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측 가능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측 가능성은 상태 공간으로 표현된 물리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출력 정보만 사용하여 현재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는 센서를 통해 얻은 정보만으로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시스템의 관측 가능 여부는 시스템의 설계와 제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경우, 관측 가능성 행렬의 랭크를 통해 관측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관측 가능 표준형을 통해 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다. 관측 가능성과 관련된 개념으로는 관측 가능성 지수,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 탐지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센서 네트워크의 설계 및 성능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선형 시변 시스템과 비선형 시스템, 그리고 정적 시스템 및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서도 관측 가능성을 정의하고 분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어공학 - 센서
    센서는 물리량, 화학량, 생물학적 정보를 감지하여 유용한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다양한 종류와 활용 분야를 가지며 첨단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제어공학 -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작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제어 방식과 기법,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어 소형 장치부터 대규모 산업 공정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제어이론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제어이론 - 사이버네틱스
    사이버네틱스는 동물과 기계의 제어 및 통신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제어 시스템, 신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여 발전해왔으며, 피드백, 자기조직화 등의 핵심 개념을 통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공학 - 사회공학 (정치학)
    사회공학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적 접근 방식이지만, 카를 포퍼는 점진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강조하며 유토피아적 접근의 위험성을 경고했고, 윤리적 문제와 투명성 확보가 현대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다.
  • 공학 - 군사 기술
    군사 기술은 전쟁과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 응용으로, 무기 발전, 화약 발명, 우주 경쟁, 사이버전 등 역사적으로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경제적 부담과 윤리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민간 분야에 기술적 스핀오프 효과를 가져왔다.
관측 가능성

2. 정의

상태 공간 표현으로 모델링된 물리적 시스템에서, 모든 가능한 상태 및 제어 벡터의 전개에 대해, 현재 상태가 출력 정보만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면(물리적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센서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해당) 이 시스템은 '''관측 가능'''하다고 한다. 달리 말하면, 시스템의 출력만으로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관측 가능하지 않은 시스템의 경우, 출력 측정만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상태 궤적이 존재한다.

3. 선형 시불변 시스템

상태 공간 표현의 시간 불변 선형 시스템의 경우, 관측 가능성을 확인하는 편리한 방법이 있다. 아래의 내용은 '''선형 시불변 시스템(linear time-invariant system)'''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상태 변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dot{\mathbf x} (t) = \mathbf A \mathbf x(t) + \mathbf B u(t)

: y (t) = \mathbf C \mathbf x(t) + D u(t)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관측 가능성 및 관측 가능 표준형은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3. 1. 관측 가능성 행렬

n개의 상태 변수를 갖는 SISO 시스템 (또는 MIMO 시스템)에서, 다음 상태 변수 방정식을 고려한다.

: \dot{\mathbf x} (t) = \mathbf A \mathbf x(t) + \mathbf B u(t)

: y (t) = \mathbf C \mathbf x(t) + D u(t)

'''관측 가능성 행렬(observability matrix)''' \mathbf M_O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bf M_O} = \begin{bmatrix} \mathbf C \\ \mathbf C \mathbf A \\ \mathbf C \mathbf A^2 \\ \vdots \\ \mathbf C \mathbf A^{n-1} \end{bmatrix}

여기에서 n 은 이 시스템의 차수이다.

관측 가능성 행렬의 계수가 n과 같으면 (즉, 역행렬이 존재하면) 시스템은 관측 가능하다.

3. 2. 관측 가능 표준형

어떤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될 때,

: \frac{d^n y(t)}{dt^n} + a_{n-1} \frac{d^{n-1} y(t)}{dt^{n-1}} + \cdots + a_1 \frac{d y(t)}{dt} + a_0 y(t) = b_{n-1} \frac{d^{n-1} u(t)}{dt^{n-1}} + b_{n-2} \frac{d^{n-2} u(t)}{dt^{n-2}} + \cdots + b_1 \frac{d u(t)}{dt} + b_0 u(t)

이 시스템이 관측 가능하다면 다음과 같은 형태의 상태 변수 방정식을 쓸 수 있다.

: \dot{\mathbf x} = \begin{bmatrix} 0 & 0 & \cdots & 0 & -a_0 \\ 1 & 0 & \cdots & 0 & -a_1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vdots \\ 0 & 0 & \cdots & 1 & -a_{n-1} \end{bmatrix} \mathbf x + \begin{bmatrix} b_0 \\ b_1 \\ \vdots \\ b_{n-1} \end{bmatrix} u

: y = \begin{bmatrix} 0 & 0 & \cdots & 1 \end{bmatrix} \mathbf x

이러한 형태의 상태 변수 방정식을 '''관측 가능 표준형'''이라고 한다.

