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서는 물리량, 화학량, 생물학적 정보를 감지하여 유용한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넓은 의미로는 신호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한 모듈 전체를 가리키며, 화학 센서, 바이오 센서, 나노 센서 등으로 분류된다. 센서는 측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보정 및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금속산화물반도체(MOS) 센서는 스마트홈, 건강 모니터링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센서 선택 시 측정 대상, 검출 원리,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하며, 뉴로모픽 센서, 스마트 센서, 센서 퓨전 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환기 - 촉각 센서
촉각 센서는 물체와의 접촉을 통해 압력, 진동, 온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며, 일상생활 제품부터 로봇, 의료, 자동차, 배터리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센서이다. - 변환기 - 트랜스듀서
트랜스듀서는 에너지나 신호의 형태를 변환하는 장치로, 기계적 트랜스듀서와 전기적 트랜스듀서로 나뉘며, 전기적 트랜스듀서는 센서, 액추에이터 등으로 세분화되어 온도, 압력 등의 물리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동적 범위, 반복성 등으로 성능이 평가된다. - 제어공학 -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작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제어 방식과 기법,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어 소형 장치부터 대규모 산업 공정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제어공학 - 제어이론
제어이론은 시스템의 동작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기 위한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맥스웰의 원심 조속기 동역학 분석을 통해 공식적인 분석이 시작되었으며, 안정성, 제어성, 관측성 등의 주제를 다루고, 다양한 제어 전략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센서 - 서미스터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저항 특성에 따라 NTC, PTC, CTR 서미스터로 나뉘며 온도 센서, 과전류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저항-온도 관계는 B 상수 방정식이나 슈타인하르트-하트 방정식으로 표현되어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 센서 - 기압계
기압계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기구로, 17세기 중반 토리첼리에 의해 최초의 수은 기압계가 발명되었으며, 일기 예보, 고도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수은, 아네로이드, 전기식 등 여러 종류가 현대에 개발되어 사용된다.
센서 | |
---|---|
센서 정보 | |
![]() | |
정의 | 물리량을 감지하여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
영어 | sensor |
일본어 | センサ |
기능 및 특징 | |
측정 대상 | 물리량 (예: 온도, 압력, 빛, 소리, 움직임, 화학적 농도 등) |
신호 변환 | 측정된 물리량을 전기적, 기계적, 광학적 신호 등으로 변환 |
용도 | 자동 제어 시스템 정보 수집 과학 연구 의료 기기 환경 모니터링 |
활용 분야 | 자동차: 속도, 가속도, 압력, 온도 측정 산업: 공정 자동화, 품질 관리 가전: 스마트 기기, 로봇 청소기 의료: 혈압, 심박수, 체온 측정 환경: 대기 질, 수질 측정 |
작동 원리 | 물리적 효과 활용 (예: 압전 효과, 열전 효과, 광전 효과) 화학적 반응 이용 생물학적 상호작용 활용 |
종류 | |
물리량 기준 |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변형률 센서 유량 센서 |
작동 원리 기준 | 저항형 센서 용량형 센서 유도형 센서 광학 센서 압전 센서 |
기타 분류 | 아날로그 센서 디지털 센서 능동형 센서 수동형 센서 스마트 센서 웨어러블 센서 생체 센서 |
센서 관련 기술 | |
센서 인터페이스 |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기술 |
신호 처리 | 노이즈 제거, 증폭, 필터링 등 |
통신 기술 |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 |
센서 네트워크 | 여러 센서를 연결하여 광범위한 영역에서 정보 수집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기계 예지 및 예지 중심 유지보수 관리 현대 일반 상식 |
학술 자료 | 진단, 식품 및 환경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일회용 센서 |
같이 보기 | |
관련 용어 | 검출기 트랜스듀서 측정 제어 공학 |
2. 정의
센서는 측정 대상의 속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다른 속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또한 측정 대상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4] 대부분의 센서는 선형 감도를 가지는 전달 함수를 갖는다. 감도는 출력 신호와 측정 대상 속성의 비율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가 전압 출력을 갖는 경우 감도는 [V/K] 단위로 일정하며, 이는 전달 함수의 기울기이다. 센서의 전기적 출력을 측정 단위로 변환하려면 전기적 출력을 기울기로 나누거나 오프셋을 더하거나 빼야 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면 아날로그 센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장비에서 처리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센서는 변환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만,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는다. 센서라는 용어는 변환 소자만을 가리키기도 하고, 변환기에 증폭, 연산, 제어, 출력 등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2. 1. 구성
센서에 의한 측정은 출력 신호의 처리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사람이 직접 판독하는 경우(Direct Indicator)
- 사람이 인식 가능한 매체(빛이나 소리 등)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 *수은 온도계는 주변 온도를 수은의 열팽창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로 변환한다.*
- *케틀의 휘슬은 물의 온도를 증기압의 성질을 이용하여 청각 정보로 변환한다.*
- 사람이 판독 가능하도록 다시 변환하는 경우
-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전자 회로가 처리할 수 있도록 일단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전자 회로가 얻은 신호는 AD 변환기를 사용하거나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측정 결과를 읽는 등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변환할 필요가 있다.
