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적류로, 1990년 3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1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현재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에는 조선왕조 전기 이래의 각종 전적 3,000여 점이 보관되어 있으며, 이 중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13종 61점입니다.
주요 전적


  • 서전(書傳) (7책): 채침이 편찬한 것으로, 김부의가 늘 손에 들고 다니던 수택본(手澤本)입니다. 유학자들이 꼭 읽어야 했던 책입니다.
  • 송조명신언행록(宋朝名臣言行錄) (17책): 1502년(연산군 8)경 청도군에서 경자자(庚子字) 복각본(複刻本)으로 간행된 책입니다.
  • 매월당집(梅月堂集) (10책): 1583년(선조 16)경 재주(再鑄) 갑인자(甲寅字)로 간행된 매월당 김시습의 문집입니다.
  • 점필재집(佔畢齋集) (5책):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김종직의 문집입니다.
  • 역대명감(歷代明鑑) (6책): 연산군 연간(1494~1506)에 홍귀달 등이 왕명을 받아 역대 군신(君臣)과 후비(后妃) 중에서 귀감이 될 수 있는 언행을 골라 갑인자로 간행한 책입니다.
  • 주자대전(朱子大全) (2책): 중종 연간(1506~1544)에 을해자(乙亥字)로 간행된 책입니다.
  • 논어집주(論語集註) (3책): 선조 연간(1567~1607)에 재주 갑인자로 간행되었습니다. 송나라 주희가 주를 단 책으로, 완질입니다.
  • 주자실기(朱子實記) (5책): 중종·명종 연간(1506~1567)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것입니다.
  • 징비록(懲毖錄) (2책): 유성룡이 저술한 책입니다.
  • 근사록(近思錄) (1책)

서첩

  • 퇴계선생유묵(退溪先生遺墨) (8장 17면): 퇴계 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입니다.
  • 퇴계선생서법(退溪先生書法) (1첩 30면): 칠언시 56자와 제목을 합한 60자를 필사한 것으로, 퇴계 이황의 자필입니다.
  • 별시첩(別時帖) (1첩 17장): 동료의 효행을 기리는 시문을 한 첩으로 엮은 것입니다.


이러한 전적들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것들로서 당시의 시대상황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역사 자료로서 평가됩니다.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영문 이름Gwangsan Kim clan Yeanpa Jongga Jeonjeok
지정 번호보물 제1019호
지정일1990년 3월 2일
시대조선시대
종류전적
수량일괄 (13종 61점)
소유자김***
관리자김***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