3. 3. 관련 개념

관측 가능성과 관련된 개념에는 다음이 있다.

  • '''관측 가능성 지수''': 선형 시불변 이산 시스템에서 관측 가능성 지수 v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이다.
  •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 선형 시스템에서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은 특정 선형 맵의 커널로 정의된다.
  • '''탐지 가능성''': 관측 가능성보다 약간 약한 개념으로, 모든 관측 불가능한 상태가 안정적인 경우 시스템은 탐지 가능하다.[4] 탐지 가능성 조건은 센서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중요하다.[5][6]

3. 3. 1. 관측 가능성 지수

선형 시불변 이산 시스템의 ''관측 가능성 지수'' v는 다음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이다.

:\text{rank}{(\mathcal{O}_v)} = \text{rank}{(\mathcal{O}_{v+1})}

여기서

: \mathcal{O}_v=\begin{bmatrix} C \\ CA \\ CA^2 \\ \vdots \\ CA^{v-1} \end{bmatrix}.

3. 3. 2.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

선형 시스템의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 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 선형 맵 G의 커널이다.[3]



\begin{align}

G \colon \mathbb{R}^{n} &\rightarrow \mathcal{C}(\mathbb{R};\mathbb{R}^n) \\

x(0) &\mapsto C e^{A t} x(0)

\end{align}



여기서 \mathcal{C}(\mathbb{R};\mathbb{R}^n)\mathbb{R}에서 \mathbb{R}^n 로의 연속 함수 집합이다. N은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3]

: N = \bigcap_{k=0}^{n-1} \ker(CA^k)= \ker{\mathcal{O}}

시스템이 \operatorname{rank}(\mathcal{O}) = n인 경우에만 관측 가능하므로, N이 영 공간인 경우에만 시스템이 관측 가능하다.

관측 불가능한 부분 공간은 다음 속성을 갖는다.[3]

  • N \subset Ke(C)
  • A(N) \subset N
  • N= \bigcup \{ S \subset R^n \mid S \subset Ke(C), A(S) \subset N \}

3. 3. 3. 탐지 가능성

관측 가능성보다 약간 약한 개념은 ''탐지 가능성''이다. 시스템은 모든 관측 불가능한 상태가 안정적이면 탐지 가능하다.[4]

탐지 가능성 조건은 센서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중요하다.[5][6]

4. 선형 시변 시스템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 선형 시간 가변 시스템을 고려한다.

:\dot{\mathbf{x}}(t) = A(t) \mathbf{x}(t) + B(t) \mathbf{u}(t) \,

:\mathbf{y}(t) = C(t) \mathbf{x}(t). \,

행렬 A, B, C와 모든 t \in [t_0,t_1]에 대한 입력 u와 출력 y가 주어졌을 때, x(t_0)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M(t_0,t_1)의 영공간에 있는 가산 상수 벡터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M(t_0,t_1) = \int_{t_0}^{t_1} \varphi(t,t_0)^{T}C(t)^{T}C(t)\varphi(t,t_0) \, dt

여기서 \varphi는 상태 천이 행렬이다.

M(t_0,t_1)이 비특이인 경우 고유한 x(t_0)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초기 상태 x_1x_2의 차이가 M(t_0,t_1)의 영공간에 존재한다면, 서로 다른 초기 상태를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위에 정의된 행렬 M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는다.


  • M(t_0,t_1)은 대칭 행렬이다.
  • M(t_0,t_1)t_1 \geq t_0에 대해 양의 준정부호 행렬이다.
  • M(t_0,t_1)은 선형 행렬 미분 방정식을 만족한다.

:: \frac{d}{dt}M(t,t_1) = -A(t)^{T}M(t,t_1)-M(t,t_1)A(t)-C(t)^{T}C(t), \; M(t_1,t_1) = 0

  • M(t_0,t_1)은 다음 방정식을 만족한다.