- 사람이 판독하지 않는 경우
-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축적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 사용한다. 사람의 인지 없이 시스템 내부에서 시스템의 성능, 안정성,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많은 센서들은 전기적·전자적인 기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측정기, 전자·전기 기기, 제어 기기 등에 통합됨으로써 기능이 발휘된다. MEMS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센서들이 종전보다 훨씬 높은 감도에 도달하고 있다.
3. 측정 오차의 분류
센서는 이상적인 전달 함수를 완벽하게 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유형의 편차가 발생하여 센서의 정확도를 제한할 수 있다.[4] 이러한 편차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오차 종류 | 설명 |
---|---|
민감도 오차 | 실제 민감도가 명시된 값과 다른 경우이다. 이는 선형 전달 함수의 기울기 오차이다. |
오프셋 오차 (또는 바이어스) | 출력 신호가 정확한 값과 일정한 값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이다. 이는 선형 전달 함수의 y절편 오차이다. |
비선형성 | 센서의 전달 함수가 직선에서 벗어나는 편차이다. 일반적으로 센서의 전체 범위에 걸쳐 출력이 이상적인 동작과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되며, 종종 전체 범위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
동적 오차 | 시간에 따라 측정 대상이 빠르게 변하여 발생하는 편차이다. 주기적 입력 신호 주파수의 함수로 민감도 오차와 위상 변화를 보여주는 보드선도로 설명된다. |
드리프트 | 측정 대상과 무관하게 출력 신호가 천천히 변하는 경우이다. 장기 드리프트는 센서의 물리적 변화로 발생한다. |
잡음 |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신호의 무작위 편차이다. |
히스테리시스 오차 | 이전 입력 값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현상이다. |
양자화 오차 | 센서가 디지털 출력을 갖는 경우, 출력은 본질적으로 측정 대상의 근삿값이 된다. |
앨리어싱 오차 |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모니터링할 때, 샘플링 주파수로 인해 발생한다. 입력 변수나 추가된 잡음이 샘플링 속도의 배수에 가까운 주파수로 주기적으로 변할 때 발생한다. |
이러한 모든 편차는 계통 오차 또는 확률 오차로 분류할 수 있다. 계통 오차는 보정 전략을 통해 보상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잡음은 필터링과 같은 신호 처리로 줄일 수 있는 확률 오차이지만, 일반적으로 센서의 동적 동작을 희생해야 한다.
4. 종류
센서는 측정 원리, 대상,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생물의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세포, 단백질, 핵산, 생체모방 고분자 등을 통해 분석물을 감지하는 바이오센서가 활용된다. 화학 센서는 주변 환경의 화학적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 장치이며, 인식과 변환의 두 단계를 거친다.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 인식 물질을 기반으로 하지만, 합성 생체모방 물질이 사용되면서 일반 화학 센서와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7]
뉴로모픽 센서는 생물학적 신경 요소를 모방하며, 이벤트 카메라가 그 예시이다.[8] 1955년에서 1960년 사이에 벨 연구소에서 MOSFET이 발명된 이후,[9][10][11][12][13][14] MOSFET 센서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적 매개변수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5]
초기 MOSFET 센서에는 개방형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GFET),[15] 이온 감응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ISFET),[16] 흡착 FET(ADFET), 수소 감응 MOSFET 등이 있었다.[15] ISFET는 생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17] 1980년대 중반에는 가스 센서 FET(GASFET), 전하 흐름 트랜지스터(CFT), 압력 센서 FET(PRESSFET), 화학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ChemFET), 생체 센서 FET(BioFET) 등이 개발되었다.[15] 2000년대 초에는 DNA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DNAFET), 유전자 변형 FET(GenFET) 등이 개발되었다.[17]
MOS 기술은 전하결합소자(CCD)와 CMOS 능동형 픽셀 센서(CMOS 센서)를 포함한 현대 이미지 센서의 기반이다.[18] 윌러드 보일과 조지 E. 스미스가 1969년에 CCD를 개발했고,[18] MOS 능동형 픽셀 센서(APS)는 1985년 올림푸스에서 개발되었다.[20] CMOS 능동형 픽셀 센서는 1990년대 초 에릭 포섬과 그의 팀에 의해 개발되었다.[21] MOS 이미지 센서는 광 마우스 기술에도 널리 사용된다.
