨어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집중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사 분리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공학에서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구별하는 것과 유사하다.

참조

[1] 서적 What Every Engineer Should Know About Softwar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 서적 Managing Complexity in Softwar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IEE
[3] 서적 Microsoft Application Architecture Guide https://books.google[...] Microsoft Press
[4] 간행물 Software Plans: Multi-Dimensional Fine-Grained Separation of Concerns
[5] 서적 Building Enterprise Applications with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and the Model View ViewModel Pattern https://books.google[...] Microsoft Press
[6] 서적 Selected writings on Computing: A Person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7] 서적 Elements of Functional Programming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Longman
[8] 웹사이트 Building Secure Applications http://jess.heidrun.[...] 2006-06
[9] 웹사이트 Hyper/Net: MDSoC Support for .NET http://ptsoft.net/td[...] 2006-10
[10] 학술지 Separating user interface code http://ieeexplore.ie[...] 2001-03
[11] 서적 What Every Engineer Should Know About Softwar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12] 서적 Managing Complexity in Softwar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IEE
[13] 서적 Microsoft Application Architecture Guide https://books.google[...] Microsof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