:: M(t_0,t_1) = M(t_0,t) + \varphi(t,t_0)^T M(t,t_1)\varphi(t,t_0)[7]

4. 1. 관측 가능성 행렬 일반화

어떤 시스템이 행렬 M(t_0,t_1)가 비특이인 구간 [t_0,t_1]\mathbb{R}에 존재하면, 그 구간 [t_0,t_1]에서 관측 가능하다고 정의한다.[8]

만약 A(t), C(t)가 해석적이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bar{t} \in [t_0,t_1]와 양의 정수 ''k''가 존재할 경우, 그 시스템은 구간 [t_0,t_1]에서 관측 가능하다.[8]

: \operatorname{rank} \begin{bmatrix}

N_0(\bar{t}) \\

N_1(\bar{t}) \\

\vdots \\

N_{k}(\bar{t})

\end{bmatrix} = n,

여기서 N_0(t):=C(t)이며, N_i(t)는 다음 식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N_{i+1}(t) := N_i(t)A(t) + \frac{\mathrm{d}}{\mathrm{d} t}N_i(t),\ i = 0, \ldots, k-1

4. 1. 1. 예시

\ (-\infty,\infty) 에서 해석적으로 변하는 시스템과 행렬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

\A(t) = \begin{bmatrix}

t & 1 & 0\\

0 & t^{3} & 0\\

0 & 0 & t^{2}

\end{bmatrix},\, C(t) = \begin{bmatrix}

1 & 0 & 1

\end{bmatrix}.\



이때, \ \begin{bmatrix}

N_0(0) \\

N_1(0) \\

N_2(0)

\end{bmatrix}

= \begin{bmatrix}

1 & 0 & 1 \\

0 & 1 & 0 \\

1& 0 & 0

\end{bmatrix} 이고, 이 행렬의 랭크는 3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mathbb{R}의 모든 비자명 구간에서 관측 가능하다.

5. 비선형 시스템

다음 시스템을 고려한다. \dot{x} = f(x) + \sum_{j=1}^mg_j(x)u_j , y_i = h_i(x), i \in p. 여기서 x \in \mathbb{R}^n은 상태 벡터, u \in \mathbb{R}^m은 입력 벡터, y \in \mathbb{R}^p는 출력 벡터이다. f,g,h는 매끄러운 벡터장이다.

관측 가능 공간 \mathcal{O}_s를 반복되는 모든 리 미분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정의하면, 다음 시스템은 x_0에서 관측 가능한데, 이는 \dim(d\mathcal{O}_s(x_0)) = n일 때와 동치이며, 여기서

:d\mathcal{O}_s(x_0) = \operatorname{span}(dh_1(x_0), \ldots , dh_p(x_0), dL_{v_i}L_{v_{i-1}}, \ldots , L_{v_1}h_j(x_0)),\ j\in p, k=1,2,\ldots.[9]

비선형 동적 시스템의 관측 가능성에 대한 초기 기준은 그리피스(Griffith)와 쿠마르(Kumar),[10] 쿠(Kou), 엘리엇(Elliot)과 턴(Tarn),[11] 그리고 싱(Singh)에 의해 발견되었다.[12]

또한 비선형 시변 시스템에 대한 관측 가능성 기준도 존재한다.[13]

6. 정적 시스템 및 일반 위상 공간

관측 가능성은 정상 상태 시스템(일반적으로 대수 방정식과 부등식으로 정의되는 시스템) 또는 더 일반적으로 \mathbb{R}^n의 집합에 대해서도 특징지을 수 있다.[14][15] 동적 시스템의 경우 관측 가능성 기준이 칼만 필터 또는 다른 관측기의 동작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것처럼, \mathbb{R}^n의 집합에 대한 관측 가능성 기준은 데이터 검증 및 조정 및 기타 정적 추정기의 동작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비선형의 경우, 관측 가능성은 개별 변수에 대해서, 그리고 전역적 동작뿐만 아니라 국부적 추정기 동작에 대해서도 특징지을 수 있다.

참조

[1] 논문 On the general theory of control systems
[2] 논문 Mathematical Description of Linear Dynamical Systems
[3] 서적 Mathematical Control Theory Texts in Applied Mathematics
[4] 웹사이트 Controllability and Observability http://www.ece.rutge[...] 2024-05-19
[5] 논문 A Weightedly Uniform Detectability for Sensor Networks 2018-11
[6] 논문 On Boundedness of Error Covariances for Kalman Consensus Filtering Problems 2019
[7] 서적 Finite Dimensional Linear Systems John Wiley & Sons
[8] 문서 Mathematical Control Theory: Deterministic Finite Dimensional Systems.
[9] 문서 Lecture notes for Nonlinear Systems Theory
[10] 논문 On the observability of nonlinear systems: I
[11] 논문 Observability of nonlinear systems
[12] 논문 Observability in non-linear systems with immeasurable inputs
[13] 논문 Extension of the Observability Rank Condition to Time-Varying Nonlinear Systems https://ieeexplore.i[...] 2022
[14] 논문 Observability and redundancy in process data estimation https://gregstanleya[...]
[15] 논문 Observability and redundancy classification in process networks https://gregstanley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