금속산화물반도체(MOS) 모니터링 센서는 스마트홈, 사무실, 농업, 교통량 감시, 기상 관측소, 방위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26] MOS 가스 검출기 센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등 여러 가스 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27]
4. 1. 시공간에 따른 분류
- 시간: 시계
- 위치
- * 광위치센서 (PSD)
- * 리미트 스위치
- 거리
- * 초음파 거리계
- * 정전용량 변위계
- * 광학식 거리측정
- * 전자파 거리측정
- 변위
- * 차동 트랜스
- * 리니어 인코더
- * 광위치센서
- 속도
- * 레이저 도플러 진동 속도계
- *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
- 회전각
- * 포텐쇼미터
- * 회전각 센서
- 회전수
- * 타코 제네레이터
- * 로터리 인코더
- 각속도
- * 자이로 센서
- 1차원 영상
- * 리니어 이미지 센서
- 2차원 영상
- * CCD 이미지센서
- * CMOS 이미지센서
4. 2. 용도에 따른 분류
5. 응용 분야
센서는 현대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우주 등의 교통 시스템, 기계, 화학, 농업, 토목, 에너지 등의 산업, 의료, 재난 예방, 주택, 방범 등의 생활 환경, 우주, 로봇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서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생물의학 및 생명공학에서는 세포, 단백질, 핵산 또는 생체모방 고분자와 같은 생물학적 구성요소를 통해 분석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바이오센서라고 한다. 생물학적 분석물을 위한 비생물학적 센서, 심지어 유기물(탄소 화학)도 센서 또는 나노센서라고 한다. 이 용어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적용 모두에 적용된다. 바이오센서에 생물학적 구성요소를 캡슐화하는 것은 일반 센서와 약간 다른 문제를 나타낸다. 이는 투석막이나 하이드로겔과 같은 반투과성 장벽 또는 3D 폴리머 매트릭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감지 거대분자를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거대분자를 비계에 결합하여 화학적으로 제한한다.
금속산화물반도체(MOS) 모니터링 센서는 스마트홈 모니터링, 사무실 및 농업 모니터링, 교통량 감시( 차량 속도, 교통 정체, 교통 사고 포함), 기상 모니터링( 강우, 풍속, 낙뢰, 폭풍 등), 국방 모니터링, 그리고 온도, 습도, 대기 오염, 화재, 건강, 보안 및 조명 모니터링에 사용된다.[26] MOS 가스 검출기 센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황화수소, 암모니아 및 기타 가스 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27] 다른 MOS 센서에는 지능형 센서[28]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기술이 포함된다.[29]
6. 선택
센서를 선택할 때는 측정 대상, 검출 원리, 센서의 특성, 사용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1] 조건에 적합한 최적의 센서를 선택하려면 측정 대상과 센서의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1]
또한, 센서는 그 목적상 혹독한 물리적 환경에 노출되면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1] 실용 시에는 노이즈에 의한 오검출이나 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검출 방법을 검토하고, 적절한 사용 환경 및 방호 형태 하에서 사용해야 한다.[1]
7. 첨단 센서 기술
스마트 센서(smart sensor, ) 또는 인텔리전트 센서(intelligent sensor, )는 분석 및 정보 처리 능력이 추가된 센서이다. 스마트 센서는 측정 대상에 여러 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한 번에 여러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상값이나 예외값을 제거하며, 데이터를 처리하여 축적한다. 이를 통해 자동 교정 기능과 자동 보상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센서와 센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결합하여 통합된 데이터 측정도 가능하다.
센서 퓨전(sensor fusion), 또는 센서융합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 여러 종류의 감각 정보를 융합한 지각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이다.[1]
센서 퓨전은 복합, 통합, 융합, 연합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종류 | 설명 |
---|---|
복합(multisensor) | 여러 센서에서 얻은 정보를 병렬적·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출력을 얻는 것을 복합적 처리라고 한다. |
통합(integration) | 각 센서에서 얻은 정보에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정리된 정보를 얻는 것을 통합적 처리라고 한다. |
융합(fusion) | 어떤 현상에 대해 그것을 측정하는 여러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데이터 간 처리를 수행하여 하나의 지각을 얻는 것을 융합적 처리라고 한다. |
연합(association) | 센서에서 얻은 정보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출력을 얻는 것을 연합적 처리라고 한다.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Control Engineering 1930–1955
Peter Peregrinus Ltd. on behalf of the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2]
서적
Machinery Prognostics and Prognosis Oriented Maintenanc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Wiley & Sons Singapore Pte. Ltd
[3]
서적
Modern Gener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Upkar Prakashan
2010-09-01
[4]
학술지
Disposable Sensors in Diagnostics, Food,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2019-05-15
[5]
학술지
Modified Screen Printed Electrode Suitable for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in Gas Phase
https://pubs.acs.org[...]
2020-03-03
[6]
서적
Chemical Sensors and Biosensors: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7]
학술지
Truncated aptamers as selective receptors in a gluten sensor supporting direct measurement in a deep eutectic solvent
2020-10-01
[8]
학술지
A Review of Current Neuromorphic Approaches for Vision, Auditory, and Olfactory Sensors
[9]
학술지
Frosch and Derick: Fifty Years Later (Foreword)
https://iopscience.i[...]
2007-09-01
[10]
학술지
Surface Protection and Selective Masking during Diffusion in Silicon
https://iopscience.i[...]
1957
[11]
학술지
Silicon-Silicon Dioxide Surface Device
https://doi.org/10.1[...]
1961
[12]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7
[13]
학술지
The mechanisms for silicon oxidation in steam and oxygen
https://linkinghub.e[...]
1960
[14]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15]
학술지
The impact of MOSFET-based sensors
https://core.ac.uk/d[...]
1985-10-01
[16]
학술지
40 years of ISFET technology: From neuronal sensing to DNA sequencing
https://www.research[...]
2016-05-13
[17]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biologically sensitive field-effect transistors (BioFETs)
http://juser.fz-juel[...]
2002-09-10
[18]
서적
The Electronics Revolution: Inventing the Fu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19]
학술지
Charge Coupled Semiconductor Devices
1970
[20]
학술지
A new MOS phototransistor operating in a non-destructive readout mode
1985
[21]
논문
Active Pixel Sensors: Are CCD's Dinosaurs?
[22]
서적
Advances in Embedded Computer Vision
Springer
2014
[23]
서적
VLSI Systems and Computations
Computer Science Press
1981-08-01
[24]
웹사이트
How Computer Mice Work
https://computer.how[...]
2019-10-09
[25]
웹사이트
LiDAR vs. 3D ToF Sensors — How Apple Is Making AR Better for Smartphones
https://ios.gadgetha[...]
2020-04-03
[26]
서적
MOS Devices for Low-Voltage and Low-Energy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
[27]
학술지
A Mini-System Integrated with Metal-Oxide-Semiconductor Sensor and Micro-Packed Gas Chromatographic Column
2018-08-17
[28]
서적
Analog VLSI Implementation of Neural Systems
http://fennetic.ne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9-05-08
[29]
서적
Parametric Analog Signal Amplification Applied to Nanoscale CMOS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LG전자, 공기 질 전문가와 손잡고 AI 센서·신소재 필터 개발
로봇청소기 보급도 하자도 급증…환급·교환은 절반 수준
로봇청소기 피해 신고 증가…제품 결함이 가장 많아
부실한 로봇청소기···피해구제 신청 75%는 ‘제품 하자’
[MK시그널] TE커넥티비티, 수익률 43.2% 돌파
윌로그, ‘다중 모드 센싱 장치 및 기술’ 국내 특허 취득 – 바이라인네트워크
국민대 임시형 교수 연구팀, 140억 원 규모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ERC) 연구센터 선정
‘혹시 어디 아픈가…’ 식물도 ‘조기 건강검진’ 한다
아이티엠반도체, 작년 4분기 매출 1786억원…방산·로봇 사업 다각화
[까다로운 리뷰] 두피 보호를 자동으로 해주는 다이슨 슈퍼소닉 뉴럴 헤어드라이어 – 바이라인네트워크
[바스리] 타이어에 ‘뇌’를 달면 얻게 되는 생각 외의 이득 – 바이라인네트워크
“일론 머스크 형, 제가 끝내주는 카메라 만들게요” – 바이라인네트워크
[커머스BN] 아마존GO가 똑똑한 이유? 리테일도 AI로 고고! – 바이라인네트워크
[기업분석] 작지만 옹골찬 센서업체 ‘삼영에스앤씨’ – 바이라인네트워크
"오차범위 10cm, 자율주행 지도를 만들어라" – 바이라인네트워크
소니 알파 7S III의 거의 모든 것 – 바이라인네트워크
샤오미의 이상한 풀스크린 폰 미 믹스 알파 – 바이라인네트워크
제주는 네가 지난 여름에 탄 버스를 알고 있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CES2017]BMW와 인텔이 꿈꾸는 미래의 자동차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